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340A -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 Google Patents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340A
KR20110113340A KR1020100032682A KR20100032682A KR20110113340A KR 20110113340 A KR20110113340 A KR 20110113340A KR 1020100032682 A KR1020100032682 A KR 1020100032682A KR 20100032682 A KR20100032682 A KR 20100032682A KR 20110113340 A KR20110113340 A KR 20110113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and
resonator
pass filter
band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최재익
강승택
장건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3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340A/ko
Priority to US12/938,503 priority patent/US8729980B2/en
Publication of KR2011011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5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strip lin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는 2 이상의 CRLH 구조 공진기들이 용량성 결합된 공진기 결합 선로 및 공진기 결합 선로와 병렬 연결되는 분기 선로를 포함하고, 분기 선로는 통과 대역 주변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분기 선로를 통해 우수한 스커트 특성을 가지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BAND PASS FILTER AND DUPLEXER BASED ON CRLH RESONATORS}
본 발명은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및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통신용 장비 부품들도 소형화, 고성능화 및 저가격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는 낮은 삽입/반사 손실과 높은 주파수 선택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880MHz ~ 960MHz 범위의 UHF 대역에서는 저주파가 가지는 긴 파장 때문에 장비의 소형화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낮은 삽입/반사 손실과 높은 주파수 선택성을 가지면서 장비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CRLH(Composite Right/Left-Handed) 구조의 필터 및 복수의 대역 통과 특성을 가진 듀플렉서(Duplexer) 형태의 필터 제작 기술이 요구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대역 통과 필터를 나타낸다.
도 1a는 널리 알려진 듀플렉서 회로이고, 도 1b는 UHF 2채널용 국부 소자로 이루어진 듀플렉서 장치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차수가 낮은 대역 통과 필터와 국부 소자를 사용하면 공정 가격은 저렴하지만 나쁜 스커트(Skirt) 특성과 낮은 대역 간 격리도를 얻게 된다.
도 2는 도 1보다 높은 차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각 대역의 스커트 특성 및 대역 간 격리도를 향상시킨 듀플렉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수 GHz 용으로 4차 이상의 대역 통과 필터를 설계하게 되면 평면 적층형의 반파장 공진기를 쓰게 되어 물리적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높은 차수의 대역 통과 필터 설계 회로를 세라믹 구조로 구현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높은 차수의 대역 통과 필터에 세라믹 공진기를 사용할 때에는 공정 단계에서 비용 문제가 발생하고, 제품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업용 통신 주파수로 각광 받는 900MHz 부근의 UHF 대역과 2.4GHz 부근의 ISM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들을 결합시킨 듀플렉서의 구현에 있어, 공정 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며, 무엇보다도 우수한 스커트 특성과 격리도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CRLH 공진기의 용량성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장비의 초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분기 선로를 통해 우수한 스커트 특성을 가지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대역과 제 2 대역 통과 필터로서의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스커트 특성과 높은 격리도를 얻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2 이상의 CRLH 구조 공진기들을 포함하고, 공진기들은 용량성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2 이상의 CRLH 구조 공진기들이 용량성 결합된 공진기 결합 선로 및 공진기 결합 선로와 병렬 연결되는 분기 선로를 포함하고, 분기 선로는 통과 대역 주변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에 있어서,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제 1 대역 통과 필터,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제 2 대역 통과 필터 및 제 1 대역 통과 필터, 제 2 대역 통과 필터와 연결된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고, 중앙 처리부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와 제 2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 간 위상 차를 조정하는 하나 이상의 위상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CRLH 공진기의 용량성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대역 통과 필터의 초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분기 선로를 통해 우수한 스커트 특성을 가지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대역 및 제 2 대역 통과 필터로서의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스커트 특성과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듀플렉서 회로.
도 1b는 UHF 2채널용 국부 소자로 이루어진 듀플렉서 장치.
도 2는 도 1보다 높은 차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각 대역의 스커트 특성 및 대역 간 격리도를 향상시킨 듀플렉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
도 3은 높은 차수의 대역 통과 필터 설계 회로를 세라믹 구조로 구현한 형태.
도 4는 오른쪽 전파 법칙(RH)와 왼손 전파 법칙(LH) 요소들이 결합된 CRLH 구조 공진기 회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들의 용량성 결합 구조.
