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020A -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020A
KR20110122020A KR1020100041583A KR20100041583A KR20110122020A KR 20110122020 A KR20110122020 A KR 20110122020A KR 1020100041583 A KR1020100041583 A KR 1020100041583A KR 20100041583 A KR20100041583 A KR 20100041583A KR 20110122020 A KR20110122020 A KR 20110122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thermoelectric
thermoelectric element
spectroscope
high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569B1 (ko
Inventor
김성빈
Original Assignee
(주)애니캐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캐스팅 filed Critical (주)애니캐스팅
Priority to KR102010004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56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과 태양열을 모두 이용하여 전력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전소자와 열전소자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집광수단; 상기 집광수단에서 받은 태양광을 분리하는 분광기;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특정 파장의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광전소자;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특정 파장 외의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및 상기 광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가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분광기가 태양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여 광전소자와 열전소자에서는 광기전력과 열기전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CO-GENERATING SYSTEM USING HIGH EFFICIENCY CONCENTRATING PHOTOVOLTAICS SYSTEM}
본 발명은 냉각 성능이 향상된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분광기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고 광전소자와 열전소자에서 각각 발전 가능한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함으로써 전체적인 발전 효율과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고갈, 화석연료의 이용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그로 인한 기후변화 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이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 중 가장 유망한 것이 바로 태양에너지이다. 태양에너지는 태양과 지구가 존재하는 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대기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가장 이상적인 대체에너지이다.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로 바꾸는 전지이다. 태양전지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열 전지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전지가 있으며, 태양전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전지(이하 태양전지라 한다)를 일컫는다.
태양전지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정공에 의해 전도가 발생되는 p-형 반도체와 전자에 의해 전도가 발생되는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상태에서 태양광을 쬐면 전자와 정공 전하가 생성되어 전류가 흐르고, 이에 광기전력(photovoltaic effect)이 발생하여 전력을 획득한다.
그런데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은 에너지 생산단가가 화력, 수력, 원자력 발전에 비해 훨씬 고가이며, 광전변환율이 좋지 못해 면적 대비 전력생산효율이 낮은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CPV(concentrating photovoltaics)로 약칭하는 집광형 태양전지가 개발되었다. 집광형 태양전지는 렌즈나 거울 등의 집광수단을 사용하여 태양광을 모아서 태양전지에 공급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킨 태양전지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집광형 태양전지 중 최고 효율 제품은 GalnP / GalnAs(1.3eV)/ GalnAS(0.9eV) cell이다. 이 태양전지는 약 1000x로 광을 집광할 경우 41.1%의 변환효율을 나타낸다.
한편 열을 전기로 변환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 peltier)를 태양전지와 동시에 동작하게 함으로써 전체 발전 효율을 높이려는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즉 태양광 중에서 태양전지의 광전소자(photoelectric element)에서 변환하지 못하는 주파수 성분 중 적외선 영역을 열전소자가 받아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킴으로써 전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집광형 태양전지의 경우 태양광의 집속에 따른 온도 상승이 크기 때문에 열전소자를 결합하여 집광형 태양전지를 냉각시켜 줌으로써 발전효율을 높여 더 큰 발전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집광형 태양전지에서는 집광 시 발생되는 열로 인해 태양전지가 과열되어 태양전지가 열화되고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 과열된 상태가 지속될 경우 태양전지가 오작동하거나 태양전지가 소각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광기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고 광전소자와 열전소자에서 각각 발전 가능한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함으로써 전체적인 발전 효율과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집광수단;
상기 집광수단에서 받은 태양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는 분광기;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특정 파장의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광전소자;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특정 파장 외의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및
상기 광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가 배치되는 기판.
본 발명은 광전소자와 열전소자를 통해 태양광과 태양열을 모두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의하면, 태양광은 분광기를 통해 파장별로 분리되어 광전소자와 열전소자로 각각 조사된다. 즉, 태양광 중 가시광선 영역은 광전소자에 조사되고, 적외선 영역은 열전소자에 조사되어 태양광발전과 태양열발전을 동시에 실시한다. 따라서 태양광 중 강한 열작용을 하는 적외선 영역이 광전소자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광전소자의 온도 상승 및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광전소자와 열전소자가 동시에 전기를 발생시키므로 전체 시스템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열전소자를 광전소자에 비해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열전소자의 상면에 광전소자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전소자와 열전소자를 적층하여 접촉시킬 경우 광전소자가 발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이 열전소자 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열전소자는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 이외에 광전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므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광전소자에서 발생한 열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열전소자가 광전소자로부터 전기를 받아 광전소자를 냉각시켜 일정 온도 이하를 유지하게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방법을 제공한다.
