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261A -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 Google Patents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261A
KR20110112261A KR1020110087601A KR20110087601A KR20110112261A KR 20110112261 A KR20110112261 A KR 20110112261A KR 1020110087601 A KR1020110087601 A KR 1020110087601A KR 20110087601 A KR20110087601 A KR 20110087601A KR 20110112261 A KR20110112261 A KR 20110112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diameter
branch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성
Original Assignee
안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성 filed Critical 안효성
Priority to KR102011008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261A/ko
Publication of KR2011011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관에서 분기되는 지관을 일체로 제작하여 지관의 연결 작업이 간소화 되도록 함과 아울러, 주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관의 정렬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유체가 이동하는 주관(2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이 유지되게 천공된 통공(21)이 감싸여지도록 주관(20)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되는 분기관 부재에 있어서, 상기 주관(2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관부(11)와, 상기 주관(2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이 유지되도록 관부관부에 일체로 형성된 곡률부(12)와, 상기 곡률부곡률부 단부에 주관(2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주관(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호형부(13)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same caliber divergence pipe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pipe}
본 발명은 소화배관용에 사용되는 동구경 분기관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주관에서 분기되는 동구경의 지관을 결합하기 위한 분기관 부재를일체로 제작하여 지관의 연결 작업이 간소화 되도록 함과 아울러, 주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관의 정렬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관의 천공부 주변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연결부위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및 소방용수 그리고 가스등과 같이 유체를 공급시켜 주기위한 각종의 배관은 공급처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주관과, 상기 주관으로부터 수요처로 유체를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관으로 구분된다.
상기 분기관은 주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서, 주관의 일부분을 절단시켜 상기 절단된 주관 사이에 T자 형상의 연결배관을 용접에 의해 연결시켜 준 다음 연결배관에 분기관을 재차 용접에 의해 연결시켜 주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유체가 공급되는 주관을 절단 후 상기 절단된 부위에 연결배관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용접에 의해 긴밀히 밀폐되도록 연결시켜 주어야 하므로서, 분기관의 연결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분기관이 설치되는 지점마다 유체가 흐르는 주관을 2등분으로 절단시켜 주어야 하고, 상기 절단된 부위에 연결배관을 용접에 의해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85533호가 소개된바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85533호의 구성은 주관을 절단시켜 주지 않고 분기관을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구성, 즉 분기관이 설치되어야 할 주관의 일면을 원형으로 관통시켜 주고, 상기 관통공의 상부로 부터 주관 외면에 접지될 수 있도록 하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를 갖고 상단 내주연으로 지관결합부를 갖도록 한 관형의 몸체와; 상기 플랜지의 하단 양측에 일체로 하여 주관의 관통공 내주연에 안치될수 있도록 한 가이드돌기로 갖추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기관 연결피팅은 몸체의 하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를 일체로 갖추고, 상기 플랜지의 하단 양측에 관통공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 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므로 인해 가공공정에 의해 분기관 연결피팅을 제작하지 못하고, 항상 주물공정에 의해 연결피팅을 생산함에 따라 주관과 분기관은 금속을 재질로 하여 압축 방식에 의하여 가공된 것이고, 상기 주관과 분기관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피팅은 주물공정에 의해 제작하기 때문에 주관및 분기관과 동일한 재질로 사용되지 못하고 다른 재질인 동을 재질로 하여 하기 때문에 사용수명이 서로 달라 재질에 따른 사용수명에 맞추어 수리및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의 선 등록실용신안 20-2004-0011797호와 같은 기술이 공개되었으며, 그 특징은 가스및 물등이 공급되는 주관과; 상기 주관에 갖추어진 관통공으로 부터 연장되는 관체의 하단에 관통공 외측의 주관 외주연에 용접되는 확장요소를 갖추고, 상기 관체의 상단에 끼움관체로 갖추어진 연결피팅과; 상기 끼움관체에 연결되는 분기관으로 이루어지는 배관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연결피팅을 이루는 관체와 이의 상,하단에 위치하는 끼움관체 및 확장요소를 금속을 재질로 하여 일체로 가공에 의해 성형시켜 준 것이다.
이러한 연결피팅은 주관과 분기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는 있지만, 분기관과 주관이 연결되는 연결부의 내경이 변경되어 주관을 이동하는 유체가 분기관으로 분기될 때 연결부에서 와류가 발생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특허 등록 제566508호가 소개된바 있다.
