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539A -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539A
KR20110113539A KR1020100033613A KR20100033613A KR20110113539A KR 20110113539 A KR20110113539 A KR 20110113539A KR 1020100033613 A KR1020100033613 A KR 1020100033613A KR 20100033613 A KR20100033613 A KR 20100033613A KR 20110113539 A KR20110113539 A KR 20110113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anoacrylate
bioadhesive
biodegradable
biodegradable elastomer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익
임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마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마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마코텍
Priority to KR102010003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539A/ko
Publication of KR2011011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3Mixtures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6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Abstract

기존 봉합사와 생체접착제를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흉터와 거부감 및 염증유발 가능성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를 본 발명에 의해 완성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Methyl 2-cyanoacrylate, Ethyl 2-cyanoacrylate, Butyl 2-cyanoacrylate, Isohexyl 2-cyanoacrylate, Allyl 2-cyanoacrylate, Octyl 2-cyanoacrylate, Ethoxyethyl 2-cyanoacrylate, Isobutyl 2-cyanoacrylate, Hexyl 2-cyano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단량체에 조성비 10:90 ∼ 90:10 인 Poly (L-lactide-co-ε-caprolacton)이 0.001 ∼ 30% (w/v) 범위로 0℃ ∼ 100℃ 사이에서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의 제조 방법으로써 향상된 접착력과 신축성을 물성측정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색인어]
생체 접착제, 고탄성 분해성 고분자, 시아노아크릴레이트

Description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Flexible cyanoacrylate adhesive for living organism using biodegradable elastomer}
본 발명은 신축성이 향상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써 수술 및 사고로 인해 절개된 피부나 파손된 손톱 및 발톱, 그리고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생체조직에 봉합사를 사용하지 않고 경제적이면서 빠른 시간 내에 탁월한 봉합 및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러 가지 이유로 절개된 피부를 치료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소독이나 약물 등의 전처리 후 비분해성 또는 생분해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봉합사를 이용할 경우 피부에 불연속적인 물리적 스트레스를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주게 되는 바 심미적으로 혐오스런 상처치료부위와 불균일한 흉터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오고 있다. 더구나 얼굴이나 손과 같이 주로 노출되는 부위에 봉합사를 사용함으로서 그 부작용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절개부위를 신속히 봉합해야 하는 응급환자인 경우 역시 봉합사를 이용한 시술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방법인 것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심미적으로나 흉터문제를 해결하고 신속한 처치를 위한 새로운 봉합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존 방법으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봉합하고자 했다. 현재 몇 가지 제품들은 시중에 나와 있으나 접착제 성분이 상처 속에 침투함으로써 염증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단단한 성질의 코팅막에 의해 유연한 피부와의 물리적인 성질의 차이로 인한 거부감등이 문제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분해성 고탄성체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혼합시킴으로써 보다 강력한 피착체와의 결합력과 향상된 신축성을 가진 코팅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를 제공 할 수 있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의료기술에 힘입어 삶의 질 향상속도도 잠차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더불어 의료행위 역시 치료과정 및 그 결과에 대한 평가를 개개인의 특성에 맞추고자하는 사용자 위주의 의료서비스 분야로 확대되나가고 있다. 과거에는 기능적 측면이 부각되었던 것과 달리 기능과 더불어 심미적인 요소를 더 이상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의료 분야 중에서도 특히 외과적 처치분야에서 심미적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수술법 및 관련 제품들이 연일 발표되고 있는바 과거에는 기능과 심미적 요소가 분리된 방법이나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기능성과 심미적인 요소가 결합된 발전된 형태의 처치방법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술로는 규모에 상관없이 외과 수술 또는 사고 등에 의해 피부가 절개 되었을 시 최종적으로 봉합을 진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비분해성 또는 분해성 봉합사를 이용하는 바, 환부가 클수록 봉합사의 사용 길이와 피부 상 봉합단위수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심미적인 관점에서 좋지 않으며, 붕대를 덮은 후 자주 갈아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더 커다란 문제점은 봉합사가 