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623A -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623A
KR20110120623A KR1020100040109A KR20100040109A KR20110120623A KR 20110120623 A KR20110120623 A KR 20110120623A KR 1020100040109 A KR1020100040109 A KR 1020100040109A KR 20100040109 A KR20100040109 A KR 20100040109A KR 20110120623 A KR20110120623 A KR 2011012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electrical load
current source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956B1 (ko
Inventor
손영석
남태규
장원석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0004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956B1/ko
Priority to US13/095,572 priority patent/US8502459B2/en
Publication of KR2011012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원 배열을 통해 전기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적으로 접속된 전기적 부하에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각각의 전류원의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 중 최저전압을 샘플 및 홀드하여 피드백하여 줌으로써 전원전압을 조정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동기를 맞춘 샘플홀드회로를 구비하여 로우 듀티에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푸쉬-풀 기능을 구비한 비교기를 이용하여 전류의 보강 및 감쇄를 통해 구동전압의 조정이 가능한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Driver IC for electrical road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류원 배열을 통해 전기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적으로 접속된 전기적 부하에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각각의 전류원의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 중 최저전압을 샘플 및 홀드하여 피드백하여 줌으로써 전원전압을 조정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전원 전압과 다른 전압을 발생하는 직류-직류 변환형의 전원회로를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전기적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구동장치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부하구동장치는 그것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로부터 소정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입력전압 또는 부하에 인가되는 공급전압이나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이를 전원회로의 제어부에 피드백한다. 이후 피드백전압이나 부하전류를 기준치와 비교하고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소정값으로 조정하여 제어한다.
휴대전화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부하 전류를 필요에 따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야 할 경우가 있다. 즉, 부하가 발광소자인 경우 그 발광량을 임의의 값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하 전류의 증가에 따라 전류 검출용 저항에 의한 손실이 증가하고 따라서 전원 회로나 부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적 부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적 부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장치는 전류원(1), 발광다이오드(3)의 접속을 위한 수단(2), 전압태핑노드(4), 비교기(5), 다운스트림 트랜지스터(7) 및 DC전압 조정기(10)를 구비한다.
종래의 전기적 부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장치에 의하면 상기 전류원(1)의 배열은 병렬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병렬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에 공통의 전원전압(VDD)이 공급될 때 상기 전원전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각각의 발광다이오드(3)로 부터 강하된 전압을 측정하고 그러한 강하된 전압을 한계전압(Vt)과 비교한다.
그 비교결과에 따라 트랜지스터(7)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는데, 강하된 전압이 한계전압(Vt)보다 작은 경우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어 공통신호라인(8)을 통해 공급되는 피드백전압이 강하된다.
이때 DC전압조정기(10)에서는 승압동작을 수행하여 출력전압인 전원전압을 증가시켜 발광다이오드(3)에 공급되는 최소 전원전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강하된 전압이 기준한계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DC전압조정기(10)에서 승압동작이 수행되지 않지만 전류원(1)에는 필요한 최소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로 인하여 발열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동기를 맞춘 샘플홀드회로를 구비하여 로우 듀티에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푸쉬-풀 기능을 구비한 비교기를 이용하여 전류의 보강 및 감쇄를 통해 구동전압의 조정이 가능한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는, 제1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 제1단자가 상기 전류원의 제2단자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부하, 상기 전기적 부하의 제2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LLED), 상기 전기적 부하의 제1단자 및 상기 전류원의 제2단자에 각각 공통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전압노드(Vc), 제1단자가 상기 조정전압노드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제2단자가 접속된 피드백라인(LFB),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드백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샘플링 및 홀드하는 