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210A - Sdma를 통한 비디오 전송 - Google Patents

Sdma를 통한 비디오 전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210A
KR20110122210A KR1020117022671A KR20117022671A KR20110122210A KR 20110122210 A KR20110122210 A KR 20110122210A KR 1020117022671 A KR1020117022671 A KR 1020117022671A KR 20117022671 A KR20117022671 A KR 20117022671A KR 20110122210 A KR20110122210 A KR 20110122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ata
wireless devices
frame
data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440B1 (ko
Inventor
마아르텐 멘조 웬팅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2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기법들과 같이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SDMA를 통한 비디오 전송{VIDEO TRANSMISSION OVER SDMA}
5 U.S.C.§19 하의 우선권 주장
특허를 위한 본 출원은 2009년 2월 27일자 출원되고 그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원에 참조문헌으로서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156,402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요구되는 증가하는 대역폭 요건들의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 데이터 쓰루풋을 달성하면서 동일한 채널(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단일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상이한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는 차세대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인기 있는 기법으로서 최근에 출현한 하나의 이러한 접근을 나타낸다.
SDMA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에 및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동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또는 단말들로 상이한 신호들을 수신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들은 충분히 상이한 방향들에 위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독립적인 신호들은 기지국의 다수의 공간-분리된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합된 전송들이 지향성일 수 있는데, 즉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해 전용되는 신호는 특정한 사용자 단말들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방향들에 대해 충분히 약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조합된 신호들을 동일한 주파수를 통해 수신하고, 다수의 안테나로부터의 조합된 수신된 신호들은 적절한 신호 처리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독립된 신호들로 분할될 수 있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무선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수(NT)의 전송 안테나들 및 다수(NR)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전송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개의 공간 스트림들로 분해될 수 있고, 여기서, 모든 실용적인 목적들을 위해, NS=min{NT,NR}이다. NS개의 공간 스트림들은 더 뛰어난 전체 쓰루풋은 달성하기 위해 NS개의 독립적인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SDMA을 기반으로 한 다중-액세스 MIMO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임의의 정해진 순간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단일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 NT개의 전송 안테나들은 각각의 전송 엔티티(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단말 중 하나)와 연관되고,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은 각각의 수신 엔티티(사용자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와 연관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SDMA를 통해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과 또한 통신할 수 있다. SDMA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을 활용하고, 사용자 단말들 각각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 안테나들의 수 미만을 활용한다. SDMA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될 때, NS = min{NT, sum(NR)}이고, 여기서 sum(NR)는 모든 사용자 단말 수신 안테나들의 합을 나타낸다. SDMA가 액세스 포인트에 조성될 때, NS = min{sum(NT), NR}이고, 여기서 sum(NT)는 모든 사용자 단말 전송 안테나들의 합을 나타낸다.
특정한 양상들은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전송 기회 동안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무선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의 확인응답(acknowledgement)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에 있어서, 제 1 전송 기회는 다운링크 전송 기회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송 기회들은 업링크 전송 기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에 있어서, 제 1 전송 기회는 다운링크 전송 기회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송 기회들은 업링크 전송 기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은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무선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의 확인응답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상기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무선 장치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의 확인응답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확인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용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이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고;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무선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들의 확인응답들을 수신하도록 실행가능하다.
특정한 양상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용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이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고;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확인응답을 전송하도록 실행 가능하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이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안테나를 통해,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및 안테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무선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의 확인응답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이 무선 스테이션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안테나를 통해 제 2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상술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서 간단히 요약된 보다 특정한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이들 중 일부는 첨부 도면들에서 예시된다. 그러나 첨부 도면들은 단순히 본 개시의 특정한 통상적인 양상들이며, 이에 따라 이 설명은 다른 균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선 안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공간 분한 다중 액세스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무선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와 2개의 사용자 단말들의 블록도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예시적인 확인응답(ACK) 정책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블록 ACK 요청(BAR) 프레임들에 대한 확인응답(ACK) 정책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양상들이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7A는 도 7에 예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회로를 예시하는 도면.
