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044A - 복합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044A
KR20110112044A KR1020100031436A KR20100031436A KR20110112044A KR 20110112044 A KR20110112044 A KR 20110112044A KR 1020100031436 A KR1020100031436 A KR 1020100031436A KR 20100031436 A KR20100031436 A KR 20100031436A KR 20110112044 A KR20110112044 A KR 2011011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unit
control unit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578B1 (ko
Inventor
김병섭
강창구
Original Assignee
김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섭 filed Critical 김병섭
Priority to KR102010003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5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1Photovolta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용 자체 발전 및 저장, 심야전력의 저장, 그리고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종합적으로 구현하도록 해주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변환한 제1 직류전력과 대체에너지용으로 자체 발전한 제2 직류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교류전력을 상기 제1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제2 직류전력의 인입과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의 인출을 위해 스위칭하는 분전 및 합성부와, 상기 분전 및 합성부의 스위칭에 따라 인출된 충전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과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 중 어느 하나를 인출하는 합류제어부와, 상기 합류제어부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전기자동차에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부와, 상기 분전 및 합성부의 스위칭에 따라 인입된 상기 제2 직류전력과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충전부에 충전시키고,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상기 분전 및 합성부와 상기 합류제어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부로 구성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복합 전력 제어 장치{complex appatarus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용 자체 발전 및 저장, 심야전력의 저장, 그리고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종합적으로 구현하도록 해주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이나 대체에너지 개발을 위한 기술들이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구 기후 환경의 변화에 따라 CO2 삭감을 위한 전기자동차의 이용, 태양광이나 풍력을 이용하는 발전설비의 개발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물론 예전부터 심야전력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보급하는 기술도 있었다.
개발이 완성되어 가면서 또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전기자동차는 탑재된 충전기에 충전함으로써 이용가능하다. 전기자동차는 직류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를 위한 충전기는 교류-직류 컨버터(AC-DC converter)를 구비하여 전력 계통에서 얻어지는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태양광 발전은 대체에너지로써 크게 주목받으면서 오랜 기간 연구되어 왔다. 그 태양광 발전에는 발전전력의 평활화(平滑化)를 위한 축전지와 발전전력의 합성장비를 내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심야전력은 발전된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것으로, 심야전력의 효율적인 저장이 요구된다. 그 심야전력이 저장을 위해 개발된 바나듐 레독스-플로전지 및 NaS 전지가 이미 이용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대용량의 전력저장을 위해 전기2중층 캐퍼시터를 이용하는 기술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보다 빠른 보급을 위해서는 급속 충전이 실현되어야 하며, 그러한 급속 충전기가 구비된 여러 충전소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는 급속 충전기를 구비한 충전소를 빠르게 보급하는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이는 급속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에만 사용이 한정되어 있어서 전기자동차가 일정 대수 이상으로 널리 보급되기 전까지는 이용 빈도가 낮아 수익성이 보장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급속 충전기의 개발 비용에 있어서,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해야 하는 전력 용량이 커지면 커질수록 그 급속 충전기 개발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장래 수익을 위해 사전에 설비 투자를 하였다면, 후에 전기자동차가 널리 보급되어 수익성이 확보될 수 있는 시기에는 이미 마련된 설비가 노화되어 교체해야될 필요성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추가 설비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 전기자동차의 낮은 보급율을 고려할 때,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설비 비용을 보완하면서도 전기자동차가 널리 보급될 때까지 수익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전력 제어 장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설비 비용을 안정적인 운용 및 유지를 위해 태양광 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용 자체 발전에 따른 전력을 저장하고, 심야전력과 같은 전력계통의 전력도 저장하고, 더불어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면서도 충전전력을 전력계통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구현한 복합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특징은,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변환한 제1 직류전력과 대체에너지용으로 자체 발전한 제2 직류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교류전력을 상기 