샘플홀드회로,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과 기준한계전압(VRT)을 비교하여 피드백전압(VFB)을 출력하는 비교기 및 입력전압(Vin)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상기 전원공급라인(LVDD)에 상기 전기적 부하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압(VLED)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 및 상기 피드백전압(VFB)을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단자를 구비하는 DC 전압 조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부하의 구동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부하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부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의 양단에서 조정된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샘플홀드회로를 통해 상기 (b)단계에서 구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전압 중 가장 낮은 전압을 샘플 및 홀드하는 단계,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을 기준한계전압과 비교하여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입력전압 및 상기 피드백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구동전압(VLED)을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에 의하면, 펄스폭 변조신호에 동기를 맞춘 샘플홀드회로를 구비하여 로우 듀티에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고, 또한 푸쉬-풀 기능을 구비한 비교기의 출력단을 이용함으로써 전류의 보강 및 감쇄가 가능하여 전력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적 부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의 비교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동기를 맞춘 샘플홀드회로를 구비하여 전기적 부하 또는 전류원의 양단에서 매우 큰 전압강하가 발생한 노드의 전압을 샘플링 및 홀드하여 비교기에서 기준한계전압과 비교한 후 피드백전압을 출력하여 DC전압조정기에 공급함으로써 전기적 부하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부하의 구동회로(200)는 전류원(210), 전기적 부하(220), 전원공급라인(LLED), 조정전압노드(Vc), 다이오드부(240), 피드백라인(LFB), 샘플홀드회로(250), 비교기(260) 및 DC 전압조정기(270)를 구비한다.
상기 전류원(210)은 상기 전기적 부하(220)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전기적부하(220)에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전류원(210)은 저항소자(211a), 차동증폭기(212a) 및 전류원 트랜지스터(213a)를 구비한다.
상기 저항소자(211a)는 제1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상기 차동증폭기(212a)는 상기 저항소자의 제2단자가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에 밴드갭 기준전압(VBGR)이 인가된다.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213a)는 제1단자가 상기 저항소자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조정전압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차동증폭기의 출력이 제어입력에 접속된다.
이러한 전류원 배열은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기적 부하(220)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또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직렬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적 부하(220)는 적색(R) 발광다이오드, 녹색(G)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B)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어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적 부하(220)는 전원공급라인(LLED)상의 노드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병렬로 연결된 전기적 부하(220)에는 구동전압(VLED)이 공통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조정전압노드(Vc)는 상기 전기적 부하(220)의 제1단자 및 상기 전류원(210)의 제2단자에 각각 공통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류원(210)에서 상기 전기적 부하(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전기적부하의 양단 또는 상기 전류원의 양단에서 전압 강하가 일어나고 강하된 전압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전압은 상기 조정전압노드(Vc)에서 감지된다.
상기 다이오드부(240)는 다수의 다이오드(240a ~ 240n)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다이오드(240a ~ 240n)는 제1단자가 상기 조정전압노드(Vc)에 각각 연결되고 제2단자가 피드백라인에 접속된 기준전류원(230)에 각각 연결된다.
펄스폭변조 제어신호(PWM)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류원(210)에 의해 상기 전기적부하(220)가 구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전기적 부하 또는 전류원의 양단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된다. 이때 전압강하가 가장 큰 조정전압노드에 접속된 다이오드가 턴온된다.
즉, 상기 다이오드는 대응되는 조정전압노드의 전압이 다른 조정전압노드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 턴온되며, 대응되는 조정전압노드의 전압이 샘플홀드회로(250)에 의해 샘플링된다.
상기 피드백라인(LFB)은 상기 다이오드(240)의 제2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며, 상기 피드백라인(LFB)을 통해 가장 낮은 전압을 갖는 조정전압노드의 전압이 상기 샘플홀드회로로 입력된다.
샘플홀드회로(250)는 상기 펄스폭변조 제어신호(PWM)에 응답하여 상기 피드백라인(LFB)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샘플링 및 홀드하여 비교기에 출력한다.
즉, 상기 펄스폭변조 제어신호(PWM)가 하이(high)인 구간에서는 상기 전류원의 동작에 의해 전기적 부하에 전류가 공급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전기적부하의 양단에서 전압강하가 발생된다. 이때 샘플홀드회로(250)는 턴온된 다이오드 및 피드백라인(LFB)을 통해 가장 낮은 전압을 갖는 조정전압노드의 전압을 샘플링하고 전기적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동전압을 증가시킨다.