도 8 내지 14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레임 교환들을 예시하는 도면.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공간-분할 다중 액세스(SDMA) 시스템들에서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후술된다. 여기의 교시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둘 다가 단순히 대표적이라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여기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여기서 개시된 양상은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양상들 중 2개 이상은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은 여기서 기술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은 여기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 외에 또는 부가하여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 및 기능성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양상은 청구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어 "예시적인"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서 기술된 임의의 양상은 반드시 다른 양상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기술되는 다중-안테나 전송 기법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기술들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은 (1) CDMA를 위한 직교 코드 채널들, (2) TDMA을 위한 시간 슬롯들, 또는 (3) OFDM을 위한 서브대역들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수신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IS-2000, IS-95, IS-856, W-CDMA(Wideband-CDMA) 또는 몇몇의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OFDM 시스템은 IEEE 802.11 또는 몇몇의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GSM 또는 몇몇의 다른 표준들을 구현한다. 이들 다양한 표준들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도 1은 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단말들을 갖는 다중-액세스 MIMO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단순성을 위해 단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10)만이 도 1에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이고, 기지국 또는 몇몇의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고정 또는 이동적일 수 있으며 이동국, 무선 디바이스, 단순히 "스테이션" 또는 몇몇의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임의의 정해진 순간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120)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즉, 포워드 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사용자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이고, 업링크(즉, 리버스 링크)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통신 링크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다른 사용자 단말들과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결합되어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이하의 개시의 일부들은 특정 양상들에 대해 SDMA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들(120)을 기술할 것이지만, 사용자 단말들(120)은 SDMA를 지원하지 않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상들에서, AP(110)는 SDMA 및 비-SDMA 사용자 단말들 둘 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접근은 새로운 SDMA 사용자 단말이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것으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더 오래된 버전의 사용자 단말들("전통적인(legacy)" 스테이션들)이 기업에서 전개된 채로 유지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의 사용 가능한 수명을 연장한다.
시스템(100)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수의 전송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Nap개의 안테나들이 장착되고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다중-입력(MI) 및 업링크 전송을 위한 다중-출력(MO)을 나타낸다. Nu개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120)의 세트는 다운링크 전송들을 위한 다중-출력 및 업링크 전송들을 위한 다중-입력을 집합적으로 나타낸다. SDMA에 있어서, Nu개의 사용자 단말들을 위한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이 임의의 수단에 의해 코드, 주파수, 또는 시간면에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 Nap ≥ Nu ≥ 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이 CDMA를 통한 상이한 코드 채널들, OFDM을 통한 서브대역들의 분리된 세트들 등을 이용하여 멀티플렉싱 되는 경우 Nu는 Nap보다 클 수 있다. 각각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사용자-특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사용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사용자-특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각 선택된 사용자 단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즉, Nut ≥ 1)이 장착될 수 있다. Nu개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SMDA 시스템(100)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일 수 있다. TDD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FDD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한다. MIMO 시스템(100)은 전송을 위해 단일의 캐리어 또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또한 활용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단일의 안테나(예를 들어, 비용을 낮추기 위해) 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예를 들어, 부가적인 비용이 지원되는 경우)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MIMO 시스템(10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와 2개의 사용자 단말들(120m 및 120x)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안테나들(224a 내지 224t)이 장착된다. 사용자 단말(120m)은 안테나들(252ma 내지 252mu)이 장착되고, 사용자 단말(120x)은 안테나들(252xa 내지 252xu)이 장착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에 대한 전송 엔티티 및 업링크에 대한 수신 엔티티이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은 업링크에 대한 전송 엔티티 및 다운링크에 대한 수신 엔티티이다. 여기서 사용된 "전송 엔티티(transmitting entity)"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고, "수신 엔티티(receiving entity)"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아래첨자 "dn"은 다운링크를 나타내고, 아래첨자 "up"는 업링크는 나타내고,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업링크 상에서의 동시성 전송을 위해 선택되고(즉,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SDMA를 통해 업링크 상에서 동시에 AP에 전송할 수 있음), Ndn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다운링크 상에서의 동시성 전송을 위해 선택되고(즉, AP는 SDMA를 통해 다운링크 상에서 동시에 Ndn 사용자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음), Nup는 Ndn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고, Nup는 Ndn은 정적인 값들일 수 있거나 또는 각 스케줄링 간격 동안 변할 수 있다. 빔-스티어링 또는 몇몇의 다른 공간 처리 기법은 액세스 포인트 및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선택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데이터 소스(286)로부터 트래픽 데이터 및 제어기(28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rate)와 연관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90)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안테나용 전송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각 안테나 유닛(TMTR; 254)은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전송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컨버팅)한다. 전송기 유닛들(254)은 안테나(252)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을 위해 업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업링크 상에서의 동시성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이 사용자 단말들 각각은 자신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업링크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 심볼 스트림들의 세트를 전송한다.