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808A - A drink or wine chiller - Google Patents

A drink or wine chi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808A
KR20110113808A KR1020100033094A KR20100033094A KR20110113808A KR 20110113808 A KR20110113808 A KR 20110113808A KR 1020100033094 A KR1020100033094 A KR 1020100033094A KR 20100033094 A KR20100033094 A KR 20100033094A KR 20110113808 A KR20110113808 A KR 2011011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liquor
contents
cooling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목
Original Assignee
박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목 filed Critical 박경목
Priority to KR102010003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808A/en
Publication of KR2011011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4Cool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내용물을 유입받는 연결부; 일단 내부에 연결부의 타단이 탈부착 되고, 타단을 통해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연결부의 타단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내부에 각각 냉매가 담기는 다수의 냉각봉이 격자 배열을 형성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면서 접촉되는 내용물을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병 주둥이를 통하여 토출되는 주류나 음료가 냉각봉과 접촉하거나, 유체관을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어, 주류 또는 음료를 장소에 구애 없이 시원하게 냉각시켜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nd the discharge port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 detachable while receiving the contents; A cas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hereto; And a heat exchange part having one en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being built in the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oling rods each containing refrigerant therein, stacked in multiple layers to form a lattice arrangement, and cooling the contents to be contacted. To prov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quor or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bottle spout is in contact with the cooling rod or cooled by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fluid pipe, the alcohol or beverage can be cooled and drinking without regard to the place to drink There is.

Description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A drink or wine chiller}A drink or wine chiller

본 발명은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에 부착하여 병에서 토출되는 음료 또는 주류를 냉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discharge port of a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nd used to cool the beverage or liquor discharged from the bottle.

일반적으로 음료나 맥주 등과 같은 주류를 시원하게 음용하기 위해서 주로 냉장고나 냉동고 등이 사용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or a freezer is mainly used to drink alcoholic beverages such as drinks or beer.

그러나 상기 냉장고 또는 냉동고는 부피가 크고 이동이 불편한 구조로 주로 실내의 일정 장소에 설치하여 실내 전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실외에서 사용하거나 이동용으로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 refrigerator or freezer has a bulky structure and is inconvenient to move, and is mainly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room and used for indoor use on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outdoors or for mobile use.

또한,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서 냉각된 음료나 맥주라 할지라도 실외에 노출상태로 방치할 경우 최초에는 냉각상태가 유지되어 시원하게 음용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냉각상태가 지속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beverage or beer cooled in the refrigerator or freezer when left exposed to the outdoors, the first cooling state is maintained to drink cool, but the cooling state does not continue over time.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음료 냉각수단들로 크게 용기 일체형 냉각수단과 용기 수납형 냉각수단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everage integrated cooling means and container storage cooling means have been largely developed.

하지만, 용기 일체형 냉각수단은 기존의 용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가 대부분이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작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용기를 폐기할 경우 함께 폐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tainer-integrated cooling means i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use in the existing container,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akes too much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 problem that if you dispose of the container may be disposed together.

또한, 용기 수납형 냉각수단은 대부분 병을 내부에 감싸거나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식당이나 술집에서 보관하기 어렵고, 재사용하기 위하여 냉각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없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most container storage cooling means have to be structured so that the bottle can be wrapped or housed inside, it is bulky and difficult to store in a restaurant or bar,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cool down for reuse. It can not be vario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e ease of use.

특히, 맥주의 경우 온도가 올라가면 그 풍미가 떨어지게 되므로 냉각은 더욱 중요하다. 최근 들어 대용량의 맥주 팩이 개발되고 판매되고 있으나 맥주 팩 내의 맥주를 적정하게 냉각시키고 이를 유지시키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기술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eer the cooling is more important because the flavor is lower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Recently, large-capacity beer pack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but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is insufficient for a portion of the beer pack that properly cools and maintains the be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또는 주류를 병에서 개방한 상태에서 음료 또는 주류를 따르면서 바로 냉각시킬 수 있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that can be directly cooled while following the beverage or liquor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or liquor is opened in a bottle.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는 일단이 상기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받는 연결부;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탈부착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내부에 각각 냉매가 담기는 다수의 냉각봉이 격자 배열을 형성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면서 접촉되는 상기 내용물을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한다.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one end is connected to receive the contents while being removable while maintaining the air outlet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 cas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thereof; One end is embedded in the cas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 plurality of cooling rods each containing a refrigerant therein includes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contents contacted while being stacked in multiple layers to form a lattice arrangement.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함체; 및 상기 함체의 미리 정해진 내측 깊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길이방향 관통홀을 형성하면서, 가로 세로로 교번되게 배열하여 다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함체와 결합하는 상기 다수의 냉각봉;을 포함한다.The heat exchange unit has a housing built in the case; And a plurality of cooling rods stacked in multiple layers by alternately arranging them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orming longitudinal through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a predetermined inner depth of the enclosure,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enclosure. Include.