상기 특허 등록 제566508호의 구성은 일정 길이와 외경으로 형성되는 주배관과, 주배관의 일정 위치에 연통되면서 분기되어 부착되는 분기관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관용 분기관부재에 있어서, 주배관은 일정 길이와 외경으로 형성되면서 양측단이나 일측단중 적어도 어느 단부의 외경이 축소되면서 내,외주면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분기관은 파이프를 원재료로 하여 체결부, 테이퍼부, 관부, 환테부로 구성하여 하광상협 형태를 냉간단조와 스웨징공법에 의해 일정 외경차를 두고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주관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분기관은 설치가 가능하지만, 특히, 최근에는 소방법의 개정으로 주관과 분기관의 연결부 내경을 일치하도록 천공하여야 하는 규정을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관과 분기관의 연결부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관에 복수개의 분기관 부재를 설치할 때 상기 분기관 부재가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관을 천공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천공부 주변의 취약부가 분기관 부재에 의해서 보강되어 주관과 분기관 부재의 연결부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유체가 이동하는 주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이 유지되게 천공된 통공이 감싸여지도록 주관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되는 분기관 부재에 있어서, 상기 주관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관부와, 상기 주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이 유지되도록 관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곡률부와, 상기 곡률부의 단부에 주관의 표면이 감싸여지도록 주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된 환태부 및 상기 주관이 끼워지도록 곡률부와 환태부에 형성된 주관 호형부로 이루어져 주관과 결합 용접될 때에 주관의 통공 둘레부에 형성되는 취약부의 표면에 곡률부와 환태부가 덧대어 붙이듯이 보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률부는 관부로 향할수록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상단에 암나사부 또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상단에는 테이퍼부로 연결되는 축관부가 더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에는 암나사부 또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상단에는 테이퍼부로 연결되는 확관부가 더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에는 암나사부 또는 숫나사부가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관과 분기관 부재의 연결부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관에 복수개의 분기관 부재를 설치할 때 상기 분기관 부재가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관을 천공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천공부 주변의 취약부분이 분기관 부재에 의해서 보강되어 주관과 분기관 부재의 연결부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부재(10)는 주관(2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이루어진 관부(1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관부(11)의 하단에는 곡률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률부(12)의 하단에는 주관(20)의 외측 둘레면에 감싸여지도록 환태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태부(14)의 내경은 주관(2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률부(12)의 단부 내경은 주관(2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이 유지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곡률부(12)의 하단부에는 주관(2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주관(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호형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형부(13)의 표면에는 주관(20)의 외측 표면에 긴밀히 접촉되는 부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곡률부(1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부(11)로 향할수록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관부(11)의 상단에는 별도의 제품(노즐, 스프링 쿨러 등)을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부(11)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숫나사부(40)를 형성하거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부(11)의 상부 내측 둘레면에 암나사부(41)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부(11)의 상단에 축관부(50)를 형성하고, 상기 관부(11)와 축관부(50)는 테이퍼부(51)에 의해서 연결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축관부(50)의 상단에는 별도의 제품(노즐, 스프링 쿨러 등)을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관부(50)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숫나사부(40)를 형성하거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관부(50)의 상부 내측 둘레면에 암나사부(4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부(11)의 상단에 확관부(60)를 형성하고, 상기 관부(11)와 확관부(60)는 테이퍼부(61)에 의해서 연결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확관부(60)의 상단에는 별도의 제품(노즐, 스프링 쿨러 등)을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관부(60)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숫나사부(40)를 형성하거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관부(60)의 상부 내측 둘레면에 암나사부(4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관(20)에 분기관 부재(10)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주관(20)의 선택된 위치에 통공(21)을 천공하는 것이다.