한편, 펄스폭변조 제어신호(PWM)가 로우(low)인 구간에서는 상기 샘플링구간에서 입력된 신호가 유지되는 홀드 구간이 된다. 이때 홀드 구간에서 입력된 신호, 즉 샘플링 구간에서 홀드된 신호가 기준한계전압(Reference Threshold, VRT)보다 낮을 경우 구동전압(VLED)은 이전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펄스폭 변조신호에 동기를 맞춘 샘플홀드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홀드 구간에서도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 로우 듀티에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푸쉬-풀 기능을 구비한 비교기를 이용하여 전류의 보강 및 감쇄를 통해 구동전압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샘플홀드회로(250)는 펄스폭변조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유입되는 신호를 샘플링하고 홀드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 값을 비교기로 출력한다.
비교기(260)는 상기 샘플홀드회로(250)의 출력전압과 기준한계전압(Reference Threshold, VRT)을 비교하여 피드백전압(VFB)을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260)에서는 샘플홀드회로의 출력값과 한계기준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피드백전압(VFB)이 DC전압조정기에 공급되거나 피드백전류가 비교기내에 구비된 전류원을 통해 그라운드로 빠져나가게 된다.
비교기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C 전압조정기(270)는 입력전압(Vin)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271), 상기 전원공급라인(LLED)에 상기 전기적 부하를 위한 구동전압(VLED)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272) 및 상기 피드백전압(VFB)을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단자(273)를 구비한다.
즉, DC 전압조정기(270)는 입력전압(Vin)과 피드백전압(VFB)을 수신하여 전원공급라인(LLED)에 공급되는 구동전압(VLED)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한다.
이때 전원공급라인(LLED)과 피드백단자 사이에는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소자(R1, R2)로 이루어진 전압분배기(280)를 구비하여 피드백전압(VFB)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의 비교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의 비교기(260)는 전류원의 역할을 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261), 기준한계전압과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연산증폭기(262)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26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는 제1단자가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게이트에는 바이어스 전압(VB)이 인가된다.
상기 연산증폭기(262)는 제1단자가 상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26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산증폭기(262)는 반전단자(VINN)에 한계기준전압(VRT)이 입력되고 비반전단자(VINP)에는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263)는 제1단자가 상기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피드백전압(VFB)에 연결되며 게이트에 상기 연산증폭기(262)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어 최종적으로 피드백전압(VFB)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263)의 제2단자에는 비교기 전류원(26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교기 전류원은 바이어스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대체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기(260)는 전원전압(VDD)과 그라운드 전압(GND) 사이에서 동작하며 샘플홀드회로(250)의 출력전압을 기준한계전압(VRT)과 비교하여 피드백전압(VFB)을 출력하여 DC 전압조정기(270)에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방법은 구동전류제공단계(S100), 조정전압 감지단계(S200), 샘플홀드단계(S300), 피드백전압 제공단계(S400) 및 구동전압 조정단계(S50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전류제공단계(S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210)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부하(220)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조정전압 감지단계(S20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부하(220)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210)의 양단에서 조정된 전압을 감지한다.
상기 샘플홀드단계(S300)에서는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유입되는 신호를 샘플링하고 홀드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 값을 비교기(260)로 출력한다.
