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261A - 파이프 연결유닛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261A
KR20110116261A KR1020100035583A KR20100035583A KR20110116261A KR 20110116261 A KR20110116261 A KR 20110116261A KR 1020100035583 A KR1020100035583 A KR 1020100035583A KR 20100035583 A KR20100035583 A KR 20100035583A KR 20110116261 A KR20110116261 A KR 2011011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ipe
pipe
fastening hole
joint bracket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이병원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이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이병원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102010003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6261A/ko
Publication of KR2011011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파이프 연결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유닛은, 제1 중공파이프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제1 중공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중공파이프의 내측에 타단부가 삽입되는 인서트; 겹이음(Lapped Splice)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1 중공파이프의 일측면과 제2 중공파이프의 일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이음브래킷;및 제1 중공파이프와 제2 중공파이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음브래킷을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파이프 연결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유닛{Connector of pipes}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파이프 연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금속, 비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수도용, 가스용, 하수용, 전선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이프의 연결방식을 보면, 서로 대응되는 선단에 각각의 플랜지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플랜지 결합방식과, 커플링에 각 선단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커플링 연결방식과, 서로 대응되는 각 선단에 나선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방식과, 스테인리스 밴드를 이용하여 관과 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밴드 연결방식과, 메쉬 형태의 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과 관의 단부를 용융접착시키는 전기 용착 방식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의 연결방법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플랜지, 커플링, 나사, 스텐레스 밴드, 용융접착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연결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건축분야의 경우 기밀 유지를 위해 한 쌍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결합하기보다는, 사용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맞추기 위한 파이프의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 종래에는 겹이음(Lapped Joint) 방식에 의해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겹이음은 어느 하나의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다른 어느 하나의 파이프의 일단을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파이프 상호 간의 중첩 부위에 철선 등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겹이음 방식의 파이프 연결은 연결되는 파이프의 일단부를 서로 중첩시켜야 하므로 파이프의 일부분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체결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겹이음 방식의 파이프 연결은 연결되는 파이프의 일측면이 평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합판을 지지하는 용도 등에 있어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파이프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중공파이프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중공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중공파이프의 내측에 타단부가 삽입되는 인서트; 겹이음(Lapped Joint)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일측면과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일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이음브래킷; 및 상기 제1 중공파이프와 상기 제2 중공파이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이음브래킷을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이음브래킷은,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일측면과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일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연장부; 및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인서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체결공 및 상기 이음브래킷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1 중공파이프와 상기 제2 중공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이음브래킷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인서트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테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인서트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제3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테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공은,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을 따라 상기 고정핀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이음브래킷 일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걸쳐 배치되도록 상기 테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이음브래킷에 인접한 일측면이 상기 이음브래킷에 평행한 직선면으로 마련되며 타측면은 상기 이음브래킷을 향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3 체결공에 삽입되는 테이퍼핀일 수 있다.
상기 테이퍼핀에는 제4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연결유닛은, 상기 제3 체결공에 상기 테이퍼핀을 삽입한 후 상기 제4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테이퍼핀을 고정하는 결속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이음브래킷을 향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공은 사각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사각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인서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용접을 통해 상기 인서트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공파이프 및 상기 제2 중공파이프는 각각,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중공형 파이프이며, 상기 인서트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중공형 인서트이고, 상기 이음브래킷은,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하측 외주면과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곡면을 갖는 이음브래킷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이음브래킷 및 고정모듈에 의하여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파이프 연결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한 쌍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파이프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삽입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파이프에 사용되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파이프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파이프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한 쌍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 4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파이프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삽입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파이프에 사용되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100)은 인서트(110)와, 인서트(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음브래킷(120)과, 이음브래킷(120)을 고정하는 고정모듈(130)을 포함한다.
인서트(110)는 제1 중공파이프(10)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제1 중공파이프(10)에 연결되는 제2 중공파이프(20)의 내측에 타단부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인서트(110)는 사각 파이프로 마련되는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인서트(110)의 내부는 중공 형태를 갖도록 마련되어 부재의 무게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인서트(110)의 상면에는 제1 체결공(H1)이 관통형성되며, 제1 체결공(H1)은 후술하는 고정핀(131)의 사각삽입부(131d)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사각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다만, 제1 체결공(H1)은 원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1 체결공(H1)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음브래킷(120)은 서로 연결되는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연결지점이 겹이음(Lapped Joint)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면,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면 및 인서트(110)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음브래킷(120)은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면과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면에 걸쳐 연장되는 연장부(121)와, 연장부(121)의 양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122, 123)를 포함한다.