이 경우 상기 다수의 냉각봉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 관통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may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longitudinal through hole.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중공을 형성하는 지지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tube forming a hollow.

그리고 상기 냉매는 냉각된 소금물일 수 있다.The refrigerant may be cooled bri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는 일단이 상기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받는 연결부;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탈부착되는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유체관을 통과하는 상기 내용물을 냉매를 통해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한다.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while maintaining the outlet and the airtight while being detachable connection portion receiving the contents; A cas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inserted therein; And a heat exchanger having one en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embedded in the case to cool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helical fluid tube formed therein through a refrigera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는 음료병 또는 주류병에서 토출되는 음료 또는 주류의 내용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 받는 연결부;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탈부착되는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이격되는 다수개의 격벽과, 상기 다수개의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or liquo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one end of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to maintain the airtight Removable portion while receiving the contents while being removable; A cas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inserted therein; And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housing embedded in the cas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coupled to one end of the enclosu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zigzag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이때 상기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서로 이웃하는 격벽과 상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엠보싱이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with embossing to maintain the vertical gap with the neighboring partition wal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에 의하면 병에 담긴 주류나 음료를 따를 때마다, 병 주둥이를 통하여 토출되는 1잔 분량의 주류나 음료가 열교환부의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어, 주류 또는 음료를 장소에 구애 없이 시원하게 냉각시켜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ry time the alcoholic beverage or beverage contained in the bottle is poured, one cup of alcohol or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bottle spout is cooled by the refrigerant of the heat exchanger. It is effective to cool and drink alcoholic beverages or drinks regardless of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에 따른 냉각봉의 격자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평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lattice arrangement of the cooling rods according to the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에 구비되는 냉각봉의 격자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lattice arrangement of the cooling rods provided in the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냉각장치는 일단이 상기 음료병(2)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4)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 받는 연결부(10);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이 탈부착되는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20); 일단이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어, 내부에 각각 냉매가 담기는 다수의 냉각봉(34)이 격자 배열을 형성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면서 접촉되는 상기 내용물을 냉각하는 열교환부(30)를 포함한다.Beverage or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everage bottle 2 or the liquor bottle is connected to the inlet while receiving the contents while being removable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 (4); A case 20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art 10 is detached from one end thereof; One end is embedded in the case 20 while adjacent to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a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each of which contains a refrigerant therein is laminated in a multi-layer to form a lattice arrangement is in contact It includes a heat exchanger 30 for cooling the contents.

상기 연결부(10)는 일단(12)이 상기 음료병(2)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4)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 받을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0 may receive the contents while being detachable while keeping one end 12 airtight with the discharge port 4 of the beverage bottle 2 or the liquor bottle.

상기 연결부(10)의 재질은 코르크로 될 수 있으며, 연결부(10)가 토출구(4)에 밀실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may be cork,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0 can be tightly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4).

도 1을 참조하면, 연결부(10)가 토출구(4)에 삽입된 후 토출구(4)를 통해 맥주와 같은 내용물을 유입받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4 and receives contents such as be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4.

상기 연결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열교환부(30)로 이동할 수 있는 홀 또는 유로관(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ole or a flow path tube 14 through which the contents move to the heat exchange part 3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0.

연결부(10)의 내부를 관통한 내용물은 타단에 형성될 수 있는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부(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ntents that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part 30 through a discharge hole that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케이스(20)의 일단(22) 내부에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이 탈부착 되고, 케이스(20)의 타단(26)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end 22 of the case 20, and the content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end 26 of the case 20.

케이스(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중공(24)이 형성되어 열교환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2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s shown in the case 20, the hollow 24 is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shape while the heat exchange part 30 may be installed.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shape of the case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케이스(20)의 재질로 세라믹이 사용되어, 열교환부(30)에 내장되는 냉매 및 냉각된 내용물이 외기에 의해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막는 단열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eramic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case 20, so that the refrigerant and the cooled contents embedded in the heat exchange unit 30 exhibit an insulating function to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being changed by outside air.