제1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제2 직류전력의 인입과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의 인출을 위해 스위칭하는 분전 및 합성부와, 상기 분전 및 합성부의 스위칭에 따라 인출된 충전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과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 중 어느 하나를 인출하는 합류제어부와, 상기 합류제어부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전기자동차에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부와, 상기 분전 및 합성부의 스위칭에 따라 인입된 상기 제2 직류전력과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충전부에 충전시키고,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상기 분전 및 합성부와 상기 합류제어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전력 제어 장치를 이용하면, 태양광 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용 자체 발전에 따른 전력을 저장할 수 있고, 심야전력과 같은 전력계통의 전력도 저장할 수 있고, 더불어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면서도 충전전력을 전력계통으로 판매할 수 있으므로, 현재 전기자동차의 낮은 보급율에 따른 낮은 수익성을 보완하면서도 전기자동차가 널리 보급될 때까지 수익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어 초기 설비 비용 대비 높은 경제성을 보장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과 심야전력의 저장, 그리고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과 심야전력의 저장을 위한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과 심야전력의 저장, 그리고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과 심야전력의 저장을 위한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복합 전력 제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기와 같은 주변의 자체 발전 장치와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며, 충전된 전력을 전력계통으로 공급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전기자동차에 충전시킨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충방전 제어부(10)와, 분전 및 합성부(20)와, 컨버터(converter)(30)와, 충전부(40)와, 인버터(inverter)(50)와, 합류제어부(60)와, 전기자동차 충전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방전 제어부(10)는 장치의 핵심적 구성으로써, 공급된 전력의 충전을 제어하며 전력 공급이나 전기자동차에 충전을 위한 방전을 제어한다. 즉, 충방전 제어부(10)는 분전 및 합성부(20)의 스위칭에 따라 인입된 제2 직류전력(자체 발전된 전력)과 컨버터(30)에서 변환된 제1 직류전력(전력계통1의 공급 전력에서 변환된 직류전력) 중 어느 하나를 충전부(40)에 충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충전부(40)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분전 및 합성부(20)와 합류제어부(60)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한다. 특히 충방전 제어부(10)는 충전부(40)에 충전된 충전전력의 잔여량에 따라 컨버터(30)에서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합류제어부(6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충방전 제어부(10)의 충전제어에 따라, 충전부(40)는 입력되는 직류전력을 충전한다. 이를 위해 충전부(40)는 충전을 위한 배터리(battery)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40)에 충전되는 직류전력은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변환한 제1 직류전력과 대체에너지용으로 자체 발전한 제2 직류전력을 포함한다. 즉, 도 2에서 제2 입력선로(82)를 통해 전력계통1에서 공급된 교류전력이 컨버터(30)에서 제1 직류전력으로 변환된 후에 충전부(40)에 저장된다. 여기서, 제2 입력선로(8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력계통1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컨버터(30)로 공급하는 선로이다. 또한 도 2에서 태양광 발전기에서 대체에너지용을 자체 발전한 제2 직류전력을 충전부(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직류전력과 제2 직류전력은 균일한 전력 레벨로 충전부(40)에 저장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버터(30)는 전력계통1에서 공급된 교류전력을 제1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컨버터(30)의 동작은 충방전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른다.
상세하게, 충방전 제어부(10)는 자체 발전된 제2 직류전력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컨버터(30)을 동작시켜 전력계통1에서 공급된 교류전력을 제1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그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충전부(40)에 저장시킨다.
또한, 충방전 제어부(10)는 전기자동차로의 충전을 위해 합류제어부(60)로 공급할 충전전력량 즉, 충전부(40)에 저장된 전력량이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요구되는 전력량보다 작은 경우에 컨버터(30)을 동작시켜 전력계통1에서 공급된 교류전력을 제1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그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합류제어부(6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별도의 예로써, 충방전 제어부(10)는 전력계통1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30)의 동작제어와 더불어 제2 입력선로(82)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충방전 제어부(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직류전력을 합류제어부(60)로 출력하기 위해 제2 입력선로(82)를 오픈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한 제2 입력선로(82)에 대한 스위칭 제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적용된다. 즉, 충방전 제어부(10)는 외부의 전력계통1의 교류전력을 제1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컨버터(30)에 공급하도록 제2 입력선로(82)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보다 가격이 싼 심야전력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제1 설정시간은 외부의 전력계통1에서 설정된 심야전력시간이다.