연장부(121)는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면과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면에 걸쳐 연장되는 판재형상의 금속성 부재이며, 절곡부(122, 123)는 연장부(121)의 양단부로부터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측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판재형상의 금속성 부재이다. 고정모듈(130)에 따라 이음브래킷(120)을 고정하게 되면 연장부(121)는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면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면에 밀착되며, 절곡부(122, 123)는 제1 중공파이프(10)의 측면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측면에 밀착된다. 연장부(121)에는 제2 체결공(H2)이 관통형성되며, 전술한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따라서는 고정핀(131)이 관통 체결된다.
고정모듈(130)은 제1 중공파이프(10)와 제2 중공파이프(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음브래킷(120)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모듈(130)은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고정핀(131)과, 고정핀(13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고정핀(131)은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후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고정핀(131)은 인서트(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헤드부(131a)와, 헤드부(131a)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131b)와, 바디부(131b)의 하단부에 나사산(S)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테일부(131c)와, 헤드부(131a) 및 바디부(131b) 사이에 마련되는 사각삽입부(131d)를 포함한다.
헤드부(131a)는 인서트(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구성으로, 처음부터 인서트(110)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인서트(110)와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따라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유닛(100)은 인서트(110)의 하면,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면,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면 및 연장부(121)의 상면이 상호 면접촉되어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헤드부(131a)는 제1 중공파이프(10)의 상측 내주면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즉, 헤드부(131a)는 체결부재의 체결시 인서트(11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이음브래킷(120)과 함께 인서트(110)의 하면이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측 내주면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측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인서트(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헤드부(131a)의 돌출길이는 반드시 제1 중공파이프(10)의 상측 내주면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상측 내주면에 인접하게 마련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바디부(131b)는 헤드부(131a)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바디부(131b)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따라 삽입된다.
테일부(131c)는 바디부(131b)의 하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S)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테일부(131c)에 마련된 나사산(S)을 따라서는 윙너트(132)로 마련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재는 윙너트(132)가 아닌 일반적인 너트 등을 사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사각삽입부(131d)는 헤드부(131a)의 하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 체결공(H1)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1 체결공(H1) 및 사각삽입부(131d)의 형상에 따라 제1 체결공(H1)에 고정핀(131)을 삽입하는 과정의 편의가 도모되며, 제1 체결공(H1)을 따라 삽입된 고정핀(13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파이프(10, 20)의 연결을 위해 먼저 제1 중공파이프(10)의 내측에 인서트(11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또한 제2 중공파이프(20)의 내측에 인서트(110)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인서트(110)를 배치한다. 이때 이음브래킷(120)은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측면과 양측면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 중공파이프(10)의 일단부와 제2 중공파이프(20)의 일단부를 최대한 밀착시킨 상태에서 인서트(110)의 제1 체결공(H1)과 이음브래킷(120)의 제2 체결공(H2)을 관통하여 배치된 고정핀(131)의 테일부(131c)의 나사산(S)에 윙너트(132)로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체결시킨다. 이때, 윙너트(132)를 점차 회전시키면 인서트(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헤드부(131a)가 인서트(11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인서트(110)의 하면이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측 내주면과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측 내주면에 점차 밀착되게 되며, 이음브래킷(120)의 연장부(121)가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측 외주면과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측 외주면에 점차 밀착되게 된다.
