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374A -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374A
KR20110113374A KR1020100032730A KR20100032730A KR20110113374A KR 20110113374 A KR20110113374 A KR 20110113374A KR 1020100032730 A KR1020100032730 A KR 1020100032730A KR 20100032730 A KR20100032730 A KR 20100032730A KR 20110113374 A KR20110113374 A KR 20110113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tion
user interface
applic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시삼십삼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시삼십삼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시삼십삼분
Priority to KR102010003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374A/ko
Publication of KR2011011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과 같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며, 움직임 인터페이스가 감지될 때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메뉴 창을 표시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모바일 게임과 같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과 같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도중에 메뉴 실행을 간소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하는데 적합한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폰, PDA, 텔레매틱스 또는 PMP 등을 위시한 이동통신단말은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단순한 통신 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도시의 메트로폴리스화에 따라 출퇴근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레저 활동에 투자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출퇴근과 같은 자투리 시간이나 여가 활동 중에 발생하는 틈새 시간에 이동 통신단말기를 통해 모바일 게임을 즐기려는 사람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바일 게임에서는, 유선 온라인 게임에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진행하는 중에 상대방과 채팅을 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채팅을 위해서는 버추얼 키보드 등을 화면(표시 패널)에 띄워 이용자가 직접 타이핑을 하거나(문자 직접 입력 방식) 혹은 미리 설정해 둔 채팅용 문자들을 화면에 표시된 버튼들과 각각 매칭시켜 두고 버튼을 터치하는 방식(문자 버튼 매칭 방식)으로 문자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게임에서는, 유선 온라인 게임에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진행하는 중에 다양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 메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 메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판매 메뉴를 통해 구입한 아이템 또는 부가서비스 메뉴를 통해 선택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판매 메뉴를 통해 게임 중에 아이템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종래 방식은 불필요하게 많은 사용자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게임 이용의 흐름이 방해되기 때문에, 게임의 몰임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에서 모바일 게임과 같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이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가 감지될 때 상기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메뉴 창을 표시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가 감지 차단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차단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서 상기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서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의 상 방향 움직임, 하 방향 움직임, 좌 방향 움직임 및 우 방향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 또는 둘의 연속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서 상기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온라인 게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서 상기 기 지정된 메뉴창은, 상기 모바일 온라인 게임 내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 구매 메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의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블록과, 상기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상기 움직임 감지 블록으로부터 움직임 인터페이스의 감지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메뉴 창을 제공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 제공받은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블록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는 차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차단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값에 의거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블록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의 상 방향 움직임, 하 방향 움직임, 좌 방향 움직임 및 우 방향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 또는 둘의 연속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온라인 게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상기 기 지정된 메뉴 창은, 상기 모바일 온라인 게임 상에서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메뉴 창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모바일 게임과 같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온라인 게임 이용 시 별도의 조작 없이 움직임 감지를 통해 게임 진행에 필요한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게임 몰입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을 통해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며, 움직임 인터페이스가 감지될 때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메뉴 창을 표시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방식에서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터치 감지 블록(102), 움직임 감지 블록(104), 제어 블록(106), 표시 패널(108), 메모리 블록(110) 및 네트워크 블록(112)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네트워크 블록(112)을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게임 서버(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감지 블록(102)은, 표시 패널(108)에 일체로 형성된 터치 패널로부터의 터치 인터페이스, 즉 휴대 단말 이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감지되는 터치 인터페이스 신호는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된다.
움직임 감지 블록(104)은 휴대 단말의 움직임, 예컨대 상 방향 움직임, 하 방향 움직임, 상하 방향 연속 움직임, 하상 방향 연속 움직임, 좌 방향 움직임, 우 방향 움직임, 좌우 방향 연속 움직임, 우좌 방향 연속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인 것으로, 여기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감지신호, 즉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는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제어 블록(106)은, 예컨대 휴대 단말에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터치 감지 블록(102)으로부터 터치 인터페이스 신호(터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터치 인터페이스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 블록(106)은, 예컨대 모바일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중에 움직임 감지 블록(104)으로부터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움직임 감지 신호)가 입력될 때 그에 상응하는 메뉴 창을 표시 패널(108)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메뉴 창으로는 모바일 게임 내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 구매 메뉴,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중에 필요한 실행 메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제어 블록(106)은 움직임 감지 블록(104)의 작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차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차단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되기 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통해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하는 중 움직임 감지 블록(104)으로부터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가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단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오프"로 설정한 경우 움직임 감지 블록(104)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차단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온"으로 설정한 경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차단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값은 메모리 블록(1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블록(106)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게임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임 감지 블록(104)의 차단 여부를 디폴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모바일 게임이 동작 센서를 활용하는 게임(스포츠, 레이싱 게임 등)인 경우 디폴트로 차단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오프"로 설정하고, 동작 센서를 활용하지 않는 게임(고스톱, 카드 게임 등)인 경우 디폴트로 차단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온"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디폴트 값을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블록(106)은 휴대 단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블록(112)을 통해 모바일 게임 서버(130)에 접속한 후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게임 서버(130)와의 연동을 통해 모바일 온라인 게임 상에 필요한 아이템을 구매하여 모바일 온라인 게임 상에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움직임 감지 블록을 통해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의거하여 기 지정된 메뉴 창을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도중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메뉴창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을 통해 모바일 게임을 진행할 때 메뉴창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본 휴대 단말이 게임 모드를 실행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게임 서버(130)에 접속하여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구동시킬 때(단계 202), 제어 블록(106)에서는 차단 인터페이스를 구동시켜 차단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팝업 메뉴를 제공하며, 팝업 메뉴를 통해 설정된 값을 메모리 블록(110)에 저장(단계 204)한 후 모바일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터치 인터페이스가 발생, 즉 터치 감지 블록(102)으로부터 터치 인터페이스 신호가 입력되면, 터치 인터페이스 신호에 의거하여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진행시킨다(단계 206).
이와 같이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진행함과 더불어 팝업 메뉴를 통해 설정된 값이 "온"인 경우(단계 208) 제어 블록(106)은 움직임 감지 블록(104)으로부터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10). 여기에서,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는, 예컨대 상 방향 움직임, 하 방향 움직임, 상하 방향 연속 움직임, 하상 방향 연속 움직임, 좌 방향 움직임, 우 방향 움직임, 좌우 방향 연속 움직임, 우좌 방향 연속 움직임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10에서의 판단 결과,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 블록(106)은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에 따라 모바일 온라인 게임에 기 저장된 메뉴 창을 표시 패널(108)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12). 여기에서, 메뉴 창은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때 휴대 단말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메뉴 창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휴대 단말 사용자가 표시 패널(108) 상에 디스플레이된 구매 메뉴 창의 조작을 통해 아이템 구매를 선택함에 따라 제어 블록(106)은 모바일 게임 서버(130)를 통해 아이템 구매의 결제 과정을 거쳐 아이템을 구매한 후 구매한 아이템을 모바일 온라인 게임 상에 반영한다(단계 214). 그런 다음, 제어 블록(106)은 모바일 게임 서버(130)로부터 구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받아 표시 패널(108)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16).
이와 같이 모바일 온라인 게임 상에 아이템을 구매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모바일 온라인 게임 상에서 제공되는 아이템들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안내를 위한 메뉴 창이 표시 패널(108)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표시 패널(108)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면, 모바일 게임 서버(130)에서 특정 아이템에 대한 결제 선택 화면을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108)에 제공한다. 이후, 휴대 단말 사용자가 결제 선택 화면 상에서 원하는 결제 방법, 예컨대 휴대 단말을 이용한 결제 방법을 선택하면, 모바일 게임 서버(130)에서 선택된 결제 방법에 의해 결제 과정을 진행한 후 구매 완료 메시지를 휴대 단말에 제공한다.
한편, 단계 208에서 팝업 메뉴를 통해 설정된 값이 "오프"인 경우 제어 블록(106)은 움직임 감지 블록(104)의 구동을 오프시켜 움직임 감지를 수행하지 않으며, 휴대 단말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단계 218).
또한, 단계 210에서 움직임 인터페이스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 206으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온라인 게임과 같은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이 실행될 때 차단 인터페이스를 구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기 설정된 디폴트 값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될 때 이를 인지하여 움직임을 감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모바일 온라인 게임에서 특정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메뉴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조작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움직임 인터페이스로서 상하 좌우 움직임과 상하 또는 좌우의 복합 움직임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의 좌우 또는 우좌 회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스처에 맞는 설정을 통해 대응하는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는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와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 등이 있으며,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기능을 분산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2 : 터치 감지 블록 104 : 움직임 감지 블록
106 : 제어 블록 108 : 표시 패널
110 : 메모리 블록 112 : 네트워크 블록
130 : 모바일 게임 서버

