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787A -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787A
KR20110120787A KR1020100040366A KR20100040366A KR20110120787A KR 20110120787 A KR20110120787 A KR 20110120787A KR 1020100040366 A KR1020100040366 A KR 1020100040366A KR 20100040366 A KR20100040366 A KR 20100040366A KR 20110120787 A KR20110120787 A KR 2011012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ath
node
received
routing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467B1 (ko
Inventor
오민석
문영덕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로 설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소스 노드에서 이웃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플러딩하는 단계, 경로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목적지 노드로부터 송신되며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응답 패킷을 소스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전송 속도 메트릭에 따른 최적 경로로 목적지 노드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PATH}
본 발명은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로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ANET: Mobile Ad-hoc Network)가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routing) 경로 설정 프로토콜 중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ing)는 요구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소스 노드(source node)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만 목적지 노드(destination node)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때 노드의 빈번한 이동이 있을 경우 라우팅 경로가 중간에 자주 단절된다. 이때에는 경로의 단절을 발견한 경로 상의 중간 노드가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단절된 경로를 복구한다.
소스 노드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 노드로의 유효한 경로가 없는 경우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RREQ(route request) 패킷을 이웃 노드로 플러딩(flooding)한다.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소스 노드는 라우팅 메트릭으로 홉(hop)을 사용할 경우 홉수에 따라 경로가 설정된다. 따라서 홉수에 따라 경로가 설정될 경우에는 노드들을 연결하는 링크의 성능을 경로 설정에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사용하던 경로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많은 수의 제어 패킷을 사용하여 경로의 단절을 알리고 경로를 재탐색하므로 새로운 경로를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
본 발명은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사용하여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경로 설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소스 노드에서 이웃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플러딩하는 단계, 경로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목적지 노드로부터 송신되며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응답 패킷을 소스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전송 속도 메트릭에 따른 최적 경로로 목적지 노드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경로 설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목적지 노드에서 이웃 노드로부터 링크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의 중복 수신을 판단하는 단계 및 목적지 노드에서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소스 노드로 경로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라우팅 엔트리 갱신 방법네트워크의 임의의 노드에서 경로 요청 패킷 및 경로 응답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제어 패킷에 저장된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와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를 비교하는 단계, 제어 패킷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제어 패킷의 경로와 상시 노드에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경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로 설정 장치를 제공한다.
경로 설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이웃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플러딩하는 송신부, 경로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목적지 노드로부터 송신되며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응답 패킷을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링크 전송 속도에 따른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경로 설정 장치를 제공한다.
경로 설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이웃 노드로부터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경로 요청 패킷의 중복 수신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경로 설정을 위해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경로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로설정을 수행할 경우, 링크의 전송속도 메트릭에 따라 성능이 좋은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시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최소한의 제어 패킷을 전송하여 경로를 구성하는 노드들 사이의 모든 경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거쳐온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경로 생성으로 인한 경로 루프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RREQ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노드의 RREQ 패킷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노드의 RREQ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RREP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RREP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소스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로의 경로 탐색시 각 노드에서 전송하는 RREQ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RREQ 패킷을 수신한 목적지 노드에서 송신되어 소스 노드까지 전달되는 RREP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경로 생성 과정에서 경로 누적에 의해 생성된 모든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경로 오류 패킷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ERR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초기 경로를 형성한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 노드 및 소스 노드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문제 발생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 노드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ELLO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라우팅 정보는 메시지를 발송하려는 소스 노드로부터 메시지의 목적지인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를 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라우팅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우팅 테이블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스 노드, 목적지 노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 노드는 경로 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경로 설정 장치이다.
라우팅 정보가 전달될 때에는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라우팅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와 기타 필요한 사항으로 동적으로 생성된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라우팅 정보가 라우팅 테이블로 저장되는 경우 라우팅 테이블의 일부 엔트리에 관한 정보만이 전달될 수도 있고, 라우팅 테이블의 모든 엔트리에 관한 정보가 함께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로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의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10)는 소스 노드(110), 목적지 노드(120) 및 제1 중간 노드(131) 내지 제12 중간 노드(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간 노드는 소스 노드(110)와 목적지 노드(120)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를 나타낸다.
소스 노드(110)는 목적지 노드(1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라우팅 엔트리를 구비한다. 라우팅 엔트리는 소스 노드(110)로부터 목적지 노드(120)까지 데이터가 경유하는 중간 노드의 정보를 포함한다. 다만, 소스 노드(110)가 목적지 노드(120)로 데이터를 최초 전송할 경우 소스 노드(110)는 목적지 노드(1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우팅 엔트리를 구비하지 못한다.
소스 노드(110)는 경로를 찾기 위해 이웃한 중간 노드로 제어 패킷 중 경로 요청 (Route Request: 이하 RREQ) 패킷을 플러딩(Flooding)한다. 제어 패킷은 RREQ 패킷, RREP 패킷, RERR 패킷 및 HELLO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소스 노드(110)가 RREQ 패킷을 플러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간 노드(131), 제2 중간 노드(132) 및 제4 중간 노드(134)로 RREQ 패킷이 전달된다. 제1 중간 노드(131), 제2 중간 노드(132) 및 제4 중간 노드(134) 각각은 수신한 RREQ 패킷을 이웃한 노드인 제3 중간 노드(133), 제5 중간 노드(135) 및 제7 중간 노드(137)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RREQ 패킷은 소스 노드(110)로부터 목적지 노드(120)까지 전달된다.
임의의 중간 노드에 수신된 RREQ 패킷은 거쳐온 노드들의 정보를 경유 노드 리스트 필드에 저장하여 이웃 노드로 송신된다. 예를 들면 제12 중간 노드(142)로부터 목적지 노드(120)로 전달되는 RREQ 패킷은 해당 패킷이 거쳐온 중간 노드들에 대한 주소 및 시퀀스 넘버(Seq. No)를 경유 노드 리스트 필드에 저장한다. 이때, 목적지 노드(120)는 수신된 RREQ 패킷의 경유 노드 리스트 필드를 통해 소스 노드(110)와 중간 노드들로 이루어진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RREQ 패킷이 경유한 임의의 중간 노드들 역시 수신하기 이전까지 해당 RREQ 패킷이 경유한 중간 노드에 대한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RREQ 패킷은 송신 노드 정보로 송신 노드(Originator)의 IP 주소 및 RREQ ID를 포함한다. 즉, RREQ 패킷은 송신 노드(Originator)의 IP 주소 및 RREQ ID로 구분된다.