상기 피드백전압 제공단계(S400)에서는 상기 샘플홀드회로(250)의 출력신호를 피드백하여 DC전압조정기(270)에 피드백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전압 조정단계(S500)에서는 상기 피드백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드백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하강시킴으로써 구동전압을 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는 비교기 후단에 트랜지스터를 구비함으로써 트랜지스터가 턴온 될 때 피드백전류가 감쇄되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전력소모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종래의 전력공급장치와 달리 펄스폭변조 제어신호(PWM)에 동기를 맞춘 샘플홀드회로를 구비하고 푸쉬-풀이 가능한 비교기 출력단을 사용함으로써 피드백전류의 보강 및 감쇄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는 전체 회로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일반적인 반도체 집적회로 기술에 따라 하나의 칩 내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는 특히 적색, 녹색 및 청색(RGB) 또는 단색의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들의 구동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팅이나 액정 디스플레이-적녹청(RGB) 스크린들 및 발광 다이오드들의 직렬 회로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어레이 세그먼트들이 사용되는 조명 응용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5)

  1. 제1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전류원;
    제1단자가 상기 전류원의 제2단자에 연결된 전기적 부하;
    상기 전기적 부하의 제2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LLED);
    상기 전기적 부하의 제1단자 및 상기 전류원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조정전압노드(Vc);
    제1단자가 상기 조정전압노드(Vc)에 연결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제2단자가 접속된 피드백라인(LFB)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드백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샘플링 및 홀드하는 샘플홀드회로;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과 기준한계전압(VRT)을 비교하여 피드백전압(VFB)을 출력하는 비교기; 및
    입력전압(Vin)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상기 전원공급라인(LLED)에 상기 전기적 부하를 위한 구동전압(VLED)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 및 상기 피드백전압(VFB)을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단자를 구비하는 DC 전압 조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2. 제1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
    제1단자가 상기 전류원의 제2단자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부하;
    상기 전기적 부하의 제2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LLED);
    상기 전기적 부하의 제1단자 및 상기 전류원의 제2단자에 각각 공통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전압노드(Vc);
    제1단자가 상기 조정전압노드(Vc)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제2단자가 각각 접속된 피드백라인(LFB)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드백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샘플링 및 홀드하는 샘플홀드회로;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과 기준한계전압(VRT)을 비교하여 피드백전압(VFB)을 출력하는 비교기; 및
    입력전압(Vin)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상기 전원공급라인(LLED)에 상기 전기적 부하를 위한 구동전압(VLED)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 및 상기 피드백전압(VFB)을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단자를 구비하는 DC 전압 조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R) 발광다이오드, 적어도 하나의 녹색(G) 발광다이오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B)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직렬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전류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제1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소자;
    상기 저항소자의 제2단자가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에 밴드갭기준전압(VBGR)이 인가되는 차동증폭기; 및
    제1단자가 상기 저항소자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조정전압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차동증폭기의 출력이 제어입력에 접속되는 전류원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라인(LFB)은 기준전류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전압노드 중 전압이 가장 낮은 조정전압노드에 연결된 상기 다이오드가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제1단자가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바이어스 전압이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제1단자가 상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 연산증폭기; 및
    제1단자가 상기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피드백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에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증폭기는
    반전단자에 상기 기준한계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단자에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제1단자가 상기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 비교기전류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전류원은
    바이어스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단자가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피드백단자에 연결된 제1저항소자 및 제1단자가 상기 제1저항소자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제2저항소자를 구비하는 전압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는 하나의 칩 내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15. (a)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부하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부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원의 양단에서 조정된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c)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샘플홀드회로를 통해 상기 (b)단계에서 구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전압 중 가장 낮은 전압을 샘플 및 홀드하는 단계;
    (d)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전압을 기준한계전압과 비교하여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e) 입력전압 및 상기 피드백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구동전압(VLED)을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부하의 구동방법.
