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943A -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943A
KR20110114943A KR1020100034340A KR20100034340A KR20110114943A KR 20110114943 A KR20110114943 A KR 20110114943A KR 1020100034340 A KR1020100034340 A KR 1020100034340A KR 20100034340 A KR20100034340 A KR 20100034340A KR 20110114943 A KR20110114943 A KR 2011011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heat storage
hot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985B1 (ko
Inventor
김익수
Original Assignee
김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수 filed Critical 김익수
Priority to KR102010003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985B1/ko
Priority to PCT/KR2011/002676 priority patent/WO2011129637A2/ko
Publication of KR2011011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와 같은 습식 마감용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건식 마감용 재료를 사용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빠르며 계절에 영향이 없는 동시에 축열공간의 확장에 의하여 난방 에너지를 절약하고 위치에 따라 난방온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거공간의 바닥층에 시설되어 난방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재와, 주거공간에 난방열을 공급되는 난방파이프와, 난방파이프가 배선되어 면접촉 상태로 고정되고 상단면이 개방된 배선부와, 난방파이프의 난방열을 전달받아 편평한 상단면으로 방열하고 일부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축열부 및 난방파이프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차폐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은 건식 마감용 재료를 사용하므로 시공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건축물의 전체적인 하중을 줄이며, 난방열의 축열공간을 크게 하면서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유지보수 및 재시공이 용이하고, 주거공간의 바닥 위치에 따라 난방온도에 부분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며, 난방 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A hot water heating floor panel system}
본 발명은 주택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이 난방을 필요로 하는 주거공간의 바닥에 설치하여 온수를 난방용 열원으로 사용하는 온돌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르타르와 같이 습식 마감용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건식 마감용 재료를 사용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빠르며 계절에 영향이 없는 동시에 축열공간의 확장에 의하여 난방 에너지를 절약하고 위치에 따라 난방온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돌은 우리나라 가옥의 전통적인 난방 방식으로 열원으로부터 먼저 방바닥을 따뜻하게 데우고 데워진 방바닥의 간접 복사열에 의하여 주거공간을 난방하는 방식이므로 열원이 제거된 후에도 온기가 비교적 오래 동안 지속된다.
또한, 서양의 벽난로 난방 방식은 열원이 발생한 열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으로 주변을 신속하게 데울 수 있으나 열원이 제거되면 즉시 온기를 잃어버린다.
이러한 온돌은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중에서 선택된 에너지를 이용하고 높은 열효율로 운용하는 온수 보일러의 개발에 의하여 온수를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온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온돌을 온수 온돌이라고 한다.
또한, 온돌장치는 주거공간의 넓은 바닥면을 데우는 방식이므로 열을 활용하지 않는 땅속 또는 아랫면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난방열이 낭비되지 않도록 아랫면에 단열재를 시설하고 열의 누설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열원에 의하여 발생된 난방열은 손실 없이 주거공간인 윗면으로 최대한 많이 공급하는 동시에 일부의 난방열을 저장 또는 축열하여 열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가능한 긴 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로 난방이 지속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50987호(2001.10.08.등록)인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은 온수 온돌 판의 아랫면에 단열재를 사용하여 열의 불필요한 손실을 차단하였다.
한편, 온돌의 바닥면을 평탄하게 하고 축열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120 내지 130 밀리미터(mm) 두께로 마감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였으며, 이러한 마감용 모르타르는 평균적으로 단위 입방미터 당 약 230 킬로그램(kg/m*2)의 무게에 이른다.