복수의 중간 노드로부터 RREQ 패킷을 수신하는 중간 노드는 먼저 수신되는 RREQ 패킷을 수신한 후 플러딩 또는 응답 처리를 한다. 예를 들면, 우선 제8 중간 노드(138)는 제5 중간 노드(135)로부터 수신한 제1 RREQ 패킷을 제11 중간 노드(141)로 전달한다. 다음 제7 중간 노드(137)로부터 제2 RREQ 패킷을 수신한 제8 중간 노드(138)는 제2 RREQ 패킷의 송신 노드 정보를 제1 RREQ 패킷의 송신 노드 정보와 비교한다. 제2 RREQ 패킷이 제1 RREQ 패킷과 동일할 경우 제8 중간 노드(138)는 제2 RREQ 패킷을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 정보로만 사용하고 제2 RREQ 패킷을 이웃한 중간 노드로 플러딩하지 않는다. 다만,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한 K개의 RREQ 패킷 각각에 대해 경로 응답(Route Reply: 이하 RREP) 패킷으로 응답하는 목적지 노드(120)는 중복 수신된 RREQ 패킷에 대해서도 RREP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라우팅 엔트리는 이하에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목적지 노드(120)는 이웃한 노드인 제10 중간 노드(140) 및 제12 중간 노드(142) 각각으로부터 RREQ 패킷을 수신한다. 목적지 노드(120)는 RREQ 패킷을 수신하면 수신한 순간부터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 이내에 RREQ 패킷에 상응하는 RREP 패킷으로 응답한다. 여기서, 목적지 노드(120)가 응답 시간 이내에 수신된 K개의 RREQ 패킷 각각에 상응하는 RREP 패킷으로 응답함으로써, 소스 노드(110)는 RREP 패킷의 수를 이용하여 다중 경로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지 노드(120)는 복수의 경로를 통해 제1 RREQ 패킷 및 제2 RREQ 패킷을 순서대로 수신한다. 이때, 목적지 노드(120)는 RREP 응답 시간 이내에 제1 RREQ 패킷 및 제2 RREQ 패킷을 수신하였으므로 제1 RREQ 패킷 및 제2 RREQ 패킷 각각에 대하여 제1 RREP 패킷 및 제2 RREP 패킷을 소스 노드(110)로 송신한다.
목적지 노드(120)에서 송신된 제1 RREP 패킷 및 제2 RREP 패킷 각각은 소스 노드(110)에 도달할 때까지 제1 RREQ 패킷 및 제2 RREQ 패킷과 마찬가지로 거쳐온 노드들의 정보를 노드 리스트 필드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 RREQ 패킷 및 제2 RREQ 패킷을 수신하는 임의의 중간 노드는 소스 노드(110)로의 다중 경로 정보를 갖고 있을 경우 다중 경로에 대한 RREP 패킷을 전송한다.
예를 들면, 목적지 노드(120)로부터 제1 RREP 패킷을 수신한 제10 중간 노드(140)가 소스 노드(110)로의 경로 정보를 2가지 가지고 있을 경우 각각의 경로 정보에 대해 경로 정보에 대해 같은 내용의 RREP 패킷을 전송한다.
한편, 제1 중간 노드(131) 내지 제12 중간 노드(142)들은 RREQ 패킷 및 RREP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경우 이전 노드간 링크의 전송 속도(bit rate)의 누적 계산값(메트릭)과 해당 패킷을 보내온 이전 노드의 주소를 해당 패킷에 저장시켜 전송한다. 이에 따라 RREQ 패킷 및 RREP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노드, 예를 들면 소스 노드(110), 목적지 노드(120) 또는 제1 중간 노드(131) 내지 제12 중간 노드(142)들은 이전까지 거쳐온 링크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 및 노드 경로 정보를 알 수 있다.
라우팅 엔트리는 표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Figure pat00001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를 나타낸다. 라우팅 엔트리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와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rate metric) 필드를 포함한다.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는 제어 패킷이 전송되면서 경유한 구간의 데이터 전송률의 역수를 누적 합산한 값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률 R은 R=1/R1+1/R2+ … +1/Rn이 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제어 패킷이 경유한 구간의 개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같은 목적지 노드에 대해서 여러 개의 우선 순위를 갖는 라우팅 엔트리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노드(200)는 에드혹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노드(200)는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PDA 등의 유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200)는 출력부(미도시), 입력부(미도시) 또는 저장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40)의 제어를 받는다. 또한, 통신부(210)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로 설정을 위해 RREQ 패킷, RREP 패킷 및 RRER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패킷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제어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220) 및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230)를 포함한다.
송신부(220)는 제어부(240)의 제어를 통해 경로 설정을 위한 제어 패킷을 이웃 노드로 송신한다.
수신부(230)는 제어부(240)의 제어를 통해 제어 패킷을 이웃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240)는 중간 노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목적지 노드로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신부(230)가 수신한 RREP 패킷을 확인한다. 제어부(240)는 수신한 RREP 패킷에 포함된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 정보와 목적지 노드까지의 링크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로를 다중으로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링크 전송 속도의 누적 계산값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를 설정한다. 여기서 누적 계산값은 노드간 링크의 전송 속도의 역수값을 누적하여 합산한 값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 방법은 네트워크의 임의의 노드(이하, 수신 노드)에서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S110), 제어 패킷을 수신한 노드의 라우팅 엔트리에 제어 패킷의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20), 수신한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와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를 비교하는 단계(S130), 수신한 제어 패킷이 RREP 패킷인지 판별하는 단계(S140), 수신한 제어 패킷의 경로와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경로를 비교하는 단계(S150), 비교 결과에 따라 다중 경로를 추가하여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하는 단계(S160), 다중 경로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제한값과 비교하여 초과시 다중 경로의 개수를 재설정하는 단계(S170), 제어 패킷에 경로 저장 정보가 추가로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80) 및 라우팅 엔트리 갱신을 종료하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단계 S110에서는 수신 노드가 RREQ 패킷 및 RREP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RREQ 패킷은 목적지 노드까지의 노드 경유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소스 노드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이다. RREQ 패킷은 거쳐온 노드들을 확인할 수 있는 노드 경유 정보와 데이터 전송 속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RREP 패킷은 RREQ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목적지 노드까지의 노드 경유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120에서는 제어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의 라우팅 엔트리에 제어 패킷의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별한다. 이때, 판별 결과 수신 노드가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저장하지 않을 경우 단계 S125로 이동한다. 단계 S125에서는 소스 노드에 제어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한다.