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안테나들(224a 내지 224ap)은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모든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안테나(224)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수신기 유닛(RCVR; 222)에 제공한다. 각각의 수신기 유닛(222)은 전송기 유닛(254)에 의해 수행된 것에 상보적인 처리를 수행하고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40)는 수신기 유닛들(222)로부터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에 대해 수신기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Nup개의 복구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처리는 CCMI(channel correlation matrix inversion),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SIC(soft interference cancellation), 또는 몇몇의 다른 기법에 따라 수행된다. 각각의 복구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추정이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42)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해당 스트림에 대해 사용된 레이트에 따라 각각의 복구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는 저장을 위해 데이터 싱크(244)에, 및/또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제어기(23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스케줄링된 Ndn개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소스(208)로부터 트래픽 데이터, 제어기(23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가능하게는 스케줄러(234)로부터의 다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양한 형태들의 데이터는 상이한 전송 채널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에 기초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Ndn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Ndn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20)는 Ndn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에 대해 공간 처리(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프리코딩 또는 빔형성)를 수행하고, 안테나들용 전송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전송기 유닛(222)은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전송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고 전송기 유닛(222)은 안테나(224)로부터 사용자 단말들로의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안테나들(252)은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유닛(254)은 연관된 안테나(252)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60)는 수신기 유닛들(254)로부터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에 대해 수신기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복구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처리는 CCMI, MMSE 또는 몇몇의 다른 기법에 따라 수행된다. RX 데이터 처리기(27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복구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채널 추정기(278)는 다운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고 채널 이득 추정치들, SNR 추정치들, 잡음 변동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운링크 채널 추정치들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채널 추정치(228)는 업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고 업링크 채널 추정치들을 제공한다.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기(280)는 통상적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응답 매트릭스(Hdn,m)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를 유도하며, 여기서 아래첨자 m는 "m번째" 사용자 단말을 지칭한다. 제어기(230)는 유효 업링크 채널 응답 매트릭스(Hup , eff)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를 유도한다.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기(280)는 피드백 정보(예를 들어,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고유벡터들(eigenvectors), 고유값들, SNR 추정치들 등)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들(230 및 280)은 액세스 포인트(110) 및 사용자 단말(120)에서 각각 다양한 처리 유닛들의 동작을 또한 제어한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302)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예이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스테이션(사용자 단말)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무선 노드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무선 디바이스(3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또한 중앙 처리 장치(CPU)로서 지칭될 수 있다. 판독-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304)에 제공한다. 메모리(306)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통상적으로 메모리(304)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306) 내의 명령들은 여기서 기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무선 디바이스(302)와 원격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허용하도록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308)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는 트랜시버(314)내에 조합될 수 있다. 단일의 또는 복수의 전송 안테나들(316)은 하우징(308)에 부착되고 트랜시버(314)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다수의 전송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도시되지 않음)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트랜시버들(3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하고 정량화(quantify)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31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318)는 전체 에너지, 심볼당 서브캐리어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32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는 버스 시스템(322)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통적인"은 일반적으로 802.11n 또는 802.11 표준의 앞선 버전들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을 지칭한다.
특정한 기법들이 SDMA를 참조하여 여기서 기술되지만, 당업자는 SDMA, OFDMA, CDMA,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다수의 액세스 방식들을 활용하는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무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의 안테나들이 충분하게 상이한 방향들에 위치하는 SDMA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상이한 사용자 단말들에 전용되는 동시적으로 전송된 공간 스트림들 사이에서 어떠한 간섭도 없다는 것을 보증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서,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무선 시스템은 상이한 사용자 단말들에 전용되는 공간 스트림들 사이에서 직교성을 제공하는 전송 신호의 프리코딩(빔형성)이 적용되는 다중사용자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안테나들이 반드시 충분하게 상이한 방향들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에서, 다수의 스테이션들(STA)로부터 액세스 포인트(AP)로의 업링크(UL) 전송들은 동기화되어야 한다. UL 전송들은 AP에서의 도달 시간, 주파수, 패킷들의 수신된 파워 길이, 및 공간 스트림들의 할당의 견지에서 동기화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무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의 안테나들이 충분하게 상이한 방향들에 위치하는 SDMA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이는 상이한 사용자 단말들에 전용되는 동시적으로 전송된 공간 스트림들 사이에서 어떠한 간섭도 없다는 것을 보증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무선 시스템은 상이한 사용자 단말들에 전용되는 공간 스트림들 사이에서 직교성을 제공하는 전송 신호의 프리코딩(빔형성)이 적용되는 다중사용자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안테나들이 반드시 충분하게 상이한 방향들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액세스 포인트(AP)는 DI(Demarcation Indication)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업링크 SDMA 전송들을 시작할 수 있다. 스테이션(STA)이 진행중인(pending) 업링크 동안 SDMA TXOP를 전송할지 여부, 어떻게 전송할지를 명기한다. 업링크 SDMA TXOP는 DI 프레임 이후의 고정된 시간 간격에서 시작한다. SDMA TXOP 내부의 자원들은 AI(Allocation Indication)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요청될 수 있다. AP는 AR(Allocation Response)을 송신함으로써 AI를 확인응답(acknowledge)할 수 있다.