Claims (12)

  1.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이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가 감지될 때 상기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메뉴 창을 표시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가 감지 차단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차단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차단 상태의 설정 여부는,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에 제공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의 상 방향 움직임, 하 방향 움직임, 좌 방향 움직임 및 우 방향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 또는 둘의 연속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온라인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지정된 메뉴창은, 상기 모바일 온라인 게임 내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 구매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휴대 단말의 움직임 인터페이스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블록과,
    상기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움직임 감지 블록으로부터 움직임 인터페이스의 감지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행된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메뉴 창을 제공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 제공받은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블록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는 차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차단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값에 의거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블록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의 상 방향 움직임, 하 방향 움직임, 좌 방향 움직임 및 우 방향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 또는 둘의 연속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온라인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지정된 메뉴 창은, 상기 모바일 온라인 게임 상에서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메뉴 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00032730A 2010-04-09 2010-04-09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 KR20110113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30A KR20110113374A (ko) 2010-04-09 2010-04-09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30A KR20110113374A (ko) 2010-04-09 2010-04-09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74A true KR20110113374A (ko) 2011-10-17

Family

ID=4502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730A KR20110113374A (ko) 2010-04-09 2010-04-09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3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59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item selecting program
JP5237325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US10665058B2 (e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6146556A (ja) 画像表示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処理装置
KR20150010661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7934168B2 (en)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W201600154A (zh) 一種遊戲終端裝置
US9375645B2 (en)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for sharing posting information
JP5000132B2 (ja) トレーニングプログラム、トレーニング装置、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トレーニング制御方法、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US11759702B2 (en) Game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1012587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724424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10758816B2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at modify a display position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on an interface
JP202307661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952644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20110113374A (ko)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매체
JP202105346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256627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819441B1 (ko)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4140549A1 (en) Ai onboarding assistant
JP6912547B2 (ja) プログラム、端末、ゲームシステム及び提供装置
KR101945384B1 (ko)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39746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US201501653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input device with an e-commerce button
JP202118480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