지나간 부위가 그대로 흉터로 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얼굴이나 손, 다리등과 같이 노출을 많이 하는 부위의 경우에는 환자들이 사용을 꺼려하기도 하고 흉터를 없애는 2차 수술을 부득이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봉합사를 대신 할 만한 몇 가지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몇몇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것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피브린 글루 그리고 젤라틴 글루 및 우레탄계 접착제이며[1,2], 이중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피부 표면 또는 공기 중에 있는 습기의 OH- 에 의한 친핵성 공격에 의해 단량체로부터 고분자화 반응이 개시되어 사슬연장 단계와 사슬연장의 종료단계로 진행되어 중합이 종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그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산업용 접착제를 순간접착제라 불리고 있다. 따라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 알킬 종류에 따라 몇몇 종류가 체내에 독성이 거의 없음이 밝혀졌으며 [5,6], 피부나 손톱 또는 발톱, 그리고 치아등의 봉합이 필요한 부위에 적용해 보고자 하는 시도 및 관련 제품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것으로는 Octyl 2-cyanoacrylate (상품명: Dermabond)과 N-Butyl 2-cyanoacrylate (상품명: Histoacryl)로써 모두 미국이나 독일로부터 수입된 완제품들이다. 수분과의 급격한 반응속도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가진 특성상 중합이 종료된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매우 단단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바 생체조직에 적용은 가능하나 시술 후 피부등과 같이 유연한 부위에서는 물리적 성질의 차이로 인해 불편함과 거부감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충격강도가 약해짐으로 인해 종종 실금이 가거나 백화되는 현상도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자들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물성을 바꾸고자 시도 하였다. 대표적으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Polyethylene glycol (PEG)이나 저분자량의 에테르계 접착 강화제 또는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혼합하면 물성변화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Poly(DL-lactide) (PDLA)나 Poly(lactide-co-glycolide) (PLGA)등을 일정량 혼합하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된바 있다[7-9]. 또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화학적으로 변성시켜 물성을 조절하고자 하는 시도도 있어왔다[10]. 저분자량의 가소제나 PEG의 경우 가소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중합체로부터 용출되어 나와 체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PDLA나 PLGA의 경우 비교적 단단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바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긴 하나 신축성을 부여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학적 변성은 중합반응에 영향을 줄 뿐 만아니라 생체 친화성에도 영향이 있으므로 극히 제한된 산업용 접착제에 사용이 가능하였다. 이런 문제점들로 말미암아 저분자량의 가소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화학적 변성 없이 신축성을 부여한 생체 친화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고탄성체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혼합시킴으로써 보다 강력한 피착체와의 결합력과 향상된 신축성을 가진 코팅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 프로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젤라틴 생체접합제 및 그의 제조방법 등록번호(일자) 1003287330000 (20020305)
[2] 스프레이 도포용 조직 접착제 등록번호 100450142 (2004.09.15)
[3] D. Kotzev, V. Kotzev,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and Adhesives, Volume 12, Issue 3, July 1992, Pages 150-157
[4] Pratik J. Mankidy, Ramakrishnan Rajagopalan, Henry C. Foley, Polymer, Volume 49, Issue 9, 29 April 2008, Pages 2235-2242
[5] Gabriela Ciapetti, Susanna Stea, Elisabetta Cenni, Alessandra Sudanese, Daniela Marraro, Aldo Toni, Arturo Pizzoferrato, Biomaterials, Volume 15, Issue 1, 1994, Pages 63-67
[6] C. E. Evans, G. C. Lees, I. A. Trail, The Journal of Hand Surgery: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Volume 24, Issue 6, December 1999, Pages 658-661
[7]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직 접착제 조성물 (Cyanoacrylate composition for tissue adhesive) 등록번호(일자) 1005236620000 (20051017)
[8] 가요성 중합체 물질로 경화될 수 있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조성물 등록번호(일자) 1008108360000 (20080228)
[9] 알파-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시스템 등록번호(일자) 1008272640000 (20080428)
