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783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783A
KR20110114783A KR1020100034104A KR20100034104A KR20110114783A KR 20110114783 A KR20110114783 A KR 20110114783A KR 1020100034104 A KR1020100034104 A KR 1020100034104A KR 20100034104 A KR20100034104 A KR 20100034104A KR 20110114783 A KR20110114783 A KR 2011011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er
display panel
supporter
fasten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672B1 (ko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67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3D 입체 화면 구현을 위한 에미터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관계없이 공용화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분리되어 낙하하는 현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정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3차원(3-Dimensional)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3차원 입체 영상의 원리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 때문이라고 하겠다. 인간이 사물을 볼 때 왼쪽 눈으로 보는 영상과 오른쪽 눈으로 보는 영상과는 두 눈의 간격에 해당하는 만큼 수평으로 위치 차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양안 시차라고 한다. 만일, 두 눈으로 보이는 실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두 눈에 입력할 수 있다면 인간은 이를 입체적으로 느끼게 된다. 이러한 3차원 입체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송수신 장치(emitter) 및 셔터 안경이 필요하다.
상세히, 입체 영상은 양안 입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하나로 합해 녹화하는 MUX와, 합성된 신호를 좌우 영상으로 분리 재생시키는 DeMUX와, 좌우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에미터(emitter) 및 에미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셔터 안경에 의하여 구현된다. 즉, 시청자가 상기 셔터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상기 에미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 테두리부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되었다. 이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에미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저절로 탈거되어 낙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에미터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에미터의 탈착 및 위치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경우 양면 테이프를 붙인 자리에 흔적이 남거나 접착액이 눌러붙어 디스플레이 외주면이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에미터의 장착 구조를 개선하여, 에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미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저절로 탈거되어 낙하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에미터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안착되는 에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미터는, 신호 방출부가 구비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상면 및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미터 장착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에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손쉽게 부착 및 탈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의 툴(tool)이 없어도 에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에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을 따라 자유로이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셋째, 에미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기존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즉, 양면 테이프의 흔적이나 접착 성분 잔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주면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미터 장착 구조가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에미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에미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미터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에미터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미터를 구성하는 서포터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상기 서포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에미터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에 따라 에미터를 구성하는 센터 바디와 서포터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미터 장착 구조가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에미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에미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지지하는 스탠드(12)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측 테두리부 일측에 안착되는 에미터(2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에미터(2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측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미터(20)의 구성 및 장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미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에미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미터(20)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기 위한 구성이 내장되는 바디부(21)와, 상기 바디부(21)의 하측에 결합되는 서포터(2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바디부(21)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기 위한 신호 방출부(214)가 구비되는 프런트 바디(212)와, 상기 프런트 바디(212)의 배면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센터 바디(211)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방출부(214)는 상기 프런트 바디(212)의 대략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바디(212)의 상하 폭은 상기 센터 바디(211)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런트 바디(212)는 상기 센터 바디(211)의 전면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바디부(21)의 측면이 "┏"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바디(211)의 전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상기 프런트 바디(212)의 하측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22)는, 상기 센터 바디(211)의 저면에 밀착되는 안착부(222)와, 상기 안착부(222)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후면 지지부(2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 지지부(221)의 전면에는 다수의 접촉 돌기(223)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에미터(20)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후면 지지부(22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부(21)의 프런트 바디(21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 지지부(221)와 상기 프런트 바디(212)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과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에미터(20)가 상기 프런트 패널(11)로부터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21)의 후면 일측에는 케이블 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213)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21) 내부의 전장 부품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홀(213)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 지지부(221)의 상단에는 케이블 가이드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지지부(221)의 전면에 돌출되는 접촉 돌기(223)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백커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면 지지부(221)의 전면과 상기 프런트 바디(212)의 배면 간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두께에 대응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후면 지지부(221)의 접촉 돌기(223)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백커버를 가압력(tension)을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에미터(20)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견고하게 끼워져서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미터를 구성하는 서포터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서포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에미터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에 따라 에미터를 구성하는 센터 바디와 서포터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22)의 상부면, 상세히, 상기 안착부(222)의 상부면에는 다수 개의 체결홈(225)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홈(225)은 다수 개의 체결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열과 행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센터 바디(211)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홈(225)에 끼워지는 체결 돌기(215)가 소정 간격을 두고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22)와 상기 센터 바디(211)의 저면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가 개재된다.
