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092A -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092A
KR20110112092A KR1020100031502A KR20100031502A KR20110112092A KR 20110112092 A KR20110112092 A KR 20110112092A KR 1020100031502 A KR1020100031502 A KR 1020100031502A KR 20100031502 A KR20100031502 A KR 20100031502A KR 20110112092 A KR20110112092 A KR 20110112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dehydration
power
dehydration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화
Original Assignee
김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화 filed Critical 김기화
Priority to KR102010003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092A/ko
Publication of KR2011011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봉걸레를 세척과 함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치 중 상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격벽에 의해 탈수조와 저수조로 구분된 본체의 상단 탈수조 측에 덮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탈수조의 하단에 모터 체결에 따른 자동식 탈수조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탈수조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덮개부재의 닫힘 감지를 통해 탈수조와 연결된 모터 구동에 따라 탈수조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봉걸레의 탈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패달수동식 봉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모터 구동의 자동방식에 따른 사용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장치 사용이 쉽고 봉걸레에 대한 세척 및 탈수를 하나의 장치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도 덮개부재가 센서에 의해 닫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 모터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탈수조의 회전이 항시 정지되어 있음은 물론, 탈수조 내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A device for washing and dehydration of using mop}
본 발명은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달수동식 탈수조를 갖는 종래 봉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에 대해 모터 구동에 의한 자동식 탈수조로서 구조 변경과 함께, 센서에 의한 덮개부재의 닫힘 감지를 통해 탈수조의 모터가 구동되면서 봉걸레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패달수동식 봉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모터 구동의 자동방식에 따른 사용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장치 사용이 쉽고 봉걸레에 대한 세척 및 탈수를 하나의 장치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도 덮개부재가 센서에 의해 닫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 모터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탈수조의 회전이 항시 정지되어 있음은 물론, 탈수조 내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을 극대화 한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걸레(일명, 마포걸레)는 긴 자루의 하단에 실과 같은 끈이 여러 갈래로 이루어진 수분흡수용 걸레 혹은 천으로 된 걸레가 일체형 또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주로 바닥을 닦는 것으로서 한번 사용한 후에는 물에 세척을 한 후에 손으로 비틀어 짜거나 발로 밟아 수분을 제거한 후 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봉걸레를 세척할 수 있는 전용 세척기는 그리 많지 않으며,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는 흐르는 수돗물에 걸레를 세척하거나 세숫대 혹은 물통 등의 용기에 담아 흔들어서 세척하는 정도인데, 이는 물의 소비가 많고, 봉걸레 세척 후 용기가 쉽게 더러워져 상기 봉걸레 세척 후 용기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물에 세척한 봉걸레를 탈수하기 위하여 보통 걸레를 바닥에 대고 발로 밟거나, 또는 손잡이봉을 바닥에 거꾸로 세우거나 한 손으로 들은 상태에서 걸레를 손으로 비틀어 짜면서 탈수를 하게 되는데, 이 역시 손이 다량의 세균에 오염되는 등 매우 비위생적이며,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함과 동시에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2009년 06월 23일자로 공개된 "탈수장치(특허공개번호 제2009-0066215호)"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하나의 장치에서 봉걸레를 세척과 함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치임과 동시에 태핏(tappet) 유닛, 전동 유닛 및 회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태핏 유닛이 전동 유닛과 회전 유닛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도록 조작하여 함수 부재를 탈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탈수장치를 이용해 봉걸레를 탈수시키기 위하여 페달을 밟을 경우 기어열이 제 1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상기 기어열의 하단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길이신장과 함께, 상기 