그러나 마감용 모르타르는 물을 사용하는 습식이므로 계절에 영향을 받아 추운 겨울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숙련된 기술자를 필요로 하며, 타설 및 건조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시공 기간 및 비용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마감용 모르타르의 무게에 의하여 건축물의 하중이 커지고 재보수가 복잡하고 어려우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온수 온돌 패널의 시공에 계절적인 영향이 없고 매우 간편하며 신속하게 시공하고 경량으로 건축물의 하중을 줄이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온돌 패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므로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고 공기층을 이용하여 축열 하므로 층간소음을 줄이고 난방용 에너지를 절약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온돌 패널의 시공을 완료한 후에 카펫 등의 건식 재료를 이용하여 마감을 빠르고 간편하게 하여 주거공간의 시공 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온돌 패널로 주거공간을 난방하는데 있어서, 바닥의 위치에 따라 난방 온도에 차이가 없고 균일한 온도로 고르게 난방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바닥층에 시설되어 난방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재와, 주거공간에 난방열을 공급되는 난방파이프와, 난방파이프가 배선되어 면 접촉 상태로 고정되고 상측이 개방된 배선부와, 난방파이프의 난방열을 전달받아 편평한 상단면으로 방열하고 일부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축열부 및 난방파이프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차폐막을 포함하고, 배선부와 차폐막 사이는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축열부의 상단면과 차폐막의 상단면은 편평하고 카펫, 석재, 나무, 장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건식마감재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폐막은, 2 겹으로 구성되어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축열부는, 배선부와 공간을 밀폐된 상태로 분리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격벽은 경사진 형상과 수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격벽이 휘어지지 않도록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홈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격벽은 배선부와 공기가 유통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축열된 난방열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격벽은 다수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축열된 난방열의 위치별 온도 차이를 최소로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축열부는, 격벽의 상단에 배선부를 밀폐 상태로 덮는 차폐막이 고정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선부는, 난방파이프의 일측 외주면을 면접촉 상태로 고정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차폐막에 의하여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고 축열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온수 온돌 패널과 차폐막의 구성에 의하여 축열공간을 크게 하면서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유지보수 및 재시공이 용이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온수 온돌 패널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습식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카펫, 석재, 목재, 장판 등의 건식 마감용 재료를 사용하므로 시공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건축물의 전체적인 하중을 줄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난방열을 축열하는 각 축열공간의 공기가 구멍을 통하여 상호 원활하게 유통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므로 주거공간의 바닥면 온도가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온도로 발열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난방열을 축열 하는 축열공간을 확장시켜 주거공간용 난방 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단위의 온수 온돌 패널이 주거공간의 바닥에 다수가 연속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의 조립상태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 도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 도시도,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 도시도 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뿔형은 밑면과 동일한 형상이 위로 연장 형성되면서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어 하나의 꼭지점에서 만나는 형상이다. 뿔형은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 형상으로 존재할 수 있고, 밑면이 원형이면 원뿔형, 사각형이면 사각뿔형, 직사각형이면 직사각뿔형이라고 한다.
절두 뿔형은 중간에서 절단하여 꼭지점 부분이 없는 형상이다.
장방형상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하며, 부분적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을 할 수 있다.
건축에서의 마감은 미장이라고도 하며, 크게 건식마감재와 습식 마감재로 구분할 수 있다.
습식마감재는 시멘트, 황토 등을 주원료로 하고 물과 혼합하여 타설하므로 마감하는 재료이고, 마감 후의 일체감과 견고함을 느끼게 하지만 작업이 비교적 어렵고 숙련공을 필요로 하며 습기를 없애고 사용하기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된다.
건식마감재는 목재, 카펫, 종이, 비닐 장판 등과 같은 건자재를 사용하여 마감하는 재료이고, 시공 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마감 완료 후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롤포밍(roll forming) 방식은 냉간(冷間) 롤 성형법으로 철판을 다수의 롤(roll) 금형으로 연속 가공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방식이고 cold roll forming, band-profilwalzung 등으로 호칭된다.