윙너트(132)를 끝까지 회전시키면 인서트(110)의 하측 외주면은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측 내주면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측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며, 이음브래킷(120)의 연장부(121)의 상면은 제1 중공파이프(10)의 하측 외주면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하측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즉,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는 인서트(110) 및 이음브래킷(120)의 밀착에 따라 통상적인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상측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 면을 이루도록 연결되므로 이와 같이 연결된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파이프(10, 20) 또는 상호 연결된 여러 쌍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합판(DP)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보강대(P)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유닛(100)을 사용하여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를 서로 연결하면 고정핀(131)의 바디부(131b)의 직경만큼(D, 도 5 참조)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연결지점이 벌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31b)에 인접하는 제1 중공파이프(10)의 일측부 및 제2 중공파이프(20)의 일측부에 각각 삽입슬릿(11, 21)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삽입슬릿(11, 21)이 형성된 파이프(10, 20)를 사용하면, 제1 중공파이프(10)의 일단부와 제2 중공파이프(20)의 일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이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유닛(100)은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10, 20)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파이프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파이프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200)은 인서트(210)와, 인서트(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음브래킷(220)과, 이음브래킷(220)을 고정하는 고정모듈(230)을 포함한다. 인서트(210) 및 이음브래킷(220)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실시예의 인서트(110) 및 이음브래킷(12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모듈(230)은 제1 중공파이프(10)와 제2 중공파이프(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음브래킷(220)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모듈(230)은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고정핀(231)과, 고정핀(23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고정핀(231)은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후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 중공파이프(10) 및 제2 중공파이프(2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고정핀(231)은 인서트(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헤드부(231a)와, 헤드부(231a)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231b)와, 바디부(231b)의 하단부에 제3 체결공(H3)이 관통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테일부(231c)와, 헤드부(231a) 및 바디부(231b) 사이에 마련되는 사각삽입부(231d)를 포함한다. 헤드부(231a), 바디부(231b) 및 사각삽입부(231d)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전술한 실시예의 헤드부(131a), 바디부(131b) 및 사각삽입부(131d)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테일부(231c)는 바디부(231b)의 하단부에 마련되되 제3 체결공(H3)이 관통형성되는 구성이다. 제3 체결공(H3)은 제1 체결공(H1) 및 제2 체결공(H2)을 따라 고정핀(231)을 삽입하면 연장부(221)의 상측 및 하측에 걸쳐 배치되도록 테일부(231c)를 관통하여 형성된다(도 9 참조). 제3 체결공(H3)을 따라서는 테이퍼핀(233)으로 마련되는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가 관통 삽입됨으로써 이음브래킷(220)을 고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는 테이퍼핀(233)으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테이퍼핀(233)은 이음브래킷(220)의 일측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직선면(233a)과, 이음브래킷(220)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마련되는 경사면(233b)을 포함한다.
직선면(233a)은 이음브래킷(220)에 인접한 테이퍼핀(233)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며, 경사면(233b)은 이음브래킷(220)으로부터 이격된 테이퍼핀(233)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233b)은 이음브래킷(220)을 향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마련된다.
테일부(231c)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 체결공(H3)을 따라 테이퍼핀(233)이 삽입하면 경사면(233b)에 의하여 테이퍼핀(233)은 점차 이음브래킷(220)의 하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테이퍼핀(233)을 완전히 삽입하면 직선면(233a)은 이음브래킷(220)의 하면에 접촉됨으로써 인서트(210)에 이음브래킷(220)을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연장부(221)의 상측 및 하측에 걸쳐 배치되는 제3 체결공(H3)에 의하여 이음브래킷(220)의 고정이 가능해지며, 곡면을 갖도록 마련되는 경사면(233b)에 의해 테이퍼핀(233)의 삽입 편의가 도모된다.
테이퍼핀(233)을 완전히 삽입한 뒤에는 테이퍼핀(23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 체결공(H4)을 따라 결속핀(234)을 체결함으로써 테이퍼핀(233)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는 전술한 형상을 갖는 테이퍼핀(233)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체결부재는 일반적인 웨지핀(Wedge Pin) 등을 사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유닛(200)은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10, 20)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유닛(300)은 제1 중공파이프(30)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제2 중공파이프(40)의 내측에 타단부가 삽입되는 인서트(310)와, 인서트(3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음브래킷(320)과, 이음브래킷(320)을 고정하는 고정모듈(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중공파이프(30) 및 제2 중공파이프(40)는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중공파이프로 마련된다.
인서트(310)는 제1 중공파이프(30) 및 제2 중공파이프(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중공형 금속성 부재이며, 이음브래킷(320)은 제1 중공파이프(30)의 하측 외주면과 제2 중공파이프(40)의 하측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에 유사한 단면형상을 갖는 금속성 부재이다.