또는, 판별 결과 수신 노드가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저장하고 있을 경우 다중 경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130으로 이동한다.
단계 S130에서는 수신 노드는 수신한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Seq. No)와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Seq. No)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Seq. No)는 송신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로부터 검출된다. 비교 결과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Seq. No)가 더 큰 경우 단계 S133으로 이동하여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를 유지한다. 이때, 시퀀스 넘버(Seq. No)가 더 크다는 것은 보다 최신 정보라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 결과 수신 노드에 수신된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Seq. No)가 더 큰 경우, 단계 S135로 이동하여 수신한 제어 패킷이 RREP 패킷인지 판단한다.
단계 S135에서 판단 결과, 수신 노드가 수신한 제어 패킷이 RREP 패킷인 경우 단계 S140으로 이동하고, RREP 패킷이 아닌 경우 단계 S145로 이동하여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를 수신된 제어 패킷을 이용하여 갱신한다.
단계 S130에서의 비교 결과 수신 노드에 수신된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Seq. No)와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Seq. No)가 동일한 경우 단계 S140에서 수신된 제어 패킷이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와 동일한 경로를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동일한 경로는 동일 목적지에 대해 같은 다음 홉(hop) 정보를 갖는 경우를 말한다.
비교 결과, 같은 경로를 사용할 경우 단계 S150에서 수신된 제어 패킷으로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을 갱신한다. 여기서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은 전송 속도의 누적 계산값으로 설정된다.
비교 결과, 다른 경로를 사용할 경우 단계 S160에서 다중 경로의 추가로 새로운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등록한다.
단계 S170에서는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다중 경로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 개수 K를 초과하는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다중 경로의 개수가 제한 개수 K를 초과하면 성능이 가장 좋은 K개만 남기고 나머지 경로는 제거한다. 비교 결과, 다중 경로의 개수가 제한 개수 K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단계 S170으로 이동한다.
단계 S170에서는 수신된 제어 패킷에 경로 저장 정보가 추가로 있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경로 저장 정보가 추가로 있을 경우 단계 S175로 이동하여 저장된 노드에 대한 경로 갱신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저장된 노드는 소스 노드와 동일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경로 저장 정보가 추가로 없을 경우 단계 S190으로 이동한다.
단계 S190에서 수신 노드는 소스 노드로의 역방향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을 종료한다. 다만, 역방향 라우팅 엔트리 갱신 과정을 RREQ 패킷 및 RREP 패킷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경유 노드 정보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처리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RREQ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RREQ 패킷은 경로 설정을 위해 노드 간의 링크의 성능이 누적 합산된 값을 반영하고, 경유하는 노드의 주소를 저장하는 패킷 포맷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RREQ 패킷은 예비(Reserved) 필드를 링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 속도 메트릭(rate metric) 필드로 구성한다. 또한, RREQ 패킷은 RREQ 패킷이 경유한 노드의 주소, 시퀀스 넘버(Seq. No) 정보 및 링크 성능 값 각각을 통과 노드 주소 필드(Passed Node IP address), 통과 노드 시퀀스 번호 필드(Passed Node Sequence Number) 및 통과 노드 성능 필드(Pass Node 1Hop Rate)로 포함한다. 여기서 통과 노드 주소 필드, 통과 노드 시퀀스 번호 필드 및 통과 노드 성능 필드는 RREQ 패킷의 헤더에 추가된다.
여기서 라우팅 경로 정보에 저장될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은 RREQ 패킷이 전송되면서 경유한 구간의 전송 속도의 역수를 합산한 값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노드의 RREQ 패킷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노드의 RREQ 패킷 전송 방법은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에 대한 경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S210), RREQ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S220) 및 RREQ 패킷에 IP헤더를 추가하여 이웃 노드로 플러딩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 송신 노드는 다른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에 대한 경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지 판별한다. 판별 결과 송신 노드가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에 대한 경로 정보가 없을 경우 단계 S220으로 이동한다. 또는 판별 결과 송신 노드가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에 대한 경로 정보가 있을 경우 단계 S230으로 이동한다.
단계 S220에서 송신 노드는 RREQ 패킷을 생성한다. RREQ 패킷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맷에 따라 생성된다. 예를 들면, RREQ 패킷은 타입, 링크 성능, 홉 수, RREQ ID, 소스 노드의 주소, 소스 노드의 시퀀스 넘버, 목적 노드의 주소 및 목적지 노드의 시퀀스 넘버를 필드에 저장하여 설정된다.
단계 S230에서 송신 노드는 RREQ 패킷에 IP 헤더를 붙여서 이웃 노드로 플러딩한다.
네트워크에서 모든 노드는 다른 임의의 노드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목적지 노드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이 없는 경우 RREQ 패킷을 생성하여 이웃 노드로 플러딩한다. 또한 임의의 노드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RREQ 패킷이 전달될 경우 RREQ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는 RREQ 패킷이 경유한 노드들의 링크별 성능을 누적 합산한 값을 포함한다. 또한, RREQ 패킷의 경유한 노드의 주소 및 시퀀스 넘버(Seq. No) 필드에는 RREQ 패킷이 경유하는 노드의 주소 및 시퀀스 넘버(Seq. No)를 포함한다. 단, 노드의 정보를 포함할 때는 이미 값을 갖고 있다면 해당 내용은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필드를 붙여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노드의 RREQ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노드의 RREQ 패킷 처리 방법은 RREQ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S310), 수신한 RREQ 패킷이 수신 노드에서 생성된 RREQ 패킷인지 판별하는 단계(S320), 수신된 RREQ 패킷의 목적지 노드가 수신 노드인지 판별하는 단계(S340), 수신된 RREQ 패킷이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되는지 판별하는 단계(S380) 및 RREQ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RREP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S390)를 포함한다.
