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854A - 수유용 젖병 - Google Patents

수유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854A
KR20110117854A KR1020100037321A KR20100037321A KR20110117854A KR 20110117854 A KR20110117854 A KR 20110117854A KR 1020100037321 A KR1020100037321 A KR 1020100037321A KR 20100037321 A KR20100037321 A KR 20100037321A KR 20110117854 A KR20110117854 A KR 2011011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feeding
nipple
hole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430B1 (ko
Inventor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비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비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비드림
Priority to KR102010003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430B1/ko
Priority to PCT/KR2011/002860 priority patent/WO2011132950A2/ko
Publication of KR2011011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젖병을 이용하여 분유 수유시 아기가 헛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앓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합링(30)에 의해 젖병 몸체(10)에 결합되어지는 본체부(24)와, 상기 본체부(24) 하부에 연결되어진 플랜지부(21), 그리고 상기 본체부(24) 상부에 구비되어지며 상단부에는 분유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유출공(27)이 형성되어진 꼭지부(26)로 이루어지는 수유용 젖꼭지(20)에 있어서, 상기 꼭지부(26)는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부(26a)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1)에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통공(22)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4)와 꼭지부(26) 사이에는 연성재질의 연약부(25)가 구비되되, 상기 연약부(25)의 두께(d)는 본체부(24) 및 꼭지부의 두께(D)보다 감소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플랜지부(21) 상면에는 통공(22) 주변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해 결합링(30)과 일정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유용 젖병{A NIPPLE FOR NURSING FEEDING BOTTLE}
본 발명은 수유용 젖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의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젖꼭지와 젖병의 구조 결합시 기능성 및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아직 발육되지 않은 신생아나 24개월 내의 유아에게는 일반적으로 모유 또는 온수를 혼합한 분유를 수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유를 수유하는 경우에는 인공적으로 제작된 젖병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젖병에는 유아가 내용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실리콘과 같은 무독성 재질로 형성된 수유용 젖꼭지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유용 젖꼭지는 사용 과정에서 아기의 건강이나 치아 발육에 있어 몇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1) 배앓이 원인 예방을 위한 개발 포인트
젖병 내의 분유의 양이 감소된 경우 젖병내의 공기가 줄어들면서 젖병 안쪽 공기가 밖으로 나와 아기가 먹게 되는데 이때 유아가 헛 공기를 흡입하게 됨으로 위와 장이 팽창 되면서 배앓이가 발생 되는데, 유아가 헛 공기를 흡입시 젖꼭지가 함몰되어 헛 공기를 마시지 못하게 함으로서 배앓이를 예방하게 된다.
2) 트림 예방
이때 헛 공기 유입되어 위가 팽창되어 배앓이를 하게 되기 전에 가득 찬 헛 공기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등판을 두드리며 자극을 주게 되는데 이를 사전에 헛 공기를 먹지않게 자동으로 감지하여 적꼭지가 젖병 쪽으로 쏙 들어가 (유입되므로) 별도의 트림을 시키지 않아도 구토 현상을 하지 않게 된다.
3) 중이염 예방
또한, 수유시 젖병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데 아기가 진공상태로 계속 빨게 되는 경우에 공기 진공압력으로 구강(입)과 통해져 있는 귀(고막)와 고실 사이의 중이에 무리를 중이에 염증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은 우유는 밖으로 새지 않으면서, 아기가 우유를 흡입하는 만큼 젖병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을 없도록 함으로서 중이에 부담과 무리가 되지 않게 에어 유입 구멍이 있어 젖병 진공을 없게 함으로서 젖병이 진공이 되지 않게 하여 아기가 너무 강하게 흡입을 하면 젖꼭지가 함몰되게 함으로서 중이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4) 토하는 현상을 줄여 주기 위한 개발 포인트
또한, 엄마 젖꼭지(유두)와 달리 일반 기존 젖꼭지들은 유두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기도에 근접하게 될 경우 기도의 예민한 부분과 목젖에 직접적으로 자극을 주어 위가 움추러 들면서 구토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
5) 소화장애 현상 예방 위한 개발 포인트
젖꼭지(유두)와 달리 일반 기존 젖꼭지들은 유두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유아가 우유 흡입시 젖꼭지가 기도(목젖)에 근접하게 되는데, 이때 꼭지 길이가 길어서 침샘을 훨씬 벗어나게 되어 분유가 소화 효소가 함유된 침과 융합되지 못하고 곧바로 소화가 어려운 큰 입자 상태로 기도로 바로 넘어가게 됨으로 장에서 잘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소화 장애가 발생 되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6) 성장 발육 장애 예방 위한 발명 포인트
상기의 상태가 지속될 경우 영양 불균형 또는 성장 발육장애 영향까지 올 수 있다.
또한, 미성숙한 아기의 잇몸이 젖꼭지에 닿을 경우 아기의 잇몸에 무리를 주어 치아의 변형을 가져오거나 뻐드렁니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젖꼭지 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젖꼭지의 기능성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서 헛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젖꼭지 길이의 가변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 하부에 연결되어진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 상부에 구비되어지며 상단부에는 분유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유출공이 형성되어진 꼭지부로 이루어지는 수유용 젖꼭지가 결합링에 의해 젖병 몸체에 결합되어지는 수유용 젖병에 있어서, 상기 꼭지부는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통공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꼭지부 사이에는 연성재질의 연약부가 구비되되, 상기 연약부의 두께는 본체부 및 꼭지부의 두께보다 감소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는 통공 주변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해 결합링과 일정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젖병을 이용하여 분유 수유시 아기가 헛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꼭지부가 들어가게 되어 아기가 꼭지부를 더이상 물지 못하게 됨으로서, 헛 공기를 마심으로 인한 배앓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젖꼭지 상부의 꼭지부가 쉽게 상하로 유동되어질 수 있도록 연약부에 의한 지지구조를 이룸으로서 젖병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른 