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470A -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엔티티 - Google Patents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엔티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470A
KR20110112470A KR1020117020566A KR20117020566A KR20110112470A KR 20110112470 A KR20110112470 A KR 20110112470A KR 1020117020566 A KR1020117020566 A KR 1020117020566A KR 20117020566 A KR20117020566 A KR 20117020566A KR 20110112470 A KR20110112470 A KR 2011011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mmunication
unique
communication connection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697B1 (ko
Inventor
기요르기 타마스 볼프너
로버트 로폴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1011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 접속 ID를 결정하는 단계, 제 1 통신 엔티티에 고유 접속 ID를 저장하는 단계 및 통신 접속의 구축을 위하여 상기 고유 접속 ID를 제 2 통신 엔티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엔티티{METHOD AND COMMUNICATION ENTITY FOR PROVING A COMMUNICATIONS CONNE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통신 엔티티(entity),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그램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접속 ID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에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은 언제나 하나보다 많은 수의 공존 통신 접속, 특히 예를 들어 모바일 폰 같은 사용자 측, 즉 사용자 장비 및 타겟 통신 엔티티 사이의 하나보다 많은 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통신 접속의 부분인 모든 통신 엔티티들이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타겟 통신 엔티티 사이의 다중, 병렬 통신 접속들의 사용을 지원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타겟 통신 엔티티는 예를 들어 3GPP GERAN(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3GPP UTRAN(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3GPP E-UTRAN(이벌빙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같은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3GPP EPS(Evolved Packet System) 내의 APN(Access Point Name: 액세스 포인트 네임)에 의해 EPC(Evolved Packet Core)로 어드레싱될 수 있다.
프록시 모바일 IP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통신 접속은 개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식별자로서 모바일 노드 ID(MN-ID,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의 ID) 및 타겟 통신 엔티티의 액세스 포인트 네임(APN)을 사용하여 어드레싱되거나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록시 모바일 IP 기반 S5/S8을 통하여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 네임으로의 사용자 장비의 다중 병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은, 상기 접속이 통신 접속의 관련 말단 포인트들에 고유 ID들을 통해서만 결정될 수 있어서, 상기 말단 포인트들 사이의 각각의 통신 접속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원될 수 없다.
사용자 장비 및 단일 APN 사이, 특히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5 또는 S8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서빙 게이트웨이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에 다중 병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 접속들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3GPP TS23.401 EAV 8.4.1(2008-12)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RPS) Enh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Access(Release 8)" 및 3GPP TS23.402 V 8.4.1(2009-01) - "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Non-3GPP Accesses(Release 8)"은 이벌빙된(evolved) 패킷 코어의 아키텍쳐를 기술한다.
3GPP TS 23.302 EAV 8.4(2008-12) - Network architecture(Release 8)는 3GPP GERAN, 3GPP UTRAN 및 3GPP E-UTRAN 액세스 기술들을 기술한다.
3GPP TS29.275 EAV 8.1(2008-12) - "Proxy Mobile IPv6(PMIPv6) based Mobility and Tunnelling protocols; Stage 3(Release 8) 및 TS23.402는 프록시 모바일 IP 기반 S5/S8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기술한다.
IETF RFC 5213 "Proxy Mobile IPv6"[2008년 8월]는 프록시 모바일 IPv6를 기술한다.
IETF RFC 5094 "Mobile IPv6 Vendor Specific Option"[2007년12월]은 모바일 IPv6 벤더 특정 옵션 확장(Mobile IPv6 Vendor Specific Option extension)을 기술한다.
프록시 모바일 IPv6에 대한 IETF 인터넷 드래프트 "GREkey" 옵션은 프록시 모바일 IPv6에 대한 GREkey 옵션을 기술한다.
다음에서, 독립항들에 따른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통신 엔티티, 통신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접속 ID의 사용,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고유 접속 ID를 결정하는 단계, 제 1 통신 엔티티에 고유 접속 ID를 저장하는 단계 및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의 구축을 위해 고유 접속 ID를 제 2 통신 엔티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통신 엔티티가 제공되고, 상기 통신 엔티티는 고유 접속 ID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고유 접속 ID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 및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의 구축 또는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송신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특히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에 따라, 보다 특히 서빙 게이트웨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접속 ID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제공되고, 상기 프로그램 엘리먼트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양상은 특히 사용자 장비가 프록시 모바일 IP 기반 S5/S8을 사용하여 3GPP 액세스 시스템에 캠핑(camp)할 때, 사용자 장비 및 액세스 포인트 네임 사이의 다중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을 구축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있을 수 있다.