단계 S310에서 수신 노드는 이웃 노드로부터 소스 노드가 플러딩한 RREQ 패킷을 수신한다.
단계 S32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이 수신한 RREQ 패킷이 자신이 과거에 생성했던 RREQ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 노드는 자신이 플러딩한 RREQ 패킷이 다른 노드들을 거쳐 자신에게 되돌아 올 수 있기 때문에 단계 S320을 수행한다.
단계 S325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이 자신이 플러딩한 RREQ 패킷일 경우 수신한 RREQ 패킷에 경유한 노드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경유 노드에 대한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한 후 수신한 RREQ 패킷을 폐기한다.
단계 S33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역방향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한다. 수신 노드는 기 저장된 소스 노드 및 경유한 노드 리스트에 대한 역방향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한다.
단계 S34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이 수신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지 판별한다. 수신한 RREQ 패킷이 수신 노드를 목적지로 설정한 경우 단계 S38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이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동일 출발지 및 동일 RREQ ID)되는지 판별한다.
수신한 RREQ 패킷이 수신 노드를 목적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45에서 수신 노드는 라우팅 엔트리에 수신한 RREQ 패킷의 목적지 노드까지의 유효한 경로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소스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유효한 경로가 있을 경우 단계 S350에서 수신 노드는 전송할 RREP 패킷에 자신의 정보(주소와 시퀀스 넘버)와 목적지까지의 성능(전송속도 메트릭) 값을 저장한다.
수신한 RREQ 패킷에 유효한 경로가 없을 경우 단계 S36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이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동일 출발지 및 동일 RREQ ID)되는지 판별한다. 수신한 RREQ 패킷과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에 포함된 RREQ ID 및 소스 IP를 비교해서 모두 일치하는 경우 두 RREQ 패킷이 중복된(동일한) RREQ 패킷으로 판정한다. 수신한 RREQ 패킷이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될 경우 단계 S325에서 수신 노드는 중복된 RREQ 패킷을 폐기한다. 수신한 RREQ 패킷이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되지 않을 경우 단계 S370에서 수신 노드는 RREQ 패킷에 자신의 정보(주소 및 시퀀스 넘버)를 저장한다.
단계 S375에서 수신 노드는 RREQ 패킷을 이웃 노드로 플러딩한다.
단계 S380의 판별 결과로 수신한 RREQ 패킷이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될 경우 단계 S385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된 RREQ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RREP 패킷을 송신 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 노드는 처음 수신된 RREQ 패킷에 대한 응답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한 K개의 RREQ 패킷에 대해 응답한다. 여기서, RREQ 패킷의 개수 K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은 RREQ 패킷의 버퍼링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송신 노드는 RREQ 패킷을 수신 노드에 전달한 노드이다. 수신 노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거나 K개를 초과하여 수신한 RREQ 패킷을 폐기한다.
단계 S380의 판별 결과로 수신한 RREQ 패킷이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8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된 RREQ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RREP 패킷을 소스 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 노드는 첫 RREQ 패킷을 수신하여 RREP 패킷으로 응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RREP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RREP 패킷은 경로 설정을 위해 노드 간의 링크의 성능이 누적 합산된 값을 반영하고, 경유하는 노드의 주소를 저장하는 패킷 포맷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REP 패킷은 일반적인RREP 패킷 포맷에 경유하는 노드의 주소를 포함하는 통과 노드 주소 필드(Passed Node IP address) 와 경유하는 노드의 시퀀스 넘버를 포함하는 통과 노드 성능 필드(Pass Node 1Hop Rate)를 추가하여 구성된다.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은 RREP 패킷이 전송되면서 경유한 구간의 전송 속도의 역수를 합산한 값이 될 수 있다.
RREP 패킷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다. 또한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 커서(precursor) 정보는 RREP 패킷이 전달되면서 저장된다. RREP 패킷의 전달은 목적지 노드에서 첫 RREQ 패킷이 수신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안에 수신된 K개의 RREQ 패킷에 대해 응답함으로써 이웃 노드로 전송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RREP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REP 패킷 처리 방법은 RREP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S410), 수신한 RREP 패킷을 이용하여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하는 단계(S420), 수신한 RREP 패킷의 목적지가 수신 노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430), 수신 노드가 RREP 패킷을 발신한 발신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보유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450), 발신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있을 경우 수신 노드의 라우팅 엔트리와 수신한 RREP 패킷에 저장된 다음 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480), 비교 결과 일치하는 정보가 있을 경우 발신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과 수신한 RREP 패킷에 포함된 경로 성능을 비교하는 단계(S490) 및 비교 결과 수신한 RREP 패킷의 경로 성능이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보다 좋은 경우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다음 홉으로 RREP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S470)을 포함한다.
단계 S410에서 수신 노드는 이웃 노드로부터 발신 노드가 플러딩한 RREP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발신 노드는 목적지 노드일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 노드 및 경유 노드 리스트에 대한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한다.
단계 S430에서 수신 노드는 RREP 패킷의 목적지가 수신 노드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RREP 패킷의 목적지는 RREQ 패킷의 소스 노드일 수 있다. 수신한 RREP 패킷의 목적지가 수신 노드일 경우 단계 S440에서 수신 노드는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수신한 RREP 패킷의 목적지가 수신 노드가 아닐 경우 단계 S45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 노드로의 경로 정보를 라우팅 엔트리에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수신 노드가 발신 노드로의 유효한 경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단계 S46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RREP 패킷에 자신의 정보(주소 및 시퀀스 넘버)를 저장한다. 단계 S470에서 수신 노드는 RREP 패킷의 목적지로 가기 위한 다음 홉으로 RREP 패킷을 전달하고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수신 노드가 발신 노드로의 유효한 경로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단계 S480에서 수신 노드는 발신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프리 커서와 수신한 RREP 패킷의 목적지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비교한다.