집광수단, 분광기, 광전소자 및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발전소자가 상부에서 차례로 위치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집광수단에서 모은 태양광을 상기 분광기에서 파장별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태양광을 광전소자와 열전소자에 각각 공급하여 태양광 발전과 태양열 발전을 동시에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중 강한 열작용을 하는 적외선 영역이 열전소자에 조사되고 광전소자에는 가시광선 영역만 조사되므로 과열로 인한 광전소자의 열화, 손상 및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전소자와 열전소자가 동시에 전기를 발생시키므로 전체 시스템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은, 기판(110)과, 기판(110)의 상면에 배열된 광전소자(120)와, 기판(110)의 상면에 배열되고 광전소자(120)의 양측에 위치되는 열전소자(130)와, 광전 및 열전소자(120,130)에서 상향으로 이격된 집광수단(140)과, 광전 및 열전소자(120,130)와 집광수단(140) 사이에 배치되는 분광기(150)를 포함한다.
광전소자(12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광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자이다. III-V족 화합물 반도체 전지가 일반적이며, GaAs가 대표적이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열전소자(130)는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제베크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하는 소자이며,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집광수단(140)은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수단이다. 집광수단(140)은 볼록렌즈, 프레넬 렌즈, 볼록렌즈와 파라볼릭 반사기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광기(150)는 집광수단(140)에서 받은 태양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는 장치이다. 분광기(150)로는 작동 원리에 따라 태양광의 파장에 따른 굴절차이를 이용하는 프리즘분광기, 태양광의 회절과 간섭 효과를 이용하는 격자분광기 및 태양광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는 간섭분광기(푸리에 변환 분광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프리즘분광기, 격자분광기 및 간섭분광기 중 어느 것이든 소자에서 발전에 필요한 파장으로 태양광을 분리할 수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는 광전소자(120)를 이용한 태양광발전과 열전소자(130)를 이용한 태양열발전을 동시에 실시한다. 즉,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을 태양광에 노출시키면 집광수단(140)이 태양광을 모아 분광기(150)로 조사한다. 그리고 분광기(150)가 집광된 태양광을 파장별로 분리한 후 광전소자(120)와 열전소자(130)에 각각 조사한다.
이때, 분광기(150)를 통과한 태양광은 파장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VIS-NIR) 영역과, 적외선(IR) 영역으로 분리된다. 이 중에서 380~700nm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의 태양광은 광전소자(120)로 조사되어 광기전력을 발생시키고, 파장이 700nm를 초과하는 적외선 영역의 태양광은 열전소자(130)로 조사되어 열기전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분광기(150)에서 분리된 태양광 중 38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영역은 광전소자(120) 및 열전소자(130)에 유해하므로, UV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하거나 별도로 집광하여 저에너지 변환 과정 또는 수소 발생 보조 전해 과정을 통해 전기를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은 태양광을 분리하여 태양광발전과 태양열발전을 동시에 실시하므로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분광기(150)에서 분리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이 광전소자(120)와 열전소자(130)에 각각 조사되므로 강한 열작용을 하는 적외선 영역에 의한 광전소자(120)의 온도 상승 및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200)은, 기판(210)과, 기판(210)의 상면에 배열된 광전소자(220) 및 열전소자(230)와, 광전 및 열전소자(220,230)에서 상향으로 이격된 집광수단(240)과, 광전 및 열전소자(220,230)와 집광수단(240) 사이에 배치되는 분광기(250)를 포함한다. 이때, 기판(210), 집광수단(240) 및 분광기(250)는 상술한 실시예의 해당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0)의 상면에 열전소자(230)가 배치되고, 열전소자(230)의 상면에 광전소자(220)가 배치되며, 기판(210)의 하면에 방열판(260)이 마련된다. 이때, 열전소자(230)는 집광수단(240)에서 분리된 적외선 영역의 태양광을 받을 수 있도록 광전소자(220)에 비해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방열판(260)은 열전소자(23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방열판(260)의 하면에 방열돌기(262)와 방열홈(264)을 형성하여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경우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200)을 태양광에 노출시키면 집광수단(240)이 태양광을 모아 분광기(250)로 조사하고, 분광기(250)가 집광된 태양광을 파장별로 분리하여 광전소자(220)와 열전소자(230)에 각각 조사한다. 그리고 분광기(250)에서 분리된 380~700nm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VIS-NIR)의 태양광은 광전소자(220)로 조사되어 광기전력을 발생시키며, 파장이 700nm를 초과하는 적외선 영역(IR)의 태양광은 열전소자(230)로 조사되어 열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200)은 일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즉, 태양광발전과 태양열발전을 동시에 실시하므로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적외선 영역이 열전소자(230)에만 조사되므로 적외선 영역의 태양열에 의한 광전소자(220)의 온도 상승 및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게다가, 광전소자(220)와 열전소자(230)가 적층된 구조이므로 광전소자(220)가 발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이 열전소자(2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열전소자(230)가 태양열 외에 