통신 접속을 구축하기 위하여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사용자 장비,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특정 APN(즉, 사용자 장비가 통신 접속을 구축하기를 원하는 타겟 시스템) 사이의 하나보다 많은 수의 통신이 요청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동일한 APN을 넘어서서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를 원하는 하나보다 많은 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2개의 랩톱 컴퓨터들에 EPS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에 네트워크 접속들을 제공하기 때문일 수 있다.
PMIP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 접속이 통신의 한쪽 말단에 배치된 사용자 장비의 모바일 노드 ID 및 통신 접속의 다른 한쪽 말단에 있는 타겟 시스템의 APN을 사용하여 규칙적으로 참조되기 때문에, 특정 UE로부터 특정 APN으로 다중 통신 접속들은 쉽게 구축될 수 없다.
특히, S5 또는 S8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두 접속되는 게이트웨이인 서빙 게이트웨이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 접속은 상기된 파라미터들 MN-ID 및 APN에 의해 참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 및 APN 사이의 단 하나의 동시 통신 접속만이 특정 서빙 게이트웨이 및 특정 PDN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구축될 수 있다. S5 및 S8 인터페이스들은 동일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지만, S5 인터페이스는 단일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에서(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VPLMN(Visitor 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에 있을 수 있음) 사용될 수 있고, S8은 서빙 게이트웨이가 VPLMN 내에 있고 PDN 게이트웨이가 HPLM 내에 있을 때 특히 사용될 수 있다, 즉 S5 인터페이스는 특히 인트라-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S8 인터페이스는 특히 인터-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것은 S8이 로밍 시나리오에서만 발생할 수 있고 S5는 비-로밍 시나리오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S5는 또한 SGW 및 PDN-GW가 VPLMN 내에 있을 때 로밍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다. SGW는 항상 VPLMN 내에 있을 수 있다.
통신 접속은 추가 접속 정보에 의해 추가로 참조될 수 있다. 특히, 통신 접속의 EPS 베어러 ID는 통신 접속을 참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어서, S5/S8을 통한 특정 APN으로의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GREkey는 서빙 게이트웨이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의 S5/S8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PMIP를 이용할 때, 개별 다중 병렬 PDN 통신 접속들을 참조하고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추가 접속 정보는 서빙 게이트웨이에 제공될 수 있고 그 다음 MN-ID, APN 및 추가 접속 정보, PDN 접속 태그, 특히 EPS 베어러 ID 또는 업링크 GREkey에 의해 특정 통신 접속을 구별하기 위하여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PDN 게이트웨이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인 추가 접속 정보를 PDN 게이트웨이에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은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Proxy Binding Update)"-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이다.
특히, PBU-메시지는 특정 확장, 즉 VSMO(Vendor Specfic Mobility Option: 벤더 특정 이동성 옵션)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VSMO는 VSMO의 전송 또는 VSMO 자체를 글로벌적으로 정의(즉, 글로벌 표준에 부합함)할 필요성 없이 서빙 게이트웨이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 접속을 협상, 구축 및/또는 핸드오버(hand over)할 때 개별 파라미터들이 PBU-메시지에 포함되게 할 수 있다.
조화된(according) VSMO 또는 상기 VSMO의 서브타입의 사용은 또한 역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가 PDN 접속 태그에 의해 또한 상이한 PDN 접속들을 구별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경우, VSMO 또는 서브타입을 확인응답할 수 있어서, 서빙 게이트웨이는 PDN 게이트웨이가 추가 접속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UE 및 특정 APN 사이의 다중 병렬 PDN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다중 통신 접속(들)은 서빙 게이트웨이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에 구축될 수 있다.
다음 설명들 및 정의들은 본문의 환경에서 사용된다.
프록시 모바일 IP:
프록시 모바일 IP(프로토콜)는 임의의 이동성(mobility)-관련 시그널링에서 참여를 요청하지 않고 호스트에 대한 IP 이동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관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호스트 대신 IP 이동성을 관리할 책임이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엔티티들은 호스트의 움직임들을 추적하고, 호스트들을 대신하여 요청된 이동성 시그널링을 개시하기 위한 책임이 있다.