높은 쓰루풋(HT)-즉시 블록 ACK(BA)는 일반적으로 블록 ACK 요청(BAR) 또는 암시적인 BAR를 포함하는 수신된 PD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종료 이후 SIFS(Short Interframe Space)에서 BA 프레임이 전송되는 블록 ACK의 형태를 지칭한다. HT-즉시 BA는 802.11n에서 추가로 정의된다.
HT-지연 BA는 일반적으로 BAR을 포함하는 PDDU의 수신 이후 다음 TXOP(Transmit Opportunity)에서 전송되는 블록 ACK의 형태를 지칭한다. HT-지연 BA는 802.11n에서 추가로 정의된다.
PSMP(Power Save Multi-Poll)는 일반적으로 802.11n에서 기술되는 채널 액세스 방법을 지칭한다. PSMP는 AP에 의해 전송되는 PSMP 프레임으로 시작하고, PSMP 프레임은 각각의 어드레싱되는 기지국에 대해서 DTT(Downlink Transmission Time) 및 UTT(Uplink Transmission Time)를 각각 명기한다. PSMP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에 관한 ACK 정책은 HT-즉시 BA의 형태인 PSMP ACK이지만, BA가 PPDU 수신의 종료 이후 SIFS에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스케줄링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슬롯 동안 전송되는 부가적인 요건을 갖는다. PMPS는 802.11n에서 추가로 정의된다.
도 4는 데이터 프레임들에 관한 예시적인 ACK 정책들을 예시한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가능한 정책들은 정규 ACK 또는 암시적 BA 요청, 무(NO) ACK, 무 명시적 ACK 또는 PSMP ACK, 또는 블록 ACK를 포함한다. 도 5는 802.11n에 기초하여 BAR 프레임들에 관한 예시적인 ACK 정책들을 예시한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수신자들은 ACK(정규 ACK 또는 암시적 BAR)를 반환하도록 요구될 수 있거나, 어떠한 초치도 취하지 않는다(무 ACK).
SDMA를 통한 UPD 비디오 전송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SDMA TXOP(SDMA Transmit Opportunity)와 같은 병렬 전송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법들을 제공한다. 이 용어는 또한 유사한 용어를 커버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이러한 병렬 전송들은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반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환경에서, 오디오-비디오(AV) 트래픽은 도 6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몇 개의 소스들과 목적지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도 6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인터넷에 유선 연결된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AP; 602)는 제 1 방(room)(610)의 블루-레이 재생기(612), 모니터(스크린; 616),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VR; 618) 및 제 2 방(620)에 위치한 스크린(626) 및 오디오 디바이스(628), 및 제 3 방(630)에서 스크린과 스피커가 통합된 디바이스(636)와 같이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미디어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AP는 예를 들어, 케이블 모뎀, 셋-톱 박스, 라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AP로부터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다른 디바이스들에 또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기(612)는 스크린(616) 및 스피커(614)에 스트리밍할 수 있고, DVR은 스크린(626) 및 오디오 디바이스(628)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디바이스들은 스트림들의 소스 및 수신자들이 될 수 있다.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비디오 스트림들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이용될 때, 업링크 트래픽만이 MAC(Media Access Control)-레벨 확인응답 메시지들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적거나 업링크 데이터 흐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다운링크 방향에서 어떠한 MAC 레벨 확인응답도 없을 수 있다.
