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524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6524A KR20110116524A KR1020100035985A KR20100035985A KR20110116524A KR 20110116524 A KR20110116524 A KR 20110116524A KR 1020100035985 A KR1020100035985 A KR 1020100035985A KR 20100035985 A KR20100035985 A KR 20100035985A KR 20110116524 A KR20110116524 A KR 20110116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image
- dynamic character
- image
- displaying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85205 Prenanthella exigu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40 Scream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4 micro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모드에서 재생할 파일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에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고, 선택된 파일의 재생 진행 상태에 따라,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재생 진행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animated character image)를 이용하여 동작 진행 상태나 제어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간이나 남은 시간 등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를 표시하여 동작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에서는 숫자나 막대 그래프 등으로 현재의 볼륨 제어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방식과 다른 새로운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진행 상태나 제어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동작 진행 상태나 제어 상태 등을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멀티미디어 파일 중에서 재생할 파일이 선택되는 단계,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파일의 재생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의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볼륨 제어를 위한 제어 값에 대응하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움직이는 형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멀티미디어 파일 중에서 재생할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파일의 재생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의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볼륨 제어를 위한 제어 값에 대응하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움직이는 형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움직이는 사람 이미지 등과 같은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진행 상태나 볼륨 제어 값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 진행 상태나 제어 상태 등을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펀(fun)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볼륨 제어에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볼륨 제어에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가 선택되면(S200), 제어부(180)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5).
여기서, 동적 캐릭터 이미지는, 사람이나 동물 기타 사물의 형상이 움직이고 있는 형태의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람 이미지가 걷거나 뛰는 형태, 동물 형상의 이미지가 걷거나 뛰거나 날고 있는 형태 등이다.
동적 캐릭터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하거나, 카메라(121)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파일을 재생하면서, 파일의 재생 진행 상태에 따라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시켜 표시한다(S210). 즉, 재생 시간과 남은 시간 등을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파일의 재생 진행 중, 정지, 빠른 재생, 뒤로 감기, 재생 위치의 이동 등과 같은 재생과 관련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215), 제어부(18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파일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면서,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움직이는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S220).
예컨대, 동적 캐릭터 이미지로 사람 캐릭터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재생 속도에서 프로그래스 바를 따라 사람 이미지가 정방향으로 걸어가도록 표시하고, 2배속의 재생 속도의 경우, 사람 캐릭터가 약간 뛰면서 정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4배속의 재생 속도의 경우, 사람 캐릭터가 땀을 흘리며 빨리 뛰면서 정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표시하고, 8배속 등과 같은 아주 빠른 재생 속도의 경우, 사람 캐릭터가 얼굴이 빨개지거나 땀을 흘리면서 다리가 안 보일 정도로 뛰어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뒤로 감기를 선택한 경우, 사람 캐릭터가 역방향으로 뒷걸음질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재생 속도뿐만 아니라, 밝기 조정이나 음향 조정과 같은 기타 다른 제어 동작과 관련하여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움직이는 형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모드가 종료하는 경우까지 반복된다(S225). 또한, 이와 같이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재생 진행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볼륨 제어(volume control)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악이나 방송 시청 등과 같은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S300), 제어부(180)는 볼륨 제어 값에 대응하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가 포함된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05). 전술한 바와 같이, 동적 캐릭터 이미지는, 사람이나 동물 기타 사물의 형상이 움직이고 있는 형태의 이미지를 의미한다. 또한, 처음 표시하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는, 디폴트로 설정된 볼륨 제어값에 대응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 볼륨 제어 값이 변경하게 되면(S310), 제어부(180)는 변경된 제어 값에 볼륨을 제어하면서, 변경된 불륨 제어 값에 대응하도록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위치나 움직이는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S315).
예컨대, 동적 캐릭터 이미지로 사람 캐릭터를 사용하는 경우, 볼륨이 0 인 상태 혹은 뮤트(muete) 상태인 경우, 한 손가락으로 쉿 하고 입을 막고 있는 자세를 나타내는 사람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계의 볼륨 제어 값인 경우, 사람이 편안히 노래는 부르는 모습의 표시하고, 제2 단계의 볼륨 제어 값인, 고함을 치듯 노래 부르는 사람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의 볼륨 제어 값인 경우, 사람이 터지기 일보 직전까지 몸이 부풀어 오른 상태로 고함을 지르는 모습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볼륨 제어 값에 따라 사람 캐릭터가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습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20). 또한, 이와 같이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현재의 볼륨 제어 값을 시각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400)에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403)가 표시되어 재생 진행 상태를 나타낸다. 즉, 재생 진행 상태에 따라 동적 캐릭터 이미지로 사용되는 사람 캐릭터(405)가 걸어서 이동하는 모습이 표시된다. 동적 캐릭터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403) 하단에는 이전 곡, 재생 정지, 다음 곡 선택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만일, 현재 재생 곡에서 재생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터치 입력 등에 의해 동적 캐릭터 이미지로 사용된 사람 캐릭터(403)를 터치한 후 곡 진행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흐리게 표시된 사람 캐릭터(407)가 드래그된 위치에 표시되고, 재생 진행에 따라 원래 표시된 사람 캐릭터(405)가 흐리게 표시된 사람 캐릭터(407)로 걸어서 이동하는 모습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재생 위치로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에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410)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재생 진행이 빠르게 진행되며, 이에 따라 흐리게 표시된 사람 캐릭터(417)로 원래 표시된 사람 캐릭터(405)가 뛰면서 이동하는 모습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재생 위치가 뒤로 이동하는 경우에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420)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재생 위치가 원래 곡의 진행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흐리게 표시된 사람 캐릭터(427) 원래 표시된 사람 캐릭터(425)가 뒤로 걸어가는 모습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캐릭터 이미지나 움직이는 형태 등을 이용하여 재생 제어나 기타 동작 진행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볼륨 제어에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에서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화면(500)에는 현재 볼륨 제어 값에 대응하는 계단 위치에 동적 캐릭터 이미지로 사용되는 사람 캐릭터(505)가 계단을 오르는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람 캐릭터(505)와 함께 현재 볼륨 제어 값에 대응하는 숫자(507)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볼륨 제어 값이 증가한 경우에 동작 화면(510)을 나타낸 것이다. 볼륨 제어 값의 증가에 따라 사람 캐릭터(515)는 더 높은 위치로 계단을 오르는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람 캐릭터(515)와 함께 현재 볼륨 제어 값에 대응하는 숫자(517)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에서 다른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화면(600)에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로 사용되는 노래하는 모습의 사람 캐릭터(605)와, 현재 볼륨 제어 값에 대응하는 파형(607)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볼륨 제어 값이 증가한 경우에 동작 화면(610)을 나타낸 것이다. 볼륨 제어 값이 증가하게 되면, 큰 소리로 노래하는 모습의 사람 캐릭터(615)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현재 볼륨 제어 값에 대응하여 파형(617)의 크기도 변화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캐릭터 이미지나 움직이는 형태 등을 이용하여 볼륨 제어나 기타 제어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사용한 사람 캐릭터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를 통해 원하는 인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인물 영상을 캐릭터 이미지로 변화시켜 동적 캐릭터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1)