[10]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생체용 접착제 공개번호(일자) 1020090077759 (20090715)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접착제를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신축성과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점도 조절이 용이하여 상처내부로 접착제 성분의 침투가 저해됨으로써 부작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경제성까지 제고 할 수 있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생분해성 탄성체의 비율 및 혼합환경을 고려하여, 혼합상태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특성을 확인하고, 생분해성 탄성체의 최적 합성 비율을 확립하여 신축성과 접착력이 극대화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위한 조성비의 확립이 필요하다. 더불어 이러한 특정 조건들에 대한 최적화를 실현하고,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절개된 피부나 손상된 손톱 또는 발톱등의 봉합 및 치료를 위해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생체접착제의 활용도과 그 실효성은 계속 증대되어가고 있다. 기존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단점은 강도가 높아 주변 피부 등 생체조직과의 물리적 성질의 차이점으로 인해 불편함과 거부감이 있어왔으며, 점도가 비교적 낮아 상처내부에 쉽게 침투하여 염증이 발생하거나 재 시술해야 하는 부작용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중합 시 반응 메커니즘은 공기 또는 피착면에 존재하는 미량의 수분에 의해 반응이 개시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사슬연장반응과 사슬종결반응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런 메커니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조건 즉, 화학적 변성이나 저분자량의 가소제등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도가 손쉽게 증가될 수 있으며, 생체친화성이 있는 비반응성 가소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분해성 탄성체를 혼합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분해성 탄성체의 조성과 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특성에 대한 확립이 선행 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의 최적화를 통하여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를 위한 본 발명을 완성 하였다.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 외과적인 처치를 받는 환자들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이들 처치의 마무리는 대부분 봉합 시술로써 예로부터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방법이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봉합사를 이용하는 방법은 몇 가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할만한 다른 방법도 제대로 없는 실정에서 부득이 사용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봉합사에 의한 심미적인 문제와 치료 후 흉터 그리고 처치 시 감염될 소지가 있으며, 비분해성인 경우 봉합사를 제거해야한다는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봉합사를 이용하는 시술은 어느 병원에서나 흔하게 시행하는 시술로써 시장규모는 이루 다 형언 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할 수 만 있다면 관련 시장에 있어 높은 효율의 경제적 및 학문적 이득을 취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봉합행위를 함에 있어서 실과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빠른 속도로 중합이 되는 생체 접착제가 필요하다. 기존 제품들은 환부에 적용 시 빠른 속도로 중합되어 치료의 목적으로 소량씩 사용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피부와 같은 연조직에 접착시 코팅면이 매우 강한 강도를 지니게 되는 바 피부와의 물리적 성질의 차이로 인해 거부감 및 불편함이 있었으며, 둘째로는 비교적 저점도 이므로 환부에 잘못 침투했을 시 염증이나 재 시술등의 치명적인 문제점도 있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생체적합성 분해성 고탄성 고분자를 용해시켜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물성을 조절해주며, 그에 따른 점도 상승으로 환부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기존 봉합사 및 봉합용 생체 접착제를 대체 및 보완 할 수 있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와 돼지피부를 이용한 접착강도 측정비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굽힘 회복률 측정비교
도 1에서는 PLCL (50:50)과 PLCL (70:30)을 이용하여 각각 0%, 4%, 8% 혼합되어 있는 경우 돼지피부와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PLCL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그중 PLCL (70:30)이 존재할 경우 가장 높은 접착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서는 PLCL (50:50)과 PLCL (70:30)을 이용하여 굽힘 회복률을 측정 비교하였다. 90도로 10회 반복 굽힘 스트레스를 준 후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순수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경우 거의 신축성이 없었으나 8%의 PLCL이 혼합된 경우 비교적 높은 신축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PLCL (50:50)이 PLCL (70:30)보다 높은 굽힘 회복률을 나타내었다.
기존 봉합사 및 봉합용 생체 접착제를 대체 및 보완 할 수 있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를 위한 본 발명에 이르기 위해서는 생체 친화성 생분해성 고탄성체의 조성 및 함량의 결정이 중요하다. 잘 늘어나는 고분자 보다 탄성 회복률이 좋은 고분자를 사용해야 연속적으로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부위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락티드 (lactide)와 카프로락톤 (caprolacton)의 조성비 10:90 ∼ 90:10 으로 중합된 Poly (L-lactide-co-ε-caprolacton) (PLCL)을 사용 하였는 바 높은 신축성을 부여하기위해 분자량 (Mw)이 50,000 ∼ 1,000,000이며, 조성비는 70:30 ∼ 30:70 범위인 PLCL을 사용하였다. 