수신한 RREP 패킷의 경로 성능이 수신 노드에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경로 성능보다 좋을 경우(기존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이 없는 경우 포함) 수신 노드는 단계 S460에서 RREP 패킷에 자신의 정보를 저장하고, 단계 S470에서 RREP 패킷의 목적지로 가기 위한 다음 홉으로 RREP 패킷을 전달하고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수신 노드는 나중에 수신되는 RREP 패킷이 전송 속도 메트릭에 의한 더 낮은 비용 메트릭(cost metric)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신 노드에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이 수신한 RREP 패킷의 경로 성능이 보다 좋을 경우 단계 S495에서 수신 노드는 RREP 패킷의 전송을 중단하고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RREQ 패킷 처리 방법 및 RREP 패킷 처리 방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초기 경로를 형성할 때 시간에 따른 RREQ 패킷 및 RREP 패킷의 전송 과정과 전송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소스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로의 경로 탐색시 각 노드에서 전송하는 RREQ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RREQ 패킷을 수신한 목적지 노드에서 송신되어 소스 노드까지 전달되는 RREP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을 더 참조하여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사이의 경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소스 노드(110)는 목적지 노드(120)로의 경로를 찾기 위해 RREQ 패킷을 이웃 노드로 플러딩한다. 플러딩한 패킷은 순차적으로 임의의 중간 노드를 경유하여 전달되며 경유한 중간 노드의 주소 정보를 RREQ 패킷에 누적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면 시간 t4에서 제10 중간 노드(140)의 경우 제7 중간 노드(137)로부터 전달받은 RREQ 패킷에 수신한 패킷을 보내온 이전 노드의 정보를 누적하여 전달한다. 같은 방식으로 임의의 노드는 전달할 패킷에 이전 노드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임의의 노드들은 RREQ패킷이 거쳐온 모든 노드들에 대한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
시간 t4에 제10 중간 노드(140)에서 플러딩한 RREQ 패킷을 목적지 노드(120)가 수신한 후 RREP 패킷으로 응답한다. 또한 시간 t6에도 제12 중간 노드(142)에서 플러딩한 RREQ 패킷에 대해 목적지 노드(120)가 앞서 응답한 RREP 패킷과 마찬가지로 응답한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목적지 노드(120)는 시간 t5에 처음 수신한 RREQ 패킷에 대해 RREP 패킷으로 응답한다. 첫 응답 이후 시간 t7에서 중복으로 RREQ 패킷을 수신하므로 수신된 RREQ 패킷에 대해 RREP 패킷으로 응답한다.
시간 t9에 목적지 노드(120)에서 처음 응답했던 RREP 패킷이 제4 중간 노드(134)를 거쳐서 소스 노드(110)에 도착하고 첫 경로 생성이 완료된다.
이때 RREP 패킷도 RREQ 패킷과 마찬가지로 지나온 노드 리스트를 누적하여 전달하므로 경로 상의 중간 노드들은 모든 노드에 대한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
시간 t10에서 제8 중간 노드(138)는 제11 중간 노드(141)로부터 RREP 패킷을 수신하고 소스 노드(110)로의 경로도 알고 있지만 이미 수신했던 RREP 패킷이 있었고 새로 받은 RREP 패킷이 기존 수신했던 경로 정보보다 더 좋은 성능이 아니므로 이어서 전달하지 않는다.
시간 t11에는 제1 중간 노드(131)와 제2 중간 노드(132)로부터 소스 노드(110)로 RREP 패킷이 도달하여 추가로 경로가 생성된다.
모든 경로가 생성된 후 완료되고 중간 노드들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경로 정보 중 유효하고 가장 좋은 성능을 갖는 경로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도 11은 경로 생성 과정에서 경로 누적에 의해 생성된 모든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경로상의 노드들 각각은 경로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에 대한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RREQ 패킷 및 RREP 패킷에 지나온 노드의 정보를 누적 포함하면서 시퀀스 넘버(Seq. No)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다중 경로 생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로 루프 발생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7 중간 노드(137)에서 플러딩하는 RREQ 패킷은 제4 중간 노드(134)로부터 받은 RREQ 패킷을 플러딩한다. 여기서 제7 중간 노드(137)는 수신된 RREQ 패킷으로부터 경유한 노드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된 RREQ 패킷이 제4 중간 노드(134)를 거쳐 플러딩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제4 중간 노드(134)에서도 제7 중간 노드(137)이 플러딩한 RREQ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4 중간 노드(134)는 동일한 RREQ 패킷에 대해서도 라우팅 정보를 활용하므로 경로의 누적 정보를 알 수 없으면 제7 중간 노드(137)로부터 수신한 RREQ 패킷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전달된 것인지 알 수 없다. 이에 따라 제4 중간 노드(134)는 제7 중간 노드(137)로의 경로를 유효 경로로 판단하여 해당 경로를 저장하므로 경로 루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7 중간 노드(137)는 수신된 RREQ 패킷이 경유한 노드 리스트 정보를 통해 제4 중간 노드(134)로의 해당 경로를 유효 경로로 활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7 중간 노드(137)는 경로 루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경로 오류 패킷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오류 패킷(route error: 이하 RERR)은 일반적인 RERR 패킷 포멧에 경로의 링크 전송 속도 메트릭 중 가장 좋은 성능과 해당 경로에 해당하는 노드의 주소를 포함하는 유효 노드 속도 메트릭 필드(valid node rate metric)와 유효 노드 주소 필드(valid node address)를 추가하여 구성된다.
RERR 패킷은 데이터 전송 중에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발견한 노드에 의해 생성되며 소스 노드(originator) 방향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면 기존 경로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던 임의의 노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경로에 발생한 문제(이웃 노드로부터 애크(ACK)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자신에게 유효한 경로 정보가 없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목적지 노드로부터 HELLO 패킷을 받지 못한 경우 또는 자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를 발견하여 소스 노드(originator) 방향의 이웃 노드에 RERR 패킷을 전송한다.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RERR 패킷을 수신할 경우 RERR 패킷에 포함된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한다. 이때, RERR 패킷을 수신한 노드는 절단된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한다.
RERR 패킷은 수신 노드가 가진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커서(precursor) 리스트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다. 이때, 프리커서 리스트는 문제가 발생한 노드로의 링크를 사용하던 이웃 노드들의 정보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라우팅 테이블의 모든 라우팅 엔트리는 각각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사용하는 소스 노드(originator) 방향의 이웃 노드들의 주소를 프리커서 리스트에 보관한다.