롤포밍에 의한 성형은 일렬로 연속된 다수의 성형 롤에 의하여 띠 형태의 금속판을 압력 또는 열을 이용하여 순차로 성형 가공하므로 원하는 단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소성가공(塑性加工) 또는 휨가공 방식이고, 절곡가공, 프레스 가공 등으로 성형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동일한 형상의 긴 제품을 양산하는데 적합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주거공간의 바닥층(100) 상측부에 온도가 이동되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재(110)가 시설되어 시공된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의 바닥층(100)은 콘크리트 슬래브, 황토, 목재 등을 포함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단열재(110)는 열의 전달을 늦추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발포폴리스티렌, 우레탄폼, 암면, 유리면 등을 포함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단열재(110)의 상측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온수 온돌 패널(200)이 시공되고, 온수 온돌 패널(200)은 배선부(130)와 축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배선부(130)는 상측이 개방되고, 바닥에 가이드부(132)가 성형되어 있다.
가이드부(132)에는 난방파이프(120)가 배관되어 일부 면접촉 상태로 고정한다.
난방파이프(120)에는 온수, 뜨거운 증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열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흐르면서 난방열을 공급한다.
난방파이프(120)는 프라스틱류에 의한 호오스와 금속류에 의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배선부(130)의 개방된 상측은 차폐막(150)에 의하여 덮어지므로 밀폐상태가 된다.
이때, 축열부(140)의 측벽을 형성하는 격벽(144)은 상단에 걸림턱(142)을 구비하여 차폐막(150)을 삽입 및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차폐막(150)과 걸림턱(142)은 밀폐 상태를 유지하고 배선부(130)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축열공간으로 활용한다.
차폐막(150)과 난방파이프(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난방파이프(120)가 방출하는 난방열은 축열공간에 전달된다.
여기서 난방파이프(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주거공간용 난방열은 일부 면접촉한 가이드부(132)를 통하여 온수 온돌 패널(200)을 구성하는 축열부(140)에 전달한다.
축열부(140)는 전달된 난방열을 상단면(215)으로 방출하는 동시에 축열부(140)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의 공기를 데워 축열 한다.
한편, 난방파이프(120)가 가이드부(132)와 면접촉하지 않은 부분으로 난방열을 방출하여 배선부(130)와 차폐막(150) 사이에 형성된 축열공간의 밀폐된 공기를 데우므로 축열 한다.
그러므로 난방파이프(120)와 가이드부(132)가 면접촉하지 않은 면적을 비교적 크게 하여 난방열이 많이 방출되도록 하고 축열공간에서 많은 열을 축열 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축열부(140)의 측면을 형성하는 격벽(144)은 기계적 강도를 높여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휘어지거나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강홈(22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 2 및 도 3 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원형형상을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기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차폐막(150)은 한 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외부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2 겹으로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축열부(140)의 상단면(215)과 차폐막(150)의 상단면(155)은 편평한 상태가 일치되는 구성이고 주거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축열부(140)와 차폐막(150)에 의하여 편평한 상태가 일치된 각 상단면에는 카펫, 석재 또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마루, 종이 또는 비닐 등에 의한 장판 등이 포함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한 건식마감재(30)가 부착되어 주거공간의 바닥 마감이 완성된다.
주거공간의 바닥 마감을 빠르게 완성하기 위하여서는 카펫을 선택하는 것이 비교적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바닥면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빠르며 용이한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축열부(140)에 의한 축열공간(148)과 배선부(130)에 의한 축열공간은 각각 난방열을 저장하는 공간이고, 각각 축열된 온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완성된 주거공간의 바닥에서 위치에 따라 난방 온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축열부(140)의 측벽인 격벽(144)에 구멍(146)을 형성하여 난방열을 축열하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여, 주거공간의 바닥면에서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열부(140)의 격벽(144)을 다수의 기둥으로 대체하여 구성하므로 온도 차이의 발생을 최소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축열부(140)에 의한 축열공간(148)과 배선부(130)에 의한 축열공간에는 공기로 채우거나 축열 성능이 우수한 별도의 축열재로 채울 수 있다.
