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858A -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858A
KR20110113858A KR1020100033167A KR20100033167A KR20110113858A KR 20110113858 A KR20110113858 A KR 20110113858A KR 1020100033167 A KR1020100033167 A KR 1020100033167A KR 20100033167 A KR20100033167 A KR 20100033167A KR 20110113858 A KR20110113858 A KR 2011011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input
electrode
portable terminal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394B1 (ko
Inventor
김학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394B1/ko
Priority to US13/083,846 priority patent/US8878813B2/en
Publication of KR2011011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동시에 감지하는 멀티 터치 패널과,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판단부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방식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는 터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INPUT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송메시지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선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은 크게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저항막 방식은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을 일정 공간을 두고 배열한 후 사용자가 상판을 눌러 하판에 접촉되었을 때 저항값을 이용해 좌표를 읽어 들이는 방식이고,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은 인체의 정전 용량을 이용해 화면을 터치했을 때 변화하는 정전 용량을 이용해 터치한 좌표를 찾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저항막 방식은 멀티 터치가 불가능하지만 섬세한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은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별도의 입력 도구를 사용할 수 없으며 아이콘 위주의 터치 입력에 유리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두가지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터치 입력 방식의 단점을 보안하여 장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는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동시에 감지하는 멀티 터치 패널과,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판단부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방식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는 터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은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동시에 감지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방식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하나의 터치 패널로 두가지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좌표 계산 후 터치 입력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좌표 계산 전 터치 입력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극 스위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제공하여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터치 관리부(102), 메모리부(108), 입력부(110), 표시부(112) 및 통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관리부(102)는 터치스크린 패널(104)과 패턴 판단부(10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104)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처리한다.
상세히 말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입력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한다. 일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정전용량을 캐치할 수 있는 수준의 터치를 상판에만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정전 용량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고, 상하판이 접촉하여 저항막방식의 좌표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저항막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터치 관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터치 관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4)의 상판 또는 하판이 멀티 채널 구조로 동작할 경우, 다수의 채널로 입력되는 저항 값을 하나의 채널에서 입력되는 저항값으로 되도록 하는 전극 스위칭 과정을 수행하여 다수의 채널로 입력되는 저항 값을 하나의 채널로 입력되는 저항값으로 변환시킨다. 이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4)의 상판 또는 하판 가운데 어느 한 전극이 한개의 채널로부터 저항값을 입력받고, 다른 전극이 다수의 채널로부터 저항값을 입력받음에 따라 정확한 터치 입력 발생 좌표를 계산할 수 없음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로부터 입력받는 저항값을 하나의 채널로 입력되는 저항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터치 관리부(102)는 상판 및 하판이 한개의 채널로부터 저항값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판 및 하판이 다수의 채널로부터 저항값을 입력받는 것과 같이 동일한 구조로 동작할 경우, 상기 전극 스위칭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4)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여러 입력 정보들을 압력에 따른 압점들로 인식하여 이를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의 터치 패널(104)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하기 위하여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한다.
상기 패턴 판단부(106)는 상기 터치 관리부(1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사용자가 저항막 방식을 이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였는지 정전 용량 방식을 이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메모리부(108)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터치 관리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2)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4)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 관리부(102)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제공하여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멀티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은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로 2층 또는 3층의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터치 패널을 말한다.
만일, 상기 203단계에서 멀티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터치 패널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터치 좌표 분석)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203단계에서 멀티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패턴을 분석한다. 여기에서, 상기 205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정전 용량 방식으로 터치 인식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멀티 터치 패드를 터치(C 터치)하였는지 또는 상기 사용자가 저항막 방식으로 터치 인식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멀티 터치 패드를 터치(R 터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C 터치는 상판에만 터치되어 정전용량을 캐치할 수 있는 수준의 터치를 말하고, 상기 R 터치는 상하판이 접촉하여 저항막방식의 좌표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를 말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5단계의 터치 패턴 분석 과정의 결과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207단계에서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 즉, R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의 상판과 하판이 접촉됨에 따라 변화는 저항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를 계산한다.