도 7은 도 6의 공진기 결합 구조를 이용한 UHF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 결합 선로 및 이와 병렬 연결된 분기 선로를 포함하는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의해 스커트 특성이 향상된 UHF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 기반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UHF 대역 통과 필터와 ISM 대역 통과 필터를 결합한 듀플렉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송 영점을 발생시킨 UHF 대역 통과 필터와 ISM 대역 통과 필터를 결합한 듀플렉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 다음 세 가지의 핵심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첫 번째로, 전체 구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기존의 반파장 공진기 기반이 아닌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를 UHF 대역(900MHz)과 ISM 대역(2.4GHz)용으로 사용한다. 두 번째로, 대역 간 격리도를 고려하여 UHF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상측 이후에 전달 영점을 발생시켜 스커트 특성을 최대화한다. 세 번째로, UHF 대역과 ISM 대역 통과 필터들을 결합하면서 원래의 단독 대역 통과 필터로서의 대역 특성을 최대한 유지시키고, 높은 격리도를 얻기 위한 듀플렉서를 제시한다.
먼저 필터의 초소형화를 위한 CRLH 구조 공진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오른쪽 전파 법칙(RH)와 왼손 전파 법칙(LH) 요소들이 결합된 CRLH 구조 공진기 회로이다. 직렬 인덕터(402)와 병렬 커패시터(406, 410)는 위상 지연을 만드는 RH의 요소이며, 직렬 커패시터(404)와 병렬 인덕터(408, 412)는 위상 선도(Lead) 현상을 만드는 LH의 요소이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에서 RH의 요소는 오른손 전파 현상을 따른다. 이는 자연계에서 흔히 관찰되는 현상이며, 전파의 에너지와 위상의 이동 방향이 동위상인 경우로서 대역 통과 필터의 저역 통과 특성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자연계에는 없는 왼손 전파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구현 가능한 직렬 커패시터(404)와 병렬 인덕터(408, 412)의 쌍을 이용한다. 이들이 전파의 에너지와 위상의 이동 방향을 역위상으로 만들고, 이를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에 부착하면 오른손 전파 법칙의 전송 선로에서 생기는 위상 지연이 왼손 전파 법칙에 의한 위상 선도에 의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즉, RH 요소들의 공진 주파수 및 LH 요소들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UHF 대역 또는 ISM 대역의 중심에 맞추는 균형 조건(Balanced condition)을 만족시키는 경우, 주파수는 존재하나 위상과 전파 상수가 0이 되어 파장과 무관한 공진이 발생하는 무한 파장 현상이 일어난다(Zeroth Order Resonnance, ZOR).
이 경우, 공진 조건은 공진기의 길이로부터 독립하는 상황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대역 통과 필터의 크기가 0.25λ 이하가 된다. 이와 동시에 인접 공진단들이 결합할 수 있도록 긴 평행 선로를 두어 대역폭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대역 통과 필터가 0.5λ의 정수배를 기본 공진 길이로 가지게 되고 다단의 경우 길이가 2λ를 초과하게 됨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대역 통과 필터는 위와 같이 CRLH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그 길이를 1/8 수준으로 축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성되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에, 입력 포트에 직렬 연결된 제 1 인터디지틀 선로(502), 출력 포트에 직렬 연결된 제 2 인터디지틀 선로(506), 제 1 인터디지틀 선로(502)와 제 2 인터디지틀 선로(504)를 연결하는 연결선로(504) 및 연결 선로에 병렬 연결되고 끝단이 접지된 인덕터 선로(508)를 포함한다.
제 1 인터디지틀 선로(502)와 제 2 인터디지틀 선로(506)는 도면에서 확대된 부분과 같이 한 쌍의 평행 선로로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평행 선로는 좁은 간극을 유지한 채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이러한 평행 선로는 단락 스터브(Grounded stub)에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커패시터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 선로(504)는 직렬 인덕터와 병렬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T-junction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제 1 인터디지틀 선로(502)와 제 2 인터디지틀 선로(506) 및 인덕터 선로(508)을 연결한다. 인덕터 선로(508)은 끝단이 접지되어 있다.
