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324A -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324A
KR20110121324A KR1020100040876A KR20100040876A KR20110121324A KR 20110121324 A KR20110121324 A KR 20110121324A KR 1020100040876 A KR1020100040876 A KR 1020100040876A KR 20100040876 A KR20100040876 A KR 20100040876A KR 20110121324 A KR20110121324 A KR 2011012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s
zone
density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887B1 (ko
Inventor
차석경
김재도
허진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에스티
Priority to KR102010004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8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항, 철도 역사, 대규모 공연장, 대규모 체육시설 등 이용자들이 많은 대규모 시설물에서 영상 검지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 및 이동 동선 등을 각 구역마다 측정 분석하고 상기 이용자들에게 최적 보행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Information System for User in Large Scale facilities}
본 발명은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항, 철도 역사, 대규모 공연장, 대규모 체육시설 등 이용자들이 많은 대규모 시설물에서 영상 검지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 및 이동 동선 등을 각 구역마다 측정 분석하고 상기 이용자들에게 최적 보행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항, 철도 역사, 대규모 공연장, 대규모 체육시설 등 이용자들이 많은 대규모 시설물에서는 출입구가 적정 개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 시설규모가 대규모이어서 이용자들이 상기 출입구를 찾기가 만만치 않고, 이용자들이 일시에 몰리는 경우 이용자들은 자신이 이동해야 할 보행 경로를 몰라 당황하는 경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대규모 시설물에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이용자들의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이로 인하여 인명사고까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위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대규모 시설물에는 안내 표지판 및 안내 방송을 통하여 이용자들의 보행 경로에 대한 편의를 도모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이 특정 구역에 많이 운집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보행 경로 혼란은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항, 철도 역사, 대규모 공연장, 대규모 체육시설 등 이용자들이 많은 대규모 시설물에서 영상 검지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 및 이동 동선 등을 각 구역마다 측정 분석하고 상기 이용자들에게 최적 보행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모두에게 이동시간의 단축, 보행 경로의 저항의 최소화할 수 있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은 대규모 시설물의 각 구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구역내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CCTV군과, 상기 CCTV군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들을 전송받아 상기 영상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역내에 있는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산출하는 영상정보 분석서버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에서 산출된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로 가공하는 영상정보 가공서버와, 상기 안내정보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장치들에게 송출하는 송출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가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측위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위치측위정보들을 분석하는 위치정보 처리서버로부터 분석된 위치측위정보들을 전송받아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보정하는데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들이 Wi-Fi(Wireless fidelity) 기능이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들이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들로부터의 위치측위정보는 각 구역내에 설치된 무선 AP(Access Point)들에 의하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가 전송된 영상정보에서 해당 구역내의 오브젝트(객체)를 찾아 윤곽선을 검출하여 사람인지를 확인하고, 사람으로 확인된 오브젝트(객체)들을 계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해당 구역내의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가 일정 시간마다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여 이를 저장한 뒤 시간대별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규모 시설물의 각 구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구역내의 있는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들의 위치측위정보를 전송받는 무선 AP군과, 상기 무선 AP군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위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역내에 있는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산출하는 영상정보 분석서버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에서 산출된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로 가공하는 영상정보 가공서버와, 상기 안내정보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장치들에게 송출하는 송출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 가공서버가 각 구역내의 밀집도를 파악하여 상기 이용자들이 상기 밀집도가 낮은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문자정보 또는 지도상에서 최적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수신장치들에 각각 적합하도록 포맷한 안내정보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신장치들이 각 구역내에 설치된 정보 안내표시판 또는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에게 송출되는 안내정보가 해당 무선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안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게 전송되는 안내정보는 최적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SMS이거나 지도상에서 최적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은 대규모 시설물에서 영상 검지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 및 이동류 등을 각 구역마다 측정 분석하고 상기 이용자들에게 최적 보행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용자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모두에게 이동시간의 단축, 보행 경로의 저항의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검지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 및 이동류 등을 각 구역마다 측정 분석하고 상기 이용자들에게 최적 보행 경로 등의 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전송하게 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기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AP에 의한 이용자들의 위치정보 수집 시스템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CCTV 및 AP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자들의 분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AP에 의한 이용자들의 위치측위정보 수집 시스템 계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항, 철도 역사, 대규모 공연장, 대규모 체육시설 등 이용자들이 많은 대규모 시설물의 옥내 또는 옥외에 각 구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구역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다수개의 CCTV(11)로 구성된 CCTV군(10)과, 상기 CCTV군(1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들을 영상관제센터(30) 및 영상정보 분석서버(40) 등으로 분배하는 영상분배기(20)와, 상기 영상분배기(20)으로부터 분배된 영상정보들을 전송받아 상기 영상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역 내에 있는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산출하는 영상정보 분석서버(40)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40)에서 산출된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로 가공하는 영상정보 가공서버(50)와, 상기 안내정보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장치들[정보안내표시판(120) 또는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100)]에게 송출하는 송출서버(7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관제센터(30), 영상정보 분석서버(40) 및 영상정보 가공서버(50) 등으로부터 수집 또는 처리된 영상정보들을 저장하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DB, 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CCTV군(10)은 상기 대규모 시설물의 옥내 또는 옥외에서 이용자들이 이동하는 구역들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각 구역내의 이용자들의 상황을 검지할 수 있도록 각 구역내에 CCTV(11)를 설치한다. 상기 CCTV(11)은 고정형을 사용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역들을 구분하고 상기 각 구역의 중앙 천정에 배치할 수 있으나, 각 구역의 여건에 따라 모서리 상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CCTV(11)는 촬영 가능한 최저조도는 0.5Lux 이하로 하여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40)는 상기 영상분배기(20)으로부터 분배된 각 구역내의 영상정보들을 각 구역별로 분석하여 각 구역내의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산출한다.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40)은 상기 영상분배기(20)으로부터 분배된 각 구역내의 영상정보들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역내에 설치된 무선 AP(Access Point, 110)가 각 구역내에 있는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100)들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위정보들을 위치정보 수집서버(80)에 의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위치측위정보들을 위치정보 처리서버(90)에서 그 분포 및 밀집도를 분석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보정(feedback)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정보 처리서버(90)에서 분석한 정보는 상기 영상정보 DB(60)에 저장한다.
