KR100931959B1 -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959B1
KR100931959B1 KR1020080032365A KR20080032365A KR100931959B1 KR 100931959 B1 KR100931959 B1 KR 100931959B1 KR 1020080032365 A KR1020080032365 A KR 1020080032365A KR 20080032365 A KR20080032365 A KR 20080032365A KR 100931959 B1 KR100931959 B1 KR 10093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ping
side wall
infrared rays
passage
fa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945A (ko
Inventor
양한조
Original Assignee
(주)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지 filed Critical (주)한지
Priority to KR102008003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95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1Cera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61M2205/0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부항의 효과가 증대되도록 한 부항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부항기를 이루는 측벽들이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져 부항기 자체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출된다. 또한, 온열장치의 온도와 부항을 위한 부항로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조절버튼에 부항기에 설치되어 부항기의 사용이 간편해지고, 신체에 대한 부항의 효능이 증대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는 내부에 상하로 통로가 형성된 원통체를 이루는 몸체부 측벽과; 몸체부 측벽의 하부 둘레를 따라 몸체부 측벽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몸체부 측벽과의 사이에 원형 띠 모양의 부항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부항용 측벽과; 통로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장치와; 통로의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어 통로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판과; 일단이 부항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밀폐된 통로의 상부와 연통되며, 밀폐된 통로의 상부와 결합되는 진공펌프의 구동에 따라 부항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게 되는 공기압조절관을 포함하되, 몸체부 측벽의 하부와 부항용 측벽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온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항기, 원적외선, 세라믹, 온열장치, 조절버튼

Description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A aspirator with far infrared ray}
본 발명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부항기를 이루는 측벽들이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져 부항기 자체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온열장치의 온도와 부항을 위한 부항로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조절버튼에 부항기 외부에 설치되어 부항기의 사용이 간편해지고, 신체에 대한 부항의 효능이 증대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는 인체의 피부에 부압으로 부착하는 작은 용기를 이용한 부항 치료법이 널리 시행되고 있는데, 이 부항 치료법은 경혈 상의 피부에 부압을 작용시켜 비생리적 체액인 담음(痰飮)과 어혈(瘀血)을 제거하여 체액을 정화하는 요법으로 생리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피의 정화를 수행하며,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돕고 영양소를 각 세포로 원활하게 공급하는 한편 노폐물이나 독소는 체외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항 치료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4568호 "한방의료보조용 부항쑥뜸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19721호 "한방의료보조용 부항쑥뜸기", 등록번호 제10-0562368호 "부항쑥뜸기 및 이를 사용한 부항쑥뜸 시스템" 등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자에 의해 기출원된 부항쑥듬기는 부항치료과 쑥듬치료가 동시에 병행하여 실시되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증대시킨 것인데, 부항기 내부에 쑥항아리를 거치하거나, 별도의 쑥연기형성기를 구비하여 부항기와 연통시키는 등의 쑥듬치료를 위한 장치구성이 번거롭고 복잡하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외선이나 적외선, 고주파에 의한 방사열이나, 전열기에 의한 전도열을 이용한 온열요법이 현재 각 분야에서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온열요법은 신체에 대하여 혈액순환개선, 신진대사촉진, 통증완화 등의 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부항 치료법에도 적용되어 부항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온열요법이 적용된 부항 치료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출원번호 제20-2007-0008721호 "부항식 온열장치" 등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부항식 온열장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온열을 발생시키도록 온열 부가 구비된 부항식 온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열부는, 하부 가장자리부에 홈 형태의 부항로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부와 연통되는 온열로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온열로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상에 설치되고, 가열시에 근적외선 및 생체파장이 발산되는 온열판; 및 상기 온열판을 가열시키도록 그 상측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부항식 온열장치"는 온열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부항기와 연결되는 번거롭고 복잡한 구성이어서 부항치료를 수행하는데 있어 불편한 점이 많아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단순한 구성으로도 온열요법과 부항치료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고, 온열요법과 효과와 부항치료의 효과를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부항기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부항기를 이루는 측벽들이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져 부항기 자체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부항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온열장치의 온도와 부항을 위한 부항로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조절버튼에 부항기에 설치되어 부항기의 사용이 간편해져 부항기의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부항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하로 통로가 형성된 원통체를 이루는 몸체부 측벽과; 상기 몸체부 측벽의 하부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 측벽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 측벽과의 사이에 원형 띠 모양의 부항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부항용 측벽과; 상기 통로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장치와; 상기 통로의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판과; 