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154A - 입자계수기 - Google Patents

입자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154A
KR20110114154A KR1020100033641A KR20100033641A KR20110114154A KR 20110114154 A KR20110114154 A KR 20110114154A KR 1020100033641 A KR1020100033641 A KR 1020100033641A KR 20100033641 A KR20100033641 A KR 20100033641A KR 20110114154 A KR20110114154 A KR 20110114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low tubes
light source
lens
particle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858B1 (ko
Inventor
손준곤
강훈수
박영호
석희용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3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858B1/ko
Priority to PCT/KR2010/008779 priority patent/WO2011129512A1/ko
Publication of KR2011011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34Opt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개의 유동관, n개의 감지부 및 n개의 유동관으로 각각 빛을 안내하는 n개의 렌즈부가 마련되어 n개의 유동관으로 유동되는 미세입자를 계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n 만큼으로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입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계수기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과되며 측정 대상인 미세입자가 함유된 유체가 n개의 유동로를 가지고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n개의 유동관과, 광원에 대해 n개의 유동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n개의 유동관을 각각 투과한 n개의 광량을 감지하는 n개의 감지부와, 광원과 n개의 감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n개의 유동관 및 n개의 감지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자계수기{PARTICLE COUNTER}
본 발명은, 입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입자의 개수를 ppm 또는 ppb 수준으로 측정하는 입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자계수기는 측정 대상 유체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ppm(parts per million) 또는 ppb(parts per billion)로 산출하기 위해 측정 대상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입자의 개수를 계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입자계수기는 대기 중의 미세입자를 계수하여 대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물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계수하여 수질 오염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구분된다. 또한, 입자계수기는 그 방식에 따라 광학적 성능을 이용한 입자계수기 및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입자계수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입자계수기 중 광학적 성능을 이용한 광학적 입자계수기인 OPC(Optical Particle Counter)는 측정 대상인 유체가 저장된 저장고를 미세한 투명관으로 연결하여 유체를 유동시킨 후,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이용하여 유체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계수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광학적 입자계수기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량과 투명관을 투과한 빛을 수광하는 감지부의 수광량을 대비함으로써, 유체 내에 함유된 미세입자의 개수를 계수한다.
그런데, 종래의 광학적 입자계수기는 측정대상인 유체가 유동되는 투명관 및 투명관을 투과한 빛을 수광하는 감지부가 각 1개씩 1:1로 배치되어, 전체의 측정대상 유체를 측정하는 데 소요시간이 오랜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광학적 입자계수기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명관을 투과하여 감지부로 집광되도록 렌즈를 포함해야 되며, 이러한 렌즈의 배치에 따른 초점 거리등이 고려되어 전체적인 크기 및 부피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측정대상 유체의 측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입자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 배치에 따른 초점 거리 축소와 함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으로부터의 렌즈 배치 견고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입자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과되며 측정 대상인 미세입자가 함유된 유체가 n개의 유동로를 가지고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n개의 유동관과, 상기 광원에 대해 n개의 상기 유동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n개의 상기 유동관을 각각 투과한 n개의 광량을 감지하는 n개의 감지부와, 상기 광원과 n개의 상기 감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n개의 상기 유동관 및 n개의 상기 감지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빛을 전압의 변화량으로 출력하는 광전변환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평행광으로 안내하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n개의 상기 유동관 사이에 n개의 상기 유동관에 대응 배치되어 상기 제1렌즈에 의해 안내된 빛을 각각 n개의 상기 유동관으로 안내하는 n개의 제2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자계수기는, 상기 광원, n개의 상기 감지부 및 상기 렌즈부가 일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내부로 입사된 빛을 상기 유동관 및 상기 감지부로 전반사 시키는 도광부재(light guide mem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n개의 상기 유동관은 상기 도광부재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도광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도광부재 내부의 전반사를 보강하는 전반사 보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복수의 상기 렌즈부는 상기 도광부재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내부로 입사된 빛을 전반사 시키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과되며 측정 대상인 미세입자가 함유된 유체가 각각 유동되는 n개의 유동관과, n개의 상기 유동관에 인접하게 대응 배치되어 n개의 상기 유동관을 각각 투과한 n개의 광량을 감지하여 전압의 변화량으로 출력하는 n개의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도광부재 내부에 전반사 되는 빛을 평행광으로 안내하는 제1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n개의 상기 유동관 사이에 n개의 상기 유동관에 대응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렌즈에 의해 안내된 빛을 각각 n개의 상기 유동관으로 안내하는 n개의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n개의 유동관, n개의 감지부 및 n개의 유동관으로 각각 빛을 안내하는 n개의 렌즈부가 마련되어 n개의 유동관으로 유동되는 미세입자를 계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n 만큼으로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입자계수기가 제공된다.