802.11 MPDU로서 캡슐화된 UDP 패킷은 UDP 프레임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802.11 MPDU로서 캡슐화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패킷은 TCP 프레임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7은 병렬 데이터 전송(예를 들어, 병렬 UDP 전송들)을 위해 SDMA 시스템에서 AP 및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700)을 예시한다. 동작들(702 내지 706)은 예를 들어, 도 6의 AP(602)와 같이 AP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들(708 내지 712)은 예를 들어, 도 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AP(602)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와 유사한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702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로서 전송되는 UDP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은 제 1 전송 기회(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 기회) 동안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들로 전송될 수 있다. 708에서, 데이터 프레임들 중 하나가 스테이션에서 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되는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들은 하나 이상의 A-MPDU들(Aggregated MAC Protocol Data Units)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들은 확인응답(ACK) 정책을 또한 명기할 수 있다. ACK 정책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스테이션들에 의해 어떻게 확인응답 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704에서, DI(Demarcation Indication)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710에서, DI 프레임이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DI 프레임은 업링크 SDMA TXOP를 시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DI 프레임은 스테이션(STA)이 진행중인 업링크 동안 SDMA TXOP를 전송할지 여부 및 어떻게 전송할지를 명기할 수 있다. DI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들을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접근법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DI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들은 동일한 다운링크 A-MPDU를 통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712에서, 이전에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은 제 2 전송 기회(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 기뢰)에서, 수신된 DI 프레임의 정보에 따라 스테이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706에서, 확인응답이 AP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도 8 내지 14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병렬 전송의 예들을 예시한다. 이 예들은 도 7의 동작에 따른 병렬 전송들을 예시한다. 이 예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도 6에서 예시된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에 따라, 백오프 기간 이후에, AP는 다운링크 SDMA TXOP를 시작할 수 있다. 다운링크 SDMA TXOP 동안, AP는 A-MPDU들(802)을 스테이션들(1 내지 4)에 병렬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A-MPDU들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UDP 프레임들 및 DI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UDP 프레임들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DI는 진행중인 업링크 SDMA TXOP의 타이밍 및 자원 할당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UDP 프레임들은 암시적인 BAR(Block ACK Request) 정책을 명기할 수 있다. 높은 쓰루풋(HT)-즉시 블록 ACK(BA)는 다운링크 UDP 스트림들을 확인응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업링크 SDMA TXOP 동안, 스테이션들은 다운링크 UDP 프레임들 상에서 암시적 BAR에 의해 유효하게 요청된 바와 같이 UDP 프레임들의 수신을 확인응답도록 BA 프레임들(804)을 AP에 전송한다.
이 예가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업링크 방향에서의 자원 할당은 다운링크 방향에서의 자원 할당과 상이할 수 있다. 유사한 프레임 교환 시퀀스가 백오프, SIFS(Short Inter-frame Space) 또는 PIFS(Point Control Function Inter-frame Space) 간격 이후에 기지국들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세트들에 대해 후속할 수 있다. 업링크 SDMA TXOP에 존재하는 기지국들은 DI 프레임들이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broadcast)이 아니라 유니캐스트로서 송신되기 때문에 다운링크 SDMA TXOP에서 어드레싱되는 기지국들과 상이할 수 있다.
도 9에서 예시되는 프레임 교환에서, 백오프 이후에, AP는 진행중인 업링크 SDMA TXOP의 타이밍 및 자원 할당을 표시하는 DI 프레임(906)을 방송할 수 있다. 방송 DI 프레임(906)은 도 8에 송신된 개별적인 DI들 대신 송신될 수 있다. 업링크 SDMA TXOP에서의 자원들이 스테이션들(1 내지 4)에 할당될 수 있다. 업링크 SDMA TXOP 동안, 스테이션들(1 내지 4)은 BA 프레임(904)을 AP에 전송할 수 있다. BA들은 이전의 BAR에 의해 요청된 바와 같이 AP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UDP 프레임들을 확인응답할 수 있다.
업링크 SDMA TXOP 이후에, AP는 다운링크 SDMA TXOP를 시작할 수 있다. 다운링크 SDMA TXOP 동안, AP는 A-MPDU를 스테이션들(1 내지 4)에 병렬로 전송할 수 있다. 다운링크 A-MPDU들은 하나 이상의 UDP 프레임들 및 BAR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UDP 프레임들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BAR 프레임은 수신된 UDP 프레임들의 확인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HT-지연 BA가 다운링크 UDP 스트림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후속 방송 DI 프레임 이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UDP 프레임들은 블록 ACK 정책 수신 기지국들에 의해 SIFS 응답을 도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블록 ACK 정책을 표시할 수 있다. BAR 프레임은 동일한 이유로 이 프레임에 대한 무 ACK 정책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의 교환에 따라, AP는 다운링크 AP가 A-MPDU(1010)을 스테이션들(1 내지 4)에 전송하는 SDMA TXOP를 시작할 수 있다. A-MPDU(1010)는 DI 및 BAR를 포함할 수 있다. BAR은 진행중인 다운링크 SDMA TXOP 이후에 SIFS 응답으로서 BA가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되도록 요청한다. BAR은 정규 ACK 정책을 명기할 수 있다. 업링크 SDMA TXOP 동안, 스테이션들이 요청된 BA들(1004)을 AP에 송신할 수 있다. BA들(1004)은 AP로부터 수신되는 이전의 데이터를 확인응답할 수 있다. 업링크 SDMA TXOP 이후에, AP는 제 2 다운링크 SDMA TXOP를 시작할 수 있다. 제 2 다운링크 SDMA TXOP 동안, AP는 블록 ACK 정책에 따라 다운링크 UDP 프레임들을 갖는 A-MPDU(1012)를 스테이션들(1 내지 4)에 송신할 수 있다.