광전소자(220)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광전소자(220)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소자(230)와 방열판(260)이 강제 냉각시킴으로써 광전소자(220)를 자연스럽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300)은 광전소자(320)와 열전소자(3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가 상술한 각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판(310)의 상면에 열전소자(330)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열전소자(330)의 상면에 광전소자(320)가 배치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광전소단(320)의 하면 양측 일부가 열전소자(33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적층되고, 기판(310), 광전소자(320) 및 열전소자(33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는 방열공(360)이 형성된다. 또 열전소자(330)의 방열공(360) 측 일면에는 방열판(370)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300)이 태양광에 노출되면 집광수단(340)이 태양광을 모아 분광기(350)로 조사하고, 분광기(350)가 집광된 태양광을 파장별로 분리하여 광전소자(320)와 열전소자(330)로 각각 조사한다.
분광기(350)에서 분리된 380~700nm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VIS-NIR)의 태양광은 광전소자(320)로 조사되어 광기전력을 발생시키고, 파장이 700nm를 초과하는 적외선 영역(IR)의 태양광은 열전소자(330)로 조사되어 열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태양광을 분리하여 태양광발전과 태양열발전을 동시에 실시한다. 따라서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300)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적외선 영역의 태양열에 의한 광전소자(320)의 온도 상승 및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광전소자(320)가 발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이 열전소자(330)로 전달되므로 열전소자(330)가 태양열 외에 광전소자(320)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발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광전소자(320)를 자연스럽게 냉각시킬 수 있다.
더욱이, 광전소자(320)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소자(330)가 흡수할 뿐만 아니라 기판(310), 광전소자(320) 및 열전소자(330)에 의해 둘러싸인 방열공(360) 및 방열판(370)을 통해 열을 방출하므로 광전소자(320) 및 열전소자(330)를 자연스럽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냉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열전소자에 인위적으로 외부로부터 전류를 흘려 펠티어 효과에 의한 냉각 성능 향상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110: 기판
120: 광전소자 130: 열전소자
140: 집광수단 150: 분광기

Claims (17)

  1. 집광수단;
    상기 집광수단에서 받은 태양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는 분광기;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특정 파장의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광전소자;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특정 파장 외의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및
    상기 광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가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광기는, 프리즘분광기, 격자분광기 및 간섭분광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되어 상기 광전소자로 조사되는 태양광의 파장이 380~7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되어 상기 열전소자로 조사되는 태양광의 파장이 700nm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의 양측에 상기 열전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열전소자가 배치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에 상기 광전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광전소자에 비해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가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전소자의 하면 양측이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기판, 광전소자 및 열전소자에 의해 방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방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하면에 방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가 III-V족 화합물 반도체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III-V족 화합물이 GaAs 또는 In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12. 집광수단, 분광기, 광전소자 및 열전소자가 상부에서 차례로 위치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집광수단에서 모은 태양광을 상기 분광기에서 파장별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광기에서 분리된 태양광을 광전소자와 열전소자에 각각 공급하여 태양광 발전과 태양열 발전을 동시에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를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시켜 상기 광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열전소자가 전기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가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전소자의 하면 양측이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기판, 광전소자 및 열전소자에 의해 형성된 방열공을 통해 상기 광전소자 및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에 전류를 흘려 펠티어 효과에 의한 냉각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가 III-V족 화합물 반도체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III-V족 화합물이 GaAs 또는 In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방법.