이때 천공되는 통공(21)의 직경은 주관(20)의 내경과 동일하게 천공하는 것이며, 그 이유는 주관(20)을 이동하는 유체가 분기될 때 분기관 부재(10)와 주관(20)의 연결부 내측에 와류로 인한 이동 불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주관(20)에 통공(21)을 형성한 후 주관(20)의 외측 둘레면에 곡률부(12)를 위치시키는 것이며, 호형부(13)의 표면을 이루는 부착부(14)가 주관(20)의 외경 표면에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착부(14)와 주관(20)의 외측 둘레면은 긴밀히 접촉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관(20)과 곡률부(12)가 일체화 되도록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관(20) 및 주관(20)에 형성된 통공(21) 그리고 곡률부(12)의 직경이 동일하므로 주관(20)을 통하여 곡률부(12)로 유체가 이동될 때 와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곡률부(12)와 주관(20)의 연결부에는 접촉면에 의하여 긴밀히 접촉되므로 주관(20)에 통공(21)을 형성할 때 상기 주관(20)의 양 측면에 발생되는 두께가 얇아진 부분(이하 '취약부'라 한다)(D)이 곡률부(12)에 의해서 감싸여지게 되므로 취약부(D)의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관(20)의 외경 표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부착부(14)에 의해서 긴밀한 접촉력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기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기관 부재(10)를 주관(20)에 용접 고정할 때 주관(2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도 곡률부(12)와 주관(20)의 접촉면은 긴밀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주관(20)에 복수개의 분기관 부재(10)를 설치할 때 분기관 부재(10) 즉, 관부(11)를 좌/우로 회전 이동 시키면서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로 용접 고정하는 것으로서, 분기관 부재(10)들간의 정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10 : 분기관 부재 11 : 관부
12 : 곡률부 13 : 호형부
14 : 환태부 20 : 주관
21 : 통공

Claims (7)

  1. 유체가 이동하는 주관(2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이 유지되게 천공된 통공(21)이 감싸여지도록 주관(20)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되는 분기관 부재(10)에 있어서,
    상기 주관(2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관부(11)와, 상기 주관(2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이 유지되도록 관부(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곡률부(12)와, 상기 곡률부(12)의 단부에 주관(20)의 표면이 감싸여지도록 주관(2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된 환태부(14) 및 상기 상기 주관(20)이 끼워지도록 곡률부(12)와 환태부(14)에 형성된 주관(20) 호형부(13)로 이루어져 주관(20)과 결합 용접될 때에 주관(20)의 통공(21) 둘레부에 형성되는 취약부(D)의 표면에 곡률부(12)와 환태부(14)가 덧대어 붙이듯이 보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률부(12)는 관부(11)로 향할수록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부(11)의 상단에는 암나사부(41) 또는 숫나사부(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부(11)의 상단에는 테이퍼부(51)로 연결되는 축관부(5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50)에는 암나사부(41) 또는 숫나사부(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부(11)의 상단에는 테이퍼부(61)로 연결되는 확관부(6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60)에는 암나사부(41) 또는 숫나사부(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KR1020110087601A 2011-08-31 2011-08-31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KR20110112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601A KR20110112261A (ko) 2011-08-31 2011-08-31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601A KR20110112261A (ko) 2011-08-31 2011-08-31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261A true KR20110112261A (ko) 2011-10-12

Family

ID=4502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601A KR20110112261A (ko) 2011-08-31 2011-08-31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2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55B1 (ko) * 2012-09-04 2014-06-11 이동수 훅 업 형태의 댐퍼 어셈블리 구조
WO2015064777A1 (ko) * 2013-10-29 2015-05-07 (주)거화이엔지 일정한 두께로 제조되는 소화분기배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6907B1 (ko) * 2021-08-11 2022-07-05 주식회사 에코시스템 소방용 배관 시스템
WO2023106819A1 (ko) * 2021-12-09 2023-06-15 임민섭 분기 파이프 결합장치와, 분기 파이프 결합장치의 설치를 위한 결합구 및 그 체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55B1 (ko) * 2012-09-04 2014-06-11 이동수 훅 업 형태의 댐퍼 어셈블리 구조
WO2015064777A1 (ko) * 2013-10-29 2015-05-07 (주)거화이엔지 일정한 두께로 제조되는 소화분기배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6907B1 (ko) * 2021-08-11 2022-07-05 주식회사 에코시스템 소방용 배관 시스템
WO2023106819A1 (ko) * 2021-12-09 2023-06-15 임민섭 분기 파이프 결합장치와, 분기 파이프 결합장치의 설치를 위한 결합구 및 그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261A (ko) 소화배관용 동구경 분기관 부재
CA2725126A1 (en) Drill stem connection
CN106051343A (zh) 用于连接管道的组件
KR102145712B1 (ko)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JP2008180366A (ja) 管継手およびホース
JP2009185952A (ja) 制水体設置装置
CN206539792U (zh) 一种衬套及接管的安装结构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CN212178159U (zh) 一种消防专用金属波纹连接管
KR200429403Y1 (ko) 주유기 멀티 스위벨
JP7024956B2 (ja) 分岐継手、分岐施工方法、及び分岐継手の製造方法
CN203757223U (zh) 锁紧式管接头
KR200389186Y1 (ko) 배관이음구
KR200285533Y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JP2007032776A (ja) フレキシブルメタルホースの継手部の消音構造及びそのフレキシブルメタルホース
EP3121500B1 (en) Coupling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with improved sealing
KR102416907B1 (ko)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101896098B1 (ko) 플랜지
EP3974035A1 (en) Sprinkler system
KR102436126B1 (ko)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배관 연결 구조
KR200357103Y1 (ko) 배관의 분기관 연결피팅
KR200387511Y1 (ko) 동구경 정자관 분기용 새들
CN211501948U (zh) 一种改进的管路组件
US20220390054A1 (en)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pipe
JP2001104508A (ja) 消火設備の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