일단이 상기 부항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밀폐된 상기 통로의 상부와 연통되며, 밀폐된 상기 통로의 상부와 결합되는 진공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항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게 되는 공기압조절관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 측벽의 하부와 상기 부항용 측벽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온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에서 상기 몸체부 측벽은 하단에 상기 통로를 차단하는 세라믹재질의 접촉판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판이 상기 온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되, 상기 접촉판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온열장치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에서 상기 온열장치는 원적외선과 열을 동시에 방출하는 열원인 온열구와; 상기 통로의 하측에 상기 몸체부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온열구가 고정되는 소켓과; 상기 온열구의 상측에 상기 통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온열구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소켓과 전선으로 접속되는 제어기판과, 상기 몸체부 측벽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온도조절버튼과, 상기 몸체부 측벽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온도표시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압조절관은 내부의 관로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부항로의 공기압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에서 상기 몸체부 측벽은 상하부가 분리되어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되, 서로 분리되는 상하부는 볼트결합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에 의하면 온열장치 및 부항기의 몸체를 이루는 측벽에서 동시에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부항효과가 극대화되는 반면, 원적외선의 방출을 위한 부항기의 구성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항을 위한 부항로의 공기압과 원적외선의 방출을 위한 온열장치의 온도가 조절버튼에 의한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어 부항기의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부항기의 활용도가 증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터빈 베어링 및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회전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 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분리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외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부항의 효과가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부항기를 이루는 측벽들이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져 부항기 자체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온열장치의 온도와 부항을 위한 부항로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조절버튼에 부항기에 설치되어 부항기의 사용이 간편해지도록 한 것에도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100)는 도 1의 (a), (b)와 같이 몸체부 측벽(10)과, 부항용 측벽(20)과, 온열장치(30)와, 밀폐판(40)과, 공기압조절관(50)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 측벽(10)은 내부에 상하로 통로(60)가 형성된 원통체를 이루는 것으로 부항기(1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부 측벽(10)의 통로(60) 상에는 온열장치(30)와 밀폐판(40)이 설치되게 되는데, 특히 온열장치(30)가 설치됨으로써 몸체부 측벽(10)의 통로(60)을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부항용 측벽(20)은 몸체부 측벽(10)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 측벽(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몸체부 측벽(10)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부항용 측벽(20)운 몸체부 측벽(10)과의 사이에 원형 띠 모양의 부항로(70)를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몸체부 측벽(10)의 하단과 부항용 측벽(20)이 하단이 부항기(100)를 사용하게 되는 사람의 신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측벽(10)은 상하부(10a)(10b)가 분리되어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 측벽(10)의 분리된 하부(10b)는 부항용 측벽(2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몸체부 측벽(10)의 상하부(10a)(10b)는 연결부(12a)(12b)가 각각 암나사 및 수나사가공되어 볼트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달리, 서로 분리되는 상하부(10a)(10b)의 연결부에 각각 돌기와 요홈을 형성시켜 서로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부항용 측벽(20)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부항치료의 조건에 따라 형상과 크기를 달리하여 부항로(70)가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100)는 상기와 같이 몸체부 측벽(10)이 서로 분리되어 결합될 수 있음에 따라, 부항용 측벽(20)을 크기와 형상을 달리하여 몸체부 측벽(10)에 형성시키고, 이와 같이 크기와 형상이 다른 부항용 측벽(20)을 가진 몸체부 측벽(10)의 하부(10b)를 필요에 따라 교체해가면서 몸체부 측벽(10)의 상부(10a)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100)는 다양한 부항치료 조건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활용도가 증대되고, 부항의 효과 또한 증대되게 된다.
한편, 몸체부 측벽(10)의 하부와 부항용 측벽(20)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온열장치(30)에 의해 가열되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물론, 몸체부 측벽(10) 전체를 세라믹 재질로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측벽(10)은 도 3과 같이 하단에 통로(60)를 차단하는 세라믹재질의 접촉판(14)이 형성되어 접촉판(14)이 온열장치(30)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접촉판(14)은 다수개의 통공(16)이 형성되어 온열장치(3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100)는 세락믹재질의 몸체부 측벽(10)과 부항용 측벽(20)이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원적외선 방출효율이 증대되는 한편, 몸체부 측벽(30)의 통로(60) 상에 설치되는 온열장치(30)에 의한 원적외선방출이 보완될 수 있어 온열장치(30)의 전원사용을 절감시켜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온열장치(30)는 통로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30)는 온열구(31), 소켓(32), 방열판(33), 제어기판(35), 온도조절버튼(36), 온도표시기(37)로 이루어진다.
온열구(31)는 온열장치(30)의 열원으로 원적외선과 열을 동시에 방출하게 되는 것으로, 통로(60)의 하측에 몸체부 측벽(10)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소켓(32)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방열판(33)은 온열구(31)의 상측 통로(60) 상에 설치되어 온열구(31)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게 된다.