기어열에 치합된 제 1 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일선상에 축결합된 제 2 기어 역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기어와 치합된 일방향기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일방향기어와 축결합된 전동축을 통해 탈수바스켓을 상기 일방향기어 및 전동축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밟은 페달을 놓게 되면, 기어열이 제 1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길이신장을 이뤘던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기어열을 비롯해 상기 기어열과 치합된 제 1 기어 및 이와 축결된 제 2 기어가 반대방향으로 이송 및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기어와 치합된 일방향기어 및 이와 축결합된 전동축 역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전동축과 축결합된 탈수바스켓 또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 상기 페달을 밟거나 놓는 상태의 작동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탈수장치를 이용해 봉걸레를 탈수시키기 위해 페달을 밟거나 놓는 상태를 연속적으로 장시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탈수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상호 치합 연결된 기어열, 제 1 기어, 제 2 기어 및 일방향기어 모두 기어 이빨부분이 마모되게 되어 결국에는 탈수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탈수장치의 경우 봉걸레를 탈수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탈수장치의 페달을 계속적으로 밟아야 하는 수동적 구조의 장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 상기와 같이 페달을 이용한 수동 탈수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탈수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자가 많은 힘을 사용함에 따라 이로 인한 사용자가 큰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음과 아울러, 사용자가 페달을 밟는 힘이 클 경우 장치 전체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사용자 측으로 뒤집어지게 되면서 상기 탈수장치 내에 담겨 있는 오수가 사용자를 비롯해 바닥으로 쏟아져 바닥 주위가 더러워지게 되는 단점과 함께 사용자가 이를 다시 청소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탈수장치의 경우 개방된 탈수바스켓의 상단을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수단 역시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페달을 이용해 탈수바스켓을 회전시켜 봉걸레의 탈수작용을 수행하고 있는 과정 중에 유아나 어린이가 장난으로 손을 회전중인 탈수바스켓 속으로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회전중인 탈수바스켓 속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유입될 경우 상기 탈수바스켓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봉걸레와 함께 유입된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비틀리면서 뼈가 뒤틀리거나 꺽이게 되는 등의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 역시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탈수장치의 경우 장치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나, 봉걸레의 세척과 탈수가 종료된 상태에서 장치 내에 담겨 있는 오수를 버리기 위하여 실내에서 배수처리가 가능한 장소인 베란다나 욕실 등으로 이송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수단 역시도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퀴를 이용해 탈수장치를 이송시킨다 하더라도 허리를 최대한 굽힌상태에서 밀거나 끌어 당겨 이송시켜 하는 등 사용자의 자세가 매우 불안정해짐과 아울러, 상기 탈수장치를 이송하는 과정 중에는 계속적으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 탈수장치의 경우 장치 본체 하단에 장치 내에 담겨 있는 오수를 버리기 위한 드레인배출수단 역시도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봉걸레의 세척과 탈수가 종료된 상태에서 장치 내에 담겨 있는 오수를 버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탈수장치를 들어 장치 내에 담겨 있는 오수를 버려야 하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함과 아울러, 특히 사용자가 노인이나 어린이 등 노약자일 경우 탈수장치를 들어 오수를 버리기에는 더더욱 힘들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패달수동식 탈수조를 갖는 종래 봉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에 대해 모터 구동에 의한 자동식 탈수조로서 구조 변경과 함께, 센서에 의한 덮개부재의 닫힘 감지를 통해 탈수조의 모터가 구동되면서 봉걸레의 탈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 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모터 구동의 자동방식에 따른 사용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장치 사용이 쉽고 봉걸레에 대한 세척 및 탈수를 하나의 장치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도 덮개부재가 센서에 의해 닫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 모터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탈수조의 회전이 항시 정지되어 있음은 물론, 탈수조 내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장치 본체의 일측에 원터치 형태의 손잡이결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본체손잡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본체손잡이에 