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419A -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419A
KR20110115419A KR1020100034910A KR20100034910A KR20110115419A KR 20110115419 A KR20110115419 A KR 20110115419A KR 1020100034910 A KR1020100034910 A KR 1020100034910A KR 20100034910 A KR20100034910 A KR 20100034910A KR 20110115419 A KR20110115419 A KR 20110115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ireless microphone
carrier frequency
frequency ba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622B1 (ko
Inventor
김철한
Original Assignee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6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mitt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노래반주기에 있어서 무선 마이크의 고장이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무선 마이크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 시에, 무선 마이크와 노래반주기의 간의 채널을 재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과정을 일일이 개별적으로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동으로 채널이 일치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마이크 자동 채널 부여 방법은 송수신할 수 있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노래 반주기에 부여하는 카운터 관리 수단; 상기 카운터 관리 수단으로 부터 부여받은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는 채널 제어부와 상기 설정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를 무선마이크에 보내는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기; 및 상기 정보 송신부로부터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입력부와 수신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로 설정하는 채널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마이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wireless microphon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nel granting}
본 발명은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마이크 교체시 카운터 관리기에 의해 관리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지정된 채널로서 노래 반주기와 무선 마이크가 자동으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 장치는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한 후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말한 작은 크기의 음성신호를 크게 증폭한 후 출력하여 넓은 장소에 있는 많은 사람이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육성으로 피교육자나 교육내용을 전달하여 많은 사람이 청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강사에게 성대의 무리를 방지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학교, 학원 등 여러 기관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고 특히 노래를 부르는 가수들의 무대 그리고 콘서트장 등 여러 곳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 장치로는 유선과 무선방식이 있다. 유선방식은 마이크와 증폭장치를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연결선을 통해 증폭장치로 입력시키는 것으로 구성이 간단한 반면에 사용자가 연결선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선 방식은 마이크와 송신기를 연결하여 마이크의 입력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고, 송신기가 송출한 고주파 신호는 수신장치가 수신하여 원래의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증폭 및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이다. 무선방식은 연결선으로 연결함이 없이 사용자가 간단히 마이크 및 송신기만을 휴대하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동이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최근에 유선 마이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자유로운 움직임이 필요한 무대 연기 및 강의 등에서 무선 마이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선 마이크는 법적으로 허용된 주파수 대역을 적당한 간격으로 채널로 구분하여 송신기와 수신기가 일대일 대응으로 하나의 채널을 통해 신호를 교환하게 된다. 초기 송신기와 수신기의 채널을 맞추기 위해서는 상호 리셋기능을 통해 송신기와 수신기가 자신의 고유번호를 송출하고, 반대로 먼저 수신되는 고유번호를 서로 인식하여 상호 고유번호를 저장한 이후 비어있는 채널을 할당하게 되어 일대일 형태의 무선마이크와 수신기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무선 마이크를 교체해야 할 상황이 발생시에 송수신기간의 채널을 재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과정을 개별적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만약 송신부와 수신부로 나누어져 각각의 기기에서 서로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에서, 적은 채널의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송신부와 수신부의 주파수가 고정돼 있기 때문에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던 사람이 장소를 이동할 경우 송신기와 수신기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는 일이 발생한다.