한편, 상기 207단계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 즉, C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정전 용량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를 계산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한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지점을 판단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좌표 계산 후 터치 입력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정전 용량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를 계산(상기 도 2의 215단계) 한 후, 정전 용량이 변경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정전 용량 변경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수행한 후 다른 지점으로 터치 이동을 수행하거나 다른 지점을 연속하여 터치함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301단계에서 좌표 계산 후,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다른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음을 판단한 후, 상기 도 2의 211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301단계에서 좌표 계산 후, 정전 용량이 변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3단계에서 사용자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으로 정전 용량이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멀티 터치 패널을 구비함에 따라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이 서로 접촉할 경우, 정전 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만일, 상기 303단계에서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저항막 방식의 터치 이동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고, 상기 도 2의 209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303단계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터치 입력 또는 터치 이동이 정전 용량 방식임을 판단한 후, 307단게로 진행하여 정전 용량 값을 기반으로 터치 입력 발생 좌표를 계산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2의 21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좌표 계산 전 터치 입력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401단계에서 정전 용량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를 계산(상기 도 2의 215단계)하기 전에 정전 용량이 변경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정전 용량 변경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수행한 후 다른 지점으로 터치 이동을 수행하거나 다른 지점을 연속하여 터치함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401단계에서 좌표 계산하기 전에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다른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음을 판단한 후, 상기 도 2의 211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401단계에서 좌표 계산하기 전에 정전 용량이 변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403단계에서 사용자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으로 정전 용량이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멀티 터치 패널을 구비함에 따라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이 서로 접촉할 경우, 정전 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만일, 상기 403단계에서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에 맞는 기본 정전 용량을 설정한 후,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재설정된 기본 정전 용량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3의 215단계의 정전 용량 값을 기준으로 좌표를 계산하기 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것임에 따라 저항막 방식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기준 정전 용량을 재설정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403단계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터치 입력 또는 터치 이동이 정전 용량 방식임을 판단한 후, 407단계로 진행하여 정전 용량 값을 기반으로 터치 입력 발생 좌표를 계산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2의 21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극 스위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 스위칭은 멀티 터치 패널의 상판 또는 하판이 멀티 채널 구조로 동작할 경우, 다수의 채널로 입력되는 저항 값을 하나의 채널에서 입력되는 저항값으로 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전극 스위칭 과정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판 및 하판은 본 발명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이 4선식 저항막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상판은 R4 구조(4선식 저항막 방식)와 C2 구조(2선식 정전 용량 방식)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상판은 R4(4선식 저항막 방식), C1(1층 멀티 채널 정전 용량 방식), C2(2층 멀티 채널 정전 용량 방식) 및 R5(5선식 저항막 방식)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이 R4 구조로 X 값을 인식하는 하판과 R4 구조로 Y 값을 인식하는 상판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은 4선식 저항막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이 C2 구조로 X 값을 인식하는 하판과 C2 구조로 Y 값을 인식하는 상판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은 4선식 저항막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C2 구조는 다수의 채널로 구성된 전극으로 1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4선식 또는 5선식 저항막 방식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다수의 채널로 입력된 저항을 하나의 채널로 입력되는 것과 같이 합쳐주는 스위칭 과정을 수행해야한다.
상기 전극 스위칭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501단계에서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1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4선식 또는 5선식 저항막 방식에서도 다수의 채널로 구성된 전극을 사용하기 위한 스위칭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501단계에서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501단계에서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이 발생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동작중인 터치 패널의 상판 및 하판의 전극 구조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채널에 해당하는 전극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표 1>과 같이 동작할 수 있는 멀티 터치 패널의 상판 또는 하판 가운데 하나는 1개의 채널로 구성된 전극으로 동작하고 나머지 하나가 다수의 채널로 구성된 전극 구조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판 및 하판이 서로 다른 구조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상판과 하판이 서로 같은 구조로 동작할 경우에는 전극 스위칭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만일, 상기 505단계에서 멀티 채널에 해당하는 전극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2의 209단게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505단계에서 멀티 채널에 해당하는 전극이 존재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 채널에 해당하는 전극에 대하여 전극 스위칭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이 서로 다른 구조로 동작하여 어느 하나의 전극만 다수의 채널로 구성된 구조로 동작할 경우 전극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과 하판이 서로 같은 구조로 동작할 경우에는 전극 스위칭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터치 관리부
104: 터치스크린 패널 106: 패턴 판단부