상기 안착부(222)와 센터 바디(211)의 결합을 위해서, 먼저 상기 체결 돌기(215)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홈(225)을 선택한다.
상세히, 도면에서는 3 개의 체결 홈(225)이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3 개의 체결 홈(225)이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3행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체결홈(225)은 다양한 수의 행과 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체결 돌기(215)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홈(225)을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접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바디부(21)와 서포터(22)를 결합한다. 먼저, 상기 서포터(22)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부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후면 지지부(221)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1)를 서포터(22)의 안착부(222)에 안착시킨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21)를 조금씩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1)의 프런트 바디(212) 배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에 밀착되는 순간에 상기 체결 돌기(215)가 끼워지는 체결홈(225)을 확인한다. 그 다음, 상기 바디부(21)를 다시 분리하고, 접착 부재가 상기 센터 바디(211)의 저면 또는 상기 안착부(222)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돌기(215)가 선택된 체결홈(225)에 끼워지도록 바디부(21)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1)를 가압하여 상기 바디부(21)가 상기 서포터(22)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체결 돌기(215)의 외경이 상기 체결홈(225)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상기 바디부(21)가 상기 서포터(22)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에미터(20)에 의하면, 상기 에미터(20)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과 배면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상기 에미터(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낙하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에미터(20)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에미터(20)의 장착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두께에 따라 상기 체결 돌기(215)가 끼워지는 체결홈(225)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관계없이 호환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에미터(20)의 공용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안착되는 에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미터는,
    신호 방출부가 구비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상면 및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안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서포터에 안착되는 센터 바디 및
    상기 센터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프런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센터 바디가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후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바디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지지하고, 상기 후면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바디의 저면에 돌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돌기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함몰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끼워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후면 지지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홈은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안착부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바디의 저면과 상기 안착부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외경은 상기 체결홈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부의 전면에 돌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돌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34104A 2010-04-14 2010-04-14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04A KR101658672B1 (ko) 2010-04-14 2010-04-1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04A KR101658672B1 (ko) 2010-04-14 2010-04-1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783A true KR20110114783A (ko) 2011-10-20
KR101658672B1 KR101658672B1 (ko) 2016-09-21

Family

ID=4502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104A KR101658672B1 (ko) 2010-04-14 2010-04-1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6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51A (ko) * 1997-05-30 1998-12-05 유기범 노트북 컴퓨터의 화상통화용 카메라
JP2002262310A (ja) * 2001-02-26 2002-09-13 Nsp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51A (ko) * 1997-05-30 1998-12-05 유기범 노트북 컴퓨터의 화상통화용 카메라
JP2002262310A (ja) * 2001-02-26 2002-09-13 Nsp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672B1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6954B2 (en) Screen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23195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US20130336631A1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relay device
JP3205359U (ja) ヘッドマウント式表示装置
WO201012728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image via media device
KR101514131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US20170195666A1 (en) Multi person viewable 3d display device and filter glasses based on frequency multiplexing of light
KR102595020B1 (ko)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201101147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910286B2 (en) TwinScope 3-D viewer
JP5066277B1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480392Y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CN210927739U (zh) 摄像装置和头戴式设备
CN211426935U (zh) 头戴式设备
CN211426931U (zh) 头戴式设备
WO2012165392A1 (ja) シャッター眼鏡
JP2013235021A (ja) 裸眼立体視ディスプレイ装置
JP5567075B2 (ja) 電子機器
KR200484067Y1 (ko) 렌즈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가상현실 카드보드
KR101453900B1 (ko) 무안경 3d led 스크린
KR101338238B1 (ko)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KR20160002824U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KR101339973B1 (ko)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KR101282378B1 (ko) 헤드셋이 구비된 3d 안경
US20120013716A1 (en) Personal 3D Vide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