두 단량체의 조성비가 비슷해질수록 결정화 구조를 무너뜨리는 경향이 있어 무정질 (amorphouse) 상태가 되며, 더불어 고분자쇄의 구조에 의한 물리적 탄성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10:90이나 90:10인 경우는 탄성이나 늘어나고자 하는 성질이 50:50 보다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강한 접착력이 요구될 경우에는 10:90이나 90:10등 어느 한 단량체의 조성비가 많은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바 피착면의 상태나 사용처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여러 종류의 알킬기를 가진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Methyl 2-cyanoacrylate, Ethyl 2-cyanoacrylate, Butyl 2-cyanoacrylate, Isohexyl 2-cyanoacrylate, Allyl 2-cyanoacrylate, Octyl 2-cyanoacrylate, Ethoxyethyl 2-cyanoacrylate, Isobutyl 2-cyanoacrylate, Hexyl 2-cyano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액상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앞서 PLCL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액상 단량체 내에 0.001 ∼ 30% (w/v) 범위로 0℃ ∼ 100℃ 사이에서 용해시켜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PLCL이 용해된 혼합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대기중에 공기나 수분 등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밀봉 내지 질소 기류하에 보관 후 환부의 봉합이 필요한 부위에 봉합사 대신 코팅시켜 줌으로써 봉합과 치료의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에 관한 기술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1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ml)에 분자량이 340,000이며 락티드와 카프로락톤의 조성비가 70:30인 PLCL을 상온의 질소기류하에 20 rpm 으로 3일간 교반해주면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내에 4% (w/v) 와 8% (w/v) 가 되도록 각각 용해시켜 주었다. 완전히 용해된 투명 PLCL-시아노아크릴레이트 용액은 질소기류하에 보관 되었다. 그리고 돼지피부를 5 cm 절개한 후 핀셋을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다시 붙이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붙은 절개부위 윗면을 이 혼합물로 코팅해 주었다. 이때 사용한 양은 3 ml 였다. 1분간 방치한 후 물성측정기를 통하여 접착강도를 측정해 혼합상태가 아닌 동일한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도 1]. 또한 90도로 굽힌 후 5분간 방치시 되돌아오는 굽힘 회복률을 측정 비교하였다 [도 2].
본 발명에 의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2
알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ml)에 분자량이 340,000이며 락티드와 카프로락톤의 조성비가 70:30인 PLCL을 상온의 질소기류하에 20 rpm 으로 3일간 교반해주면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내에 4% (w/v) 와 8% (w/v) 가 되도록 각각 용해시켜 주었다. 완전히 용해된 투명 PLCL-시아노아크릴레이트 용액은 질소기류하에 보관 되었다. 그리고 돼지피부를 5 cm 절개한 후 핀셋을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다시 붙이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붙은 절개부위 윗면을 이 혼합물로 코팅해 주었다. 이때 사용한 양은 3 ml 였다. 1분간 방치한 후 물성측정기를 통하여 접착강도와 굽힘 회복률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3
알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ml)에 분자량이 340,000이며 락티드와 카프로락톤의 조성비가 50:50인 PLCL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및 물성 비교를 실시했다.
본 발명에 의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4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ml)에 분자량이 340,000이며 락티드와 카프로락톤의 조성비가 50:50인 PLCL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및 물성 비교를 실시했다.
[비교 예 1]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비교 1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알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각각 질소기류하에 보관 하였다. 그리고 돼지피부를 5 cm 절개한 후 핀셋을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다시 붙이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붙은 절개부위 윗면을 이 화합물로 코팅해 주었다. 이때 사용한 양은 3 ml 였다. 1분간 방치한 후 물성측정기를 통하여 접착강도를 측정해 앞서 실시예인 혼합상태인 경우와 비교하였다 [도 1]. 또한 굽힘 회복률을 측정 비교하였다 [도 2].
사고나 질병등으로 인해 외과적인 처치를 받는 환자들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이들 대부분이 봉합 시술이 필요한 경우로써 지금까지는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봉합사를 이용하는 경우 몇 가지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대체할만한 다른 방법이 없는 실정이므로 대체제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제기되는 문제점으로는 봉합사에 의한 심미적인 문제와 치료 후 흉터 그리고 처치 시 감염될 소지가 있으며, 비분해성 봉합사인 경우 봉합사를 제거해야한다는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간단한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접착제가 시중에 나오고 있으나 피부와의 물리적 특성 차이와 상처부위로 원치 않는 침투에 의한 염증 유발 등의 문제점이 상존해 있는 실정이다. 봉합사를 이용하는 시술은 어느 병원에서나 흔하게 시행하는 시술로써 국내 시장규모는 물론 세계적인 시장규모까지 형언 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극복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는 관련 시장에 있어 높은 효율의 경제적 및 학문적 효과와 더불어 내수는 물론 수출의 가능성 까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Claims (4)

  1. 본 발명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액상 단량체에 생분해성 고탄성 고분자를 용해시킴으로써 접착력이 향상되고 신축성이 부여된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의 제조 방법.