일정한 양상들에 따라, 제 1 다운링크 SDMA TXOP에서 DI 및 BAR이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A-MPDU들로서 결집될 수 있지만, 새로운 DI + BAR 프레임이 이 목적을 위해 또한 설계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예시적인 교환에서, A-MPDU들(1102)을 통해 전송되는 UDP 프레임들은 암시적인 BAR 정책을 표시할 수 있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UDP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블록 ACK의 형태는 변형된 HT-즉시 ACK일 수 있으며, 이 변형은 BA가 DI 이후 SIFS 기간에 전송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BA 응답(1104)은 DI(1106)에 의해 표시된 업링크 SDMA TXOP 동안, DI(1106) 이후 전송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지연된 BA는 즉시 BA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UDP 프레임들에 대한 ACK 정책은 무 ACK가 다운링크 A-MPDU들에 결집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블록 ACK 및 BAR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A-MPDU들(1208)의 BAR이 무 ACK 정책을 명기할 수 있고, A-MPDU들(1208)의 데이터가 블록 ACK 정책을 명기할 수 있는 프레임 교환 시퀀스를 예시한다. 이는 MPDU들에 BAR를 포함시키고 HT-즉시 BA 대신 HT-지연 B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의 예시적인 교환과 유사하다. 스테이션들로부터의 BA 응답(1204)은 DI 프레임(1206)을 수신한 이후 송신될 수 있다.
도 13은 업링크 전송이 AP에 의해 송신된 UTT(Uplink Transmission Time)에 기초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레임 교환을 예시한다. UTT는 A-MPDU(1314)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UTT는 각 스테이션에 대한 순차적인 업링크 TXOP의 시작 시간 및 지속 기간을 명기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UDP 프레임들(1314)은 PSMP(Power Save Multi-Poll) ACK 정책을 명기할 수 있다. HT-즉시 BA는 다운링크 UDP 스트림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UTT는 어떠한 SIFS 응답도 도출되지 않도록 무 작용 ACK 프레임(Action No ACK frame)일 수 있다. 스케줄링된 업링크 TXOP들은 요청된 업링크 BA 프레임들(1316) 또는 원하면 MTBA(Multi-Traffic Identifier BA)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SDMA는 업링크 응답이 순차적으로 스케줄링되기 때문에 업링크 방향에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접근법은 예를 들어, 스테이션들이 SDMA 전송들을 할 수 없을 때(비-SDMA 스테이션들) 사용될 수 있다.
제 1 업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전송 이후의 일정 기간에 시작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간격은 SIFS(예를 들어, 16 us)일 수 있다. 업링크 전송들 간의 간격은 aIUStime 또는 SIFS와 동일할 수 있다. RIFS(Reduced Interface Space)이 지원되면, 이 간격은 짧아질 수 있다(예를 들어, 8 us).
도 14에 예시된 프레임 교환에 따라, AP는 다운링크 SDMA TXOP 및 일련의 순차적인 업링크 TXOP들을 명기하는 PSMP 프레임(1418)을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AP는 A-MPDU(1412)가 STA(1 내지 4)에 병렬로 전송될 수 있는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SDMA TXOP를 시작할 수 있다. A-MPDU(1412)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UDP 프레임들은 PSMP ACK 정책을 명기할 수 있다. HT-즉시 BA는 다운링크 UDP 스트림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순차적인 업링크 TXOP들은 STA(1 내지 4)로부터의 업링크 BA 프레임들(1416)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MTBA 프레임은 BA 프레임 대신 전송될 수 있다.
PSMP(1418) 프레임은 진행중인 다운링크 SDMA TXOP 및 업링크 TXOP들을 보호하도록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할 수 있다. PSMP 프레임(1418)은 스테이션들이 다운링크 SDMA TXOP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게 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PSMP 프레임에 포함되지 않는 스테이션들은 PSMP 시퀀스의 지속 기간 동안, 또는 후속 PSMP 프레임의 발생이 스케줄링될 때까지 수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PSMP 프레임(1418)은 기존의 PSMP 프레임의 변형된 버전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변형은 다운링크 전송 시간들이 중첩하는 것을 허용한다. RIFS는 다운링크 SDMA TXOP의 시작과 PSMP 프레임(1418)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의 다양한 동작들은 도면들에서 예시되는 기능적 블록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서 대응하는 상대편의 기능적 블록들을 갖는 방법이 도면들에서 예시되는 경우, 동작 블록들은 유사한 번호들을 갖는 기능적 블록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동작들(702 내지 712)은 도 7A에 예시된 블록들(702A 내지 712A)에 대응한다.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 전체를 통해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등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미립자, 광학 필드들 또는 미립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범용 프로세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치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들의 몇몇 예들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의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및 다수의 저장 매체들에 걸쳐서 몇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방법들은 기술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작용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작용들은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서로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작용들의 특정 순서가 명기되어 있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작용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변형될 수 있다.