열교환부(30)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어, 내부에 각각 냉매가 담기는 다수의 냉각봉(34)이 격자 배열을 형성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면서 접촉되는 상기 내용물을 냉각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part 30 is embedded in the case 20 while one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art 10, such that a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each containing refrigerant therein form a lattice arrangement. The contents to be contacted can be cooled while being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냉각봉(34) 각각은 냉매를 포함하고 있어, 냉각봉(34)과 접촉하는 상기 내용물을 냉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냉매는 냉각된 소금물일 수 있다. 냉각된 소금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냉각봉(34)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주변환경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Each of the cooling rods 34 includes a refrigerant to cool the contents in contact with the cooling rods 34. The refrigerant for this may be cooled brine. Cooled brine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even if the cooling rod 34 is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is harmles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dvantage.

소금물은 어는점이 맹물보다 낮아 냉매로서의 효과가 크다. 일반 냉장고의 냉동 온도가 -20℃ 전후인 것을 감안할 때, 소금물의 농도는 -10~-20℃ 정도의 어는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ne has a low freezing point than the heavy water, which is effective as a refrigerant. Considering that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general refrigerator is around -20 ° C, the concentration of the brine is preferably formed at a freezing point of about -10 to -20 ° C.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eat exchang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열교환부(30)는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는 함체(32); 및 상기 함체(32)의 미리 정해진 내측 깊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길이방향 관통홀(36)을 형성하면서, 가로 세로로 교번되게 배열하여 다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함체(32)와 결합하는 상기 다수의 냉각봉(34)을 구비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part 30 is a housing 32 built in the case 20; And at a predetermined inner depth of the housing 32, while forming the longitudinal through-hole 3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ranged alternate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tacked in multiple layers, each end of the housing 32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to be combin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32)의 일단이 연결부(10)의 타단(16)에 맞닿으면서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one end of the housing 32 may be embedded in the case 20 while contacting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함체(32)의 일 예로 원통이 사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함체(32)에 형성되는 중공에는 다수의 냉각봉(34)이 격자로 적층될 수 있다. 하지만, 원통형상의 함체에 국한되지 않고 타원통 등 다양한 형상이 동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s an example of the housing 32, a cylinder may be used, and a hollow may be formed therein. In the hollow formed in the housing 32, a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may be stacked in a lattice. However, it is obvious that various shapes such as an elliptic cylinder can be mobilized without being limited to a cylindrical enclosure.

다수의 냉각봉(34) 각각은 양단이 상기 함체(32)의 내측면에 결합하게 되는데, 끼움 결합을 통한 탈부착 방식이 동원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2, the detachable manner through the fitting can be mobilized.

먼저, 냉각봉(34) 각각의 양단은 맞닿는 함체(32)의 내측면 곡면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both ends of each of the cooling rods 34 are preferably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curved surface of the housing 32 abuts.

다음, 냉각봉(34) 각각의 길이도 중앙 지름을 기준으로 함체의 마주보는 양 내측 지점을 연결한 길이에 대응되게 달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each of the cooling rods 34 is also differently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connecting the two inner points facing the housing based on the center diameter.

함체(32)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냉각봉(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망(38)이 함체(32)의 타단에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냉각봉(34)의 이탈을 더 방지하기 위해 함체(32)의 양단에 걸림망(38)을 장착할 수도 있다.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stacked inside the enclosure 32, a catching net 38 may be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enclosure 32. Furthermore, in order to further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ooling rod 34, the catching net 38 may b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32.

물론 걸림망(38)은 상기 내용물의 통과에 방해되지 않는 망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catching net 38 preferably forms a network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assage of the contents.

나아가 다수의 냉각봉(34)이 함체(32)의 내측면에 적층되면서 양단이 함체(32)의 내측면과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걸림망을 더 설치하지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as 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are stac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32, both ends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32 through the coupling member.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more hooks.

다수의 냉각봉(34)은 상기 함체(32)의 미리 정해진 내측 깊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길이방향 관통홀(36)을 형성하면서 가로 세로로 교번되게 배열하여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may be stacked in a multi-layer by alternately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while forming longitudinal through holes 36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a predetermined inner depth of the enclosure 32.

냉각봉(34)은 함체(32) 내부의 어느 한쪽에서부터 적층될 수 있다. 먼저, 냉각봉(34a)이 세로로 배열된 후, 다음으로 냉각봉(34b)이 가로로 배열되면서 함체(32) 내부에서 적층된다. 즉, 하나의 가로 배열 층 및 하나의 세로 배열 층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개의 격자 배열 층을 형성할 수 있다.Cooling rod 34 may be stacked from any one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2). First, the cooling rods 34a are vertically arranged, and then the cooling rods 34b are laterally arranged and stacked inside the enclosure 32. That is, as shown in FIG. 2, one lattice array layer may be formed through one horizontal array layer and one vertical array layer.

