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170A -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 Google Patents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170A
KR20110114170A KR1020100033662A KR20100033662A KR20110114170A KR 20110114170 A KR20110114170 A KR 20110114170A KR 1020100033662 A KR1020100033662 A KR 1020100033662A KR 20100033662 A KR20100033662 A KR 20100033662A KR 20110114170 A KR20110114170 A KR 2011011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otating
space
viewing device
auxiliar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창조하는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조하는사람들 filed Critical (주)창조하는사람들
Priority to KR102010003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170A/ko
Publication of KR2011011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7/00Russian swings; Great wheels, e.g. Ferri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에 도로와 활용공간영역을 구비한 교량; 교량을 지지하는 복수의 교대; 교량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고, 교량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 회전축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 원형상으로 중앙이 회전축에 결합되고, 사용자 탑승이 가능한 복수의 탑승장치가 가장자리에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회전부재 및 회전축을 축방향을 중심으로 360°회전키시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한 회전 관람장치; 교량의 중앙 상부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멀티플렉스 공간영역을 구비한 보조 구조물; 및 보조구조물을 지지하는 보조구조물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Bridge Structure included Multi―Plex Area and Rotation Veiw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 관람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에 도로를 구비한 교량에 대해서, 교량 상부 일측에 활용공간영역을 구비하고, 교량 상부 중앙에 보조구조물이 결합되고, 회전관람장치를 포함하여, 운송수단의 이송기능뿐 아니라, 교량을 복합 멀티 플렉스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형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정적인 공간에 다양한 기능을 하는 통합형 구조물이 존재한다. 이는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 협소한 공간에 많은 시설과 기능을 포함하여 보다 경제적인 공간활용능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멀티 플렉스 구조물은 각각의 기능을 하는 구조물들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동일 구역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과거 지상에서만 이루어지던 구조물들을 지하에 구비하여 대형 쇼핑몰과 영화관 등을 건설하는 것이 현재의 건설동향이다. 교량은 통상적으로 교대에 의해 지지되어 운송수단을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교량을 건설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 비용이 들게 된다. 그러나, 교량 건설에는 많은 공간과 비용이 필요함에도, 운송수단을 이동한다는 것 외에 다른 기능이 부가되고 있지는 않다.
현재, 교량 건설에 대해서, 심미적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많은 중심을 두고 있다. 교량에 디자인에 따른 심미적 효과와 함께, 동시에 대형 구조물에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하는 수요자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대형 교량 구조물은 인구 밀집이 큰 대도시에 건설됨으로, 도시에 전경이나, 야경을 관람할 수 있는 관람 장치가 함께 결합된다면, 운송수단을 이송한다는 본래의 목적과 함께, 다양한 심미적 효과와 기능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적 다기능 공간의 요구와 함께, 멀티플렉스 공간을 활용가능한 통합형 교량 구조물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 상부에 도로뿐 아니라, 활용공간영역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차량 등의 운송수단 이송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활용공간영역은 공원, 수영장 등 다양한 시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 상부에 아치형의 보조구조물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보조구조물 내에 포함된 멀티 플렉스 공간에서, 쇼핑몰, 영화관, 수족관 등 다양한 기능을 창출시킬 수 있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상부에 대형 화전관람장치가 결합하게됨으로써, 높은 고도에서 도시를 관람할 수 있는 통합형 교량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합형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에 도로와 활용공간영역을 구비한 교량; 교량을 지지하는 복수의 교대; 교량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고, 교량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 회전축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 원형상으로 중앙이 회전축에 결합되고, 사용자 탑승이 가능한 복수의 탑승장치가 가장자리에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회전부재 및 회전축을 축방향을 중심으로 360°회전키시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한 회전 관람장치; 교량의 중앙 상부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멀티플렉스 공간영역을 구비한 보조 구조물; 및 보조구조물을 지지하는 보조구조물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로 달성될 수 있다.
