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126A -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126A
KR20110114126A KR1020100033591A KR20100033591A KR20110114126A KR 20110114126 A KR20110114126 A KR 20110114126A KR 1020100033591 A KR1020100033591 A KR 1020100033591A KR 20100033591 A KR20100033591 A KR 20100033591A KR 20110114126 A KR20110114126 A KR 20110114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flash
sound
grenade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483B1 (ko
Inventor
임영택
Original Assignee
임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택 filed Critical 임영택
Priority to KR102010003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4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8/00Practice or training ammunition
    • F42B8/12Projectiles or missiles
    • F42B8/26Hand grena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모의교전 시스템은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하는 폭발섬광 또는 폭발음향만을 감지하여 피격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통해서 실제 수류탄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척 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폭발을 모사 하므로 보병들의 전투훈련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SIMULATED COMBAT TRAINING SYSTEM USING MOCKED UP HAND GRENADE}
본 발명은 모의교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의교전 시스템은 실탄 대신에 레이저 광을 발사하여 피격 여부를 결정짓는 시스템으로서, 군 및 민간에서는 이를 보병의 전투 훈련 시스템으로서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훈련에 참가한 병사가 목표물을 조준하여 개인화기나 공용화기의 방아쇠를 당기면, 이때 방아쇠 등에 장착된 센서가 방아쇠 당김을 인식하거나 또는 장착된 공포탄 등이 발사될 때 나는 소리나 빛을 음향 센서 또는 수광 센서가 감지하여, 병사의 화기에 장착된 레이저 발사 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이로부터 펄스형 레이저가 조준된 목표에 발사된다. 만약 발사된 레이저가 각 병사의 헬멧 및 몸에 두른 하네스(harness) 또는 전차 등 목표물의 외부에 장착된 감지장치의 다수 개의 감지소자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피격하면, 피격된 감지소자에 입사된 레이저 신호는 전기신호로 전환된 후 이 신호를 피격신호로 인식하여 정해진 로직에 따라 병사의 몸에 장착된 경광등으로 피격 여부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감지장치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피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통제시스템에 전송하여 그 피격 여부를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병 화기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수류탄에 대한 모사 시스템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수류탄을 제외한 모의교전 시스템은 제대로 된 전투모사 시스템이라 할 수 없고 따라서 훈련도 불완전한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폭발효과를 실감나도록 구현한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의교전 시스템은, 수류탄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내에,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는 작동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 수류탄 폭발시 발생하는 섬광을 모사한 폭발섬광을 발생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방사하는 폭발섬광 발생부, 수류탄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음을 모사한 폭발음향을 발생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발산시키는 폭발음향 발생부 및 상기 작동 스위치부가 온(On) 되거나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일정 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상기 폭발섬광 발생부 또는 폭발음향 발생부를 동작시켜 폭발섬광 또는 폭발음향을 발생시키는 폭발 제어부를 구비한 모의 수류탄; 과 상기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된 폭발섬광의 세기를 감지하는 폭발섬광 감지부, 상기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된 폭발음향의 세기를 감지하는 폭발음향 감지부, 상기 감지된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를 이용하여 피격 여부를 결정하는 피격 결정부, 상기 피격 여부의 데이터를 무선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결정된 피격 여부를 청각신호 또는 시각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장치는,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에 대응되는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의 반경을 기준으로 한 피해범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격 결정부는, 상기 감지된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피해범위 정보에 해당되는가를 확인하여, 해당 되면 피격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RFID 태그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피격되었음을 청각신호 또는 시각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의 반경을 기준으로 한 피해범위는, 사망지역 및 위험지역을 포함하되, 상기 사망지역에서의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가 상기 위험지역에서의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보다 크며, 상기 사망지역이 위험 지역보다 상기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에 가까울 수 있다.
상기 폭발섬광 감지부는 설정된 파장 대역의 폭발섬광만을 감지하고, 상기 폭발음향 감지부는 설정된 파장 대역의 폭발음향만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수류탄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척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폭발을 모사하므로 보병들의 전투훈련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교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수류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의교전 시스템은 모의 수류탄(10), 감지장치(20) 및 중앙통제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모의 수류탄(10)은 실제 수류탄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며 폴리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 내외부에 투척자가 실제 수류탄처럼 안전핀 등을 뽑고 투척하거나 투척 후 충격이 일정강도 이상인 경우에 폭발섬광 또는 폭발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에 감지장치(20)는 모의 수류탄(10)에서 발생된 폭발섬광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를 감지하여 감지장치(20)를 부착한 병사나 전차 등이 피격되었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무선으로 중앙통제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 이때, 감지장치(20)는 RFID 기술을 이용하여 피격 여부를 중앙통제 시스템(30)으로 전송하는데, 감지장치(20)의 고유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통제 시스템(30)은 감지장치(20)로부터 수신된 고유 ID 및 피격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모의 수류탄(10)에 의해서 피격된 병사나 전차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수류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의 수류탄(10)은 수류탄 형상의 갖는 하우징을 가지며, 이러한 하우징 내에, 작동 스위칭부(11), 충격 센서(12), 폭발 제어부(13), 폭발섬광 발생부(14) 및 폭발음향 발생부(15)를 포함한다.