이 때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100)는 Wi-Fi(Wireless fidelity) 기능이 있는 무선통신단말기이다. 또한 상기 무선 AP(Access Point, 110)는 그 커버리지가 대규모 시설물의 모든 구역에서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의 위치 측위가 가능하도록 각 구역내 적절히 배치한다.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40)에서 상기 이용자의 밀집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는 각 구역별 영상정보에서 오브젝트(객체)를 찾아 윤곽선을 검출하여 사람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오브젝트(객체)가 사람으로 확인되면 그 오브젝트(객체)들을 계수한 뒤, 그 계수를 해당 구역의 면적으로 나눈 수치에 근거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해당 구역의 면적이 100㎡(10m×10m)이고, 그 해당 구역 내에 사람이 10인이 있으면, 그 밀집도는 0.1(인/㎡)로 산출한다. 여기에서 상기 밀집도는 예를 들면 상기 밀집도가 3(인/㎡) 이상이면 매우 혼잡, 1-3(인/㎡)이면 혼잡, 0.1-0.9(인/㎡)이면 보통, 0.1(인/㎡)이하이면 한가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의 산출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해당 구역의 인근 구역(전, 후 좌, 후)의 밀집도를 참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40)는 각 구역별 영상정보로부터 해당 구역내의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40)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여 이를 영상정보 DB(60)에 저장한 뒤, 시간대별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이동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Wi-Fi(Wireless fidelity) 기능이 있는 무선통신단말기(100)가 보급이 많이 되면, 상기 대규모 시설물 내에서 상기 CCTV군(10)에 의존하지 않고 각 구역내에 설치된 무선 AP(110)로 구성된 무선 AP군에서 각 구역내의 있는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들의 위치측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위치측위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역내에 있는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정보 가공서버(50)는 영상정보 분석서버(40)에서 산출된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 및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최적의 이동 경로 등의 안내정보로 가공한다.
상기 영상정보 가공서버(50)는 각 구역내에서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 및 분포를 파악하여 상기 밀집도가 낮은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문자정보 또는 지도상에서 최적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수신장치들이 수신할 수 있는 정보를 각각 포맷한 안내정보로 가공한다.
상기 송출서버(70)는 상기 영상정보 가공서버(50)로부터 가공된 아내정보들을 구역내에 있는 수신장치들에게 송출한다. 상기 수신장치들은 구역내에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정보안내 표지판(120)이거나,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100)이다.