연결 선로(504)가 위상 지연 현상을 일으키는 RH(Right-Handed)의 요소라면, 제 1 인터디지틀 선로(502), 제 2 인터디지틀 선로(506) 및 인덕터 선로(508)는 위상 선도(Lead) 현상을 일으키는 LH(Left-Handed)의 요소이다. 이러한 RH와 LH 요소가 합쳐지면서 위상 지연과 위상 선도 현상이 총 위상 0을 만들게 되면, 파장과 무관한 공진이 발생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공진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들의 용량성 결합 구조이다.
도 6에서는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공진기들이 용량성 결합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대역 통과 필터의 구현시 공진기들 사이에 용량성 결합 또는 유도성 결합을 이용할 수 있는데, CRLH 공진기들에 이러한 용량성 결합 구조를 이용하였다는 점이 본 발명의 주된 특성 중 하나이다. 용량성 결합이란 전기장형 결합이라고도 표현되며, 하나의 공진기의 출력단과 그 공진기에 연결되는 다른 공진기의 입력단 간에 전기장(Electric Field)이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형태를 말한다(602, 604).
CRLH 구조의 메타재질(Metamaterial) 특성을 공진기에 부여하고, 이러한 공진기들을 결합시키면 원래 각 공진기의 CRLH 공진 특성이 바뀌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합을 이용하면서도 공진기 각각의 메타재질 특성을 유지하면서 통과 대역 및 차단 대역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 7은 도 6의 공진기 결합 구조를 이용한 UHF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통과 대역에서는 대역폭, 삽입 손실 및 반사 손실이 잘 만족된다. 또한 차단 영역은 3차 하모닉(Harmonic)까지 억제할 수 있을 정도로 넓다.
다만, 도 7과 같이 차수를 더이상 올리지 않고 3차 공진기만으로 구현할 경우 통과 대역의 스커트 특성이 매우 좋은 것은 아니다. (상측 가장자리 + 10MHz offset 에서의 감쇄량이 7dB 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CRLH 구조 공진기들의 결합 구조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킴으로써 스커트 특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를 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RLH 구조 공진기 결합 선로 및 이와 병렬 연결된 분기 선로를 포함하는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CRLH 구조의 공진기 1(802), 공진기 2(804) 및 공진기 3(806)이 용량성 결합된 공진기 결합 선로(808)에 분기 선로(810)가 병렬 연결되어 있고, 분기 선로(810)는 통과 대역 주변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킴으로써 통과 대역의 스커트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공진기 결합 선로(808)와 분기 선로(810)의 분기점(812)에는 양 선로 간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양 선로 간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져야 양 선로로 들어가는 신호의 흐름이 좋아지게 되고, 특히 양 선로의 결합 지점(814)에서 양 선로를 통과한 신호 간의 위상 차가 180도가 되도록 임피던스 매칭을 시켜 줌으로써 전송 영점을 형성하게 된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의해 스커트 특성이 향상된 UHF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3차 공진기 결합 구조에 의한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나, 통과 대역의 상측 대역 이후(930MHz 부근)에 전송 영점이 형성됨으로써 통과 대역 상측 가장자리의 스커트 특성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측 가장자리 + 10MHz offset 에서의 감쇄량이 27~29dB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Duplexer)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제 1 대역 통과 필터(1010),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제 2 대역 통과 필터(1020) 및 제 1 대역 통과 필터, 제 2 대역 통과 필터와 연결된 중앙 처리부(1060)를 포함하고, 중앙 처리부(1060)은 3개의 위상 조정부(1030, 1040, 1050)를 포함한다.
제 1 대역 통과 필터(1010) 및 제 2 대역 통과 필터(1020)는 도 5 내지 도 9를 통해 상술한 것과 같은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이다. 이렇게 CRLH 구조의 매타재질 특성을 이용한 필터를 듀플렉서 형태로 결합하고, 통과 대역 간 격리도(Isolation)가 상용 통신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는 데에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 있다.