작동 스위칭부(11)는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며, 스위치가 온(On) 되면 작동신호를 발생하여 폭발 제어부(13)에 전송한다.
충격 센서(12)는 모의 수류탄(10)의 하우징에 가해진 충격량을 감지하여 폭발 제어부(13)에 전송한다.
폭발섬광 발생부(14)는 수류탄 폭발시 발생하는 섬광을 모사한 폭발섬광을 발생하여 모의 수류탄(10)의 하우징 외부로 방사한다. 이러한 폭발섬광 발생부(14)는 다양한 발광소자 중 다수의 LED를 모의 수류탄(10) 표면 곳곳에 박힌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LED는 모의 수류탄(10)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형으로 빛을 출사하는데 다수개의 LED가 순간적으로 온(on) 되면 대낮에도 밝은 섬광을 모사 하기에 충분한 조도가 방출될 수 있다. LED로서 백색광을 주로 이용할 수 있지만, 그 밖에 적색이나 여러 색깔의 LED를 조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좀 더 강한 빛이 요구되는 부위인 모의 수류탄(10) 몸체에는 LED를 집중적으로 모아서 배치한 LED 레이어로 섬광 효과를 증대시킨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LED 이외에도 레이저 다이오도(LD)나 CCFL, 기타 다른 발광소자도 가능하다.
폭발음향 발생부(15)는 수류탄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음을 모사한 폭발음향을 발생하여 모의 수류탄(10)의 하우징 외부로 발산시킨다. 이러한 폭발음향 발생부(15)는 소형 스피커 또는 소형 폭음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폭발 제어부(13)의 제어하에 스피커 또는 소형 폭음장치를 온(on) 시켜 폭발음향을 모의 수류탄(10) 표면의 보호메쉬를 통해 외부에 발산할 수 있다.
모의 수류탄(10)이 투척된 후 보호메쉬 표면이 지면에 접하여 소리가 잘 발산되지 않는 상황을 위해서 스피커 또는 소형 폭음장치 및 그 표면의 보호 메쉬는 모의 수류탄(10)의 하우징 외주면을 둘러가며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그 밖에 다른 위치에도 스피커 또는 소형 폭음장치가 배치될 수가 있으며, 나아가 몸체 곳곳에 형성된 음향구를 통해 사방으로 음향이 발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폭발 제어부(13)는 작동 스위치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거나 충격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폭발섬광 발생부(14) 또는 폭발음향 발생부(15)를 동작시켜 폭발섬광 또는 폭발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장치(20)는 폭발섬광 감지부(21), 폭발음향 감지부(22), 피격 결정부(23), RFID 태그(24), 출력부(25) 및 저장부(26)를 포함한다.
폭발섬광 감지부(21)는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된 폭발섬광의 세기를 감지하여 피격 결정부(23)에 전송한다. 이때, 폭발섬광 감지부(21)는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장 대역의 폭발섬광만을 감지한다. 이는 전차 등의 외부 잡음의 영향을 제거하여 피격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섬광의 파장 대역은 미리 측정되어 폭발섬광 감지부(21)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폭발음향 감지부(22)는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된 폭발음향의 세기를 감지하여 피격 결정부(23)에 전송한다. 이때, 폭발음향 감지부(22)는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장 대역의 폭발음향만을 감지한다. 이는 전차 등의 외부 잡음 영향을 제거하여 피격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음향의 파장 대역은 미리 측정되어 폭발음향 감지부(2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26)는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에 대응되는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의 반경을 기준으로 한 피해범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의 반경을 기준으로 한 피해범위는, 사망지역 및 위험지역을 포함하되, 사망지역에서의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가 위험지역에서의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보다 크며, 사망지역이 위험 지역보다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에 가까울 수 있다.
피격 결정부(23)는 폭발섬광 감지부(21) 및 폭발음향 감지부(21)에서 감지된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를 이용하여 감지장치(20)를 장착한 병사나 전차 등의 피격 여부를 결정한다. 즉, 피격 결정부(23)는 감지된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가 저장부(26)에 저장된 피해범위 정보에 해당되는가를 확인하여, 해당 되면 피격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RFID 태그(24)와 출력부(25)에 전송한다.