대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본체손잡이를 통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본체손잡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결착부에는 전원연결부로서 일측에 전원코드헤드가 구비된 전원코드선을 결착시키기 위한 전원소켓부를 비롯해 권취버튼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원코드선을 권취시키는 코드선권취롤을 설치 구성함에 따라 전원코드선이 장치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어린이의 안전사고 즉, 유동중인 어린이가 노출된 전원코드선에 걸려 넘어지거나 또는 상기 전원코드선의 코드헤드를 벽면의 주전원콘센트에 결속시킬 때 안전 부주위에 따른 감전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경우 저수조측 본체의 하단 일측에 레버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배출콕을 형성함과 함께, 여기에 플렉시블한 주름관 형태의 연결호스를 연결 설치함에 따라 저수조 내에 담겨 있는 물을 버릴 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들어 저수조 내에 담겨 있는 물을 버려야 하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상기 드레인배출콕을 통해 노약자 어느 누구라도 저수조 내에 담겨 있는 물을 외부로 보다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봉걸레를 세척과 함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치 중 상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격벽에 의해 탈수조와 저수조로 구분된 본체의 상단 탈수조 측에 덮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탈수조의 하단에 모터 체결에 따른 자동식 탈수조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탈수조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덮개부재의 닫힘 감지를 통해 탈수조와 연결된 모터 구동에 따라 탈수조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봉걸레의 탈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달수동식 탈수조를 갖는 종래 봉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모터 구동의 자동방식에 따른 사용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장치 사용이 쉽고 봉걸레에 대한 세척 및 탈수를 하나의 장치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도 덮개부재가 센서에 의해 닫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 모터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탈수조의 회전이 항시 정지되어 있음은 물론, 탈수조 내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장치 본체의 일측에 원터치 형태의 손잡이결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본체손잡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본체손잡이에 대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본체손잡이를 통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본체손잡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결착부에는 전원연결부로서 양측에 전원코드헤드가 구비된 전원코드선을 결착시키기 위한 전원소켓부를 비롯해 권취버튼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원코드선을 권취시키는 코드선권취롤을 설치 구성함에 따라 전원코드선이 장치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어린이의 안전사고 즉, 유동중인 어린이가 노출된 전원코드선에 걸려 넘어지거나 또는 상기 전원코드선의 코드헤드를 벽면의 주전원콘센트에 결속시킬 때 안전 부주위에 따른 감전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경우 저수조측 본체의 하단 일측에 레버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배출콕을 형성함과 함께, 여기에 플렉시블한 주름관 형태의 연결호스를 연결 설치함에 따라 저수조 내에 담겨 있는 물을 버릴 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들어 저수조 내에 담겨 있는 물을 버려야 하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상기 드레인배출콕을 통해 노약자 어느 누구라도 저수조 내에 담겨 있는 물을 외부로 보다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전원코드부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전원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대한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봉걸레를 세척과 함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하단이 개방된 격벽(11)에 의해 탈수조(12)와 저수조(13)로 구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탈수조(12)측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탈수조(12)를 개폐시키는 덮개부재(14)와; 상기 탈수조(12)의 하단에 축 결합된 상태로 본체(10) 하단 일측에 고정되며, 전원에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탈수조(12)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봉걸레의 탈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모터(20)와; 상기 탈수조(12)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며, 덮개부재(14)의 닫힘 감지를 통해 탈수조(12)와 연결된 모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18)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원터치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결착부(21), 