분전 및 합성부(20)는 자체 발전된 제2 직류전력의 인입과 충전부(40)에 충전된 충전전력의 인출을 위해 스위칭하는 것으로, 충방전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을 실시한다.
상세하게, 충방전 제어부(20)는 분전 및 합성부(20)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인입을 위한 경로를 오픈(open)한다. 그에 따라 분전 및 합성부(20)는 제1 입력선로(81)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직류전력을 충방전 제어부(20)에 전달하며, 그에 따라 충방전 제어부(20)는 제2 직류전력을 충전부(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입력선로(8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기에서 자체 발전된 제2 직류전력을 분전 및 합성부(20)로 공급하는 선로이다.
또한, 충방전 제어부(20)는 분전 및 합성부(20)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인출을 위한 경로를 오픈(open)한다. 그에 따라 충방전 제어부(20)는 충전부(40)에 저장된 충전전력을 분전 및 합성부(20)로 전달하고, 분전 및 합성부(20)는 그 충전전력을 인버터(50)로 인출한다.
별도의 예로써, 충방전 제어부(10)는 자체 발전된 제2 직류전력의 인입을 위한 분전 및 합성부(20)의 스위칭 제어와 더불어 제1 입력선로(81)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충방전 제어부(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직류전력가 태양광 발전기로부터 인입되도록 제1 입력선로(81)를 오픈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충방전 제어부(10)는 전술된 제1 실정시간과 다른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태양광 발전기에서 자체 발전된 제2 직류전력이 분전 및 합성부(20)에 공급되도록 제1 입력선로(18)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전술된 제1 및 2 설정시간에 따른 스위칭 제어를 정리하면, 충방전 제어부(10)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컨버터(30)에서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충전부(40)에 충전시키고, 제2 설정시간 동안 분전 및 합성부(20)의 스위칭에 따라 인입된 제2 직류전력을 충전부(40)에 충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버터(50)는 분전 및 합성부(20)의 스위칭에 따라 인출 경로가 오픈되어 인출된 충전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 변환된 교류전력은 출력선로(80)를 통해 전력계통2로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선로(80)는 인버터(50)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외부의 전력계통2로 출력하는 선로이다. 그리고, 전력계통2로의 교류전력의 출력을 충전전력의 판매를 위한 것으로, 전력계통2는 전술된 전력계통1과 동일할 수도 있다.
합류제어부(60)는 충전부(40)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충방전 제어부(10)로부터 공급받거나 컨버터(30)에서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그 공급받은 전력을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부(70)로 인출한다.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충방전 제어부(10)는 도 3에서 충전부(40)에 저장된 충전전력을 우선적으로 합류제어부(60)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전부(40)에 저장된 충전전력이 소진된 경우에는 컨버터(30)에 대한 동작제어를 통해 컨버터(30)에서 출력되는 제1 직류전력을 합류제어부(6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합류제어부(60)는 충방전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된 충전부(40)의 충전전력과 컨버터(30)로부터 출력된 제1 직류전력을 균일한 전압레벨로 조정하는 전압 안정 회로를 구비하며,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부(70)로부터 전압차에 의한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차단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자동차 충전부(70)는 합류제어부(60)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전기자동차에 충전한다.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부(70)는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수전구에 결합체결되는 플러그를 갖는 충전케이블과, 전기자동차에 충전을 개시하고 종료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조작패널과, 조작패널을 통한 지시 입력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패널을 통해 충전 개시를 위한 지시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충전시킬 충전 요구량이 산출되는데 만약 그 충전 요구량이 충전부(40)에 저장된 충전전력보다 큰 경우라면, 충방전 제어부(10)는 컨버터(30)에서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합류제어부(60)로 공급한다. 다시말해서, 충방전 제어부(10)는 전기자동차로의 충전 요구에 따라 충전부(40)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합류제어부(60)로 우선 출력하고, 그 충전전력의 잔여량이 전기자동차의 충전 요구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컨버터(30)의 동작제어를 통해 그 컨버터(30)에서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합류제어부(60)로 이어서 공급한다. 별도의 예로써, 컨버터(30)에서 변환된 제1 직류전력을 합류제어부(60)로 공급하는 동안에, 충방전 제어부(10)는 분전 및 합성부(20)로부터 인입되는 제2 직류전력을 충전부(40)에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는 대체에너지용으로 전술된 제2 직류전력을 자체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기를 구비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기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는 태양광 발전기가 아닌 대체에너지용 발전장치로써 풍력이나 지력 등을 이용하는 발전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대체에너지용으로 자체 발전한 제2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와, 저장되어 있던 충전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를 각각 별도로 2개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인버터로써 대체에너지용으로 자체 발전한 직류전력과 또한 저장되어 있던 충전전력을 외부의 전력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로의 충전을 위해 외부의 전력계통1에서 공급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전기자동차로의 충전을 위해 인입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각각 별도로 2개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컨버터로써 충전부로의 충전 및 전기자동차로의 충전을 모두 실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충방전 제어부 20 : 분전 및 합성부