사용자 장비:
사용자 장비는 통신 접속의 사용자 말단에 상주하는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 특히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특히 모바일 폰, PDA 또는 무선 컴퓨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는 핸드오버 관련 절차들을 제어하고 사용자 장비 위치 추적을 유지하는데 책임이 있기 때문에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핵심 제어 노드로서 생각될 수 있다. MME는 특히 사용자 장비 페이징 절차들의 추적에 책임이 있을 수 있다. MME는 또한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프로세스에 연관될 수 있고 또한 초기 부착시 및 인트라 네트워크 핸드오버 또는 노드 재배치의 시점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데 책임이 있을 수 있다. 또한, MME는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책임이 있을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
서빙 게이트웨이는 또한 인트라-네트워크 이동성(LTE 액세스 내의 이동성 같은)에 대한 로컬 앵커 포인트(local anchor point)로서 동작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 및 포워딩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PDN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를 위한 트래픽의 입구 및 출구의 포인트가 됨으로써 사용자 장비에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로컬 이동성 앵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하나보다 많은 수의 PDN 게이트웨이와 동시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는 정책 시행,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패킷 필터링, 과금 지원, 합법적 가로채기(interception) 및 패킷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의 다른 양상은 3GPP 및 비-3GPP 기술들 사이의 이동성에 대한 앵커로서 생각될 수 있다.
베어러(Bearer):
연결형 전송 네트워크들에서 베어러는 임의의 데이터가 2개의 말단 포인트들 사이에서 송신될 수 있기 전에 구축되어야 하는 상기 2개의 말단 포인트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의 "가상 접속"으로서 생각될 수 있다. 베어러 ID 식별자 또는 EPS(이벌빙된 패킷 시스템) 베어러 ID는 베어러, 즉 가상 접속의 (고유) 식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프록시 모바일 IP 기반 S5/S8에서, 베어러는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확장할 수 있다.
GREkey:
GREkey(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Key: 제너릭 라우팅 인캡슐레이션 키들)들은 특정 모바일 노드 세션 또는 특정 흐름에 속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트래픽을 마킹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GREkey들은 특정 모바일 노드 세션 또는 특정 흐름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GREkey들은 GRE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모드를 협상하기 위하여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 및 로컬 이동성 앵커를 허용하기 위한 새로운 이동성 옵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벤더 특정 옵션(Vendor specific option):
벤더 특정 메시지들은 벤더들이 프로토콜들에 대한 확장들을 구현하거나 다른 벤더들로부터 그들 자체들을 구별하게 한다. 따라서 메시지들은 특정 벤더를 식별하는 벤더 ID에 의해 마킹될 수 있다. 벤더 특정 이동성 옵션은 이동성 헤더 메시지 내에 제공될 수 있어서, 이동성 헤더 메시지에 대한 벤더 특정 확장들을 허용하고, 따라서 벤더들은 전용 표준화 절차에 대한 필요 없이 그들의 개별 요구조건들에 대한 특정 프로토콜을 개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3GPP는 3GPP 특정 요구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하여 IETF 같은 다른 표준화 조직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들을 확장하도록 벤더 특정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로컬 이동성 앵커:
로컬 이동성 앵커는 프록시 모바일 PIv6 도메인에서 모바일 노드에 대한 홈 에이전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 로콜 이동성 앵커는 모바일 노드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토포로지컬(topological) 앵커 포인트일 수 있다. 이것은 비록 모바일 노드의 위치가 변화더라도(예를 들어, 하나의 액세스 기술로부터 다른 액세스 기술로의 모바일 노드 핸드오버들), 로컬 이동성 앵커가 세션(즉, 통신 접속)의 수명 동안 변화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특히 자신의 액세스 링크에 부착된 모바일 노드,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에 대한 이동성 관련 시그널링을 관리하는 액세스 라우터에 대한 기능부일 수 있다.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액세스 링크로의 및 액세스 링크로부터의 모바일 노드 움직임을 추적하고 모바일 노드 로컬 이동성 앵커에 시그널링하는데 책임이 있을 수 있어서, 로컬 이동성 앵커에 대한 통신 접속을 구축한다.