활용공간 영역은 교량 상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정원, 공원, 수영장 및 트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조구조물 지지대는 보조구조물의 양측에 연결되어 보조구조물과 일체로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조구조물의 상부면 중앙에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회전부재의 가장자리 하부 끝단과 교량상부 사이에는 특정간격을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회전부재의 가장자리 하부 끝단 아래에 위치한 교량상부에는, 회전 관람장치에 탑승하기 위한 탑승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조 구조물 내부에 구비된 멀티플렉스 공간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고, 식당, 상가, 전망대, 극장, 주차장, 수영장 및 숙박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회전부재의 직경은 150~240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조구조물의 상부면과 지지부재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등의 운송수단의 이송 기능뿐 아니라, 교량 상부에 활용공간영역을 구비하여, 다양한 시설이 포함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활용공간영역에 공원, 녹지, 수영장 등으로 이용하게 됨으로써, 교량구조물을 관광, 놀이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구조물은 교량 상부에 보조구조물을 구비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보조구조물 내부에는 복수의 층으로 구비된 멀티 플렉스 공간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통합형 구조물 내에 영화관, 식당, 쇼핑몰 등을 구비하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구조물에는 놀이기구인 회전관람장치가 결합하게 됨으로써, 도시의 전경, 야경을 관람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의 관광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심 내에 별도의 회전 관람장치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공간이 필요할 것이나, 이러한 회전관람장치를 교량 상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동일한 공간 내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통합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통합형 구조물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닌, 통상의 교량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됨으로써, 경제적 이익과 동시에 도시의 관광지로써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의 구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410)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를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를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은 교량(100)과 교량(100)을 지지하는 교대(200), 교량(100) 중앙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개방부(430)를 구비한 보조 구조물, 회전 관람장치(30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를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은 상부에 도로(110)가 설치된 교량(100)을 구비한다. 교량(100)의 상부면에는 도로(110)와 공원, 정원, 운동시설, 수영장 등을 구비할 수 있는 활용공간영역(120)이 포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활용공간영역(120)은 도로(110)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도로(110) 폭보다 넓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교량(100) 상부면에 활용공간영역(120)을 포함한다는 것 자체로, 활용공간영역(120)의 구체적인 구성형태와 정원, 크기,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0) 하부에는 복수의 교대(200)가 구비되어 교량(100)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에는 회전 관람 장치와 보저구조물(400)을 포함한다.
<회전 관람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회전 관람장치(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 관람장치(300)는 회전축(310)과 회전부재(330), 회전 구동부 및 탑승장치(331)를 포함한다. 회전축(3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20)에 의해 교량(100)의 중앙에서 약 100m 이상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전축(310)의 축방향은 지면과 수평이고, 교량(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부재(320)가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310)은 원형상의 회전부재(330)의 중앙에 결합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30)는 철골 구조물의 형태이다. 또한, 회전부재(330)의 직경은 150~240m에 해당한다. 따라서, 회전부재(330)의 반지름은 약 75~ 120m로 구비되고, 회전축(310)과 교량(100) 상부면의 수직 이격거리는 회전부재(330)의 반지름보다 약 30cm~ 2m정도가 크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30)의 가장자리 하단부 끝단과 교량(100) 상부면의 수직간격은 약 30cm~ 2m정도로 구비된다.
회전 구동부는 회전축(310)을 축방향을 중심으로 360°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10)에 결합된 회전부재(3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33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탑승장치(331)가 구비된다. 탑승장치(331)에는 회전 관람장치(300)의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다.
교량(100)의 중앙 상부면에는 탑승장치(331)에 탑승하기 위한 탑승장(440)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회전부재(33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탑승장(440)에 위치하게 된 탑승장치(331)에 탑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탑승장(440)에 위치하게 된 탑승장치(331)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시간을 갖을 수 있을 정도로 회전부재(3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탑승장치(331)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회전부재(330)가 1회전 하게 되면, 다른 사용자와 탑승장(440)에서 교대하게 된다.
탑승장치(331)에 탑승한 사용자는 회전부재(330)의 회전에 의해 탑승장치(331)에 구비된 유리창으로 외부 환경을 관람할 수 있고, 최대 250m 정도의 높이에서 회부환경을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보조구조물의 구조>
또한, 본 발명의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에는 보조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플렉스 공간(410)과 회전 관람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의 측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플렉스 공간(410)과 회전 관람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10)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저구조물(400)은 교량(100)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저구조물(400)의 내부에는 멀티 플렉스 공간(41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저구조물(400)의 상부 중앙은 개방부(430)로 구비된다. 따라서, 보조 구조물(400)의 개방부(430) 아래는 탑승장(440)이 구비된 교량(100) 중앙 상부면이 위치하게 된다.