다중 경로의 유지를 위해 문제가 생긴 링크에서 RERR 패킷을 전달할 때 다중 경로의 나머지 유효한 경로의 링크 전송속도 메트릭 중에 가장 좋은 성능 값과 해당 경로에 해당하는 노드의 주소를 각각 유효 노드 속도 메트릭 필드(valid node rate metric)와 유효 노드 주소 필드(valid node address)에 포함시켜 전송 한다.
여기서 다중경로를 가지고 있던 노드는 어느 한 방향의 경로만 끊겼을 경우 RERR 패킷을 전달하여 나머지 유효한 경로의 정보를 소스 노드(originator)에 알린다. 이를 통해 소스 노드는 다중경로 정보에서 문제가 생긴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경로 중 가장 좋은 성능의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수신한 RERR 패킷이 유효한 경로에 따른 가장 좋은 성능과 해당 노드의 주소를 포함하여도 해당 노드의 주소가 수신 노드 자신이면 RERR 패킷의 링크 전송 속도가 RERR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 자신을 통한 전송을 뜻하므로 보유한 경로 중 RERR 패킷을 송신한 노드를 통해 목적지 노드로 가는 경로 정보는 다운시킨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ERR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노드의 RERR 패킷 처리 방법은 RERR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S510), 수신 노드가 RERR 패킷의 문제 발생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를 저장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520), 문제 발생 노드를 제외한 목적지 노드로의 유효 경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530), 수신 노드의 라우팅 엔트리에 프리 커서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S560) 및 RERR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S570)를 포함한다.
단계 S510에서 수신 노드는 RERR 패킷을 수신한다.
단계 S520에서 RERR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는 RERR 패킷에 포함된 문제 발생(경로 단절) 노드를 목적지로 갖는 라우팅 엔트리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문제 발생 노드를 목적지로 갖는 라우팅 엔트리를 보유하지 않을 경우 수신 노드는 RERR 패킷에 대한 처리를 종료한다.
문제 발생 노드를 라우팅 엔트리를 목적지로 갖는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할 경우 단계 S530에서 수신 노드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로의 단절된 경로 이외에 유효한 경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서 목적지 노드로의 단절된 경로 이외에 유효한 경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계 S550에서 수신 노드는 RERR 패킷에 저장된 문제발생 노드를 목적지로 갖는 라우팅 엔트리를 사용 불가로 갱신한다.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서 목적지 노드로의 단절된 경로 이외에 유효한 경로가 존재할 경우 단계 S540에서 수신 노드는 유효 경로 중 가장 좋은 성능을 경로 정보를 RERR 패킷에 추가한다. 이때, 수신 노드는 RERR 패킷의 링크 전송 속도 필드에 가장 좋은 성능을 갖는 경로의 전송 속도 메트릭을 저장한다. 또한 수신 노드는 단절된 경로를 사용 불가로 갱신한다. 수신 노드가 가진 다중 경로 중 문제의 경로는 사용 불가로 수정되었으므로 목적지 노드로의 데이터 전송은 나머지 유효 경로를 이용한다.
단계 S560에서 수신 노드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프리 커서 리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프리 커서 리스트가 존재할 경우 단계 S570에서 수신 노드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프리 커서를 참고하여 RERR 패킷을 전송한다. 또는 프리 커서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수신 노드는 RERR 패킷의 처리를 종료한다.
RERR 패킷의 전파는 수신 노드가 수신된 RERR 패킷에 해당하는 라우팅 엔트리를 보유하고 해당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 커서 리스트가 존재할 때 진행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RERR 패킷 처리 방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초기 경로를 형성한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 노드 및 소스 노드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문제 발생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 노드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설명한다.
도 1,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소스 노드(110)에서 목적지 노드(120)로 경로가 요청되어 형성된 경로는 제1 경로(R1=S-1-3-6-9-10-D), 제2 경로(R2=S-4-7-10-D), 제3 경로(R3=S-4-7-8-11-12-D), 제4 경로(R4=S-2-5-8-7-10-D) 및 제5 경로(R5=S-2-5-8-11-12-D)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스 노드(110)가 수신된 제어 패킷에 따라 판단한 가장 좋은 경로는 전송 속도에 따른 비용 메트릭이 가장 작은 제1 경로(R1)이다. 제2 내지 제5 경로(R2, R3, R4, R5)에 대한 구분은 시작 또는 분기 노드인 소스 노드(110)와 제7 중간 노드(137) 및 제8 중간 노드(138)에서 이루어진다.
도 14를 참조하면, 데이터 전송은 링크의 전송속도 메트릭이 가장 좋은 경로 R1을 통해 진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제10 중간 노드(140)에서 목적지 노드(120)로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10 중간 노드(140)를 통해 목적지 노드(12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제10 중간 노드(140)는 목적지 노드(120)로부터 애크(ACK) 메시지를 받지 못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목적지 노드(120)로부터 HELLO 패킷을 받지 못하였을 경우,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제10 중간 노드(140)는 라우팅 엔트리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RERR 패킷을 생성하고 제10 중간 노드(140)가 보유한 라우팅 엔트리 중 목적지 노드(120)가 목적지인 라우팅 엔트리를 사용 불가로 갱신한다.
제10 중간 노드(140)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 커서를 참고하여 프리 커서 리스트에 제7 중간 노드(137) 및 제9 중간 노드(139)가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10 중간 노드(140)는 제7 중간 노드(137) 및 제9 중간 노드(139)로 RERR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제10 중간 노드(140)에서 목적지 노드(120)로 향하는 경로상에는 다중 경로가 없으므로, RERR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는 널(NULL) 값으로 전송된다.
제7 중간 노드(137)는 RERR 패킷을 수신하고 재전송 하기 전에 목적지 노드(120)로의 유효 경로가 있는지 확인한다. 제7 중간 노드(137)는 유효 경로(7-8-11-12-D)를 보유하므로 전송속도 메트릭 필드에 나머지 유효 경로의 링크 성능 값을 포함시켜서 제4 중간 노드(134)로 전송한다. 또한, 제7 중간 노드(137)는 제8 중간 노드(138)로 전송하는 RERR 패킷의 경우 제10 중간 노드(140)를 포함하는 나머지 유효 경로가 무효한 링크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성능 정보에 널(NULL) 값을 포함시켜서 전송한다.