본 발명은 특히 단일 APN로의 다수의 PDN 지원을 위한 절차에서 새로운 기능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절차는 서빙 게이트웨이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의 프록시 모바일 IP 기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각각의 PDN 접속에 대한 고유 ID를포함할 수 있는, 예를 들어 PDN 접속 태그라 불리는 논리적 정보 엘리먼트의 정의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정보 엘리먼트, 고유 접속 ID는 디폴트 베어러의 EPS 베어러 ID 중 하나일 수 있거나 업링크 GREkey일 수 있다. 고유 접속 ID/PDN 접속 태그는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PDN 게이트웨이로 송신된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들의 일부 일 수 있고 MME에 저장될 수 있다(사용자 장비 컨텍스트의 일부로서).
고유 접속 ID가 핸드오버들 동안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MME는 서빙 게이트웨이가 핸드오버 절차 동안 변경되는 경우 다른 PDN 접속 정보 엘리먼트들 중에서 상기 고유 접속 ID를 새로운 서빙 게이트웨이에 송신할 수 있다.
3GPP 액세스 기술들에서 베어러들은 특히 사용자 패킷들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베어러들은 특정 PDN 접속에 속할 수 있고 EPS 베어러 ID는 사용자 장비의 범위 내에서 베어러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EPS 베어러 ID는 비록 핸드오버의 결과로서 MME 및/또는 서빙 게이트웨이의 변화가 있더라도 베어러의 수명 동안 변화하지 않는다.
3GPP 액세스 기술들에서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내에 다수의 베어러들이 있을 수 있고, 프록시 모바일 IP에서 PDN 접속 및 프록시 모바일 IP 터널(tunnel) 사이에 실질적으로 1:1 맵핑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PDN 접속은 단일 디폴트 베어러를 가진다. 디폴트 베어러는 새로운 PDN 접속이 구축될 때 생성된 제 1 베어러일 수 있다. 게다가 베어러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고 PDN 접속의 수명 동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폴트 베어러의 EPS 베어러 ID는 프록시 모바일 IP 기반 S5/S8을 통하여 PDN 접속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GREkey는 프록시 모바일 IP 터널이 구축될 때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PDN 접속 및 프록시 모바일 IP 터널 사이에 1:1 맵핑이 있을 수 있다. 업링크 GREkey는 비록 핸드오버의 결과로서 MME 및/또는 서빙 게이트웨이에 변화가 있더라도 PDN 접속(프록시 모바일 IP 터널)의 수명 동안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록시 모바일 IP 터널의 업링크 GREkey는 프록시 모바일 IP 기반 S5/S8을 통하여 PDN 접속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음 추가 실시예들에서는 특히 통신 접속을 통신 엔티티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통신 엔티티, 고유 접속 ID의 사용,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그램 엘리먼트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단일 또는 다수의 포맷의 임의의 변화들 및 교환들 또는 청구된 엔티티들 사이의 피쳐들은 본 특허 출원의 범위 및 개시 내에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양상들이 상이한 주제들에 관하여 기술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된다. 특히, 몇몇 실시예들은 장치 타입 청구항들에 관하여 기술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들은 방법 타입 청구항들에 관하여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만약 다르게 통지되지 않으면, 임의의 타입의 주제에 속하는 임의의 조합 피쳐들에 더하여 또한 다른 주제들에 관련된 피쳐들 사이, 특히 장치 타입 청구항들의 피쳐들 및 방법 타입 청구항들의 피쳐들 사이에서의 임의의 조합이 이 출원 내에 개시되는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을 상기 및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을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설명들은 또한 통신 엔티티, 고유 접속 ID의 사용,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그램 엘리먼트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방법은 고유 접속 ID를 포함하는 통신 접속의 핸드오버에 대한 표시를 제 2 통신 엔티티에 제공하고 제 1 통신 엔티티 및 제 3 통신 엔티티 사이의 고유 접속 ID를 사용하는 통신 접속의 핸드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의 프로세스에서 고유 접속 ID를 이용함으로써, 핸드오버의 시퀀스에서 구축된 통신 접속, 즉 사용자 장비 및 PDN 게이트웨이/APN 사이의 통신 접속은 필수적으로 동일한 식별 세부항목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는 실질적으로 명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엔티티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라우팅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사용자 장비, 이동성 관리 엔티티, 서빙 게이트웨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하나의 엔티티일 수 있다.