보조 구조물은 보조 구조물 지지대(420)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구조물 지지대(420)는 보저구조물(400)의 양측 끝단 각각에 구비되어 총 4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보조구조물(400)과 보조구조물 지지대(4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아치형의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조 구조물 양측이 지지부재(320)와 결합되어 보조구조물(400)은 보조구조물 지지대(420)와 지지부재(32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교량(100) 중앙에 멀티플렉스 공간(410)을 갖는 보조구조물(400)이 결합되어 있는 자체로, 보조구조물(400)의 구체적인 형상, 재질, 지지대(420)의 갯수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보조 구조물의 상부면 중앙은 개방부(430)로 구비됨으로 양측 부분의 내부에 각각 멀티 플렉스 공간(41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보조 구조물의 양쪽 측면에는 투명창을 구비하여 멀티 플레스 공간(410)에 있는 사용자가 외부를 관람할 수 있다. 멀티 플렉스 공간(410)은 구체적으로 복수의 측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각층에는 주자창, 극장, 숙박시설, 식당, 전망대, 상가 및 수족관 등이 구비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은 공간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에서 보조 구조물의 길이는 약 680m이고, 최대폭은 210m로 설계하였다. 또한, 교량(100)에 설치된 도로(110)에서 보조구조물(400)의 주차장으로 연결된 연결도로를 구비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320)와 보조 구조물(400)상면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부재(45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에(450) 의해 보조구조물의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10:통합형 교량 구조물
100:교량
110:도로
120:활용공간영역
200:교대
300:관람장치
310:회전축
320:지지부재
330:회전부재
331:탑승장치
400:보조구조물
410:멀티플렉스 공간
420:보조구조물 지지대
430:개방부
440:탑승장
450:연결부재

Claims (8)

  1. 통합형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에 도로와 활용공간영역을 구비한 교량;
    상기 교량을 지지하는 복수의 교대;
    상기 교량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 원형상으로 중앙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사용자 탑승이 가능한 복수의 탑승장치가 가장자리에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축방향을 중심으로 360°회전키시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한 회전 관람장치;
    상기 교량의 중앙 상부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멀티플렉스 공간영역을 구비한 보조 구조물; 및
    상기 보조구조물을 지지하는 보조구조물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용공간 영역은 상기 교량 상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정원, 공원, 수영장 및 트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조물 지지대는 상기 보조구조물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구조물과 일체로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조물의 상부면 중앙에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
    상기 회전부재의 가장자리 하부 끝단과 상기 교량상부 사이에는 특정간격을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가장자리 하부 끝단 아래에 위치한 상기 교량상부에는,
    상기 회전 관람장치에 탑승하기 위한 탑승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조물 내부에 구비된 상기 멀티플렉스 공간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고, 식당, 상가, 전망대, 극장, 주차장, 수영장 및 숙박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직경은 150~24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조물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KR1020100033662A 2010-04-13 2010-04-13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KR20110114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62A KR20110114170A (ko) 2010-04-13 2010-04-13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62A KR20110114170A (ko) 2010-04-13 2010-04-13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70A true KR20110114170A (ko) 2011-10-19

Family

ID=4502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62A KR20110114170A (ko) 2010-04-13 2010-04-13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1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49A (ko) *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
KR20200136247A (ko) *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
KR20200136248A (ko) *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49A (ko) *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
KR20200136247A (ko) *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
KR20200136248A (ko) *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45084U (zh) 横跨道路上空的立体车库与人行天桥组合体及其分体结构
US9267306B2 (en) Multi-storey buildings built over road air-spaces
EP2825273B1 (en) Underground and underwater amusement attractions
CN103452353B (zh) 高架在行车道路上空的且配置了立体车库的楼房或/和场地平台及其结构简化方案
BRPI0708168A2 (pt) processo e sistema de transporte coletivo
US20140205376A1 (en) Strategic subterranean underpass and method
KR20110114170A (ko) 회전 관람 장치와 멀티 플렉스 공간을 포함하는 통합형 교량 구조물
CN202559800U (zh) 横跨道路上空能驾车直进停车位的立体车库
JP2005139834A (ja) 観覧車付き橋梁
JP4820018B2 (ja) 観覧車及びこれを備えた高層ビル
CN103255940A (zh) 繁华区域横跨道路上空的电梯载车司机驾车直进式简易型立体车库
CN103967305A (zh) 设置在道路上空的配置了立体车库与过桥人行梯且用于公用设施的建设场地及其简化形式
CN106013937A (zh) 高架在行车道路上空的且配置了立体车库的楼房或/和场地平台的简化方案的扩展
CN103276926A (zh) 设置在行车道路上空的配置了立体车库且用于公用设施的建设场地及其简化形式
CN103276925A (zh) 设置在高架道路上空的配置了立体车库且用于公用设施的建设场地及其简化形式
CN103306521A (zh) 横跨道路上空的立体车库与人行天桥组合体及其分体形式
JPH03187474A (ja) 駐車交通設備
CN103132753A (zh) 横跨道路上空设置的电梯载车而人驾车直达停车位的立体车库
CN203129658U (zh) 设置在十字路口上空的由人驾车直达停车位的立体车库
KR101115821B1 (ko) 입체적 동선을 가지는 도로망 시스템
JP2009002136A (ja) 回転状進入路
Hall All Aboard!
POSTER THE LAUNCH
KR101877143B1 (ko)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3114749A (zh) 十字路口上空设置的且配置了立体车库的楼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