노래방과 같은 업소에 있어서, 무선 마이크는 널리 이용될 것으로 생각되며, 배터리의 방전이나 고장과 같은 일이 번번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무선 마이크를 교체하고 일일이 방마다 설정을 하기에는 사용 방법이 복잡한 것도 있기 때문에 기계 관련 쪽으로 문외한인 업주로서는 어려움을 느낄 수가 있고 많은 시간과 노동력의 낭비가 예상된다. 또한, 많은 수의 채널을 가지지 못한 시스템에서의 무선마이크에 있어서는 혼선 현상이 자주 발생할 것이며 노래방과 같은 업소와 같이 룸들이 밀착되어 있는 곳은 혼선으로 인한 문제도 우려된다. 하지만, 혼선을 줄이기 위한 다채널이 확보된 현재 구현되어 있는 다채널용 시스템들은 방송용 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이러한 장비는 가격이 너무 비싸고 대부분 그렇게까지 많은 다채널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업소에 있어서 그것을 도입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큰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노래반주기에 있어서 무선 마이크의 고장이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무선 마이크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 시에, 무선 마이크와 노래반주기의 간의 채널을 재설정하기 위해 초기화 과정을 일일이 개별적으로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동으로 채널이 일치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 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할 수 있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노래 반주기에 부여하는 카운터 관리 수단; 상기 카운터 관리 수단으로 부터 부여받은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는 채널 제어부와 상기 설정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를 무선마이크에 보내는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기; 및 상기 정보 송신부로부터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입력부와 수신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로 설정하는 채널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마이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운터 관리 수단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룸의 수에 따라 나누고 각 룸의 노래 반주기에 배수 간격으로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부여하여 간섭 현상을 줄이는 것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노래 반주기의 채널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위상을 변경하여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마이크의 채널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수신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위상을 변경하여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선 마이크와 노래 반주기의 캐리어 주파수 채널의 정보 송수신은 각종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적외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카운터 관리 수단에서 캐리어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여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면, 노래 반주기의 정보 송신부와 무선 마이크의 정보 입력부의 신호 교환으로 캐리어 주파수 채널이 일치되게 설정되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마이크와 노래반주기에서 각각 설정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운터 관리 수단에서 각 룸의 노래 반주기의 채널을 합리적으로 방지하게 설정하기 때문에 혼선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룸에 설치된 카운터 관리 PC와 연결되어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노래반주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룸의 채널 부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각 룸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널을 부여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각 룸에 설치된 카운터 관리 PC와 연결되어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기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운터 관리 PC는 모든 룸에 있는 노래반주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수신부를 갖는 노래 반주기(111)(112), 무선 송신부를 갖는 무선 마이크(101)(10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기기는 노래반주기 외에 무선 마이크와 연계되는 여러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마이크(200)와 노래 반주기(21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무선마이크는 음성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201), 그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202), 노래 반주기의 정보 송신부(217)로부터 정보를 받는 정보 입력부(207),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캐리어 주파수를 설정하는 채널 제어부(206), 설정된 캐리어 주파수와 음성신호를 혼합하고 이에 맞게 주파수를 출력하는 혼합처리부(203), 이러한 혼합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노래 반주기의 수신부로 보내기 위한 증폭과 필터링을 하는 송신부(204) 및 안테나(205)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마이크의 채널 제어부(206)는 노래 반주기의 정보 송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을 제어하거나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는 회로나 소자를 사용하여 노래 반주기에 설정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캐리어 주파수 채널이 설정되면, 마이크의 혼합처리부(203)에서는 신호의 레벨 변화를 수행하고 캐리어 주파수를 출력하며, 음성 신호와 캐리어 주파수를 혼합한 후에 송신부(204)로 보내어 안테나(205)를 통해 노래 반주기로 전송시키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 반주기는 무선 마이크로부터 온 신호를 받는 안테나(211)와 수신부(212), 그리고 카운터 관리 PC(120)로부터 입력된 캐리어 주파수 정보를 받고 이정보 송신부(217)가 캐리어 주파수를 알리는 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채널 제어부(216),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혼합처리부(213), 그리고 그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214) 및 노래 반주기에 출력부(210)로 구성되어 있다.
노래 반주기의 채널 제어부(216)는 카운터 관리 PC(120)에서 입력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의 정보를 받고 이것을 정보 송신부(217)를 통해 캐리어 주파수채널 정보를 무선 마이크에 전송하도록 하며, 전압을 제어하거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는 회로나 소자를 사용하여 카운터 관리 PC(120)로부터 입력받은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고, 수신부(212)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혼합처리부(213)가 입력된 캐리어 주파수에 실린 신호에서 음성 대역 신호만을 선별하고 그것을 필터링 하게끔 제어한다.