여기서 제4 중간 노드(134)는 제7 중간 노드(137)로부터 수신한 RERR 패킷의 전송속도 메트릭 필드의 값이 널(NULL)이 아니므로 문제는 발생했으나 아직 유효한 경로 상에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또한, 제4 중간 노드(134)는 기존에 보유한 목적지 노드(120)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에서 전송속도 메트릭 필드의 값을 새롭게 수신한 RERR 패킷의 링크 전송속도 메트릭 값으로 갱신한다. 제4 중간 노드(134)는 소스 노드(110)로 갱신된 RERR 패킷을 전송한다.
제9 중간 노드(139)는 RERR 패킷을 수신하고 재전송하기 전에 목적지 노드(120)에 대한 유효 경로를 보유하지 않으므로 자신을 포함하는 경로를 사용 불가로 갱신한다. 또한, 제9 중간 노드(139)는 프리 커서 정보를 참고하여 갱신된 RERR 패킷을 제6 중간 노드(136)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리 커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거슬러 올라가면, 제9 중간 노드(139)를 통해 전달된 RERR 패킷은 그대로 소스 노드(110)까지 전달된다. 제9 중간 노드(139)를 통해 전달된 RERR 패킷을 수신하는 소스 노드(110)는 제1 경로(R1)가 사용 불가임을 확인한다.
또한 제7 중간 노드(137)에서 나머지 유효 경로의 성능을 RERR 패킷으로 수신한 제4 중간 노드(134)는 수신한 RERR 패킷을 소스 노드(110)로 그대로 전달한다. 제4 중간 노드(134)로부터 RERR 패킷을 수신한 소스 노드(110)는 해당 경로를 사용하는 경로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제7 중간 노드(137)에서 송신한 RERR 패킷을 받은 제8 중간 노드(138)는 성능 정보가 널(Null)인 RERR 패킷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8 중간 노드(138)는 자신이 보유한 유효 경로의 성능 값을 전송속도 메트릭 필드에 포함하여 제5 중간 노드(135)로 전송한다.
제5 중간 노드(135)는 제8 중간 노드(138)로부터 수신한 RERR 패킷의 전송속도 메트릭 필드의 값이 널(NULL)이 아니므로 문제는 발생했으나 아직 유효한 경로 상에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또한 제5 중간 노드(135)는 제8 중간 노드(138)로부터 수신한 RERR 패킷의 성능 정보가 기존 정보와 같고 유효 경로를 나타내므로 소스 노드(110)를 향해 이웃 노드로 RERR 패킷을 전달하지 않는다.
소스 노드(110)는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120)로의 다른 유효한 경로가 존재하므로 추가적인 경로 탐색 과정 없이 유효한 경로 중 가장 좋은 성능을 갖는 라우팅 엔트리를 사용한다. 또한 소스 노드(110)는 목적지 노드(120)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 중 문제가 발생한 엔트리 정보만 사용 불가로 갱신하고 나머지 유효한 경로는 그대로 유지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소스 노드(110)는 제3 경로(R3=S-4-7-8-11-12-D)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ELLO 패킷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HELLO 패킷은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주기적으로 이웃 노드에 송신하는 정보로, 해당 노드가 이웃 노드의 주변에 위치해 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모든 노드는 특정 노드의 HELLO 패킷을 수신할 경우, 특정 노드를 다음 홉으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의 유효 시간(lifetime)을 연장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HELLO 패킷은 소스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 설정된 다중 경로 중 최적 경로 외의 나머지 경로들이 데이터 전송시 사용되지 않더라도 유효한 경로로 유지되도록 라우팅 엔트리의 유효 시간을 연장시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ELLO 패킷 처리 방법은 HELLO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S610), HELLO 패킷을 송신한 노드를 다음 홉으로 사용하는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620), HOLLO 패킷을 송신한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S640) 및 수신한 HELLO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S650)를 포함한다.
단계 S610에서 임의의 노드(수신 노드)는 HELLO 패킷을 수신한다.
단계 S620에서 수신 노드는 HELLO 패킷을 송신한 노드(송신 노드)를 다음 홉으로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송신 노드가 다음 홉으로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할 경우 단계 S630에서 수신 노드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의 유효 시간을 연장한다.
송신 노드가 다음 홉으로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계 S630에서 수신 노드는 송신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한다.
단계 S650에서 수신 노드는 수신한 HELLO 패킷을 폐기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로설정을 수행할 경우, 링크의 전송속도 메트릭에 따라 성능이 좋은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시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제어 패킷을 전송하여 경로를 구성하는 노드들 사이의 모든 경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쳐온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경로 생성으로 인한 경로 루프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소스 노드
120: 목적지 노드
210: 통신부
220: 송신부
230: 수신부
240: 제어부

Claims (20)

  1.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소스 노드에서 이웃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플러딩하는 단계;
    상기 경로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목적지 노드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응답 패킷을 상기 소스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속도 메트릭에 따른 최적 경로로 상기 목적지 노드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요청 패킷 및 상기 경로 응답 패킷은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를 연결하는 복수의 중간 노드들을 경유하며, 경유하는 중간 노드마다 상기 링크 전송 속도가 누적되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노드는 상기 경로 요청 패킷 및 상기 경로 응답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하고, 상기 링크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경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우선 순위는 상기 링크 전송 속도의 누적 계산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누적 계산값은 상기 링크 전송 속도의 역수값을 누적하여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요청 패킷 및 상기 경로 응답 패킷 중 적어도 하나는 경유하는 중간 노드들의 정보를 축적하고, 축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6.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목적지 노드에서 이웃 노드로부터 링크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의 중복 수신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소스 노드로 경로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의 중복 수신을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과 이전에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 각각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소스 노드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의 중복 수신을 판단하는 단계 이후
    비교 결과 수신된 경로 요청 패킷과 이전에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이 동일할 경우 상기 목적지 노드에 처음 수신된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경과 시간과 상기 경로 요청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경과 시간은 상기 처음 수신된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경로 응답 패킷이 상기 소스 노드로 송신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한 시간으로 설정되며,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응답 경과 시간과 상기 수신 시간의 비교 결과 상기 응답 경과 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해 상기 경로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처음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경로 응답 패킷을 상기 소스 노드로 송신하여 최적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응답 경과 시간 이내에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경로 응답 패킷을 상기 소스 노드로 송신하여 나머지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노드는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의 개수를 응답 설정 개수와 비교하여 상기 경로 응답 패킷을 송신하되,
    수신한 경로 요청 패킷의 개수가 상기 응답 설정 개수를 초과할 경우 초과된 경로 요청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2.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 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임의의 노드에서 경로 요청 패킷 및 경로 응답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상기 제어 패킷에 저장된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와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어 패킷의 경로와 상시 노드에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경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다중 경로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제한값과 비교하여 초과시 다중 경로의 개수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패킷에 경로 저장 정보가 추가로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설정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제한값과 비교하여 초과시 다중 경로의 개수를 재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다중 경로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 개수 K를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비교 결과,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다중 경로의 개수가 제한 개수 K를 초과하면 성능 순위로 K개만 남기고 나머지 경로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여기서 K는 자연수임)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상기 제어 패킷에 저장된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상기 제어 패킷의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보유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 패킷의 소스 노드를 향한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제어 패킷의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보유할 경우 상기 수신한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와 상기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가 상기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보다 작을 경우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 패킷의 시퀀스 넘버가 상기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시퀀스 넘버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 패킷이 상기 경로 응답 패킷인지 판별한 후 상기 제어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킷이 상기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와 동일한 경로를 가질 경우 상기 제어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기 저장된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을 갱신하되,
    상기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은 상기 제어 패킷이 경유한 노드의 전송 속도의 누적 계산값으로 상기 제어 패킷에 저장된 전송 속도 메트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8. 메시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제1 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9. 메시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이웃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플러딩하는 송신부;
    상기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응답 패킷을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속도 메트릭으로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장치.