이러한 축열공간들은 난방파이프(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난방열의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축열된 열을 주거공간에 소정 시간 동안 방출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난방용 에너지를 절약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주거공간의 바닥에 습식의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완성이 매우 빠르며 바닥층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주거공간용 건축물의 구조를 튼튼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거공간의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유지보수 및 재시공 등이 매우 용이하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단위의 온수 온돌 패널이 주거공간의 바닥에 다수가 연속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단위를 형성하는 각각의 온수 온돌 패널(200)이 상하좌우로 연속 배치된다.
여기서 축열부(140)의 격벽 상단에 차폐막이 걸쳐져 고정되는 걸림턱(142)이 형성되고, 격벽에 다수의 보강홈(220)이 형성되어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난방파이프가 배선되어 일부 면접촉하는 가이드부(132)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132)에는 난방열을 공급하는 난방파이프가 가이드부(132)를 따라 지그재그(zigzag) 상태로 연속 연결되어 배관되므로 주거공간의 바닥에서 난방열이 균일하게 방열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4 개의 온수 온돌 패널(200)이 상하좌우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주거공간의 바닥 모양에 따라 배치 및 시설되는 숫자는 다를 수 있고, 일부를 절단한 상태로 배치 및 시설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온수 온돌 패널(20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고정용 나사, 체결용 홈 등의 구조에 의하여 체결 및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의 조립상태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온수 온돌 패널(200)은 롤포밍(roll-forming)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가이드부(132)와 축열부(140)가 순차 반복 구성된다.
축열부(140)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에 의한 장방형상의 절두 뿔형으로 도시되어 격벽(144)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격벽(144)이 수직 형상을 할 수도 있다.
격벽(144)에는 기계적인 강도를 높이므로 휨 또는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차단하는 보강홈(220)이 다수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홈(220)에 의하여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밀집형 주거공간에서의 층간소음을 줄이게 된다.
축열부(140)의 내부는 밀폐되어 공기층을 저장하고, 저장된 공기층에 의하여 주변온도를 저장 또는 축열하며, 주변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축열된 난방열이 상단면(215)을 통하여 주거공간으로 방출된다.
이때, 차폐막(150)에 의하여 형성된 축열공간의 난방열은 해당 상단면(155)을 통하여 주거공간으로 방출된다.
여기서 주변온도는 배관된 난방파이프(120)를 따라 흐르는 난방열을 공급하는 열원의 온도가 포함된다.
즉, 난방파이프(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원의 온도가 축열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축열된 온도를 방출한다.
보강홈(220)은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강홈(220)은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격벽(144)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므로 외부로부터 축열부(140)의 상단면(215)에 인가되는 소정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거나 차단한다.
축열부(140)의 상단면(215) 가까이에 걸림턱(142)이 동일한 높이로 성형되고, 축열부(140)의 옆에는 난방파이프(120)가 배관되는 가이드부(132)가 성형되며, 축열부(140)와 가이드부(132)는 롤포밍 방식으로 성형된다.
가이드부(132)에 성형된 곡면은 난방파이프(120)의 외경과 같으므로 배관된 난방파이프(120)는 가이드부(132)와 면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일부가 면접촉한 상태이면서 온수 또는 뜨거운 증기 등의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난방열을 온수 온돌 패널(200)의 전체에 매우 빠르게 전달한다.
여기서 온수 온돌 패널(200)은 열전달 계수가 비교적 매우 높은 금속재료를 사용한다.
인접한 축열부(140) 사이에 형성된 걸림턱(142) 사이에는 차폐막(150)이 걸쳐져 고정되고 가이드부(132)와 면접촉하는 난방파이프(120)를 외부의 물리적 및 화학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축열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차폐막(150)과 난방파이프(12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난방열이 축열공간에 많이 방출되고 축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난방파이프(120)를 통하여 열원으로부터 난방열이 공급되면 열전달 계수가 높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온수 온돌 패널(200)을 통하여 축열부(140)의 상단면(215) 및 차폐막(150)의 상단면(155)에 빠르게 전달되고, 건식마감재(300)를 통하여 발열하므로 주거공간을 신속하게 난방한다.