KR1020100040109A 2010-04-29 2010-04-29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10112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09A KR101121956B1 (ko) 2010-04-29 2010-04-29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US13/095,572 US8502459B2 (en) 2010-04-29 2011-04-27 Driver IC for electrical load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09A KR101121956B1 (ko) 2010-04-29 2010-04-29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23A true KR20110120623A (ko) 2011-11-04
KR101121956B1 KR101121956B1 (ko) 2012-03-09

Family

ID=4485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109A KR101121956B1 (ko) 2010-04-29 2010-04-29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2459B2 (ko)
KR (1) KR1011219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360B1 (ko) * 2012-11-05 2013-08-22 메를로랩 주식회사 엘이디별 전류 공급 조절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구동회로
KR101400606B1 (ko) * 2012-08-23 2014-05-27 메를로랩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구동회로
US9125268B2 (en) 2012-06-19 2015-09-01 Sanken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for LED illumin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9686B (zh) * 2011-05-10 2015-01-11 Richtek Technology Corp 發光元件電流調節電路及其控制方法
US8823279B2 (en) 2011-10-27 2014-09-02 Phoseon Technology, Inc. Smart FET circuit
US9872110B2 (en) 2013-10-30 2018-01-16 Kyocera Corporation Sound generator and sound generation system
DE102014219840B4 (de) * 2014-09-30 2016-11-03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Stromgenerator und Verfahren mit geringem Overhead für Beleuchtungsschaltungen
US9930735B1 (en) * 2017-08-22 2018-03-27 Iml International Low-flicker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WO2020042309A1 (zh) * 2018-08-31 2020-03-05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限流电路、限流装置及显示装置
CN108767810B (zh) * 2018-08-31 2020-02-21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限流电路及限流装置
US11018500B2 (en) 2018-08-31 2021-05-25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urrent-limiting circuit, current-limi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8922489B (zh) * 2018-08-31 2020-09-11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驱动电路及其内部过流设定值的校正方法
CN111526641B (zh) * 2020-05-15 2022-06-10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反压自调节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9482A (en) 1998-11-30 1999-10-1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 discharge lamp including real power sensing using a single quadrant multiplier
DE102006024422B4 (de) * 2006-05-24 2009-10-22 Austriamicrosystems A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Spannungskonversion
US7777704B2 (en) * 2007-01-12 2010-08-17 Msilica,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string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JP5024789B2 (ja) * 2007-07-06 2012-09-1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発光制御回路、発光制御方法、面照明装置及び該面照明装置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7893626B2 (en) * 2007-09-07 2011-02-22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Multi-color backlight control circuit and multi-color backlight control method
US7825610B2 (en) * 2008-03-12 2010-11-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ED driver with dynamic power management
TW201106798A (en) * 2009-08-12 2011-02-1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523917B2 (ja) * 2010-04-23 2014-06-18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回路、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36690B (zh) * 2010-12-03 2014-05-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發光二極體的驅動電壓的保持方法及驅動裝置
JP5667892B2 (ja) * 2011-01-20 2015-02-12 ローム株式会社 負荷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5268B2 (en) 2012-06-19 2015-09-01 Sanken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for LED illumination
KR101400606B1 (ko) * 2012-08-23 2014-05-27 메를로랩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구동회로
KR101299360B1 (ko) * 2012-11-05 2013-08-22 메를로랩 주식회사 엘이디별 전류 공급 조절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6962A1 (en) 2011-11-03
US8502459B2 (en) 2013-08-06
KR101121956B1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956B1 (ko)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US10103625B2 (en) Load driv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950631B2 (ja) 発光ダイオードアレイに電源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018170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odule
US9451664B2 (en) Adaptive switch mode LED driver
US7423389B2 (en) LED driving device of overvoltage protection and duty control
TWI477187B (zh) 適應性切換模式發光二極體系統
US8569975B2 (en)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KR20050006042A (ko) 부하 구동 장치 및 휴대 기기
US20060022607A1 (en) Device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strings
TW201315114A (zh) 用以改良驅動負載的dc-dc轉換器的短工作循環行為之電子電路及技術
JP2005033853A (ja) 負荷駆動装置及び携帯機器
US20230023130A1 (en) Load driv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217094A1 (en) Switching regulator
KR101154837B1 (ko)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01067A (ko) 발광 디바이스의 구동 회로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JP2011181378A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
JP5788762B2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96460B1 (ko) 구동 전압 최적화 장치
Chiu et al. 43.3: RGB LED Backlight of Color Sequential Display with Precise Current‐Balance Control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