상기 정보 송신부(217)와 정보입력부(207)는 서로 캐리어 주파수 채널 정보를 주고 받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IR 적외선 통신, 그리고 RF 통신 방법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겠지만 노래 반주기를 이용하는 업소에서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카운터 관리 PC가 채널을 부여하는 순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각 룸의 번호를 나타낸 그림이다. 대체로 업소의 각 룸은 순서대로 밀집해 붙어 있기 때문에 각 룸 별로 순서대로 채널을 부여하는 혼선의 염려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각 방의 수로 나눈 후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로 채널을 부여함으로써 부여된 채널 간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그만큼 혼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카운터 관리 PC는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업소의 룸의 수로 나누어 채널의 수를 결정한다. a는 각 룸의 번호를 지칭하고, n은 채널의 배열을 위한 연산을 위해 지정된 값이며, y는 채널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룸의 수를 8개라고 가정하고 각 룸을 1, 2,...8이라고 하자. 그러면 카운터 PC에서 각 방의 수에 맞게 y는 8개로 되어, 채널 순서대로 1, 2,...8이라고 지정한다. 즉, 925MHz 부터 932MHz까지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 가능하다면, 이 주파수를 8구간으로 나누어 값 1은 925MHz, 2는 926MHz... 8은 932MHz까지 순차적으로 부여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을 부여하기 위해 n의 값을 1로 설정(S300)된다. 첫번째 방부터 부여하므로 a=1(S301)이다. 채널을 지정 연산 y=2n-1(S302)에 의해 y값은 1이 된다. y값이 8을 초과하지 않으므로(S304) 1번 방은 y의 값 1번 채널에 해당하는 925MHz가 설정(S306)된다. 다음 룸의 채널의 설정을 위해 n=n+1에(S308)의해 n=2가 되고 a값도 a=a+1(S309)처럼 하나 증가하여 위와 같은 연산으로 y값은 3이 되어 2번 방은 3의 값 927MHz가 된다. 마찬가지로 3번 방과 4번 방은 y값이 5, 7이 되어 929MHz, 931MHz로 설정된다.
y 값이 8을 초과하게 되면 n=1로 다시 부여(S310)되고 y=2n(S312)에 의하여 y값 2를 구해지게 되며, y값이 8을 초과하지 않으므로(S314) 5번 방은 y의 값 2번 채널에 해당하는 926MHz가 설정(S316)된다. 다음 룸의 채널 설정을 위해 n=n+1(S318)에 의해 n=2가 되고 a값도 a=a+1(S320)처럼 하나 증가하여 마찬가지 방법으로 6번, 7번, 8번 방에는 각각 928Mhz, 930Mhz, 932Mhz가 설정되고 이후에는 y값이 8을 초과하게 되어 채널 설정 작업이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각 방에는 순서대로 채널이 모두 부여되게 된다. 한편, 각 업소의 룸의 수와 허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카운터 관리 PC에서 설정을 통하여 방의 수 a 값과 채널의 수 y 를 구하는 식은 y=3n, y=4n, y=3n+1, y=4n+1... 이와 같이 얼마든지 다른 것으로 설정도 가능하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관리 PC에서 채널을 위에서 진술된 것처럼 설정된 후, 각 룸에서 노래 반주기와 무선마이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S500)고 가정하자. 무선 마이크 고장(S502)으로 인해 무선마이크를 교체(S504)하게 되면, 카운터 관리 PC와 네트워크를 통해 채널 정보를 받고 있는 노래 반주기는 설정된 채널 정보를 부여받게 된다. (S506) 채널 제어부에 의해 채널 정보를 정보 송신기를 통해 전송(S508)하면 무선 마이크의 정보 입력부는 그 정보를 받아서 채널 제어부로 보낸다. 채널 제어부는 노래 반주기의 정보 송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을 제어하거나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는 회로를 사용하여 노래 반주기가 수신할 수 있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S510)한다. 이렇게 캐리어 주파수가 일치하게 되어 정상적으로 무선 마이크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노래 반주기를 이용(S512)할 수 있게 된다.