이를 반복하면서 다수의 냉각봉(34)이 다층의 격자 배열을 형성하면서 함체(32) 내부에 가득 채워지게 된다. While repeating this, a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are filled in the enclosure 32 while forming a multi-layer lattice arrangement.

이 경우 관통홀(36)은 인접하여 위치하는 2 개의 냉각봉(34)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36 is formed between two cooling rods 34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tents can pass.

즉, 냉각봉(34a)이 세로로 적층되면서 관통홀(36a)가 형성되고, 냉각봉(34b)이 냉각봉(34a)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관통홀(36b)가 형성된다.That is, through-holes 36a are formed while the cooling rods 34a are vertically stacked, and through-holes 36b are formed while the cooling rods 34b are stacked on top of the cooling rods 34a.

냉각봉(34)이 적층된 함체(32)는 일단에서 내용물을 연결부(10)에서 전달받아, 관통홀(36)을 따라 내용물을 이동시키면서, 냉각봉(34)에 접촉하는 상기 내용물을 냉각봉(34)에 주입되어 있는 냉매를 통해 냉각하게 된다. The enclosure 32 in which the cooling rods 34 are stacked receives the content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0 at one end, and moves the contents along the through-hole 36 to cool the rods in contact with the cooling rods 34. Cooling is carried out through the refrigerant injected into the 34.

다수의 냉각봉(34)으로 형성되는 다층의 격자 배열을 통해, 상기 내용물이 냉각봉(34)과의 냉각접촉면적이 확대되면서 상기 내용물의 냉각효과를 더 증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rough a multi-layer lattice arrangement formed of a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the contents of the cooling contact area with the cooling rod 34 is expan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cooling effect of the contents.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의 상기 다수의 냉각봉(34)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 관통홀(36)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each of 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of the heat exchange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longitudinal through hole 36.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1 개의 격자 배열 층의 상부에 또 하나의 격자 배열 층을 형성하는 경우, 먼저 냉각봉이 관통홀(36a)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세로 배열된다. 다음 적층할 냉각봉이 관통홀(36b)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가로 배열된다.That is, in the case of forming another lattice arranging layer on the top of one lattice arranging layer as shown in FIG. 2, the cooling rods are first arranged vertically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through hole 36a. Cooling rods to be stacked next are arranged horizontally while being positioned above the through-hole 36b.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봉(34)과 관통홀(36)이 교번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냉각봉(34)이 다층으로 적층되면 함체(32)의 상부에서 바라보는 평면도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6a, 36b)이 상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1, when a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are stacked in a multi-layered manner in a manner in which the cooling rods 34 and the through holes 36 are alternately formed, the cooling rods 34 and the through holes 36 are formed at the bottom in a plan view viewed from the top of the housing 32. Through holes 36a and 36b are not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이러한 냉각봉(34)과 관통홀(36)이 교번하는 방식의 다층의 격자 배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냉각봉(34)은 상기 내용물이 함체(32)의 상부에서 하부로의 이동 경로를 길게하여 냉각접촉면적이 더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34 forming a multi-layer lattice arrangement of the cooling rods 34 and the through-holes 36 alternately extend the contents from the top of the housing 32 to the bottom thereof.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oling contact area can be further expanded.

한편 상기 연결부(10)의 일단은 중공을 형성하는 지지관(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tube 50 forming a hollow.

상기 지지관(50)은 토출구(4)에 삽입되는 연결부(10)의 밀착 결합을 도울 수 있고, 연결부(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The support tube 50 may help the close coupl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4 and ma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즉, 연결부(10)가 코르크로 형성되는 경우에 연결부(10)가 토출구(4)에 쉽게 이탈될 수 있는바, 강성 재질의 지지관(50)이 연결부(1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관(5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이 동원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0 is formed of cork, the connecting portion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ort 4, so that the support tube 50 made of a rigid material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You can prevent it. To this end, the material of the support tube 50 may be mobilized aluminum or stainless steel.

