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442A -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442A
KR20110115442A KR1020100034943A KR20100034943A KR20110115442A KR 20110115442 A KR20110115442 A KR 20110115442A KR 1020100034943 A KR1020100034943 A KR 1020100034943A KR 20100034943 A KR20100034943 A KR 20100034943A KR 20110115442 A KR20110115442 A KR 20110115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ve
composition
hangover
cinnamon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442A/ko
Publication of KR2011011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정향은 급성 에탄올 급여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숙취해소용 기능성 식품 또는 약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lcoholic hangover comprising clove}
본 발명은 에탄올성 지방간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조직에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10% 이상 많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 하며, 음주와 비만에 의한 지방간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혈중 리피드 농도가 높은 고지혈증, 당뇨병 등과 동반되어 흔히 나타난다.
지방간의 큰 분류로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비만, 당뇨병, 약물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비 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알코올성 지방간은 에탄올을 많이 섭취하여 간에 지방 합성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에너지 대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다.
2007년 한국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알코올 관련 질환에 의한 사망자수는 한해 인구 10만 명당 9.6명인데 전체 간질환 사망이 10만 명당 15.5명 사망수인 것을 비교해 보면 알코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계피(Cinnamon)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활엽 교목으로, 계피 추출물은 염증, 인슐린, 장세포 내에 지단백질 회로를 조절함으로써 종양괴사인자-α로 유도된 장의 지단백질 ApoB48 과생산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정향(Clove)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도금양과의 상록 소교목으로, 항산화 활성, 항곰팡이 활성,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폐암 예방을 위한 화학적 치료제로 사용하며 또한 면역 시스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브라피쉬(Zebrafish)는 잉어과에 속하는 인도산 소형 열대어류이며, 유전학, 발생학의 동물 모델로서의 장점을 가지는데, 척추동물로서 한 세대의 길이가 약 3개월로 짧고, 배아의 발생기간도 24시간으로 짧다. 지브라피쉬 모델을 이용한 에탄올성 지방간 형성이 최근에 보고된 바 있고(Passeri et al., 2009), 특히 지브라피쉬는 고지혈증 모델로서도 사용되어 4% 콜레스테롤 식이 공급으로 고지혈증과 동맥경화가 심각하게 유발되는 등의 사람과 유사한 생리적 특징을 보여 주었다 (Stoletov, 200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정향, 계피 및 월계수와 같은 3종의 향신료를 대상으로 지브라피쉬 모델을 이용한 에탄올성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정향 또는 계피가 에탄올성 지방간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에탄올성 지방간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탄올성 지방간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정향 및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정향 1 내지 20 중량% 및 계피 1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 함유된 정향 및 계피는 급성 에탄올 급여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간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또는 약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식품은 건강 기능식품 또는 건강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능성 음료, 환제, 정제 또는 상기 성분을 건조 분말화하여 충진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코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정향 또는 계피를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향미제 예를 들어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헤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과 합성 향미제 예를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정향 또는 계피는 천연 향신료로 사용되는 성분이므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정향 또는 계피를 숙취해소를 위한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70 중량%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음료에 첨가할 경우에는 100 mL를 기준으로 1 내지 100 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mL의 함량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향 또는 계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향신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정향 또는 계피를 1 내지 70 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정향 또는 계피를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소량으로 함유하면 원하는 숙취해소 효과를 얻기 곤란한 반면, 과량으로 함유하면 용량에 비해 숙취해소 효과가 둔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향 또는 계피의 사용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비강,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향 또는 계피가 급성 에탄올 급여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숙취해소용 기능성 식품 또는 약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각 향신료로 처리된 지브라피쉬 처리군의 생존 곡선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각 향신료로 처리된 지브라피쉬 처리군의 간조직 절단편의 Oil red O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A) 각 향신료로 처리된 지브라피쉬 처리군의 혈청에서의 철 환원능력, 및 B)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각 향신료로 처리된 지브라피쉬 처리군의 혈청에서의 GOT 및 GPT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각 향신료로 처리된 지브라피쉬 처리군의 균질 간조직에서의 GOT 및 GPT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원료물질 준비
계피(Cinnamon, 원산지: 인도네시아)는 나무의 껍질 부위, 정향(clove, 원산지: 마다가스카르)은 꽃봉우리, 월계수(laurel, 원산지: 터키)는 잎으로부터 제조된 것을 (주)오뚜기로부터 분말 형태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지브라피쉬 유도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 검토
알코올성 간손상을 유발하기 위해 아크릴수조(3 L)에 최종 농도 1%의 에탄올 (Merck, Darmstadt, Germany)이 포함된 물 3 L당, 25마리 지브라피쉬를 사육하였으며, 매일 아침마다 물을 교환해 주었고,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개체 수 당 앞서 준비된 향신료 분말을 각각 동일한 양으로 1회에 10 mg의 사료(TetraBit, Tetra, Germany)와 1 mg의 향신료(10%, wt/wt)들을 30일간 급여하였다.