고유 접속 ID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특히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의 접속을 위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 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일 통신 엔티티는 또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의 피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유 접속 ID는 모바일 노드 ID, 액세스 포인트 네임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태그와, 베어러 ID와, GREkey와, 업링크 GREkey 중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베어러 ID 및 GREkey는 모바일 노드의 범위 및 액세스 포인트 네임 내에서의 통신 접속들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식별하기 위해 간단한 액세스 가능 고유 ID를 제공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통신 접속은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접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유 접속 ID를 포함하는 통신 접속의 구축 및/또는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의 전송은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는 이미 표준화된 접속 절차의 일부인 메시지일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따라서 고유 접속 ID를 제공하기 위한 조화된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통신 접속을 구축하는 동안 추가 오버헤드의 회피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유 접속 ID를 포함하는 통신 접속의 구축 및/또는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의 전송은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의 벤더 특정 이동성 옵션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벤더 특정 이동성 옵션을 사용하는 것은 특정 표준의 수정/확장에 대해 글로벌적으로 승인된 요구조건들 없이 본 특허 출원의 특징들의 명확한, 역 호환 가능 구현을 허용할 수 있다.
고유 접속 ID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는 VSMO에 의해 전달되거나 전송될 수 있고, 다른 엘리먼트들, 특히 MN-ID 및 APN은 VSMO에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고유 접속 ID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전송하기 위하여 추가 PMIP 프로토콜 옵션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메시지 내의 EPS 베어러 ID 및/또는 GREkey의 사용에서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이후에 기술되는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하고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도면들의 도시는 개략적이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엘리먼트들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제공된다.
도면들은 비례적으로 도시되지 않고, 질적 비율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PDN 접속 생성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빙 게이트웨이 재배치와 함께 핸드오버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엔티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지금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나리오가 도시된다.
사용자 장비(1), 예를 들어 모바일 폰은 통신 접속(5)을 개시하기 위하여 시도한다. 통신 접속(5)은 공중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E-UTRAN을 이용함) 및 유선 접속을 통한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MME(2)는 통신 접속(6a), 예를 들어 유선 통신 접속을 통하여 서빙 게이트웨이(SGW)(3)에 접속되고, SGW(3) 및 PDN 게이트웨이(4)는 통신 접속(6b), 예를 들어 또한 유선 접속, 즉 S5 또는 S8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다. 인터페이스(S5)는 특히 비-로밍 또는 로밍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S8)는 특히 로밍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는 차례로 통신 접속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7)에 접속된다. 네트워크(7), 특히 네트워크(7) 내의 상이한 서비스들은 개별 액세스 포인트 네임들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지금, 사용자 장비(1)가 특정 APN에 추가 통신 접속을 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 추가 병렬의, 동시 통신 접속은 UE(1)로부터 네트워크의 특정 APN(7)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시나리오가 프록시 모바일 IP 환경에서 발생하면, 특히 서빙 게이트웨이(4) 및 PDN 게이트웨이(4) 사이의 통신 접속 부분(6b)은 예를 들어 부가적인 PDN 접속 태그를 이용함으로써 이런 추가 접속을 식별하여야 한다.
추가 접속이 개별 EPS 베어러 ID를 가진 추가 가상 접속으로서 생각될 수 있기 때문에, PDN 접속 태그는 EPS 베어러 ID일 수 있고 UE1의 MN-ID 및 네트워크 내의 특정 APN(7)과 함께 서빙 게이트웨이(3) 및 PDN 게이트웨이(4) 사이의 개별 통신 접속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PDN 접속 태그는 특히 MME2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3)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PBU-메시지를 통하여 PDN 게이트웨이(4)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PDN 접속 태그는 통신 접속의 구축 동안 PDN 게이트웨이(4)에 의해 할당된 GREkey, 특히 업링크 GREkey일 수 있다.
지금 도 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PDN 접속 생성을 위한 흐름도는 도시된다.
고유 접속 ID, 즉 PDN 접속 태그는 특히 베어러 ID 또는 업링크 GREkey일 수 있다. 다음에서, PDN 접속의 구축을 위한 2개의 예들은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예에서, 고유 접속 ID는 베어러 ID를 포함한다.
제 1 단계(S100)로서, 사용자 장비(1)는 예를 들어, 3GPP TS 23.401 및 3GPP TS 23.402에 지정된 바와 같이 "베어러 접속 생성"(S100)에 의해 도 2a에 표시된 PDN 접속 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다음 단계(S101)로서, MME(2)는 PDN 접속 태그(고유 접속 ID)를 생성, 발생 또는 결정할 수 있고 PDN 접속 정보 중 PDN 접속 태그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 MME(2)는 S102a에서 MME(2)에 의해 생성된 PDN 접속 태그, 고유 접속 ID를 포함하는 "디폴트 베어러 요청 생성"-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3)에 송신할 수 있다.