101,102: 마이크 111,112: 노래반주기
120: 카운터 관리 PC 200: 무선마이크
201: 무선마이크 입력부 202: 무선마이크 앰프
203: 무선마이크 혼합처리부 204: 무선마이크 송신부
205: 무선마이크 안테나 206: 채널제어부
207: 정보입력부 210: 노래반주기
211: 노래반주기 안테나 212: 노래반주기 수신부
213: 노래반주기 혼합처리부 214: 노래반주기 앰프
215: 노래반주기 출력부 216: 채널제어부
217: 정보송신부

Claims (5)

  1. 송수신할 수 있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노래 반주기에 부여하는 카운터 관리 수단;
    상기 카운터 관리 수단으로 부터 부여받은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는 채널 제어부와 상기 설정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를 무선마이크에 보내는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기; 및
    상기 정보 송신부로부터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입력부와 수신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로 설정하는 채널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마이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관리 수단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룸의 수에 따라 나누고 각 룸의 노래 반주기에 배수 간격으로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부여하여 간섭 현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기의 채널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위상을 변경하여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마이크의 채널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수신된 캐리어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위상을 변경하여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마이크와 노래 반주기의 캐리어 주파수 채널의 정보 송수신은 각종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적외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KR1020100034910A 2010-04-15 2010-04-15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KR101104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10A KR101104622B1 (ko) 2010-04-15 2010-04-15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10A KR101104622B1 (ko) 2010-04-15 2010-04-15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19A true KR20110115419A (ko) 2011-10-21
KR101104622B1 KR101104622B1 (ko) 2012-01-12

Family

ID=4503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10A KR101104622B1 (ko) 2010-04-15 2010-04-15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6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8378B2 (en) 2014-05-13 2020-02-11 Toshiba Memory Corporation Memory system
KR102455481B1 (ko) * 2021-08-11 2022-10-19 주식회사 나인미디아 내부 살균이 가능한 마이크의 혼선 방지 시스템
KR102460441B1 (ko) * 2021-08-11 2022-10-31 주식회사 나인미디아 자동 음소거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의 혼선 방지 시스템
KR102462331B1 (ko) * 2021-08-11 2022-11-03 주식회사 나인미디아 내부 살균이 가능한 자동 음소거 마이크의 혼선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644B1 (ko) * 2002-07-25 2005-06-13 (주)바이오버드 단백질의 산업적인 리폴딩방법
KR100625457B1 (ko) 2005-04-20 2006-09-20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노래반주기용 무선마이크의 자동 온오프 및 방전알림장치
KR200410863Y1 (ko) * 2005-11-02 2006-03-10 (주)사운드 테크 엔터프라이즈 자동 채널 설정 가능한 무선 마이크 시스템
KR100656119B1 (ko) * 2006-02-13 2006-12-11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무선마이크 채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89151B1 (ko) * 2007-07-20 2009-03-16 김명철 철재 화이트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8378B2 (en) 2014-05-13 2020-02-11 Toshiba Memory Corporation Memory system
KR102455481B1 (ko) * 2021-08-11 2022-10-19 주식회사 나인미디아 내부 살균이 가능한 마이크의 혼선 방지 시스템
KR102460441B1 (ko) * 2021-08-11 2022-10-31 주식회사 나인미디아 자동 음소거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의 혼선 방지 시스템
KR102462331B1 (ko) * 2021-08-11 2022-11-03 주식회사 나인미디아 내부 살균이 가능한 자동 음소거 마이크의 혼선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622B1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483B2 (en) Sound control system, sound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KR101104622B1 (ko)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CN105282660A (zh) 一种实现多声道立体声输出的方法、终端和系统
US20150055781A1 (en) Wireless speaker device and wirelessly multi-channel audio system thereof
US10194242B2 (en) Content playback device, content playback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7885716B2 (en) Audio/visual data communication system, audio/visual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audio/visual data reproducing device
US20220060827A1 (en) Digital multi-zone audio system
US7024003B2 (en) Wireless speaker system suitable for hard-wired audio system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CN218103136U (zh) 一种无线分区广播系统
US10652658B2 (e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terminal
KR20100020506A (ko)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KR20170131916A (ko)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관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92105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on-demand audio processing, amplification and distribution
KR100923488B1 (ko)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20050017806A (ko) 통합 스피커 제어 시스템
KR101399915B1 (ko) 자동 마이크신호 설정수단이 구비된 전관방송시스템
KR200302580Y1 (ko) 복수의 음성 및 스피커그룹 제어시스템
KR100466304B1 (ko) 복수의 음성 및 스피커그룹 제어시스템
JP2016118649A (ja) 無線lan機能を備えたマルチトラック録音システム
CN210781303U (zh) 音响系统及电子系统
KR20130091460A (ko) 전력선을 이용한 디지털 스피커 제어 시스템
WO2022202176A1 (ja) 音響システム、音響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音響機器
KR102126674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 스피커를 이용한 방송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CN101404156A (zh) 具有音频信号输出电平控制功能的无线音乐伴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