정상대조군 에탄올대조군 계피처리군 정향처리군 월계수처리군
n 20 20 20 20 20
물 중 에탄올 농도 (mL/mL) 0 1% 1% 1% 1%
약물처리농도
(wt/wt)
0 0 식이 당 10% 식이 당 10% 식이 당 10%
이렇게 각각 다른 향신료를 처리한 지브라피쉬 간의 지방간 형성 및 개선효과를 보기 위해 간을 채취하여 -70℃에 보관한 후 Koopman의 방법(Koopman et al., 2001)에 따라 Cryotome(Leica CM1850, Leica, Germany)을 이용해 두께 5 μm로 횡단면 절단하여 section slides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샘플을 2시간 동안 공기 건조하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뒤 증류수로 씻어내고 100% 프로필렌 글리콜을 각각 5분씩 처리한 뒤에 0.7% Oil red O에 넣고 7분간 교반하여 85% 프로필렌 글리콜에 3분간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그 결과, 생존 곡선에서 에탄올의 급여가 없는 정상대조군의 개체들은 30일간 모두 생존하였고, 에탄올 (1% 최종 처리군)은 에탄올 공급 이후 10일째에 더 이상 생존개체가 없었다. 이는 에탄올의 공급에 따라 생존능력과 항상성 유지에 심각한 손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에탄올 공급 하에서 향신료 급여군 중 계피 처리군의 개체들이 80% 생존하였으며 정향 처리군과 월계수 처리군 순으로 생존하였다 (도 1 참조).
또한, 간조직을 절단하여 Oil red O 염색을 실시한 결과, 에탄올이 없는 상태에서 사육한 정상대조군은 정상적인 간조직의 절단면(도 2A)을 보였으며 에탄올만 급여한 에탄올 대조군(도 2B)은 간조직과 세포가 괴사되고 붕괴되어 가장 심하게 손상된 모습을 보였다. 계피 처리군은 간손상이 매우 적어 정상대조군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고(도 2C), 정향 처리군의 간조직도 거의 정상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도 2D), 월계수 처리군에서는 간조직이 많이 손상된 모습을 보였다(도 2E). 이는 지방간의 형성이 심할수록 생존율과 반비례하는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실시예 3> 철이온 환원능력 검토
각 향신료의 급여에 따른 항산화 능력 중 환원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지브라피쉬의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을 분리하여 하여 Benzie의 방법 (Benzie et al., 1996)에 따라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정량을 실시하였다. 추출한 각 혈청을 PBS에 10%로 희석하여 첨가한 후 FRAP 시약을 첨가하여 분광분석기(DU 800, Beckman Coulter, USA)를 이용해 실온에서 593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 중 철이온 환원능력을 비교할 수 있는 FRAP 정량의 결과에서 초기값에 비해 흡광도가 증가할수록 환원능력이 높음을 의미하는데, 계피 처리군 혈청의 항산화 능력이 가장 높았고(초기값의 414% 증가), 다음으로 월계수 처리군(초기값의 309% 증가), 정향 처리군(초기값의 256%증가) 순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도 3A).