제어기판(35)은 온열구(31)가 결합된 소켓(32)과 전선(34)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판(35)는 몸체부 측벽(10) 내부의 통로(60) 상에 설치되어 몸체부 측벽(10) 외측면에 설치된 온도조절버튼(36) 및 온도표시기(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조절버튼(36)은 온열구(31)의 방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 측벽(10)의 외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부항기(100)의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온열구(31)의 방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버튼(36)은 도 3과 같이 일종의 누름버튼(push button)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는 상승버튼(36a)와 온도를 하강시키는 하강버튼(36b)으로 이루어져 있다.
온도표시기(37)는 온도조절버튼(36)에 의해 조절되는 온열구(31)의 방열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 측벽(10)의 외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부항기(100)의 사용자가 손쉽게 온열구(31)의 방열온도를 확인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도표시기(37)는 도 3과 같이 일렬로 세워진 다수개의 격자가 온열구(31)의 방열온도에 따라 특정색으로 채워지는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수치가 직접 표시되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밀폐판(40)은 통로의 정해진 높이에 통로(60)를 차단시키면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밀폐판(40)은 통로(60)의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밀폐된 통로(60)의 상부로는 진공펌프(80)가 연결되게 된다.
공기압조절관(50)은 일단이 부항로(70)와 연통되고, 타단이 밀폐판(40)에 의해 밀폐되는 통로(60)의 상부와 연통되는 것이다.
여기서, 밀폐된 통로(60)의 상부를 진공펌프(80)와 연결시켜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부항로(70)는 부항기(100)의 사용자 신체에 밀착되는 부항용 측벽(20)에 의해 밀폐되고, 공기압조절관(50)에 의해 밀폐된 통로(60)의 상부와 연결되어 공기압이 낮아지면서 부항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조절관(50)은 조절버튼(52)이 구비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조절버튼(52)은 공기압조절관(50) 내부의 관로의 단면크기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밀폐된 통로(60)의 상부로 흡입되는 부항로(70) 내부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부항로(70)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100)에서는 부항치료의 강도를 조절버트(52)을 조작으로 간편하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버튼(52)은 슬라이딩방식으로 설치되어 공기압조절관(50) 내부의 관로를 차단시키는 차단판과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조절버트(52)의 슬라이딩동작에 따라 공기압조절관(50) 내부의 관로 단면이 상기 차단판에 의해 점진적으로 차단되거나 개방되면서 부항로(70)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절버트(52)은 동시에 누름버튼(push button)으로도 기능하게 하여 공기압조절관(50) 내부의 관로가 일정부위 차단된 상태에서 곧바로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부항기(100)의 사용완료 후 부항기(100)에 남아있는 진공압이 곧바로 정상적인 대기압으로 복원되도록 할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결합단면도;
도 1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분리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측벽 10a : 상부
10b : 하부 12a, 12b : 연결부
14 : 접촉판 16 : 통공
20 : 부항용 측벽 30 : 온열장치
31 : 온열구 32 : 소켓
33 : 방열판 34 : 전선
35 : 제어기판 36 : 온도조절버튼
36a : 상승버튼 36b : 하강버튼
37 : 온도표시기 40 : 밀폐판
50 : 공기압조절관 52 : 조절버튼
60 : 통로 70 : 부항로
80 : 진공펌프 100 : 부항기

Claims (4)

  1. 부항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하로 통로가 형성된 원통체를 이루는 몸체부 측벽과;
    상기 몸체부 측벽의 하부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 측벽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 측벽과의 사이에 원형 띠 모양의 부항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부항용 측벽과;
    상기 통로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장치와;
    상기 통로의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판과;
    일단이 상기 부항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밀폐된 상기 통로의 상부와 연통되며, 밀폐된 상기 통로의 상부와 연결되는 진공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항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게 되는 공기압조절관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 측벽의 하부와 상기 부항용 측벽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온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측벽은 하단에 상기 통로를 차단하는 세라믹재질의 접촉판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판이 상기 온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되,