KR1020100041583A 2010-05-03 2010-05-03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KR101168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583A KR101168569B1 (ko) 2010-05-03 2010-05-03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583A KR101168569B1 (ko) 2010-05-03 2010-05-03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020A true KR20110122020A (ko) 2011-11-09
KR101168569B1 KR101168569B1 (ko) 2012-07-26

Family

ID=4539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583A KR101168569B1 (ko) 2010-05-03 2010-05-03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5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5181A (zh) * 2015-09-23 2016-01-13 同济大学 一种嵌入温差发电模块的太阳能聚光分频利用系统
KR20170002733A (ko) * 2015-06-29 2017-01-09 한국광기술원 파장 분리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태양열 복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5289A (ko) * 2015-07-02 2017-01-12 한국전력공사 집광형 태양광 발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
CN110266248A (zh) * 2019-06-19 2019-09-20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热光伏发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805B1 (ko) * 2018-02-21 2019-04-10 김춘동 태양광과 태양열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9792B2 (ja) 1997-07-11 2007-09-05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太陽光熱発電システム
JP2008130801A (ja) 2006-11-21 2008-06-05 Masataka Murahara 太陽光・熱発電装置
US20090250098A1 (en) * 2008-04-07 2009-10-08 Eric Ting-Shan Pan Method for Solar-To-Electricity Conversion
JP5605531B2 (ja) * 2008-09-22 2014-10-15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教材用太陽光熱複合発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33A (ko) * 2015-06-29 2017-01-09 한국광기술원 파장 분리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태양열 복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5289A (ko) * 2015-07-02 2017-01-12 한국전력공사 집광형 태양광 발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
CN105245181A (zh) * 2015-09-23 2016-01-13 同济大学 一种嵌入温差发电模块的太阳能聚光分频利用系统
CN110266248A (zh) * 2019-06-19 2019-09-20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热光伏发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569B1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396B2 (ja) 光起電力システムおよび光起電力効果により電気を発生する方法
Liu et al. Thermodynamic and optical analysis for a CPV/T hybrid system with beam splitter and fully tracked linear Fresnel reflector concentrator utilizing sloped panels
Xu et al. A transmissive, spectrum-splitting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for hybrid photovoltaic-solar thermal energy conversion
KR101168569B1 (ko)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WO2005026626A2 (en) Solar based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with spectral cooling
US20100229908A1 (en) Solar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JP2009545183A (ja) シリコンスカベンジャーセルを備えた高効率太陽電池
Narayan et al. World record demonstration of> 30% thermophotovoltaic conversion efficiency
US9691920B2 (en) Metamaterial enhanced thermophotovoltaic converter
Liang et al. Optimum matching of photovoltaic–thermophotovoltaic cells efficiently utilizing full-spectrum solar energy
Raush et al. Initial field testing of concentrating solar photovoltaic (CSPV) thermal hybrid solar energy generator utilizing large aperture parabolic trough and spectrum selective mirrors
KR20100009323A (ko) 벌브 타입 집광형 태양전지 모듈
JP2009545184A (ja) 周囲のシリコンスカベンジャーセルを備えた高効率太陽電池
JP5778816B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134077B1 (ko) 열전소자를 적용한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Briar et al. A high efficiency solar cell and system
Tobias et al. Ideal efficiency and potential of solar thermophotonic converters under optically and thermally concentrated power flux
Ji et al. Transmissive spectrum splitting multi-junction solar module for hybrid CPV/CSP system
JP6395872B2 (ja) インコヒーレント放射の非線形多光子吸収を用いて電力を発生させる光起電デバイス
KR100893508B1 (ko) 열전소자와 솔라셀을 이용한 복합 발전장치
Montgomery et al. Design and modeling of a high efficiency hybrid photovoltaic-photothermal concentrator (PVPTC) system
KR10101560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적층형 열전발전장치
KR100991986B1 (ko) 태양전지
Schultz et al. The optical design and performance of a concentrator photovoltaic module
KR101109105B1 (ko) 고집광 태양전지 수신모듈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