Claims (14)

  1.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동시에 감지하는 멀티 터치 패널과,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판단부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방식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는 터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판단부는,
    정전용량을 캐치할 수 있는 수준의 터치를 상판에만 수행하는 입력 패턴과, 상하판이 접촉하여 저항막방식의 좌표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를 수행하는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관리부는,
    상기 정전 용량을 캐치할 수 있는 수준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후, 정전 용량 변경을 감지할 경우, 저항막 터치 입력에 따른 정전 용량 변경이 발생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저항막 방식을 기반으로 터치 이동 좌표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관리부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의 전극 구조를 확인하여 상판 또는 하판의 전극 구조가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구조임을 확인할 경우,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전극에 대하여 전극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스위칭은,
    1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4선식 또는 5선식 저항막 방식에서도 다수의 채널로 구성된 전극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채널로 입력된 저항을 하나의 채널로 입력되는 것과 같이 합쳐주는 스위칭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은,
    하기 표 2와 같은 적극의 구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표 2>
    Figure pat00002

  8.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터치 패널에서 정전 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을 동시에 감지하는 멀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방식의 터치 입력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의 전극 필름을 저항막 방식의 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패턴은,
    정전용량을 캐치할 수 있는 수준의 터치를 상판에만 수행하는 입력 패턴과, 상하판이 접촉하여 저항막방식의 좌표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를 수행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정전 용량을 캐치할 수 있는 수준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후, 정전 용량 변경을 감지할 경우, 저항막 터치 입력에 따른 정전 용량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저항막 방식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경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저항막 방식을 기반으로 터치 이동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의 전극 구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판 또는 하판의 전극 구조가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구조임을 확인할 경우,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전극에 대하여 전극 스위칭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스위칭은,
    1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4선식 또는 5선식 저항막 방식에서도 다수의 채널로 구성된 전극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채널로 입력된 저항을 하나의 채널로 입력되는 것과 같이 합쳐주는 스위칭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 패널은,
    하기 표 2와 같은 적극의 구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표 3>
    Figure pat00003

KR1020100033167A 2010-04-12 2010-04-12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75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67A KR101755394B1 (ko) 2010-04-12 2010-04-12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US13/083,846 US8878813B2 (en) 2010-04-12 2011-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inpu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67A KR101755394B1 (ko) 2010-04-12 2010-04-12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58A true KR20110113858A (ko) 2011-10-19
KR101755394B1 KR101755394B1 (ko) 2017-07-11

Family

ID=4476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67A KR101755394B1 (ko) 2010-04-12 2010-04-12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78813B2 (ko)
KR (1) KR101755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3719A1 (en) * 2011-10-17 2013-04-18 Sony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2683B2 (ja) 2005-05-31 2009-06-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及び地図表示法
US20080204418A1 (en) * 2007-02-27 2008-08-28 Adam Cybart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316182A1 (en) 2007-06-21 2008-12-25 Mika Antila Touch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Sensor
US9654104B2 (en) * 2007-07-17 2017-05-16 Apple Inc. Resistive force sensor with capacitive discrimination
KR101438231B1 (ko) 2007-12-28 201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0925954A (en) 2007-12-12 2009-06-16 J Touch Corp Hybrid touch panel and method making thereof
FR2952730B1 (fr) * 2009-11-17 2021-09-24 Thales Sa Dispositif a ecran tactile multimode
TWI426427B (zh) * 2010-02-12 2014-02-11 Wintek Corp 觸控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78813B2 (en) 2014-11-04
US20110248956A1 (en) 2011-10-13
KR101755394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CN111240789B (zh) 一种微件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52008B1 (ko) 개체들을 관련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1523331B (zh) 便携式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3002395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편집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119376B (zh) 触敏显示器的多维导航
KR2011011094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420318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3661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 입력 오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46587B1 (ko)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CN107357458B (zh) 触摸按键的响应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130007230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5122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661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80115060A1 (en) Computer user interface menu selection process
CN101951254A (zh) 具有导航按键的电子设备及利用其实现的导航方法
KR2011011385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5867811A (zh) 一种消息回复方法和终端
US20150234546A1 (en) Method for Quickly Displaying a Skype Contacts List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KR2012001785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US8863037B2 (en) Keypad navigation selection and method on mobile device
JP2004166109A (ja) 携帯端末機
JP2010198597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
KR2013002394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