및 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치(24)가 구비된 본체손잡이(23)와; 상기 손잡이결착부(21)의 일측에 형성되며, 본체(10)와 분리 제공되는 별도의 전원코드선(33)을 결착시키기 위한 전원연결부(30)와; 상기 저수조(13)측 본체(10)의 하단 일측에 상호 연통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레버(41) 작동에 의해 개폐되면서 저수조(13) 내에 담겨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배출콕(40)과;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설치되며, 본체손잡이(23)를 잡은 상태로 사용자가 본체(10)를 간편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 중 상기 본체(10)의 경우 전체형상이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 양측 중앙에 하부가 개방된 격벽(11)을 통해 탈수조(12)와 저수조(13)로 구분된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탈수조(12)의 하단에는 모터(20)가 체결되어 상기 모터(20) 구동에 따른 탈수조(12)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물기를 머금은 상태의 봉걸레(60)가 탈수되게 되는 자동방식의 탈수조(12)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종래 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모터(20) 구동의 자동방식에 따른 사용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장치 사용이 쉽고 봉걸레(60)에 대한 세척 및 탈수를 하나의 장치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탈수조(12)측 상단 일측에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모터(20)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탈수조(12) 내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덮개부재(14)가 다단으로 접히면서 열릴 수 있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재(14)의 닫힘 시 이의 일단이 접촉되는 탈수조(12)의 상단 일측 즉, 상기 탈수조(12)측 본체(10) 내부 일단에는 감지센서(18)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감지센서(18)에 의한 덮개부재(14)의 닫힘 감지를 통해 탈수조(12)와 연결된 모터(20) 구동에 따라 탈수조(1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봉걸레(60)의 탈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덮개부재(14)의 경우 일단으로부터 중앙의 일부분까지 절개되어 봉걸레손잡이(61)가 견착된 상태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손잡이견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견착홈(16)의 양측에는 탈수조(12)를 밀폐하고 있는 덮개부재(14)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간편하게 열 수 있도록 일측이 막힌 원호형태의 덮개손잡이(1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저수조(13)측 하단 일측에는 저수조(13)와 연통되면서 상기 저수조(13) 내에 담겨 있는 물 즉, 봉걸레(60)의 세척이 이루어진 오수를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도꼭지와 같이 레버(41)를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과정을 통해 관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드레인배출콕(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저수조(13) 내의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본체(10)를 직접 이송시킬 때 상기 본체(10)가 장애물에 걸려 실내에서 베란다나 욕실 등으로 더 이상 이송되지 않을 시 드레인배출콕(40)의 배출구에 플렉시블 형태의 연결호스(42)를 연결하여 이를 통해 저수조(13) 내의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본체손잡이(23)를 통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원터치 형태의 손잡이결착부(2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결착부(21)에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치(24)가 구비된 본체손잡이(2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손잡이(23)의 경우 길이조절레버(25)의 작동을 통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손잡이(2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결착부(21)에는 양측에 전원코드헤드(34a,34b)가 구비된 전원코드선(33)을 결착시키기 위한 전원연결부(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전원연결부(30)의 경우 본체(10)와 분리 제공되는 별도의 전원코드선(33)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전원소켓부(31)와; 별도 장치(진공청소기, 스팀청소기 등)의 전원코드선(미도시)을 결속시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전원소켓부(32)로 이루어져 일실시예의 전원연결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별도의 전원코드선(33) 중 일측 및 타측에는 주전원소켓부(31)와 대응되어 끼움 결착될 수 있도록 철(凸)형태의 단부에 암단자(35a)가 구비된 상태의 전원코드헤드(34a), 및 실내 벽면에 형성된 주전원콘센트(미도시)에 대응 결착되는 숫단자(35b)가 구비된 전원코드헤드(34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전원소켓부(31)는 철(凸)형태의 전원코드헤드(34a)와 대응되어 끼움 결착되도록 요(凹)홈의 소켓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상기 암단자(35a)와 동일형태의 숫단자(3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2a, 17, 22, 22a, 23a 는 각각 탈수조(12) 내에 