또한, n개의 유동관, n개의 감지부 및 n개의 렌즈부를 전반사가 가능한 도광부재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 및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입자계수기를 구현할 수 있다.
더불어, n개의 렌즈부와 도광부재를 일체로 제작하여 초점거리에 따른 렌즈 재배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입자계수기의 제작 공정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체가 유동되는 유동관이 도광부재 내부에 터널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동관을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평면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측면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평면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개략 제작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에 전반사 보강부재가 포함된 측면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작동에 따른 시간에 대한 전압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제1 및 제2실시 예로 구분되며, 제1 및 제2실시 예의 명확한 구분을 위해 동일한 구성이라도 상이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는 전반사 보강부재가 포함된 추가 실시 예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반사 보강부재가 포함된 추가 실시 예의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었음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평면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1)는 광원(10), 유동관(30), 감지부(50) 및 렌즈부(7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1)는 광원(10), 유동관(30), 감지부(50) 및 렌즈부(70)를 지지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원(10)은 유동관(30) 및 감지부(50)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유동관(30) 및 감지부(50)의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다. 광원(10)은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적외선램프 등과 같은 공지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유동관(30)은 광원(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측정대상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동관(30)은 n개의 유동관(30)으로 마련된다. 즉, n개의 유동관(30)은 각각 유체 유동되는 유동로가 형성됨으로써, 1/n 만큼으로 유체 유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유체 이동 시간의 1/n 만큼으로의 감소는 미세입자 계수의 측정 시간을 1/n 만큼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유동관(30)은 5개로 마련된다. 그러나,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 등의 설계 변경에 따라 5개보다 많은 개수 또는 적은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유동관(30)의 개수가 늘어나면 유체의 유동 시간의 감소비율이 커질 수 있으나, 유동관(30)의 개수가 일정 이상 많아질 경우 전체적인 입자계수기(1)의 크기가 커질 수 있으므로, n개의 유동관(30)의 개수는 전체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배치되어야 한다.
감지부(50)는 광원(10)에 대해 n개의 유동관(30)을 사이에 두고 n개로 배치된다. 즉, 감지부(50)는 n개의 유동관(30)을 투과한 n개의 광량을 수광할 수 있도록 n개의 유동관(30)에 1:1 대응되는 것이다. 감지부(50)는 각각의 유동관(30)에 대응되어 각각의 유동관(30)을 투과한 빛을 수광한다. 본 발명의 감지부(50)는 감지된 빛을 전압의 변화량으로 출력하는 광전변환소자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렌즈부(70)는 광원(10)과 n개의 감지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n개의 유동관(30) 및 n개의 감지부(50)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렌즈부(70)는 제1렌즈(72) 및 제2렌즈(74)를 포함한다.
제1렌즈(72)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평행광으로 안내한다. 제1렌즈(72)는 구면, 비구면 또는 프레넬 렌즈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렌즈(74)는 제1렌즈(72)와 n개의 유동관(30) 사이에 대응 배치된다. 제2렌즈(74)는 n개의 유동관(30)에 대응되어 n개로 배치된다. 제2렌즈(74)는 제1렌즈(72)에 의해 평행광으로 안내된 빛을 대응되는 유동관(30)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1)는 유동관(30) 및 감지부(50)를 n개로 배치하고, n개의 유동관(30)에 빛이 n개로 각각 집광되도록 n개의 제2렌즈(74)가 마련되어, 측정 시간을 1/n 만큼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측면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평면 개략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개략 제작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0), 도광부재(light guide member)(130), 유동관(150), 감지부(170) 및 렌즈부(180)를 포함한다.
광원(110)은 도광부재(130)의 일측 판면에 배치되어, 도광부재(130) 내부로 빛을 입사 시킨다. 여기서, 광원(110)은 빛의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적외선램프 등과 같은 공지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광부재(130)는 광원(110)을 지지하며, 광원(110)으로부터 내부로 입사된 빛을 전반사 시킨다. 도광부재(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기계적 성질, 광학적 성질 및 물리적 성질 등이 타 수지에 비하여 우수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도광부재(130)는 플레이트 형상인 도광판으로 제작되나, 필름 형상인 도광 필름으로도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광부재(130)는 사출 또는 압출 등과 같은 성형법으로 제작된다. 물론, 도광부재(130)는 기계 가공 또는 기타 절삭 가공과 같은 가공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광부재(130)는 몸체(132), 광원수용부(134) 및 감지부 수용부(136)를 포함한다. 몸체(132)는 도광부재(130)의 외관을 형성하며, 몸체(132)의 일측면에는 광원(110)이 수용되는 광원수용부(134) 및 n개의 감지부(170)가 수용되는 n개의 감지부 수용부(13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감지부 수용부(136)는 5개로 마련된 감지부(170)에 대응되어 5개가 형성된다. 도광부재(130)의 몸체(132) 내부에는 후술할 유동관(15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유동관(150)은 도광부재(130)의 내부에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n개로 마련된다. 즉, 유동관(150)은 도광부재(130)의 판면에 형성된 n개의 감지부 수용부(136)에 대응하여 n개의 감지부(170)에 인접하게 n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n개의 유동관(150)을 투과한 빛은 각각의 유동관(150)에 대응된 감지부(170)에 수광된다.