지금, 서빙 게이트웨이(3)는 S103a에서 MME(2)로부터 수신된 PDN 접속 태그를 포함하는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메시지를 PDN 게이트웨이(4)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PDN 게이트웨이(4)는 S104a에서 PDN 접속 태그를 저장할 수 있고 S105a에서 "프록시 바인딩 확인응답"-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3)에 송신할 수 있다.
차례로 서빙 게이트웨이(3)는 S106a에서 "디폴트 베어러 응답 생성"-메시지를 MME(2)에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PDN 접속 구축은 3GPP TS 23.401 및 3GPP TS 23.402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S107에서 계속될 수 있다.
UE 및 MME 사이 및 MME 및 SGW 사이의 메시지들은 특히 TS23.401에서 정의될 수 있고, SGW 및 PDN GW 사이의 메시지들은 특히 TS23.402에서 정의될 수 있다.
제 2 예에서, 고유 접속 ID는 업링크 GREkey를 포함한다.
다시, 사용자 장비(1)는 S100에서 3GPP TS 23.401 및 3GPP TS 23.402에 따른 PDN 접속 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MME(2)는 S102b에서 3GPP TS 23.402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디폴트 베어러 요청 생성"-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3)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 서빙 게이트웨이(3)는 S103b에서 3GPP TS 23.402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메시지를 PDN 게이트웨이(4)에 송신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4)는 지금 S104b에서 업링크 GREkey를 사용하여 고유 접속 ID, PDN 접속 태그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PDN 게이트웨이(4)는 S105b에서 업링크 GREkey를 사용하여 PDN 게이트웨이(4)에 의해 생성된 PDN 접속 태그를 포함하는 "프록시 바인딩 확인응답"-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3)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3)는 S106b에서, PDN 게이트웨이(4)로부터 수신된 PDN 접속 태그를 포함하는 "디폴트 베어러 응답 생성"을 MME(2)에 송신한다.
MME(2)는 S108에서 PDN 접속 정보 중 PDN 접속 태그를 저장하고 그 후 PDN 접속 구축은 S107에서 3GPP TS 23.401 및 3GPP TS 23.402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다른 말로, 3GPP TS23.402에 따라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메시지 및/또는 "프록시 바인딩 확인응답"-메시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러 ID 또는 업링크 GREkey를 이용하는 고유 접속 ID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지금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빙 게이트웨이 재배치와 함께 핸드오버를 위한 흐름도가 도시된다.
PDN 접속 태그/고유 접속 ID가 생성된 것과 무관하게, 핸드오버 절차는 다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핸드오버 절차는 3GPP TS 23.401 및 3GPP TS 23.402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S200에서 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MME2는 S201에서 PDN 접속 정보 내에 저장된 PDN 접속 태그를 포함하는 "베어러 요청 생성"-메시지를 새로운 서빙 게이트웨이(3)인 서빙 게이트웨이(3)에 송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 요청된 MME2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이전 MME(2)는 PDN 접속 정보 내의 PDN 접속 태그를 새로운 MME(2)에 송신할 것이다.
다음 단계(S202)로서, 새로운 서빙 게이트웨이(3)는 새로운 서빙 게이트웨이가 특정 PDN 접속에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PDN GW에게 알리기 위하여 MME(2)로부터 수신된 PDN 접속 태그를 포함하는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메시지를 PDN 게이트웨이(4)에 송신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4)는 S203에서 특히 MN-ID(모바일 노드 ID), APN(액세스 포인트 네임) 및 PDN 접속 태그(특히 베어러 ID 또는 업링크 GREkey)를 포함할 수 있는 고유 접속 ID를 기초로 PDN 접속을 식별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4)는 추후 S204에서 "프록시 바인딩 확인응답"-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3)에 송신할 수 있다. PDN GW는 MME의 변화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지만, SGW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새로운 SGW로부터 수신된 PBU-메시지는 상기 변화를 PDN GW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서빙 게이트웨이(3)는 S205에서 "베어러 응답 생성"-메시지를 MME(2)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핸드오버 절차는 S206에서 3GPP TS 23.401 및 3GPP TS 23.402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계속될 수 있다.
지금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엔티티는 도시된다.