투입된 봉걸레(60)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하중센서(12a)와, 덮개부재(14)의 닫힘 시 탈수조(12)측 본체(10) 내부 일단에 설치된 감지센서(18)와 대응 접촉을 위해 상기 덮개부재(14)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센서접촉돌기(17)와, 손잡이결착부(21)에 원터치 형태로 본체손잡이(23)를 끼움 결착시키기 위한 손잡이결합홀더(22)와, 손잡이결합홀더(22)를 통해 손잡이결착부(21)에 본체손잡이(23)을 끼움 결착 시 상호 통전에 의해 본체손잡이(23)의 스위치를 온(on)/오프(off)시켜 모터(2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접점단자(22a,23a)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전원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 중 다른 실시예의 전원연결부(30a)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전원연결부(30)와 마찬가지로, 일측에 전원코드헤드(34b)가 구비된 전원코드선(33a)을 결착시키기 위하여 손잡이결착부(21)에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전원연결부(30a)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버튼(37)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원코드선(33a)을 권취시키는 코드선권취롤(36)과; 별도의 장치(진공청소기나 스팀청소기 등)의 전원코드선(미도시)을 결속시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전원소켓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전원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 중 또 다른 실시예의 전원연결부(30b)는, 별도 장치(진공청소기, 스팀청소기 등)의 전원코드(미도시)를 결속시킴과 동시에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38)를 결착시키기 위하여 손잡이결착부(21)에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전원연결부(30b)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분리 제공되면서 실내 벽면의 주전원콘센트(미도시)로부터 충전되는 충전식 배터리(38)와; 상기 손잡이결착부(21)의 하부측에 형성됨과 동시에 충전식 배터리(38)와 결착을 통해 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연결단자(미도시)와; 별도 장치(진공청소기나 스팀청소기 등)의 전원코드선(미도시)을 결속시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전원소켓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38a는 손잡이결착부(21)의 하부측에 충전식 배터리(38)를 결착 고정시키기 위한 결착레버(38a)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a)는, 전술한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와 대비 전반적으로 동일구조를 이루되, 본 발명과 같이 하단이 개방된 격벽(11)에 의해 본체(10) 내에 탈수조(12)와 저수조(13)가 각각 1개씩 형성되었던 것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격벽(11)에 의해 2개의 저수조(13) 및 1개의 탈수조(12) 즉, 본체(10) 중앙에 1개의 탈수조(12)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조(12)의 양측에 2개의 저수조(13)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탈수조(12)의 경우 전술한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 중 탈수조(12)와 마찬가지로, 모터(20)와 체결되어 상기 모터(20) 구동에 따른 탈수조(12)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물기를 머금은 상태의 봉걸레(60)가 탈수되게 되는 자동방식의 탈수조(12)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탈수조(12)가 위치된 본체(10)의 중앙 상단에 역시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 중 탈수조(12)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부재(14)와 마찬가지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모터(20)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탈수조(12) 내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덮개부재(14)가 다단으로 접히면서 열릴 수 있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a)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감지센서(18), 손잡이결착부(21), 본체손잡이(23), 전원연결부(30), 캐스터(50), 드레인배출콕(40) 및 연결호스(42)의 경우 전술한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 중 감지센서(18), 손잡이결착부(21), 본체손잡이(23), 전원연결부(30), 캐스터(50), 드레인배출콕(40) 및 연결호스(42)와 각기 동일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특히 상기 전원연결부(30)를 손잡이결착부(21)에 적용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전원연결부(30)나,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각 실시예의 전원연결부(30a,30b)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대한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청소로 인하여 오염된 봉걸레(60)를 세척하기 위해 본 발명의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1) 중 본체(10) 내의 세척조에 세척수를 탈수조(12)의 하단 보다 약간 낮게 채운 다음, 상기 오염된 봉걸레(60)를 세척조에 담궈 흔들어서 상기 봉걸레(60)에 묻은 오염원이 제거되도록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봉걸레(60)의 수분을 탈수하기 위하여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수조(12) 