감지부(170)는 도광부재(130)의 판면에 형성된 n개의 감지부 수용부(136)에 각각 n개로 수용된다. 감지부(170)는 도광부재(130)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관(150)을 투과한 빛을 수광한다. 감지부(170)는 유동관(150)을 투과한 빛을 수광하여 전압의 변화량으로 출력하는 광전변환소자가 사용된다.
렌즈부(180)는 제1렌즈(182)와 제2렌즈(184)를 포함한다. 렌즈부(180)는 도광부재(130) 내부에서 전반사되는 빛을 n개의 유동관(150)으로 각각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렌즈부(180)는 도광부재(130)의 판면, 즉 광원수용부(134) 및 감지부 수용부(136)가 형성된 도광부재(130)의 판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렌즈부(180)는 제작 공정 상의 소요 시간 단축 및 렌즈부(180) 배치에 따른 소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광부재(130)와 일체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렌즈부(18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도광부재(13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렌즈(182)는 도광부재(130) 내부로 입사된 빛을 시준(collimating) 및 집중(focusing)하여 제2렌즈(18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1렌즈(182)는 도광부재(130)의 일측 동일 판면 상에 2개로 배치되나, 도광부재(130)의 일측과 타측 판면에 각각 1개씩 배치될 수도 있다.
반면, 제2렌즈(184)는 제1렌즈(182)와 n개의 유동관(150) 사이에 n개의 유동관(150)에 대응되도록 n개가 배치된다. 제2렌즈(184)는 제1렌즈(182)에 의해 입사된 빛을 n개의 유동관(150)에 각각 n개의 빛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n개의 유동관(150)에 n개의 빛을 안내할 수 있는 렌즈부(180)가 배치되어, 측정 시간을 감소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에 전반사 보강부재가 포함된 측면 개략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100)는 전반사 보강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전반사 보강부재(190)는 도광부재(130)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어 도광부재(130) 내부의 전반사를 보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전반사 보강부재(190)는 도광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전반사 보강부재(190)는 도광부재(130)의 양측면, 즉 광원수용부(134) 및 감지부 수용부(136)가 형성된 도광부재(130)의 판면과 대향된 판면에 각각에 배치된다.
그러나, 전반사 보강부재(190)는 광원수용부(134) 및 감지부 수용부(136)가 형성된 판면 또는 이에 대향된 타측 판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전반사 보강부재(1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광부재(130)의 상부 및 하부의 외곽층에 전반사되는 물질의 굴절률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의 작동에 따른 시간에 대한 전압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1, 100)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자계수기(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 예를 대표적으로 설명함을 미리 밝혀둔다.
우선, 외부에 연결된 저장고(미도시)로부터 유체를 n개의 유동관(30)으로 각각 유동시킨다. 광원(10)을 작동하여 동일축선 상에 위치한 제1렌즈(72)로 빛을 조사한다. 제1렌즈(72)에 의해 빛은 평행광으로 안내된다.
제1렌즈(72)에 의해 평행광으로 안내된 빛은 제1렌즈(72)와 유동관(30) 사이에 배치된 제2렌즈(74)로 입사된다. 여기서, 제2렌즈(74)는 n개의 유동관(30)으로 각각 빛이 집광될 수 있도록 n개의 유동관(30)에 대응되어 n개가 배치된다. n개의 제2렌즈(74)를 통과한 빛은 n개의 빛으로 각각의 n개의 유동관(30)으로 입사된다.
n개의 유동관(30)으로 입사된 각각의 빛은 n개의 유동관(30)에 대응 배치되는 n개의 감지부(50)로 수광된다. n개의 감지부(50)에 수광된 빛은 광량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의 변화량으로 출력된다.
이에, n개의 유동관, n개의 감지부 및 n개의 유동관으로 각각 빛을 안내하는 n개의 렌즈부가 마련되어 n개의 유동관으로 유동되는 미세입자를 계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n 만큼으로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n개의 유동관, n개의 감지부 및 n개의 렌즈부를 전반사가 가능한 도광부재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 및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입자계수기를 구현할 수 있다.