기술되는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하거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성한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전송 매체를 통해 또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이 전송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또한, 도면들에서 예시된 것과 같이 여기서 기술되는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은 다운로딩될 수 있고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응용 가능하게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여기서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버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여기서 기술되는 다양한 방법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기지국이 디바이스에 저장수단을 결합하거나 제공하면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저장 수단(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술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는 상술한 간결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한다.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변동들이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상술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배열, 동작 및 상세들에서 가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해 상술되었지만, 본 개시의 다른 및 추가적인 양상들은 그 기본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고안될 수 있고, 그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Claims (52)

  1.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전송 기회 동안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상기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상기 무선 장치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acknowledgement)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제 2 전송 기회들의 시작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블록 확인응답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동시에 다수의 확인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스트리밍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제 2 전송 기회의 시작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블록 확인응답 요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들에 동시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 기회 동안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는 다른 무선 장치들에 의해 전송된 확인응답들과 동시에 상기 확인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스트리밍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상기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상기 무선 장치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제 2 전송 기회들의 시작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블록 확인응답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동시에 다수의 확인응답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스트리밍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5. 무선 통신 장치로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제 2 전송 기회의 시작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블록 확인응답 요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들에 동시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는 다른 무선 장치들에 의해 전송된 확인응답들과 동시에 상기 확인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스트리밍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3.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상기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상기 무선 장치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제 2 전송 기회들의 시작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블록 확인응답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동시에 다수의 확인응답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스트리밍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1. 무선 통신 장치로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제 2 전송 기회의 시작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각각의 무선 장치에 대한 블록 확인응답 요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들에 동시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다른 무선 장치들에 의해 전송된 확인응답들과 동시에 상기 확인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스트리밍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9.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용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고;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상기 무선 장치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확인응답들을 수신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
  50.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용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고; 및
    제 2 전송 기회 동안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을 전송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
  51.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송을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 기회들 동안, 상기 무선 장치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52. 무선 스테이션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다수의 무선 장치들에 송신되는 제 1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제 2 전송 기회 동안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하는, 무선 스테이션.
KR1020117022671A 2009-02-27 2010-02-26 Sdma를 통한 비디오 전송 KR101259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40209P 2009-02-27 2009-02-27
US61/156,402 2009-02-27
US12/711,725 2010-02-24
US12/711,725 US10236950B2 (en) 2009-02-27 2010-02-24 Video transmission over SDMA
PCT/US2010/025664 WO2010099491A2 (en) 2009-02-27 2010-02-26 Video transmission over sdm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210A true KR20110122210A (ko) 2011-11-09
KR101259440B1 KR101259440B1 (ko) 2013-04-30

Family

ID=4266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671A KR101259440B1 (ko) 2009-02-27 2010-02-26 Sdma를 통한 비디오 전송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36950B2 (ko)
EP (1) EP2401829B1 (ko)
JP (2) JP5931446B2 (ko)
KR (1) KR101259440B1 (ko)
CN (2) CN102326352A (ko)
BR (1) BRPI1007838B1 (ko)
ES (1) ES2741843T3 (ko)
HU (1) HUE044149T2 (ko)
TW (1) TW201119281A (ko)
WO (1) WO20100994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674B2 (en) 2014-10-28 2021-11-16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768A2 (en) * 2009-05-22 2010-1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8594007B2 (en) * 2010-04-23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Sequential ACK for multi-user transmissions
US8989213B2 (en) 2010-09-15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header with access point identifier