상단에 닫혀있던 덮개부재(14)를 사용자가 열어 밀폐된 탈수조(12)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덮개부재(14)의 경우 2개의 힌지에 의해 전면측 덮개(14a)와 후면측 덮개(14b)가 반(半)으로 접혀진 상태로 상기 후면측 덮개(14b)가 본체(10)의 탈수조(12)측 상단 일측 즉, 격벽(11) 상단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덮개손잡이(15)를 이용해 덮개부재(14)를 밀어 올릴 경우 상기 덮개부재(14)가 2개의 힌지에 의해 반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탈수조(12)가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방된 탈수조(12)에 세척된 봉걸레(60)를 투입한 다음, 접혀진 열려 있는 덮개부재(14)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닫아 탈수조(12)를 밀폐시키되, 상기 덮개부재(14)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의 일부분까지 절개 형성된 손잡이견착홈(16)에 봉걸레손잡이(61)가 견착된 상태로 닫혀지면서 탈수조(12)를 밀폐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탈수조(12)가 밀폐되도록 닫혀진 덮개부재(14)의 일단이 탈수조(12)의 상단 일측 즉, 상기 탈수조(12)측 본체(10) 내부 일단에 설치된 감지센서(18)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감지센서(18)에 의한 덮개부재(14)의 닫힘 감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원터치 형태의 손잡이결착부(21)에 결착되어진 본체손잡이(23) 즉, 상기 본체손잡이(23)의 스위치(24)를 온(on) 시키게 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에 따른 모터(20)가 구동하면서 상기 모터(20)와 연결된 탈수조(1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탈수조(12)의 원심력 작용을 통해 봉걸레(60)의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덮개부재(14)가 개방된 탈수조(12)를 밀폐시키기 위해 닫히더라도 감지센서(18)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본체손잡이(23)의 스위치(24)를 온(on) 시킨다 하더라도 통전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모터(20)가 구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모터(20)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탈수조(12)를 통해 봉걸레(60)로부터 탈수된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 탈수조(12)의 원둘레 방향으로 비산함과 동시에 격벽(11)을 따라 낙하하여 다시 저수조(13)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적 과정을 통해 봉걸레(60)를 이용한 청소가 완료되게 되면, 저수조(13) 내에 담겨 있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10)가 베란다나 욕실 등 배수처리가 가능한 장소에 있을 경우 레버(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레인배출콕(40)을 개방한 상태에서 오수를 배출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본체(10)가 장애물에 걸려 실내에서 베란다나 욕실 등으로 더 이상 이송되지 않을 시 드레인배출콕(40)의 배출구에 플렉시블 형태의 연결호스(42)를 연결하여 이를 통해 저수조(13) 내의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1a.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10. 본체 11. 격벽
12. 탈수조 13. 저수조
14. 덮개부재 14a. 전면측덮개
14b. 후면측 덮개 15. 덮개손잡이
16. 손잡이견착홈 18. 감지센서
20. 구동모터 21. 손잡이결착부
23. 본체손잡이 25. 길이조절레버
30, 30a, 30b. 전원연결부 31. 주전원소켓부
32. 보조전원소켓부 33, 33a. 전원코드선
34a, 34b. 전원코드헤드 31a. 35b. 숫단자
35a. 암단자 36. 코드선권취롤
37. 권취버튼 38. 충전식 배터리
40. 드레인배출콕 42. 연결호스
50. 캐스터 60. 봉걸레
61. 봉걸레손잡이

Claims (9)

  1. 하나의 장치에서 봉걸레를 세척과 함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치에서 있어서,
    상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격벽에 의해 탈수조와 저수조로 구분된 본체의 상단 탈수조 측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탈수조의 하단에 모터 체결에 따른 자동식 탈수조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탈수조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덮개부재의 닫힘 감지를 통해 탈수조와 연결된 모터 구동에 따라 탈수조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봉걸레의 탈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원터치 형태의 손잡이결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본체손잡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결착부에는 양측에 전원코드헤드가 구비된 전원코드선을 결착시키기 위한 전원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원연결부는 본체와 분리 제공되는 별도의 전원코드선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전원소켓부와; 별도 장치의 전원코드선을 결속시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전원소켓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결착부에는 일측에 전원코드헤드가 구비된 전원코드선을 결착시키기 위한 전원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원연결부는 권취버튼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원코드선을 권취시키는 코드선권취롤과; 별도 장치의 전원코드선을 결속시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전원소켓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결착부에는 