더불어, n개의 렌즈부와 도광부재를 일체로 제작하여 초점거리에 따른 렌즈 재배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입자계수기의 제작 공정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입자계수기 10: 광원
30: 유동관 50: 감지부
70: 렌즈부 72: 제1렌즈
74: 제2렌즈 100: 입자계수기
110: 광원 130: 도광부재
134: 광원수용부 136: 감지부 수용부
150: 유동관 170: 감지부
180: 렌즈부 182: 제1렌즈
184: 제2렌즈 190: 전반사 보강부재

Claims (8)

  1.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과되며, 측정 대상인 미세입자가 함유된 유체가 n개의 유동로를 가지고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n개의 유동관과;
    상기 광원에 대해 n개의 상기 유동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n개의 상기 유동관을 각각 투과한 n개의 광량을 감지하는 n개의 감지부와;
    상기 광원과 n개의 상기 감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n개의 상기 유동관 및 n개의 상기 감지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빛을 전압의 변화량으로 출력하는 광전변환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평행광으로 안내하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n개의 상기 유동관 사이에 n개의 상기 유동관에 대응 배치되어, 상기 제1렌즈에 의해 안내된 빛을 각각 n개의 상기 유동관으로 안내하는 n개의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계수기는,
    상기 광원, n개의 상기 감지부 및 상기 렌즈부가 일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내부로 입사된 빛을 상기 유동관 및 상기 감지부로 전반사 시키는 도광부재(light guide me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유동관은 상기 도광부재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도광부재 내부의 전반사를 보강하는 전반사 보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7.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렌즈부는 상기 도광부재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8.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내부로 입사된 빛을 전반사 시키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과되며, 측정 대상인 미세입자가 함유된 유체가 각각 유동되는 n개의 유동관과;
    n개의 상기 유동관에 인접하게 대응 배치되어, n개의 상기 유동관을 각각 투과한 n개의 광량을 감지하여 전압의 변화량으로 출력하는 n개의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도광부재 내부에 전반사 되는 빛을 평행광으로 안내하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n개의 상기 유동관 사이에 n개의 상기 유동관에 대응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렌즈에 의해 안내된 빛을 각각 n개의 상기 유동관으로 안내하는 n개의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계수기.
KR1020100033641A 2010-04-13 2010-04-13 입자계수기 KR101139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41A KR101139858B1 (ko) 2010-04-13 2010-04-13 입자계수기
PCT/KR2010/008779 WO2011129512A1 (ko) 2010-04-13 2010-12-09 입자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41A KR101139858B1 (ko) 2010-04-13 2010-04-13 입자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54A true KR20110114154A (ko) 2011-10-19
KR101139858B1 KR101139858B1 (ko) 2012-05-02

Family

ID=4479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41A KR101139858B1 (ko) 2010-04-13 2010-04-13 입자계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9858B1 (ko)
WO (1) WO20111295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182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마하테크 측정속도 향상형 미세플라스틱 검출장치
KR20210037183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마하테크 광도파모듈 적용형 미세플라스틱 검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783A (ko) * 2002-10-30 2004-05-08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산업용 로봇
KR100608498B1 (ko) * 2003-07-19 2006-08-08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미세입자 계수 장치
KR200367121Y1 (ko) 2004-07-28 2004-11-10 주식회사 라이다텍 미세입자 측정용 레이저 입자 계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182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마하테크 측정속도 향상형 미세플라스틱 검출장치
KR20210037183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마하테크 광도파모듈 적용형 미세플라스틱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9512A1 (ko) 2011-10-20
KR101139858B1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6070B2 (en) Multiparameter device for measuring by optical means the filling level of tanks and reservoirs of liquids and liquefied products, the index of refraction, and for image analysis, without moving parts
KR102246478B1 (ko) 농도 측정 장치
KR100979991B1 (ko) 멀티 가스 센서용 광 공동
KR101139858B1 (ko) 입자계수기
JP6303900B2 (ja) 液体検出センサ
KR102454649B1 (ko) 농도 측정 장치
US9519110B2 (en) Detector, light guide and utility meter
CN105223151A (zh) 用于气体探测装置的光学腔
KR102247677B1 (ko) 광도파모듈 적용형 미세플라스틱 검출장치
KR10197068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유세포 분석 시스템
JP4948624B2 (ja) 濁度検知器
KR101139854B1 (ko) 입자계수기
CN102608029A (zh) 光学分析装置
JP6336544B2 (ja) 液体濃度検出装置
JP5515102B2 (ja) ガスセンサ
JP7429161B2 (ja) ToF型距離センサ及び電子機器
JP2012145437A (ja) 面積式流量計
WO2020084867A1 (ja) 濃度センサ
JP2012093232A (ja) フォトセンサ及びレベルセンサ
RU2297602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сигнализатор уровня жидкости
JP6510270B2 (ja) 液位検出装置
TWI499767B (zh) Liquid measuring device
CN112630218B (zh) 一种用于检测气体成分的装置
WO2017046913A1 (ja) 示差屈折率検出器
WO2015098278A1 (ja) 乾き度測定装置及び乾き度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