위상 조정부(1030, 1040, 1050)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1010) 및 제 2 대역 통과 필터(1020)를 통해 들어온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필터를 높은 스커트 특성을 가지도록 잘 구현하였더라도, 이를 듀플렉서 형태로 결합시키게 되면 각 필터의 주파수 특성이 많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위상 조정부(1010, 1020, 1030)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필터를 통해 들어온 신호들의 위상 및 신호 간의 위상 차를 반영하여, 특정 위상 값에 따라 전송 선로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위상 조정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각 필터의 통과 대역 특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대역 통과 필터(1010)는 UHF 대역 통과 필터로, 제 2 대역 통과 필터(1020)는 ISM 대역 통과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HF 대역 통과 필터를 도 8에서와 같이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필터로 구현함으로써 통과 대역의 스커트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대역 간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UHF 대역 통과 필터와 ISM 대역 통과 필터를 결합한 듀플렉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도 11에서, 900MHz 부근의 UHF 대역과 2.4GHz 부근의 ISM 대역에 통과 대역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11의 그래프는 UHF 대역 통과 필터의 스커트 특성을 향상시키기 전(전송 영점 미발생)의 주파수 응답이므로 두 필터의 결합 시에도 매우 높은 수준의 스커트 특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송 영점을 발생시킨 UHF 대역 통과 필터와 ISM 대역 통과 필터를 결합한 듀플렉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UHF 통과 대역 상측 이후에 전송 영점이 발생하여 스커트 특성이 크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UHF 대역의 스커트 특성이 향상됨에 따라 대역 간 격리도 또한 향상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CRLH 구조 공진기들의 용량성 결합을 이용하여 초소형화 가능성을 가진 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RLH 구조 공진기들의 용량성 결합 구조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분기 선로를 연결함으로써 우수한 스커트 특성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더불어 UHF 대역과 ISM 대역 통과 필터로서의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필터 간 위상 조정 등을 통해 우수한 스커트 특성과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듀플렉서를 구현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2 이상의 CRLH 구조 공진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들은 용량성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들은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는 상기 입력 포트에 직렬 연결된 제 1 인터디지틀 선로, 상기 출력 포트에 직렬 연결된 제 2 인터디지틀 선로, 상기 제 1 인터디지틀 선로와 상기 제 2 인터디지틀 선로를 연결하는 연결 선로 및 상기 연결 선로에 병렬 연결되고, 끝단이 접지된 인덕터 선로를 포함하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디지틀 선로 및 상기 제 2 인터디지틀 선로는 한 쌍의 평행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평행 선로는 커패시터 기능을 수행하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선로는
    직렬 인덕터와 병렬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5. 2 이상의 CRLH 구조 공진기들이 용량성 결합된 공진기 결합 선로; 및
    상기 공진기 결합 선로와 병렬 연결되는 분기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 선로는 통과 대역 주변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대역은 UHF 대역인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선로는 상기 통과 대역의 상측 대역 이후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결합 선로와 상기 분기 선로 간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진기 결합 선로를 통과한 신호와 상기 분기 선로를 통과한 신호 간 위상 차가 180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10.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제 1 대역 통과 필터;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제 2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 1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 2 대역 통과 필터와 연결된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제 1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와 상기 제 2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 간 위상 차를 조정하는 하나 이상의 위상 조정부를 포함하는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역은 UHF 대역이고, 상기 제 2 대역은 ISM 대역인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역 통과 필터는
    2 이상의 CRLH 구조 공진기들이 용량성 결합된 공진기 결합 선로; 및
    상기 공진기 결합 선로와 병렬 연결되는 분기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 선로는 상기 제 1 대역의 상측 대역 이후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의 듀플렉서.