꼭지부의 위치가 용이하게 이동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꼭지부의 길이가 늘림판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잇몸의 변형을 방지하여 치아발달에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젖병 내에 분유량이 소진된 경우, 소진과 동시에 젖병 내의 공기를 유아가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헛 공기를 마시게 되지 않도록 꼭지부가 함몰되어 헛 공기로 인한 배앓이 등을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젖병과 젖꼭지에 은(銀) 성분을 첨부함으로서, 젖병의 항균성을 통해 대장균,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식중독균) 등의 세균증식을 억제하여 유아의 인체 안전성이 확보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젖꼭지가 구비된 젖병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젖꼭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젖꼭지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안내홈 경사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젖꼭지를 물었을때의 단면 형상도.
도 7은 본 발명 젖병의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젖병의 사용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젖병의 헛 공기 유입시 젖꼭지 상태도.
도 11는 본 발명 젖꼭지의 헛 공기 유입시 꼭지부 변형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낸 이미지 도면.
도 13은 본 발명 젖꼭지가 구성된 젖병의 항균성 시험 성적서
도 14은 본 발명 젖꼭지가 구성된 젖병의 항균력 시험 방법서
도 15은 본 발명 젖꼭지가 구성된 젖병의 세균 상태 사진.
도 16은 본 발명 젖꼭지가 구성된 젖병의 항균력 시험방법서.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젖꼭지(20)의 특징적인 구조를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원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24)의 하부에는 결합링(30)에 의해 젖병 몸체(10)에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플랜지부(21)가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으며, 본체부(24) 상부에는 우유의 유출속도 조절을 위해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증가되는 형상을 이루는 유출공(27)이 형성되어져 있는 꼭지부(26)가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젖꼭지(20)에서는 본체부(24)와 꼭지부(26)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는 본체부(24)의 두께(D)보다 상대적으로 두께(d)가 감소됨과 함께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연약부(25)가 형성되어져 있어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의 연약부(25)는 실리콘 단일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24) 및 꼭지부(26)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의 성질을 이루도록 실리콘과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및 ASA(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가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실리콘 40~60중량5에 PETG 20~30중량% 그리고 ASA 10~2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꼭지부(26)에는 내주측에 길이의 가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기부(26a)가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개소에 돌출 형성되어져 있어, 도 3에서와 같이 꼭지부(26)에 당김력이 작용되었을 때 길이가 용이하게 늘어나는 늘림판 기능이 수행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돌기부(26a) 사이에는 일정곡률을 이루는 곡면부(26b)가 형성됨으로 아이가 꼭지부(26)를 강하게 물었을 때, 도 6에서와 같이 각 돌기부(26a) 사이에서 타원형태의 밀폐공간이 형성되어 우유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플랜지부(21)에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플랜지부(21) 상면에는 통공(22) 주변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해 결합링(30)과 일정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23)이 형성되었다.
특히, 상기 안내홈(23)은 도 5에서와 같이 본체부(24)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상승되도록 일정각도(θ)의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통공(22)측으로의 공기 유입이 제한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젖병내에 우유가 일정 수위 이상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통공(22)에 우유가 접촉되어져 있게 됨으로 통공(22)을 통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짐으로서 원활한 수유가 가능하게 되며, 젖병내에 우유가 없는 경우에는 내부 음압에 의해 통공(22)으로의 외부공기 유입이 방지되어지게 됨으로서 내부 진공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꼭지부(26)가 하강되어지면서 아기가 헛 공기를 마시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젖꼭지(20)가 결합된 젖병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젖병은 도 7에서와 같이 결합상태를 이루는 가운데 사용시에는 뚜껑(40)을 제거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젖병몸체(10) 내부에 분유를 일정 수위로 담아서 수유를 하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꼭지부(26)가 돌출된 상태를 이루는 가운데 안내홈(23) 및 통공(22)을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됨으로 안정적으로 우유가 유출공(27)을 통해 유출되어지게 된다.
한편, 분유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되어 젖꼭지(20)를 통해 헛 공기가 유입되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꼭지부(26)가 내부 압력강하에 의해 안으로 들어가게 됨으로 더 이상 아기가 꼭지부(26)를 입으로 물 수 없게 됨으로 더 이상 헛 공기를 마시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즉, 헛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젖병 내부의 공기압이 감소됨으로 음압이 걸리게 되는데, 이때 연약부(25)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꼭지부(26)에는 일정 당김력이 작용되어지면서 도 11에서와 같이 꼭지부(26)가 신속하게 하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꼭지부(26)가 하강되어짐으로서 아기가 더이상 꼭지부(26)를 물지 못하게 됨으로 헛 공기 유입에 따른 배앓이가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꼭지부(26) 부분이 돌기부(26a)에 의해 늘림 판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 아기의 미 성숙된 잇몸에 최대한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여 잇몸의 변형 을 줄여치아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꼭지부(26)의 전후 구동 운동으로 혀를 같이 움직이도록 하여 혀의 발달과 구강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젖꼭지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젖병몸체 20 : 젖꼭지
21 : 플랜지부 22 : 통공
23 : 안내홈 24 : 본체부
25 : 연약부 26 : 꼭지부
26a: 돌기부 27 : 유출공
30 : 결합링 40 : 뚜껑