그리고 난방파이프(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원의 난방열 일부는 축열공간의 공기층에 의하여 저장되고, 난방열의 온도가 축열된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축열공간에 저장된 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 난방이 지속된다.
여기서 축열공간에는 공기층 대신에 축열 성능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은 축열공간의 공기층에 의하여 축열하고 열원이 제거되거나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축열된 열을 방출하므로 소정 시간 동안 난방을 지속하거나 난방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난방용 에너지의 활용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한편, 축열부(140)의 격벽(144)에 다수의 구멍(146)을 형성하므로 축열부(140)에 의하여 밀폐된 축열공간과 차폐막(150) 및 가이드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축열공간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하게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축열공간에 밀폐된 공기가 서로 유통하므로 각각 축열하는 온도가 혼합되어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홈(220)에 의하여 축열부(14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또는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축열부(140)와 축열부(140)의 각 걸림턱(142) 사이에 차폐막(150)이 걸쳐져 고정되면서 편평해진 상단면에 카펫(carpet) 등의 건식마감재(300)를 부착하므로 즉시 주거용 공간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건식마감재(3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 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층(100), 단열재(110), 난방파이프(230), 온수온돌 패널(400), 차폐막(410), 건식마감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바닥층(100), 단열재(110), 난방파이프(230) 및 건식마감재(300)는 도 1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온수 온돌 패널(400)은 롤포밍(roll-forming) 방식 금형을 이용하여 제 1 펜스(401), 제 2 펜스(402), 가이드부(403), 축열바닥면(404) 및 격벽부(405)를 성형한다.
제 1 펜스(401)와 제 2 펜스(402) 사이에 성형되는 가이드부(403)에는 난방파이프(230)가 삽입되어 일부 면접촉한 상태로 배선하므로 난방파이프(230)를 따라 흐르는 열원의 난방열을 온수 온돌 패널(400)의 전체에 빠르게 전달한다.
제 2 펜스(402)와 격벽부(405) 사이에는 축열바닥면(404)이 성형되어 축열부(420)를 형성한다.
격벽부(405)는 인접한 온수 온돌 패널(400)의 제 1 펜스(401) 아래 측에 개방 형성된 틈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다수의 온수온돌 패널을 연속적으로 잇는 기능을 한다.
이때, 차폐막(410)의 양끝단은 온수 온돌 패널(400)의 제 1 펜스(401)와 인접한 온수 온돌 패널(400)의 제 1 펜스(401)에 각각 걸쳐지므로 가이드부(403)에 삽입된 난방파이프(230)를 보호하면서 축열부(420)를 밀폐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차폐막(410)의 폭은 온수 온돌 패널(400)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막(410)이 연속 시공 완료된 상단면에는 카펫 등으로 이루어지는 건식마감재(300)가 시공되므로 완공 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주거공간으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층(100), 단열재(110), 난방파이프(230), 온수 온돌 패널(500), 차폐막(510), 건식마감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바닥층(100), 단열재(110), 난방파이프(230) 및 건식마감재(300)는 도 1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온수 온돌 패널(500)은 롤포밍 방식 금형을 이용하여 연결부(501), 제 1 홈(502), 제 2 홈(503), 가이드부(504), 제 3 홈(505), 제 4 홈(506), 제 1 축열부(520), 제 2 축열부(52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가이드부(504)에는 난방파이프(230)가 배관된 상태에서 차폐막(510)이 삽입되어 난방파이프(230)를 보호한다.
여기서 차폐막(510)의 폭은 가이드부(504)의 폭과 같게 한다.