별도 장치의 전원코드선을 결속시킴과 동시에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를 결착시키기 위한 전원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원연결부는 본체와 분리 제공되면서 실내 벽면의 주전원콘센트로부터 충전되는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손잡이결착부의 하부측에 형성됨과 동시에 충전식 배터리와 결착되어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연결단자와; 별도의 장치의 전원코드선을 결속시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전원소켓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전원코드선 중 일측엔 주전원소켓부와 대응 결착되도록 철(凸)형태의 단부에 암단자가 형성된 전원코드헤드, 타측엔 주전원콘센트에 대응 결착되도록 숫단자가 돌출 형성된 전원코드헤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주전원소켓부는 요(凹)홈 내에 철(凸)형태의 전원코드헤드와 대응 결착되도록 상기 암단자와 동일형태의 숫단자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측 본체의 하단 일측에는 저수조와 연통되면서 상기 저수조 내에 담겨 있는 물을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레버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배출콕이 구비됨과 동시에 플렉시블 형태의 연결호스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일단으로부터 중앙의 일부분까지 절개되어 봉걸레손잡이가 견착된 상태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손잡이견착홈이 형성되고, 이의 양측에 덮개손잡이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조 및 저수조는 격벽에 의해 본체 내에 탈수조와 저수조가 각각 1개씩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 중앙에 탈수조 1개 및 상기 탈수조의 양측에 저수조 2개가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KR1020100031502A 2010-04-06 2010-04-06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KR20110112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502A KR20110112092A (ko) 2010-04-06 2010-04-06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502A KR20110112092A (ko) 2010-04-06 2010-04-06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92A true KR20110112092A (ko) 2011-10-12

Family

ID=4502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502A KR20110112092A (ko) 2010-04-06 2010-04-06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0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90Y1 (ko) * 2013-05-28 2015-01-13 장훈 회전형 밀대걸레
CN105476582A (zh) * 2015-12-29 2016-04-13 天津市卡卡熊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排水功能的旋转式拖把桶
CN108113605A (zh) * 2017-12-15 2018-06-05 常州大学 一种拖把洗脱车
CN108209777A (zh) * 2018-04-11 2018-06-29 温岭温高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调节拖把
CN112137522A (zh) * 2020-10-22 2020-12-29 深圳市洁傲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洗地机的自清洁-风干方法和组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90Y1 (ko) * 2013-05-28 2015-01-13 장훈 회전형 밀대걸레
CN105476582A (zh) * 2015-12-29 2016-04-13 天津市卡卡熊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排水功能的旋转式拖把桶
CN108113605A (zh) * 2017-12-15 2018-06-05 常州大学 一种拖把洗脱车
CN108209777A (zh) * 2018-04-11 2018-06-29 温岭温高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调节拖把
CN112137522A (zh) * 2020-10-22 2020-12-29 深圳市洁傲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洗地机的自清洁-风干方法和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0093A1 (zh) 一种可自我清洗的滚筒拖地机
KR20110112092A (ko)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KR100962121B1 (ko) 물걸레 로봇청소기 및 이의 자동세탁 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CN103211561B (zh) 一种环保节能桶
US9752264B2 (en) Manually-operated clothes washing apparatus
CN210788264U (zh) 充电桩及清洁系统
CN201452021U (zh) 改进型多功能电动洗锅刷
JPWO2018109814A1 (ja) 手動洗濯機
KR20100084312A (ko) 세탁기
JP3153619U (ja) 泡立て具
KR100961890B1 (ko) 물걸레 청소기
CN212037426U (zh) 全自动拖把洗涤机
CN202568162U (zh) 一种脚踩挤干式拖把清洗桶
CN201691875U (zh) 一种全自动拖把脱水拖地桶
CN201356219Y (zh) 多功能电动洗锅刷
JPS6022947Y2 (ja) ふきん専用小型洗濯機
CN206044574U (zh) 一种全自动拖把清洗机
KR200464298Y1 (ko) 세척기능을 갖는 탈수장치
CN201153919Y (zh) 拖布紧水装置
KR101086383B1 (ko) 전동 세척 및 탈수 장치
CN200984163Y (zh) 一种使用方便的地拖桶
JP2018134456A (ja) 仮設トイレ
CN203914817U (zh) 淋浴喷头清洗拖把摇臂压轮挤水器
KR20120004199U (ko) 수동식 세탁탈수장치
JP3210261U (ja) 仮設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