지지관(50)은 연결부(10) 일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내용물을 주입받아 연결부(10)의 내부로 전달할 수 있는 중공홀(5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관(50)이 연결부(10)에 장착되면 지지관(50)이 음료 유입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Support tube 50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llow hole 52 to receive the contents to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That is, when the support tube 50 is moun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0, the support tube 50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beverage inle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단면도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는 일단이 상기 음료병(2)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4)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받는 연결부(10);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이 탈부착되는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20); 일단이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유체관(44)을 통과하는 상기 내용물을 냉매를 통해 냉각하는 열교환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everage bottle (2) or the connection portion (10) which is removable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 with the discharge port 4 of the liquor bottle while receiving the contents; A case 20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art 10 is detached from one end thereof; Heat exchanger 40, one end of which is adjacent to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art 10 and cools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helical fluid pipe 44 formed in the case 20 and formed therein through a refriger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연결부(10), 케이스(20) 및 냉매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the case 20 and the refrigeran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열교환부(40)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유체관(44)을 통과하는 상기 내용물을 냉매를 통해 냉각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part 40 has one end thereof adjacent to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art 10 and embedded in the case 20, and passes through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helical fluid pipe 44 formed therein through a refrigerant. Can be cooled.

열교환부(40)는 냉매가 주입되며 케이스(20)에 내장되는 함체(42); 및 상기 함체(42)의 양단을 연통하도록 상기 함체(4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유체관(44)을 포함한다.The heat exchange part 40 includes a housing 42 in which a refrigerant is injected and embedded in the case 20; And a helical fluid tube 44 formed inside the enclosure 42 so as to communicate both ends of the enclosure 42.

유체관(44)이 나선형의 긴 유로로 형성되면서 상기 내용물을 따를 때 소금물로 형성되는 냉매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된다.As the fluid pipe 44 is formed in a long spiral flow path, the contact area with the refrigerant formed by the salt water becomes wide when the contents are followed.

이를 위한 유체관(44)은 실리콘 관, 테프론 관, 스테인리스 관, 동 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Fluid tube 44 for this may be used, such as silicone tube, Teflon tube, stainless steel tube, copper tub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관(44)의 일단은 연결부(10)의 타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one end of the fluid pipe 44 may b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0 and receive the contents.

다음, 상기 내용물은 나선형의 유체관(44)을 따라 이동하면서 함체(42)에 내장되어 있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Next, the contents are cooled by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contained in the enclosure 42 while moving along the helical fluid tube 44.

다음, 냉각된 내용물은 유체관(44)의 타단을 통해 케이스(20)의 타단 내부(24)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Next, the cooled content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moving to the inside 24 of the other end of the case 20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luid tube 44.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의 평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는 일단이 상기 음료병(2)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4)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 받는 연결부(10);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이 탈부착되는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20); 및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는 함체(52)와, 상기 함체(52)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이격되는 다수개의 격벽(54)과, 상기 다수개의 격벽(54) 사이에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56)를 포함하는 열교환부(50)를 포함한다.4 and 5, the beverage or liqu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detachable while keeping airtight with the beverage bottle 2 or the discharge port 4 of the liquor bottle. Connection portion 10 for receiving the contents; A case 20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art 10 is detached from one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bulkheads 54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52 and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housing 5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zigzag shap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bulkheads 54. It includes a heat exchange unit 50 including the flow path 56 of.

상기 열교환부(50)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10)의 타단(16)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56)를 통과하는 상기 내용물을 냉매를 통해 냉각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part 50 has one end thereof adjacent to the other end 16 of the connection part 10 and is embedded in the case 20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zigzag-shaped flow path 56 formed therein. Can cool through.

한편 상기 격벽(54)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서로 이웃하는 격벽(54)과 상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엠보싱(55)이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에서 상기 격벽을 차례로 쌓으면 상기 엠보싱(55)에 의해 소정 간격의 유로(56)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54 is provided with an embossing 55 to maintain the vertical gap with the partition 54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partition walls are sequentially stacked at the bottom, the flow paths 56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by the embossing 55.