통신 엔티티(20)는 결정 유닛(21), 예를 들어 고유 접속 ID 또는 적어도 일부 또는 고유 접속 ID의 엘리먼트를 결정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고유 접속 ID는 통신 접속의 수명 동안 추후 사용을 위해 저장 유닛(22) 또는 저장소 유닛에 저장된다.
송신 및 수신 유닛(23)을 사용하여, 고유 ID는 추후 통신 접속(24b)을 구축하기 위하여 추가 통신 엔티티에 전송된다.
통신 엔티티는 통신 접속(24b 및 24a) 사이의 브리지(bridge)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쪽 통신 접속들은 동일한 송신 및 수신 유닛(23)을 이용할 수 있거나 추가 송신 및 수신 유닛(23)은 통신 엔티티(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2)는 통신 접속(24a)에 부착될 수 있고 PDN 게이트웨이(4)는 통신 접속(24b)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엔티티(20)는 특히 서빙 게이트웨이(3)일 수 있다.
지금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30)의 흐름도는 도시된다.
제 1 단계(31)에서, 고유 접속 ID는 결정된다. 다음 단계(32)에서, 고유 접속 ID는 제 1 통신 엔티티에 저장된다.
추가 단계(33)로서, 고유 접속 ID는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을 구축하기 위해 제 2 통신 엔티티에 제공된다.
따라서 단계들(31 내지 33)은 통신 접속의 구축에 관련된다.
단계들(31 내지 33)과 무관한 추가 단계(34)에서, 제 2 통신 엔티티는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의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가 제공된다. 다음 단계(35)로서,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은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제 3 통신 엔티티로 핸드오버된다.
따라서 단계들(34 및 35)은 통신 접속의 핸드오버에 관련된다.
용어 "포함"이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단수"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들과 연관하여 기술된 엘리먼트들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의 참조 번호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 된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CD-ROM, DVD, 하드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저장 디바이스, RAM(Read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일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프로그램 코드를 다운로딩하는 것을 허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일 수 있다.
참조 번호들
1 사용자 장비/모바일 노드
2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3 서빙 게이트웨이
4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5 무선 통신 접속
6a,b 통신 접속
7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20 통신 엔티티
21 결정 유닛
22 저장 유닛
23 송신 및 수신 유닛
24a,b 통신 접속
30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1 단계: 고유 ID 결정
32 단계: 고유 ID 저장
33 단계: 고유 ID 제공
34 단계: H/O 표시 제공
35 단계: 통신 접속의 핸드오버
두문자어 및 용어
APN 액세스 포인트 네임
EPS 이벌빙된 패킷 시스템
GRE 제너릭 라우팅 인캡슐레이션(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GTP GPRS 터널링 프로토콜
GW 게이트웨이
H/O 핸드오버
HPLMN 홈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 식별부
MME 이동성 관리 엔티티
MN-ID 모바일 노드 ID
PBAck PMIP6 프록시 바인딩 확인응답 메시지
PBU PMIP6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
PDN 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PLMN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MIP 프록시 모바일 IP
PMIP4 프록시 모바일 IP버젼 4
PMIP6 프록시 모바일 IP버젼 6
SGW 서빙 게이트웨이
UE 사용자 장비
VPLMN 비지터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Visitor Public Land Mobile Network)
VSMO 벤더 특정 모바일러티 옵션(Vendor Specific Mobility Option)

Claims (15)

  1.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30)으로서,
    고유(unique) 접속 ID를 결정하는 단계(31);
    상기 고유 접속 ID를 제 1 통신 엔티티에 저장하는 단계(32); 및
    상기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의 구축(establish)을 위하여 상기 고유 접속 ID를 제 2 통신 엔티티에 제공하는 단계(33)
    를 포함하는,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상기 통신 접속의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를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에 제공하는 단계(34); 및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및 제 3 통신 엔티티 사이에서 상기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상기 통신 접속을 핸드오버(35)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엔티티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라우팅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사용자 장비,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서빙 게이트웨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인,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ID는 모바일 노드 ID, 액세스 포인트 네임(access point name),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태그와, 베어러 ID와, GREkey와, 업링크 GREkey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은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접속인,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의 구축 및/또는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의 전송은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Proxy Binding Update message)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의 구축 및/또는 핸드오버를 위한 상기 표시의 전송은 상기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의 벤더 특정 이동성 옵션(Vendor Specific Mobility Option)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통신 엔티티(20)로서,
    고유 접속 ID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21);
    상기 고유 접속 ID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22); 및
    상기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24)의 구축 또는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송신 및 수신 유닛(23)
    을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엔티티(20)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라우팅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사용자 장비, 이동성 관리 엔티티, 서빙 게이트웨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인,
    통신 엔티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ID는 모바일 노드 ID, 액세스 포인트 네임,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태그와, 베어러 ID와, GREkey와, 업링크 GREkey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24)은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접속인,
    통신 엔티티.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및 수신 유닛(23)은 상기 고유 접속 ID에 의해 식별된 통신 접속(24)의 핸드오버를 위한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통신 엔티티.