일렬 배치된 각각의 온수 온돌 패널(500)은 연결부(501)가 인접한 제 4 홈(506)에 삽입되어 이어지고, 이때 연결부(501)는 소정 높이의 단턱을 형성하여 제 4 홈(506)에 원활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주거공간의 편평한 바닥면에 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 1 축열부(520)의 상단면과 제 2 축열부(525)의 상단면 및 차폐막(510)의 상단면은 편평한 동일 평면을 형성하며, 건식마감재(300)를 시공하므로 주거공간으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난방파이프(230)는 면접촉을 통하여 온수의 열을 온수 온돌 패널(500)에 빠르게 전달하고, 전달된 열은 제 1 축열부(520)의 상단면과 제 2 축열부(525)의 상단면 및 차폐막(510)의 상단면을 통하여 방출되는 동시에 일부의 열은 제 1 축열부(520) 및 제 2 축열부(525)를 통하여 저장된다.
여기서 제 1 축열부(520)와 제 2 축열부(525)의 측벽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이 상호 원활하게 하므로 각각 축열하는 온도가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거공간 바닥면의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주거공간에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층(100), 단열재(110), 난방파이프(230), 온수온돌 패널(600), 차폐막(610), 건식마감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바닥층(100), 단열재(110), 난방파이프(230) 및 건식마감재(300)는 제 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온수 온돌 패널(600)은 롤포밍 방식 금형으로 제 1 펜스(601), 제 2 펜스(602), 가이드부(603), 제 1 축열바닥면(604) 및 격벽부(605)를 성형한다.
제 1 펜스(601)와 제 2 펜스(602) 사이에 성형되는 가이드부(603)는 난방파이프(230)가 배관되어 면접촉하므로 난방파이프(230)를 따라 흐르는 열원의 난방열을 온수 온돌 패널(600)의 전체에 빠르게 전달한다.
제 2 펜스(602)와 격벽부(605) 사이에는 제 1 축열바닥면(604)이 성형되어 제 1 축열부(620)의 공간을 형성한다.
차폐막(610)은 온수 온돌 패널(600)의 제 1 펜스(601)와 인접한 온수 온돌 패널(600)의 제 1 펜스(601) 사이에 걸쳐지므로 가이드부(603)에 삽입 및 배관된 난방파이프(230)를 보호하면서 제 1 축열부(620)와 제 2 축열부(625)의 공간을 밀폐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차폐막(610)의 폭은 온수 온돌 패널(600)의 폭보다 크며, 2 배 비율로 크게 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즉, 격벽부(605)와 인접한 온수 온돌 패널(600)의 제 1 펜스(601)와 사이에는 별도의 구성수단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차폐막(610)에 의하여 제 2 축열부(625)의 공간이 추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폐막(610)의 폭을 온수 온돌 패널(600)의 폭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제 2 축열부(625)의 공간을 추가 형성할 수 있고, 추가된 축열공간에 의하여 더 많은 난방열을 축열하므로 주거공간의 난방 에너지를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펜스(601), 제 2 펜스(602), 격벽부(605)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므로 난방파이프(230)가 발산하는 난방열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와 제 1 축열부(620)의 축열된 공기와 제 2 축열부(625)의 축열된 공기가 원활히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열공간의 확장에 의하여 더 많은 난방열을 축열하며, 구멍에 의하여 각 축열공간의 공기가 상호 원활히 유통하므로 각 축열공간의 축열 온도에 차이가 없고 균일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완성된 주거공간 바닥면의 위치에 따라 난방 온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난방용 에너지를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치되는 온수온돌패널의 숫자가 작으므로 시공 시간을 줄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바닥층 110 : 단열재
120 : 난방파이프 130 : 배선부
132 : 가이드부 140 : 축열부
142 : 걸림턱 144 : 격벽
146 : 구멍 148 : 축열공간
150, 410, 510, 610 : 차폐막
155, 215 : 상단면
200, 400, 500, 600 : 온수 온돌 패널
220 : 보강홈 300 : 건식마감재
401, 601 : 제 1 펜스 402, 602 : 제 2 펜스
403, 603 : 가이드 홈 404 : 축열바닥면
405, 605 : 격벽부 501 : 연결부
502 : 제 1 홈 503 : 제 2 홈
505 : 제 3 홈 506 : 제 4 홈
604 : 제 1 축열바닥면

Claims (8)

  1. 주거공간의 바닥층에 시설되어 난방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재;
    상기 주거공간에 상기 난방열을 공급되는 난방파이프;
    상기 난방파이프가 배선되어 면접촉 상태로 고정되고 상측이 개방된 배선부;
    상기 난방파이프의 상기 난방열을 전달받아 편평한 상단면으로 방열하고 일부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축열부; 및
    상기 난방파이프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차폐막; 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와 상기 차폐막 사이는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의 상단면과 상기 차폐막의 상단면은 편평하고 카펫, 석재, 나무, 장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건식마감재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2 겹으로 구성되어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는,