US8619786B2 (en) * 2010-10-20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distributed channel access for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1762699B1 (ko) * 2011-01-25 2017-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US20130170430A1 (en) * 2011-12-28 2013-07-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ement including a group identifier
US8917608B2 (en) 2012-01-3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WiFi display using intelligent aggregation
CN104350799B (zh) 2012-04-15 2019-02-22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lan系统中发送和接收反馈触发帧的方法和装置
JP6794517B2 (ja) * 2012-06-29 2020-12-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ワイヤレス誘導電力伝送
US20150055526A1 (en) * 2013-08-26 2015-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s
US10230497B2 (en) 2013-11-01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s for multiple user frame exchanges
US9961510B2 (en) * 2013-11-01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s for multiple user frame exchanges
EP3852401B1 (en) * 2014-03-26 2024-03-20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P3188431B1 (en) 2014-08-27 2022-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31520B2 (en) * 2015-03-23 2016-12-27 Newraco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ink and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s
US10158474B2 (en) * 2015-05-06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Block acknowledgement mechanism for acknowledging DL-MU data on UL-MU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676307A (zh) * 2015-07-07 2021-11-19 索尼公司 通信设备和通信方法
EP3360272A1 (en) 2015-10-09 2018-08-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cedures for high efficiency acknowledgement transmission
CN107105484B (zh) * 2016-02-23 2019-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休眠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0519007B (zh) * 2019-07-31 2021-09-03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通用调制解调芯片的无线视频传输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5533A (ja) 1991-05-31 1992-12-09 Nec Corp 無線データ伝送方式
JPH05136719A (ja) 1991-11-15 1993-06-01 Nec Corp 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7061920B2 (en) * 2001-04-17 2006-06-13 Tektronix, Inc. Streaming media quality analyzer system
US7961616B2 (en) 2001-06-07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38823B1 (ko) * 2001-08-14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TWI236250B (en) 2001-09-12 2005-07-11 Nagravision Sa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a local server and local peripherals
US20050129101A1 (en) * 2003-12-15 2005-06-16 Stephens Adrian P. SDMA communications with non-immediate block acknowledgment
US7804762B2 (en) 2003-12-30 2010-09-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ownlink SDMA in a wireless network
US9094699B2 (en) 2004-02-05 2015-07-2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key transmission with strong pairing to destination client
US20050229228A1 (en) 2004-04-07 2005-10-13 Sandeep Relan Unicast cable content delivery
KR100678933B1 (ko) * 2004-05-25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법과, 백본네트워크와 연결된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들간의통신 방법
US20050285719A1 (en) * 2004-06-24 2005-12-2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reverse data flow in a high throughput wireless network
KR100678941B1 (ko) * 2004-09-0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할당된 시간 동안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EP2533484B1 (en) 2005-01-12 2014-03-19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US7751353B2 (en) 2005-12-29 2010-07-06 Celeno Communications (Israel)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070153754A1 (en) * 2005-12-29 2007-07-05 Nir Shapir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07074452A2 (en) 2005-12-29 2007-07-05 Celeno Communications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4444237B2 (ja) 2006-05-31 2010-03-3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JP2008131599A (ja) 2006-11-24 2008-06-05 Canon Inc キャスト伝送装置及びキャスト伝送方法
JP5098329B2 (ja) 2006-12-26 2012-12-1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
US8614985B2 (en) * 2007-06-15 2013-12-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group resource in a wireless SDMA system
EP2187668A4 (en) 2007-08-07 2014-01-22 Sharp Kk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4879117B2 (ja) 2007-08-14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428041B1 (ko) * 2007-10-03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재송신 요구 피드백 정보 엘리먼트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92625B1 (ko) * 2008-03-20 2012-10-18 노키아 코포레이션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반영구적으로 할당된 패킷 전송 자원들에 대한 새 데이터 표시자 플래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674B2 (en) 2014-10-28 2021-11-16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671957B2 (en) 2014-10-28 2023-06-06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9491A3 (en) 2011-04-14
HUE044149T2 (hu) 2019-09-30
EP2401829A2 (en) 2012-01-04
US20100220654A1 (en) 2010-09-02
TW201119281A (en) 2011-06-01
CN105846964A (zh) 2016-08-10
EP2401829B1 (en) 2019-06-19
JP5784774B2 (ja) 2015-09-24
WO2010099491A2 (en) 2010-09-02
BRPI1007838B1 (pt) 2021-03-02
JP2014147083A (ja) 2014-08-14
KR101259440B1 (ko) 2013-04-30
ES2741843T3 (es) 2020-02-12
JP5931446B2 (ja) 2016-06-08
JP2012519423A (ja) 2012-08-23
BRPI1007838A2 (pt) 2018-02-27
CN102326352A (zh) 2012-01-18
CN105846964B (zh) 2019-10-22
US10236950B2 (en)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440B1 (ko) Sdma를 통한 비디오 전송
US10819471B2 (en) Protocols for multiple user frame exchanges
KR101357706B1 (ko) 전송 기회들에서의 정보 피기배킹
RU2680193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461579B2 (ja) マルチユーザmimo送信のための複数の宛先からの確認応答メッセージの管理
KR102009027B1 (ko) 다수의 사용자 업링크에 대한 방법들 및 장치
US9961510B2 (en) Protocols for multiple user frame exchanges
EP303993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user uplink
US84673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wireless transmissions
US8477801B2 (en) Backoff procedure for post downlink SDMA operation
KR101229484B1 (ko) 다중-채널 sdma
US9172455B2 (en) Start frame for distributed MIMO
KR20130143115A (ko) 스테이션-중심 멀티-유저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US2016014212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