  13.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사이의 프록시 모바일 I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접속 ID의 사용.
  14.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5. 프로그램 엘리먼트로서,
    상기 프로그램 엘리먼트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프로그램 엘리먼트.
KR1020117020566A 2009-02-03 2009-02-03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엔티티 KR101384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9/051207 WO2010088953A1 (en) 2009-02-03 2009-02-03 Method and communication entity for prov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470A true KR20110112470A (ko) 2011-10-12
KR101384697B1 KR101384697B1 (ko) 2014-04-14

Family

ID=4122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566A KR101384697B1 (ko) 2009-02-03 2009-02-03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엔티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051323A1 (ko)
EP (1) EP2394490B1 (ko)
KR (1) KR101384697B1 (ko)
DK (1) DK2394490T3 (ko)
HU (1) HUE048015T2 (ko)
WO (1) WO2010088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106A1 (en) * 2009-06-19 2010-12-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setting up multiple packet data connections of a user equipment toward an access point
US20100322189A1 (en) * 2009-06-19 2010-12-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upporting optimized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between dissimilar networks
CN110519863A (zh) 2011-11-04 2019-11-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建立和使用pdn连接的方法和装置
WO2016030718A1 (en) * 2014-08-25 2016-03-0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US9667481B2 (en) 2014-10-07 2017-05-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rrelation identifier for user plane congestion and other use cases
CN106717094A (zh) * 2015-05-15 2017-05-2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基站
US11258831B2 (en) 2016-06-30 2022-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 for mobility in S8H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6479A1 (en) * 2001-03-26 2002-10-02 Lucent Technologies Inc. GPRS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7492762B2 (en) * 2002-05-13 2009-02-1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dynamic flow mapping in a wireless network
KR101084132B1 (ko) * 2004-04-15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시의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제공 및 수신 방법
KR101315479B1 (ko) * 2005-12-10 2013-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를 분산 관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및 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 관리 방법
WO2009083429A1 (en) * 2007-12-27 2009-07-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d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to one apn (access point name)
MX2010012475A (es) * 2008-06-09 2010-12-02 Ericsson Telefon Ab L M Sistema y metodo para liberar recursos en una red de telecomunicaciones.
CN101286915B (zh) * 2008-06-11 2012-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分组数据网络的接入控制方法和系统、pcrf实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48015T2 (hu) 2020-05-28
KR101384697B1 (ko) 2014-04-14
WO2010088953A1 (en) 2010-08-12
US20120051323A1 (en) 2012-03-01
US20190364467A1 (en) 2019-11-28
EP2394490A1 (en) 2011-12-14
EP2394490B1 (en) 2019-10-16
DK2394490T3 (da) 202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3921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user detachment when a handover or change occurs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1044685B1 (ko) 리소스를 구축하고 삭제하기 위한 방법 및 네트워크 장비
US949166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443425B1 (ko) 아이들 모드에서 기술간 핸드오버 동안 다중 pdn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64467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entity for prov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EP2259657B1 (en) Method for indicating the bearer management of a serving gateway
JP2013509760A (ja) Ueを3gpp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接続するための接続手続の拡張
KR20100139038A (ko) 과도 등록 및 확장된 바인딩 해제 메시지들을 이용하는 멀티-호밍 프로토콜에 대한 지원
WO2010004714A1 (ja) 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JPWO2010073620A1 (ja) ハンドオーバ方法、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ホームエージェント
CN101610462B (zh) 一种数据报文发送方法、装置及通信系统
KR20090043306A (ko) 무선접속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US8503306B2 (en) Technique for route optimiz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512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over different types of access in 3GPP systems
WO2016074468A1 (zh) 支持多pdn连接的优化切换的方法、网络节点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