상기 무선통신단말기(100)가 Wi-Fi(Wireless fidelity) 기능이 있는 무선통신단말기이고, 각 구역내에 설치된 무선 AP(110)로 위치측위정보를 전송한 무선통신단말기일 경우, 상기 송출서버(70)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100)에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100)의 위치측위정보에 따라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안내정보를 송출한다. 이 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100)에게 전송되는 안내정보는 최적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SMS이거나 지도상에서 최적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무선통신단말기(100)를 소지한 이용자가 대규모 시설물의 안내 서비스 구역 범위에 들어와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요청해오면, 상기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송한 위치측위정보에 의거하여 대규모 시설물의 전체지도, 시설물의 정보 등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안내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목적지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무선통신단말기(100)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예약 설정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재나 시설물 고장 같은 비상상황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이용자들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규모 시설물의 이용자들에게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일예로서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규모 시설물 내에 게이트(GATE) A, B, C가 있고 이용자들이 게이트(GATE) A>B>C 부근 순으로 밀집되고 있는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역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11) 및 AP(11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로부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가 높은 게이트(GATE) A의 이용자들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100)로 게이트 C로 이동할 것을 유도하는 안내정보를 송출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방법으로 특정 구역에 설치된 정보안내 표시판에 “게이트 A가 혼잡하니 게이트 C를 이용해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게 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최적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CCTV군 11: CCTV
20: 영상분배기 30: 영상관제센터
40: 영상정보 분석서버 50: 영상정보 가공서버
60: 영상정보 DB 70: 송출서버
80: 위치정보 수집서버 90: 위치정보 분석서버
100: 무선통신단말기 110: 무선 AP
120: 정보안내 표시판

Claims (10)

  1. 대규모 시설물의 각 구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구역내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CCTV군과,
    상기 CCTV군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들을 전송받아 상기 영상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역내에 있는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산출하는 영상정보 분석서버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에서 산출된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로 가공하는 영상정보 가공서버와,
    상기 안내정보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장치들에게 송출하는 송출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는,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들을 분석하는 위치정보 처리서버로부터 분석된 위치정보들을 전송받아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보정하는데 활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들은 Wi-Fi(Wireless fidelity) 기능이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들이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들로부터의 위치정보는 각 구역내에 설치된 무선 AP(Access Point)들에 의하여 수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는,
    전송된 영상정보에서 해당 구역내의 오브젝트(객체)를 찾아 윤곽선을 검출하여 사람인지를 확인하고, 사람으로 확인된 오브젝트(객체)들을 계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해당 구역내의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산출하여 이를 저장한 뒤 시간대별 상기 이용자들의 분포 및 밀집도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6. 대규모 시설물의 각 구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구역내의 있는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들의 위치측위정보를 전송받는 무선 AP군과,
    상기 무선 AP군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위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역내에 있는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산출하는 영상정보 분석서버와,
    상기 영상정보 분석서버에서 산출된 상기 이용자들의 밀집도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로 가공하는 영상정보 가공서버와,
    상기 안내정보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장치들에게 송출하는 송출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영상정보 가공서버는 각 구역내의 밀집도를 파악하여 상기 이용자들이 상기 밀집도가 낮은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문자정보 또는 지도상에서 최적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수신장치들에 각각 적합하도록 포맷한 안내정보로 가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들은 각 구역내에 설치된 정보 안내표시판 또는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들의 무선통신단말기에게 송출되는 안내정보는 해당 무선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안내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게 전송되는 안내정보는 최적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SMS이거나 지도상에서 최적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KR1020100040876A 2010-04-30 2010-04-30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KR10122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76A KR101222887B1 (ko) 2010-04-30 2010-04-30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76A KR101222887B1 (ko) 2010-04-30 2010-04-30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324A true KR20110121324A (ko) 2011-11-07
KR101222887B1 KR101222887B1 (ko) 2013-01-17

Family

ID=4539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876A KR101222887B1 (ko) 2010-04-30 2010-04-30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8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6342B2 (en) 2014-07-18 2016-08-02 Hanwha Techwin Co., Lt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maging information
US9542405B2 (en) 2014-03-21 2017-01-10 Hanwha Techwin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20180101306A (ko) 2018-09-03 2018-09-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보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373B1 (ko) 2018-07-19 2019-10-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내 상시 공간 관리 기반 운영 시스템
KR102004136B1 (ko) * 2018-09-03 2019-10-17 안산도시공사 수영장 입장관리 및 안심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862A (ko) * 1999-05-15 1999-08-05 주현승 차량자동항법장치의 교통흐름 정보 시스템
KR100624722B1 (ko) * 2005-03-0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량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그의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405B2 (en) 2014-03-21 2017-01-10 Hanwha Techwin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406342B2 (en) 2014-07-18 2016-08-02 Hanwha Techwin Co., Lt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maging information
KR20180101306A (ko) 2018-09-03 2018-09-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보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887B1 (ko)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87B1 (ko)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US20130210455A1 (en) Aggregating demographic distribution information
US7212830B2 (en) Position detection method,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position detection server equipment
Kouyoumdjieva et al. Survey of non-image-based approaches for counting people
KR102226504B1 (ko)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CN111401625B (zh) 火灾逃生路径规划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WO201112633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6028391B (zh) 人流量统计方法及装置
CN206133827U (zh) 一种室内应急逃生导航装置
CN109831742B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CN108200566B (zh) 一种人流拥塞预警方法及装置
Weppner et al. Participatory bluetooth scans serving as urban crowd probes
CN104966134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景区内游客流量预测及超限应急系统
CN108718254B (zh) 地铁室内分布系统故障定位方法及系统
KR102214670B1 (ko) 3d기반 역사관제 및 운영시스템
WO2019160221A1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KR101833377B1 (ko) 비콘을 이용한 전시장 동선관리시스템
Bauer et al. Measurement of pedestrian movements: A comparative study on various existing systems
CN111464948A (zh) 客流侦测方法及系统
CN113112070A (zh) 一种基于智慧灯杆的景区客流调度方法
CN115862204B (zh) 群体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456068B (zh) 点名统计系统
JP6587974B2 (ja) 人流制御システムおよび人流制御方法
KR20070052435A (ko)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744569B (zh) 网点分流方法、服务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