    상기 배선부와 공간을 밀폐된 상태로 분리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경사진 형상과 수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상기 격벽이 휘어지지 않도록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홈; 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배선부와 공기가 유통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축열된 난방열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다수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축열된 난방열의 위치별 온도 차이를 최소로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는,
    상기 격벽의 상단에 상기 배선부를 밀폐 상태로 덮는 차폐막이 고정되는 걸림턱; 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난방파이프의 일측 외주면을 면접촉 상태로 고정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폐막에 의하여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고 축열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KR1020100034340A 2010-04-14 2010-04-14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KR101251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340A KR101251985B1 (ko) 2010-04-14 2010-04-14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PCT/KR2011/002676 WO2011129637A2 (ko) 2010-04-14 2011-04-14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340A KR101251985B1 (ko) 2010-04-14 2010-04-14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943A true KR20110114943A (ko) 2011-10-20
KR101251985B1 KR101251985B1 (ko) 2013-04-08

Family

ID=4479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340A KR101251985B1 (ko) 2010-04-14 2010-04-14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1985B1 (ko)
WO (1) WO20111296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7779A (zh) * 2021-08-03 2021-12-07 毛训峰 一种供暖管道隔热用保温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8778B2 (en) 2015-02-06 2019-07-23 Michael Gregory Theodore, Jr. Temperature controlled structure assembly
KR101706164B1 (ko) * 2016-08-26 2017-02-13 안승한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CN106988415A (zh) * 2017-05-27 2017-07-28 吉林建筑大学 发热蓄热结构及设有发热蓄热结构的建筑构件
KR200490392Y1 (ko) * 2019-02-19 2019-11-27 정근완 이동식 찜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615U (ko) * 1984-11-09 1986-06-06
JPH047441Y2 (ko) * 1987-05-26 1992-02-27
JPH10170009A (ja) * 1996-12-11 1998-06-26 Mitsubishi Cable Ind Ltd 蓄熱式床暖房装置
KR100633383B1 (ko) * 2005-06-15 2006-10-13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온돌 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7779A (zh) * 2021-08-03 2021-12-07 毛训峰 一种供暖管道隔热用保温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9637A2 (ko) 2011-10-20
WO2011129637A3 (ko) 2012-01-26
KR101251985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985B1 (ko)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US20170227239A1 (en) Heating system
KR101740315B1 (ko) 우수한 난방 효율 및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CN101025278A (zh) 温水地暖型发热板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560931U (zh) 一种楼面地暖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CN209801591U (zh) 地暖结构
KR101715347B1 (ko) 와이어메쉬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구조
CN201232330Y (zh) 地暖专用铺板
JP6172587B2 (ja) 床面暖房システム
KR100710025B1 (ko) 중공형 층간차음 온돌블록
KR100703039B1 (ko) 축열식 온수 난방시스템
KR200151940Y1 (ko) 조립식 난방배관용 방음온돌패널
KR101884515B1 (ko) 기능성 패널형 바닥재 및 그 패널형 바닥재를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CN111829045A (zh) 地暖结构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92515B1 (ko) 원통형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JPH11248176A (ja) 床暖房と一体となった防音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387880B2 (ja) 省エネ建物
KR200325139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101298366B1 (ko) 바닥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온돌 파이프 일체형 슬래브 모듈 및 온돌 파이프 일체형 바닥 시스템
KR100663693B1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