  20. 메시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이웃 노드로부터 상기 링크의 전송 속도를 메트릭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경로 요청 패킷의 중복 수신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경로 설정을 위해 상기 경로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경로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장치.
KR1020100040366A 2010-04-29 2010-04-29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14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66A KR101147467B1 (ko) 2010-04-29 2010-04-29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66A KR101147467B1 (ko) 2010-04-29 2010-04-29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787A true KR20110120787A (ko) 2011-11-04
KR101147467B1 KR101147467B1 (ko) 2012-05-21

Family

ID=4539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366A KR101147467B1 (ko) 2010-04-29 2010-04-29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4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65B1 (ko) * 2012-05-16 2014-03-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레이트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1400868B1 (ko) * 2012-12-03 2014-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재배치된 우선도 행렬을 이용한 다중 경로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40081025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449637B1 (ko) * 2013-12-17 2014-10-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확장된 독립적인 비트변수를 사용하는 회전식 브리지 우선도 마스킹 방법
KR20160115814A (ko) * 2015-03-27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메커니즘
CN114448865A (zh) * 2021-12-23 2022-05-06 东莞市李群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业务报文的处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365717A (zh) * 2023-05-31 2023-06-30 深圳凯升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电路安全监测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15B1 (ko) * 2012-10-19 2019-10-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오픈 플로우 스위치와 컨트롤러를 사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184767B1 (ko) * 2014-04-01 202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742563B2 (en) 2018-08-09 2020-08-11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of congestion control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based environment with delay tolerant networking and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289B1 (ko) * 2004-12-16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라우팅 경로를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KR100639879B1 (ko) * 2005-03-03 2006-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전송속도 네트워크를 위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에의한 경로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애드혹 네트워크 노드
KR20070122424A (ko) * 2007-11-06 2007-12-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애드-혹 망에서 다중 전송 속도를 갖는 매체 접근제어를 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KR101057095B1 (ko) * 2009-06-12 2011-08-1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65B1 (ko) * 2012-05-16 2014-03-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레이트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1400868B1 (ko) * 2012-12-03 2014-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재배치된 우선도 행렬을 이용한 다중 경로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40081025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449637B1 (ko) * 2013-12-17 2014-10-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확장된 독립적인 비트변수를 사용하는 회전식 브리지 우선도 마스킹 방법
KR20160115814A (ko) * 2015-03-27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메커니즘
CN114448865A (zh) * 2021-12-23 2022-05-06 东莞市李群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业务报文的处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4448865B (zh) * 2021-12-23 2024-01-02 东莞市李群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业务报文的处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365717A (zh) * 2023-05-31 2023-06-30 深圳凯升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电路安全监测系统及方法
CN116365717B (zh) * 2023-05-31 2023-08-11 深圳凯升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电路安全监测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467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467B1 (ko)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JP5087553B2 (ja)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適応性無線ルーティングプロトコ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Guo et al. Analysis of general network coding conditions and design of a free-ride-oriented routing metric
US821335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057095B1 (ko)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US11765078B2 (en) Techniques for loop-free dynamic on-demand and proactive routing in communications networks
JP5720793B2 (ja)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ノード装置
Jakllari et al.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routing protocols for large-scale wireless MANETs
JP200811835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Maekawa et al. An ant-based routing protocol using unidirectional links for heterogeneous mobile ad-hoc networks
Yi et al. Depth-first forwarding for unreliable networks: extensions and applications
CN113055945A (zh) 负载均衡方法及移动自组织网络
Raju et al. Scenario-based comparison of source-tracing and dynamic source routing protocols for ad hoc networks
JP4862674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Garcia-Luna-Aceves et al. ODVR: A unifying approach to on-demand and proactive loop-free routing in ad-hoc networks
Tajne et al. Multipath node-disjoint routing protocol to minimize end to end delay and routing overhead for MANETs
Garcia-Luna-Aceves et al. Simple and Efficient Loop-Free Multipath Routing in Wireless Networks
KR100943638B1 (ko)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리액티브 라우팅 방법 및시스템
Oh A hybrid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Mesh Networks
Reddy et al. Temporary parallel route recovery for frequent link failure in VANET
Noorani et al. Analysis of MANET routing protocols under TCP vegas with mobility consideration
Azher Analysis of Routing Protocols in Wireless Networks
Lo et al. Two-hops neighbor-aware routing protocol in mobile ad hoc networks
Farooq et al. Distance Vector Routing in Partitioned Networks
Kuo et al. A Multipath Routing Protocol in Mobi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