    상기 접촉판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온열장치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장치는 원적외선과 열을 동시에 방출하는 열원인 온열구와, 상기 통로의 하측에 상기 몸체부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온열구가 고정되는 소켓과, 상기 온열구의 상측에 상기 통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온열구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소켓과 전선으로 접속되는 제어기판과, 상기 몸체부 측벽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온도조절버튼과, 상기 몸체부 측벽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온도표시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압조절관은 내부의 관로의 단면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부항로의 공기압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측벽은 상하부가 분리되어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되,
    서로 분리되는 상하부는 볼트결합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KR1020080032365A 2008-04-07 2008-04-07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KR10093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65A KR100931959B1 (ko) 2008-04-07 2008-04-07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65A KR100931959B1 (ko) 2008-04-07 2008-04-07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45A KR20090106945A (ko) 2009-10-12
KR100931959B1 true KR100931959B1 (ko) 2009-12-15

Family

ID=4153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65A KR100931959B1 (ko) 2008-04-07 2008-04-07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9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51B1 (ko) 2010-02-01 2012-08-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항기 프로브 및 그를 구비하는 부항 장치
KR101211506B1 (ko) 2012-09-19 2012-12-12 (주)굿플 일회용 부항컵
WO2013129853A1 (ko) * 2012-02-29 2013-09-06 Min Byung Don 진공흡착식 마사지기용 흡입구
KR101486642B1 (ko) 2013-04-12 2015-01-29 규원 조 조합형 부항 컵
KR101626203B1 (ko) 2014-06-30 2016-05-31 최수영 자가 부항이 가능한 핸드형 부항기
CN108310495A (zh) * 2018-02-12 2018-07-24 潘爱平 一种带有负压补偿腔的火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4981B (zh) * 2016-08-31 2018-11-16 王金玉 一种中医针灸罐智能治疗装置
WO2020227969A1 (zh) * 2019-05-15 2020-11-19 碧波庭国际有限公司 强化密闭以达到防水、防撞、减噪功能的负压杯体上的震动盒
WO2021092586A1 (en) * 2019-11-08 2021-05-14 Fka Distributing Co., Llc Vacuum massa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38A (ko) * 2001-06-19 2002-12-31 배삼훈 진공 쑥 뜸 기
KR200404004Y1 (ko) 2005-08-05 2005-12-15 이정훈 일체형 원터치식 적외선 부항기
KR20060005261A (ko) * 2004-07-12 2006-01-17 (주)한지 부항쑥뜸기
KR100562368B1 (ko) 2005-08-12 2006-03-17 (주)한지 부항쑥뜸기 및 이를 사용한 부항쑥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38A (ko) * 2001-06-19 2002-12-31 배삼훈 진공 쑥 뜸 기
KR20060005261A (ko) * 2004-07-12 2006-01-17 (주)한지 부항쑥뜸기
KR200404004Y1 (ko) 2005-08-05 2005-12-15 이정훈 일체형 원터치식 적외선 부항기
KR100562368B1 (ko) 2005-08-12 2006-03-17 (주)한지 부항쑥뜸기 및 이를 사용한 부항쑥뜸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51B1 (ko) 2010-02-01 2012-08-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항기 프로브 및 그를 구비하는 부항 장치
WO2013129853A1 (ko) * 2012-02-29 2013-09-06 Min Byung Don 진공흡착식 마사지기용 흡입구
KR101211506B1 (ko) 2012-09-19 2012-12-12 (주)굿플 일회용 부항컵
KR101486642B1 (ko) 2013-04-12 2015-01-29 규원 조 조합형 부항 컵
KR101626203B1 (ko) 2014-06-30 2016-05-31 최수영 자가 부항이 가능한 핸드형 부항기
CN108310495A (zh) * 2018-02-12 2018-07-24 潘爱平 一种带有负压补偿腔的火罐
CN108310495B (zh) * 2018-02-12 2020-07-14 宋秀媛 一种带有负压补偿腔的火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45A (ko)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959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CN202538021U (zh) 保温负压治疗热疗罐装置
KR101064115B1 (ko) 부항식 저주파치료 겸용 온열기
WO2018049929A1 (zh) 一种灸罐及药灸设备
EP2504063A1 (en) A cover, a treatment device and a method of use of such a device
KR101697706B1 (ko) 근육 통증 및 염증 치료용 마사지 장치
CN106176188B (zh) 一种多功能中药熏蒸治疗仪
CN206007560U (zh) 一种真空拔罐
US20180303707A1 (en) Scraping plate
CN205163617U (zh) 艾灸盒
CN205322753U (zh) 一种对人体口、鼻或眼熏蒸的熏蒸仪
CN109316336A (zh) 熏蒸熨疗仪
CN107595594B (zh) 一种医疗蒸疗装置
CN206275819U (zh) 一种药物熏蒸治疗仪器
KR100841019B1 (ko) 온열부항기 및 이를 사용하는 부항장치
KR20130004677A (ko) 온열 마사지 기구
CN108671294A (zh) 一种多功能拔火罐装置
KR20070098234A (ko) 원적외선 및 자력이 발산되는 부항기
CN110404178B (zh) 一种中医骨伤红外热疗仪
CN204709638U (zh) 一种加热中药的治疗仪
CN210872930U (zh) 气浴式坐疗装置
CN108030660A (zh) 一种中药熏蒸设备
CN215689322U (zh) 一种内分泌护理领域中的辅助器具
CN207055645U (zh) 薰蒸床
CN209347610U (zh) 一种耳鼻用加热清洗同步循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