  2. 청구 제 1항에 있어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Methyl 2-cyanoacrylate, Ethyl 2-cyanoacrylate, Butyl 2-cyanoacrylate, Isohexyl 2-cyanoacrylate, Allyl 2-cyanoacrylate, Octyl 2-cyanoacrylate, Ethoxyethyl 2-cyanoacrylate, Isobutyl 2-cyanoacrylate, Hexyl 2-cyano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액상 단량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의 제조 방법.
  3. 청구 제 1항에 있어 생분해성 고탄성 고분자는 락티드 (lactide)와 카프로락톤 (caprolacton) 조성비 10:90 ∼ 90:10 으로 구성되고 분자량이 50,000 ∼ 1,000,000인 공중합체로써 Poly (L-lactide-co-ε-caprolacton) (PLCL)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액상 단량체 내에 0.001 ∼ 30% (w/v) 범위로 0℃ ∼ 100℃ 사이에서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의 제조 방법.
  4. 본 발명은 Methyl 2-cyanoacrylate, Ethyl 2-cyanoacrylate, Butyl 2-cyanoacrylate, Isohexyl 2-cyanoacrylate, Allyl 2-cyanoacrylate, Octyl 2-cyanoacrylate, Ethoxyethyl 2-cyanoacrylate, Isobutyl 2-cyanoacrylate, Hexyl 2-cyano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액상 단량체에 생분해성 고탄성 고분자로써 조성비 10:90 ∼ 90:10 인 Poly (L-lactide-co-ε-caprolacton) (PLCL)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액상 단량체 내에 0.001 ∼ 30% (w/v) 범위로 0℃ ∼ 100℃ 사이에서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의 제조 방법.
KR1020100033613A 2010-04-09 2010-04-09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KR20110113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13A KR20110113539A (ko) 2010-04-09 2010-04-09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13A KR20110113539A (ko) 2010-04-09 2010-04-09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539A true KR20110113539A (ko) 2011-10-17

Family

ID=4502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13A KR20110113539A (ko) 2010-04-09 2010-04-09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5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722A1 (en) * 2012-02-28 2013-09-06 Genewel Co., Ltd Tissue adhesive for wound clos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39826B1 (ko) * 2012-09-21 2015-07-28 세인트칼 주식회사 의료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8268B1 (ko) 2019-10-30 2020-07-28 (주) 더아이엔지메디칼 의료용 접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722A1 (en) * 2012-02-28 2013-09-06 Genewel Co., Ltd Tissue adhesive for wound clos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39826B1 (ko) * 2012-09-21 2015-07-28 세인트칼 주식회사 의료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8268B1 (ko) 2019-10-30 2020-07-28 (주) 더아이엔지메디칼 의료용 접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Ozturk et al. Tissue adhesives: From research to clinical translation
Singer et al. The cyanoacrylate topical skin adhesives
CN105194740B (zh) 一种术后防粘连水凝胶及其制备方法
EP2792372B1 (en) Biodegradable medical adhesive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AU2014211405B2 (en) Polymer adhesive
JP7032517B2 (ja) 接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接着剤及びこの製造方法
JPH11226110A (ja) 外科用接着剤組成物
WO2009064963A3 (en) Oxidized cationic polysaccharide-based polymer tissue adhesive for medical use
ATE345359T1 (de) Polyhydroxyalkanoatzusammensetzungen mit kontrollierten abbaugeschwindigkeiten
JP2007327053A (ja) 高吸収性ハイドロコロイドの製造方法
CN114369441A (zh) 一种多酚基医用组织胶黏剂、制备方法及应用
KR101329448B1 (ko) 카테콜 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산 고분자 화합물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생체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itzgerald et al. Synthet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KR20110113539A (ko) 생분해성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생체 접착제
AU2016301103B9 (en) Antiseptic polymer and synthesis thereof
CN100371028C (zh) 一种医用外科粘合剂
KR101328860B1 (ko) 폴리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과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생체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214632623U (zh) 一种可降解医用薄膜
US9296684B2 (en) Allyl 2-cyanoacrylate prepolym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bio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epolymer
Lim et al. Cyanoacrylate adhesives curable to flexible polymeric materials by poly (l-lactide-co-ε-caprolactone)
CN104873535A (zh) 一种聚乳酸-羟基乙酸共聚物防粘连液及其制备方法
KR101364819B1 (ko)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과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생체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3054B1 (ko) 폴리갈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체접착제용 첨가제 조성물
KR101828434B1 (ko) 갈산과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생체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621398B (en) Stretchable cyanoacrylate tissue adhesive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