- 멀티미디어 파일 중에서 재생할 파일이 선택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에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파일의 재생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파일의 재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움직이는 형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는 사람 캐릭터를 이용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멀티미디어 파일 중에서 재생할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파일의 재생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재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움직이는 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의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볼륨 제어를 위한 제어 값에 대응하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표시 위치 및 움직이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제어 값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는 사람 캐릭터를 이용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 볼륨 제어가 필요한 동작 모드의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볼륨 제어를 위한 제어 값에 대응하는 동적 캐릭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캐릭터 이미지의 표시 위치 및 움직이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볼륨 제어값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5985A KR20110116524A (ko) | 2010-04-19 | 2010-04-19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US13/069,189 US20110254856A1 (en) | 2010-04-19 | 2011-03-22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EP11002595A EP2378752A3 (en) | 2010-04-19 | 2011-03-2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5985A KR20110116524A (ko) | 2010-04-19 | 2010-04-19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6524A true KR20110116524A (ko) | 2011-10-26 |
Family
ID=4411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5985A KR20110116524A (ko) | 2010-04-19 | 2010-04-19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254856A1 (ko) |
EP (1) | EP2378752A3 (ko) |
KR (1) | KR2011011652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8056B1 (ko) * | 2009-09-07 | 2016-07-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
KR20120062037A (ko) * | 2010-10-25 | 2012-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책 단말기에서 페이지를 전환하는 방법 |
US20130235044A1 (en) * | 2012-03-09 | 2013-09-12 | Apple Inc. | Multi-purpose progress bar |
KR101196751B1 (ko) * | 2012-04-23 | 2012-1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US20140075311A1 (en) * | 2012-09-11 | 2014-03-13 | Jesse William Boettcher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on an electronic device |
USD756382S1 (en) * | 2014-08-25 | 2016-05-17 |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
US9924333B2 (en) * | 2015-05-05 | 2018-03-20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Push-to-talk service features |
USD821426S1 (en) * | 2016-06-01 | 2018-06-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6534484A (zh) * | 2016-10-10 | 2017-03-22 |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 调节移动设备音量的方法和装置 |
USD934885S1 (en) * | 2019-07-31 | 2021-11-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9923A (ja) * | 2002-11-27 | 2004-06-24 | Nec Corp |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連写画像の自作アニメーション設定方法 |
US20070283265A1 (en) * | 2006-05-16 | 2007-12-06 | Portano Michael D | Interactive gaming system with animated, real-time characters |
JP4872665B2 (ja) * | 2006-12-28 | 2012-02-08 | ヤマハ株式会社 | 音楽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US7956847B2 (en) * | 2007-01-05 | 2011-06-07 | Apple Inc. |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
KR100832260B1 (ko) * | 2007-02-03 | 2008-05-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08134745A1 (en) * | 2007-04-30 | 2008-11-06 | Gesturetek, Inc. | Mobile video-based therapy |
KR20080101484A (ko) * | 2007-05-18 | 2008-1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391602B1 (ko) * | 2007-05-29 | 2014-05-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션 방법 및 멀티 미디어 단말 기기 |
US20090201297A1 (en) * | 2008-02-07 | 2009-08-13 | Johansson Carolina S M |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character and method |
US8359547B2 (en) * | 2008-10-01 | 2013-01-22 | Nintendo Co., Ltd. | Movable user interface indicator of at least one parameter that is adjustable with different operations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parameter and/or methods of providing the same |
WO2010038296A1 (ja) * | 2008-10-01 | 2010-04-08 | 任天堂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起動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
US8369974B2 (en) * | 2009-06-16 | 2013-02-05 | Kyran Daisy | Virtual phonograph |
-
2010
- 2010-04-19 KR KR1020100035985A patent/KR201101165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
- 2011-03-22 US US13/069,189 patent/US2011025485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3-29 EP EP11002595A patent/EP2378752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254856A1 (en) | 2011-10-20 |
EP2378752A3 (en) | 2011-11-23 |
EP2378752A2 (en) | 2011-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5614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685363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668240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749529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10116524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00052226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133861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10133859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10042634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10008939A (ko) | 원형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105775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01477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773464B1 (ko) |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1675730B1 (ko) |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20021986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20021440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694157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30007348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1799320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20117133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10129226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685349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10029834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00133244A (ko) | 원격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30066337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