고정모듈(330)은 제1 체결공(H5) 및 제2 체결공(H6)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고정핀(331)과, 고정핀(331)의 일단부에 체결되며 윙너트(332)으로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물론, 체결부재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테이퍼핀(미도시)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인서트(310), 이음브래킷(320) 및 고정모듈(330)에 관한 기타 사항과,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유닛(300)의 사용방법 등에 관한 기타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유닛(300)은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형 파이프(30, 40)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겹이음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파이프 연결유닛 110 : 인서트
120 : 이음브래킷 130 : 고정모듈
131a : 헤드부 131b : 바디부
131c : 테일부 131d : 사각삽입부

Claims (13)

  1. 제1 중공파이프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중공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중공파이프의 내측에 타단부가 삽입되는 인서트;
    겹이음(Lapped Joint)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일측면과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일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이음브래킷;및
    상기 제1 중공파이프와 상기 제2 중공파이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이음브래킷을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브래킷은,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일측면과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일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연장부; 및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인서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체결공 및 상기 이음브래킷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1 중공파이프와 상기 제2 중공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이음브래킷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인서트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인서트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제3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공은,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을 따라 상기 고정핀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이음브래킷 일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걸쳐 배치되도록 상기 테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이음브래킷에 인접한 일측면이 상기 이음브래킷에 평행한 직선면으로 마련되며 타측면은 상기 이음브래킷을 향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3 체결공에 삽입되는 테이퍼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핀에는 제4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3 체결공에 상기 테이퍼핀을 삽입한 후 상기 제4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테이퍼핀을 고정하는 결속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이음브래킷을 향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은 사각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사각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12.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인서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용접을 통해 상기 인서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13.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파이프 및 상기 제2 중공파이프는 각각,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중공형 파이프이며,
    상기 인서트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중공형 인서트이고,
    상기 이음브래킷은, 상기 제1 중공파이프의 하측 외주면과 상기 제2 중공파이프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곡면을 갖는 이음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유닛.

KR1020100035583A 2010-04-18 2010-04-18 파이프 연결유닛 KR20110116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83A KR20110116261A (ko) 2010-04-18 2010-04-18 파이프 연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83A KR20110116261A (ko) 2010-04-18 2010-04-18 파이프 연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261A true KR20110116261A (ko) 2011-10-26

Family

ID=4503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583A KR20110116261A (ko) 2010-04-18 2010-04-18 파이프 연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62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92B1 (ko) * 2018-01-15 2018-06-12 전상훈 흙막이 구조물
KR101877407B1 (ko) * 2018-01-10 2018-08-09 (주)명덕건설 가설 흙막이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07B1 (ko) * 2018-01-10 2018-08-09 (주)명덕건설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866792B1 (ko) * 2018-01-15 2018-06-12 전상훈 흙막이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3437B2 (ja) 管継手
JP5427954B2 (ja) らせん状自在管連結具
US8496215B2 (en) Elbow bracket for aeronautical equipment
KR20050026630A (ko) 철근 이음구
US20120049029A1 (en) Single-piece bracket for aeronautical equipment
TWI603023B (zh) 模組化接頭及製造此接頭的方法
KR20110116261A (ko) 파이프 연결유닛
KR100966786B1 (ko)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US20170362991A1 (en) Housing connection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CN105339717B (zh) 用于联结件的加强套筒,加强套筒和联结件的组件,将例如多层管道焊接至组件的方法
KR20150096554A (ko)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JP2009025002A (ja) 熱交換器
KR1008384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WO2015093257A1 (ja) 流体輸送用ヘッダー管継手
KR200490588Y1 (ko)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JP2008193481A (ja) 可とう導波管用接栓
KR101249077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KR101136912B1 (ko) 경관 구조물용 원형관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50634B1 (ko)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20100025734A (ko) 파형관 및 직선관 혼합형 플랜지 합성수지관
KR20160002530U (ko) 배관 연결구조
KR101144004B1 (ko) 파형관 이음재
KR20160112178A (ko) 철근 커플러
RU2263245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спиралешовных труб из витого полого профи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