Claims (5)

  1. 본체부(24) 하부에 연결되어진 플랜지부(21), 그리고 상기 본체부(24) 상부에 구비되어지며 상단부에는 분유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유출공(27)이 형성되어진 꼭지부(26)로 이루어지는 수유용 젖꼭지(20)가 결합링(30)에 의해 젖병 몸체(10)에 결합되어지는 수유용 젖병에 있어서,
    상기 꼭지부(26)는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부(26a)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1)에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통공(22)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4)와 꼭지부(26) 사이에는 연성재질의 연약부(25)가 구비되되, 상기 연약부(25)의 두께(d)는 본체부(24) 및 꼭지부의 두께(D)보다 감소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플랜지부(21) 상면에는 통공(22) 주변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해 결합링(30)과 일정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27)은 우유의 유출속도 조절을 위해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증가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3)은 본체부(24)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상승되도록 일정각도(θ)의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6a) 사이에는 일정곡률을 이루는 곡면부(2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약부(25)는 실리콘과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및 ASA(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가 혼합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KR1020100037321A 2010-04-22 2010-04-22 수유용 젖병 KR10108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321A KR101081430B1 (ko) 2010-04-22 2010-04-22 수유용 젖병
PCT/KR2011/002860 WO2011132950A2 (ko) 2010-04-22 2011-04-21 수유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321A KR101081430B1 (ko) 2010-04-22 2010-04-22 수유용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854A true KR20110117854A (ko) 2011-10-28
KR101081430B1 KR101081430B1 (ko) 2011-11-08

Family

ID=4483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321A KR101081430B1 (ko) 2010-04-22 2010-04-22 수유용 젖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1430B1 (ko)
WO (1) WO20111329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97A (ko) 2020-08-04 2022-02-11 주식회사 인텍유나이티드 배앓이 방지 수유 젖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42U (ko) 2015-01-12 2016-07-20 양진만 분유량 감지 젖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496A (ja) * 1998-10-20 2000-07-11 Pigeon Corp 人工乳首
GT200300162A (es) * 2002-08-05 2008-01-21 Producto de bebida anti - derrame.
US20070102388A1 (en) * 2005-10-28 2007-05-10 Lewis Julie M Vented, low-drip nursing nipple
TWI329012B (en) * 2005-12-08 2010-08-21 Otsuka Pharma Co Ltd Artificial nipple for a nursing bottle
KR200442627Y1 (ko) * 2007-02-13 2008-11-25 전득재 젖병용 젖꼭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97A (ko) 2020-08-04 2022-02-11 주식회사 인텍유나이티드 배앓이 방지 수유 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2950A3 (ko) 2012-03-01
KR101081430B1 (ko) 2011-11-08
WO2011132950A2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3738B1 (en) Simulated areola nipple complex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20110011819A1 (en) Modular feeding bottle
US20060201902A1 (en) Fully continuously vented drinking cup for infants and children
JP2006505353A (ja) 人工乳首
Devi et al. Maiden morsel-feeding in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US4856663A (en) Nursing device for infant with cleft lip or cleft palate
TW201124130A (en) Artificial nipple,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and pacifier toy
US20150290089A1 (en) Vented pacifier
US6736830B2 (en) Baby pacifier
US8479934B2 (en) Bottle design with multiple seals
KR101081430B1 (ko) 수유용 젖병
US20120035655A1 (en) Infant Feeder and Pacifier
CN108135780B (zh) 人工奶嘴
CN210812675U (zh) 一种新生儿用安抚奶嘴
KR20100134493A (ko) 모유와 우유를 동시에 수유 가능한 젖병
US11793727B1 (en) Flow control valve for infant feeding device
CN215584869U (zh) 一种乳罩式加奶器
KR200309862Y1 (ko) 수유용 젖꼭지
CN219148577U (zh) 新生儿头戴式安抚奶嘴
CN210205386U (zh) 辅助喂奶器
CN111110569B (zh) 一种深含乳奶嘴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JP2022155510A (ja) 人工乳首
KR200296969Y1 (ko) 외부 연결관이 추가 설치된 수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