따라서 상기 내용물은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56)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매가 담기는 격벽(54)과 열교환하게 되어 냉각된다. 이때 유로(56)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이 냉매와 열교환하는 면적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ents are cooled by being heat-exchanged with the partition wall 54 containing the refrigerant while moving along the zigzag-shaped flow path 56. At this time, since the flow path 56 is formed in a zigzag shape, an area in which the contents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2: 음료병 10: 연결부
20: 케이스 30, 40, 50: 열교환부
32, 42: 함체 34: 냉각봉
36: 관통홀 38: 걸림망
44: 유체관 60: 지지관
2: beverage bottle 10: connection
20: case 30, 40, 50: heat exchange part
32, 42 enclosure 34: cooling rod
36: through hole 38: hook
44: fluid tube 60: support tube

Claims (8)

음료병 또는 주류병에서 토출되는 음료 또는 주류의 내용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받는 연결부;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탈부착 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내부에 각각 냉매가 담기는 다수의 냉각봉이 격자 배열을 형성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면서 접촉되는 상기 내용물을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In th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or liquo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 connection part of which one end receives the contents while being detachable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 cas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hereto; And
A heat exchange part having one en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being built in the case, and cooling the contents to be contacted while being stacked in multiple layers to form a lattice arrangement in which a plurality of cooling rods each contain a refrigerant therein; Beverage or liquor chi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함체; 및
상기 함체의 미리 정해진 내측 깊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길이방향 관통홀을 형성하면서, 가로 세로로 교번되게 배열하여 다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함체와 결합하는 상기 다수의 냉각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exchange unit,
A housing embedded in the case; And
And a plurality of cooling rods stacked in multiple layers by being arranged in alternating length and length at a predetermined inner depth of the enclosure, and forming longitudinal through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each end being coupled to the enclosure. Beverage or liquor chiller,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봉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 관통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oling rods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longitudinal through hole.
음료병 또는 주류병에서 토출되는 음료 또는 주류의 내용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받는 연결부;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탈부착 되는,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유체관을 통과하는 상기 내용물을 냉매를 통해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In th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or liquo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 connection part of which one end receives the contents while being detachable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 cas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And a heat exchanger having one en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being built in the case to cool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helical fluid tube formed therein through a coolant.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중공을 형성하는 지지관을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Beverage or liquor coo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tube to form a hollow.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냉각된 소금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Beverage or liquor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is cooled brine.
음료병 또는 주류병에서 토출되는 음료 또는 주류의 내용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음료병 또는 주류병의 토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착 가능하면서 상기 내용물을 유입 받는 연결부;
일단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탈부착되는 타단을 통해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이격되는 다수개의 격벽과, 상기 다수개의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In th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or liquo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 connection part of which one end receives the contents while being detachable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beverage bottle or liquor bottle;
A cas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ther end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inserted therein; And
Beverage or liquor comprising a housing built in the case, a plurality of partitions coupled to one end of the enclosure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and a zigzag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s Chill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서로 이웃하는 격벽과 상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엠보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Beverage or liquor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is provided with an embossing to maintain the vertical gap with the neighboring partitions.
KR1020100033094A 2010-04-12 2010-04-12 A drink or wine chiller KR201101138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94A KR20110113808A (en) 2010-04-12 2010-04-12 A drink or wine chi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94A KR20110113808A (en) 2010-04-12 2010-04-12 A drink or wine chi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08A true KR20110113808A (en) 2011-10-19

Family

ID=4502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094A KR20110113808A (en) 2010-04-12 2010-04-12 A drink or wine chi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8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878B1 (en) Cold insulation box
US20100293970A1 (en) Cooler and method for cooling beverage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cans
AU599558B2 (en) Thermal storage unit with coil extension during melt
JPH09126677A (en) Operating device of heat accumulator, heat accumulator and cooling device
CA2972591C (en) Beverage chiller
US20180099853A1 (en) Draft Beer Machine
CN116034085A (en) Refrigerator for cooling beverages
KR101551473B1 (en) Device For Cooling And Drawing Out Draft Beer
KR20110113808A (en) A drink or wine chiller
JP2011038686A (en) Refrigerator
CN104016010A (en) Chilling preservation box for aquatic products
US11480388B2 (en) Beverage temperature regul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rapidly cooling a beverage using same
US10689159B2 (en) Slurry ice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KR101430938B1 (en) Cooling vessel of liquid
KR101178380B1 (en) Cooling insulation sturecture
KR200420043Y1 (en) Tank for making cooling water
CN215892894U (en) Freezing storage device
JP2004168331A (en) Cooling water preparation unit in beverage cooling and supplying device
CN215437834U (en) Biological tissue culture solution storage container
CN219014726U (en) Heat exchange assembly of immersion liquid freezing machine
JP4166078B2 (en) Cooling water production unit in beverage cooling and supply device
US2164656A (en) Refrigerant coil
KR20130044819A (en) Wine cooling device
US20240125654A1 (en) Saute Stations with Cold Pack Thermal Storage and Insulated Temperature Sensors
CN215189134U (en) Novel fruit and vegetable fresh-keeping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