RFID 태그(24)는 피격 결정부(23)의 피격 여부의 데이터를 무선을 이용하여 외부, 즉 중앙통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때, RFID 태그(24)는 중앙통제 시스템으로부터 부여받은 감지장치(20)의 고유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중앙통제 시스템은 감지장치(20)를 장착한 병사나 전차 등에 대한 피격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25)는 피격 결정부(23)로부터 수신된 피격 여부 데이터를 청각신호 또는 시각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출력부(25)는 LED, LCD 또는 경광등, 경보음 발생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모의 수류탄 11 : 작동 스위칭부
12 : 충격 센서 13 : 폭발 제어부
14 : 폭발섬광 발생부 15 : 폭발음향 발생부
20 : 감지장치 21 : 폭발섬광 감지부
22 : 폭발음향 감지부 23 : 피격 결정부
24 : RFID 태그 25 : 출력부
26 : 저장부 30 : 중앙통제 시스템

Claims (4)

  1. 수류탄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내에,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는 작동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 수류탄 폭발시 발생하는 섬광을 모사한 폭발섬광을 발생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방사하는 폭발섬광 발생부, 수류탄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음을 모사한 폭발음향을 발생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발산시키는 폭발음향 발생부 및 상기 작동 스위치부가 온(On) 되거나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일정 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상기 폭발섬광 발생부 또는 폭발음향 발생부를 동작시켜 폭발섬광 또는 폭발음향을 발생시키는 폭발 제어부를 구비한 모의 수류탄; 과
    상기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된 폭발섬광의 세기를 감지하는 폭발섬광 감지부, 상기 모의 수류탄에서 발생된 폭발음향의 세기를 감지하는 폭발음향 감지부, 상기 감지된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를 이용하여 피격 여부를 결정하는 피격 결정부, 상기 피격 여부의 데이터를 무선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결정된 피격 여부를 청각신호 또는 시각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모의교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에 대응되는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의 반경을 기준으로 한 피해범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격 결정부는,
    상기 감지된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피해범위 정보에 해당되는가를 확인하여, 해당 되면 피격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RFID 태그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피격되었음을 청각신호 또는 시각신호로 출력하는 모의교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의 반경을 기준으로 한 피해범위는, 사망지역 및 위험지역을 포함하되, 상기 사망지역에서의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가 상기 위험지역에서의 폭발섬광의 세기 또는 폭발음향의 세기보다 크며, 상기 사망지역이 위험 지역보다 상기 모의 수류탄의 폭발위치에 가까운 모의교전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발섬광 감지부는 설정된 파장 대역의 폭발섬광만을 감지하고, 상기 폭발음향 감지부는 설정된 파장 대역의 폭발음향만을 감지하는 모의교전 시스템.
KR1020100033591A 2010-04-13 2010-04-13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KR10124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591A KR101242483B1 (ko) 2010-04-13 2010-04-13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591A KR101242483B1 (ko) 2010-04-13 2010-04-13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26A true KR20110114126A (ko) 2011-10-19
KR101242483B1 KR101242483B1 (ko) 2013-03-12

Family

ID=4502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591A KR101242483B1 (ko) 2010-04-13 2010-04-13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281A (ko) 2014-04-11 2015-10-22 에이알비전 (주) 모의수류탄, 모의크레모어 및 이벤트 컨트롤용 키패드부를 이용한 모의전투훈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202B1 (ko) * 2004-05-25 2006-09-19 (주)한림에스티 모의수류탄의 구조 및 작동방법
KR100815501B1 (ko) * 2006-08-18 2008-03-20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폭탄 모의 장치 및 상기 폭탄 모의 장치를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KR100920527B1 (ko) * 2007-07-24 2009-10-0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유도탄 시뮬레이션 시스템, 유도탄 모의 사격 장치 및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281A (ko) 2014-04-11 2015-10-22 에이알비전 (주) 모의수류탄, 모의크레모어 및 이벤트 컨트롤용 키패드부를 이용한 모의전투훈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483B1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404A (en) Training grenade for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8312814B2 (en) Simulated hand grenade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79224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training against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US9759521B2 (en) Firearm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5474452A (en) Training simulation system for indirect fire weapons such as mortars and artillery
US7927102B2 (en) Simulation devices and systems for rocket propelled grenades and other weapons
US7174835B1 (en) Covert tracer round
KR100815501B1 (ko) 폭탄 모의 장치 및 상기 폭탄 모의 장치를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US20070264616A1 (en) Structure of Detecting Device Used in Miles System and Gun Simulator
US9146078B2 (en) Adapter for communicating between an anti-personnel training device and a user worn monitoring device
KR101242483B1 (ko) 모의 수류탄을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KR20150071276A (ko)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US9671204B2 (en) Rifle grenade using bullet trap
KR100816388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24202B1 (ko) 모의수류탄의 구조 및 작동방법
US6647654B2 (en) Revolver cylinder configured to accommodate blanks and method for simulating firearm operation
KR101511256B1 (ko) 수류탄 제어 시스템
KR101229872B1 (ko) Led를 이용한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KR20170128793A (ko) 레이저 발사기를 구비한 사격훈련 장치
KR101370727B1 (ko)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101930857B1 (ko) 훈련용 모의 수류탄 및 이를 포함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
KR101272360B1 (ko) 지능형 레이저 발사모듈부와 효과음 및 진동발광부를 구비한 마일즈 시스템
KR200362152Y1 (ko) 모의수류탄의 구조 및 작동방법
MX2009013151A (es) Sistema de adiestramiento virtual laser electromecanico.
KR101214529B1 (ko) 광섬유 기반의 레이저빔 발사기 및 그 광섬유 기반의 레이저빔 발사기 정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