또한, 각 향신료들의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소거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DPPH 소거 활성 측정을 실시한 결과, 정향(최종 농도 0.1 mg/mL)은 반응 시작 후 초기부터 강한 소거 활성을 보여주었고(도 3B), 월계수는 초기값의 -0.07에서 -0.18의 흡광도 감소를 보여, 향신료의 급여에 따른 지브라피쉬 혈청의 철 이온의 환원능력과 라디칼의 소거능력은 잘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4> 지브라피쉬 혈청 GOT 및 GTP 분석
Reitman-Frankel법 (Reitman et al., 1957)을 이용하여 혈청 지오티(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지피티(Glutamatepyruvate transaminase; GPT)를 측정하기 위해 아산셋트 지오티ㅇ지피티 측정용 시액 (C081, 아산제약, 경기도)을 사용하였다. 각 군별의 혈청은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이용하여 10%로 희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균질 간조직을 4분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0.18 mg/mL로 희석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한 후 ELISA reader (680 model, BIORAD, Hercules, CA, USA)로 490 nm에서 흡광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처리군의 지브라피쉬 혈청에 관한 GOT값을 측정해 본 결과 정상대조군(5369 mU/L)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에탄올 대조군 (7762 mU/L)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계피 처리군(7372 mU/L)과 정향 처리군(7558 mU/L)에서 감소하였으며 월계수 처리군(8022 mU/L)은 에탄올 대조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GPT값을 측정해 본 결과, 처리군별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대조군(3393 mU/L)이 가장 낮고, 에탄올 대조군(3930 mU/L)에서 증가하였고, 향신료 처리군들도 에탄올 처리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에탄올의 장기 급여에 따라 혈청 GOT와 GPT의 상승으로 발생하는 에탄올 소비에 의한 간조직의 손상이 심각함을 의미하고, 향신료의 섭취로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5> 지브라피쉬 분쇄 간조직 GOT 및 GTP 분석
지브라피쉬 각 군별의 간 10 mg씩과 500 mL의 PBST(Phosphate Buffered Saline Tween-20)를 첨가한 다음 단백질의 변성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용기를 아이스배스(ice-bath) 내에서 균질기(EURO-ST Dmodel, IKA, Germany)를 이용하여 900 rpm으로 3분간 분쇄하여 에멀전 상태로 만들었고, 총 단백질량을 Bradford의 방법에 따라 정량한 후(Bradford, 1976), PBS를 사용하여 동일한 농도인 0.18 mg/mL로 희석한 후, 앞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GOT와 GP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302 karmen/mL)과 에탄올 대조군(318 karmen/mL)이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고, 향신료 처리군에서도 계피 처리군(306 karmen/mL)과 월계수 처리군(320 karmen/mL)이 대조군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정향을 처리한 군에서 현저히 감소된 GOT 값을 보여주어(254 karmen/mL), 에탄올 섭취에 따른 간조직의 염증 유발 억제에 가장 우수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정향 분말을 포함하는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건강식품의 제조
정향분말 2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건강음료의 제조
정향분말 20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하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제제예 3> 산제의 제조
정향분말 50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 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정제의 제조
정향분말 50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캅셀제의 제조
정향분말 50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정향 5 내지 20 중량% 및 계피 5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또는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건강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100034943A 2010-04-15 2010-04-15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10115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43A KR20110115442A (ko) 2010-04-15 2010-04-15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43A KR20110115442A (ko) 2010-04-15 2010-04-15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42A true KR20110115442A (ko) 2011-10-21

Family

ID=4503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43A KR20110115442A (ko) 2010-04-15 2010-04-15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4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KR101640258B1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60125489A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829637B1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KR101749967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KR101675930B1 (ko) 겨우살이, 갈근, 및 산수유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143084B1 (ko)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7288A (ko)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40047335A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724587B1 (ko)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10115442A (ko)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40145666A (ko) 갈조소, 유근피 및 저분자 알긴산의 천연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00260B1 (ko) 두메부추 및 오이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