KR1020100032682A 2010-04-09 2010-04-09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KR20110113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82A KR20110113340A (ko) 2010-04-09 2010-04-09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US12/938,503 US8729980B2 (en) 2010-04-09 2010-11-03 Band-pass filter based on CRLH resonator and duplex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82A KR20110113340A (ko) 2010-04-09 2010-04-09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40A true KR20110113340A (ko) 2011-10-17

Family

ID=4476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82A KR20110113340A (ko) 2010-04-09 2010-04-09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29980B2 (ko)
KR (1) KR201101133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5347A (zh) * 2019-05-31 2019-08-23 四川大学 一种加载开路枝节的高隔离度微带双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533B1 (en) * 2012-12-04 2015-09-08 University Of South Florida Non-dispersive microwave phase shifters
US9755608B1 (en) * 2016-10-28 2017-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squeezed states of the microwave field left-handed transmission line resona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8729B1 (en) * 2004-03-05 2005-10-25 Lucent Technologies Inc. Phased array metamaterial antenna system
US7330090B2 (en) * 2004-03-26 2008-02-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Zeroeth-order resonator
US7446629B2 (en) * 2004-08-04 2008-1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duplexer, and RF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60780B1 (ko) * 2004-09-28 2007-09-21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분파기
JP4091043B2 (ja) 2004-12-22 2008-05-28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分波器
US7593696B2 (en) * 2005-02-10 2009-09-22 Alcatel-Lucent Usa Inc. Tunable radio frequency filter
KR100631212B1 (ko) * 2005-08-0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놀리식 듀플렉서 및 그 제조방법
WO2007127955A2 (en) 2006-04-27 2007-11-08 Rayspan Corporation Antennas, devices and systems based on metamaterial structures
KR100719121B1 (ko) * 2006-07-27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듀플렉서
JP5045349B2 (ja) 2007-10-01 2012-10-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左手系フィルタ
EP2227859B1 (en) * 2007-11-16 2017-11-01 Gula Consulting Limited Liability Company Filter design methods and filters based on metamaterial structures
EP2269266A4 (en) 2008-03-25 2014-07-09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ADVANCED ACTIVE METAMATERIAL ANTENNA SYSTEMS
KR100976595B1 (ko) 2008-04-21 2010-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rlh전송 선로를 이용한 단일 평면 안테나 장치
EP2273606A4 (en) * 2008-05-12 2013-03-06 Panasonic Corp SEMICONDUCTOR LAS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028534A (ja) 2008-07-22 2010-02-04 Fuji Xerox Co Ltd 右手・左手系複合線路素子
EP2166612A1 (en) * 2008-09-19 2010-03-24 Alcatel, Lucent Metafilter with asymmetric structure
US8334734B2 (en) * 2009-08-25 2012-12-18 Hollinworth Fund, L.L.C. Printed multilayer filter methods and designs using extended CRLH (E-CRLH)
KR20120114729A (ko) * 2011-04-08 2012-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역통과 필터 및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5347A (zh) * 2019-05-31 2019-08-23 四川大学 一种加载开路枝节的高隔离度微带双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29980B2 (en) 2014-05-20
US20110248793A1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77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공진기 및 그를 이용한 필터
CN108028635B (zh) 频率可变lc滤波器、高频前端电路
US20120256703A1 (en) Bandpass filter and electronic device
WO2017083792A1 (en) Acoustic wave filter with enhanced rejection
WO2016161795A1 (zh) 一种滤波器
US10193527B2 (en) Branching filter
US9343789B2 (en) Compact microstrip bandpass filter with multipath source-load coupling
KR101207061B1 (ko) 소형 Gbps 무선신호 송수신기용 다중 극점 대역통과 여파기용 신형 메타재질 CRLH 기본구조와 그의 교차결합에 의한 채널 선택도 향상법
KR20110113340A (ko) Crlh 구조 공진기 기반의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KR101188047B1 (ko) 개방 스터브가 삽입된 비균일 인터디지틀 결합 선로를 가지는 첨소형 0차 공진 메타메트리얼 구조의 초광대역 하반대역통과 여파기
CN205406686U (zh) 基于多模谐振器的四频带带通滤波器
KR101546931B1 (ko) 트리플밴드 대역저지 필터
CN110679033A (zh) 紧凑型带通滤波器
CN113346868A (zh) 一种声表面波滤波器
US11146242B2 (en) Filter device, multiplexer, radio frequency front 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99645A (ko) Bawr 을 이용한 필터
CN105742770A (zh) 基于多模谐振器的四频带带通滤波器
KR101192518B1 (ko) 0차 공진기 요소간의 3극 교차결합형 전달 영점에 의한 우수한 주파수 선택도를 가지는 3차, 5차, 9차 첨소형 대역통과 여파기
KR101889091B1 (ko) 위상 경로차 유도용 다중 링 구조의 초광대역 소형 대역 통과 여파기
KR100895616B1 (ko) E-결합 인버터를 가지는 메타재질구조와 스터브를 이용한 초소형 uhf 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KR101606179B1 (ko) Mnz 메타 물질을 이용한 공진기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
WO2022227347A1 (zh) 带阻滤波器与多频带阻滤波器
KR20120070331A (ko)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듀플렉서
KR20110083349A (ko) 메타재질 crlh 전송선 구조에 의한 서브 파장길이 단위 초소형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US20190372545A1 (en) Compact band pass filter with vi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