30 : 컨버터 40 : 충전부
50 : 인버터 60 : 합류제어부
70 : 전기자동차 충전부 80 : 출력선로
81 : 제1 입력선로 82 : 제2 입력선로

Claims (10)

  1.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변환한 제1 직류전력과 대체에너지용으로 자체 발전한 제2 직류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교류전력을 상기 제1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제2 직류전력의 인입과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의 인출을 위해 스위칭하는 분전 및 합성부;
    상기 분전 및 합성부의 스위칭에 따라 인출된 충전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과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 중 어느 하나를 인출하는 합류제어부;
    상기 합류제어부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전기자동차에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부; 그리고
    상기 분전 및 합성부의 스위칭에 따라 인입된 상기 제2 직류전력과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충전부에 충전시키고,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상기 분전 및 합성부와 상기 합류제어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에너지용으로 상기 제2 직류전력을 자체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자체 발전된 상기 제2 직류전력을 상기 분전 및 합성부로 공급하는 제1 입력선로와,
    상기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교류전력을 상기 컨버터로 공급하는 제2 입력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력계통의 상기 교류전력을 제1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상기 컨버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2 입력선로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자체 발전된 상기 제2 직류전력을 제2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상기 분전 및 합성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1 입력선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시간은 상기 외부 전력계통에서 설정된 심야전력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을 상기 충전부에 충전시키고, 상기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분전 및 합성부의 스위칭에 따라 인입된 상기 제2 직류전력을 상기 충전부에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상기 외부 전력계통으로 출력하는 출력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수전구에 결합체결되는 플러그를 갖는 충전케이블과,
    상기 전기자동차에 충전을 개시하고 종료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을 통한 지시 입력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제어부는,
    상기 충방전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력과 상기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직류전력을 균일한 전압레벨로 조정하는 전압 안정 회로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부로부터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차단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의 잔여량에 따라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을 상기 합류제어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상기 합류제어부로 우선 출력하고, 상기 충전전력의 잔여량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요구량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제1 직류전력을 상기 합류제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력 제어 장치.
KR1020100031436A 2010-04-06 2010-04-06 복합 전력 제어 장치 KR10109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36A KR101096578B1 (ko) 2010-04-06 2010-04-06 복합 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36A KR101096578B1 (ko) 2010-04-06 2010-04-06 복합 전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44A true KR20110112044A (ko) 2011-10-12
KR101096578B1 KR101096578B1 (ko) 2011-12-21

Family

ID=4502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436A KR101096578B1 (ko) 2010-04-06 2010-04-06 복합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5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079B1 (ko) * 2013-12-27 2015-06-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및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운영 방법
CN106828123A (zh) * 2017-02-10 2017-06-13 西南交通大学 一种分布式光伏电源的高速铁路牵引供电系统及控制方法
KR101843571B1 (ko) * 2017-12-26 2018-03-30 대영채비(주)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1843570B1 (ko) * 2017-12-26 2018-03-30 대영채비(주)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건의 거치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20190077690A (ko) * 2017-12-26 2019-07-04 김성두 충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42043B2 (en) 2020-06-11 2024-07-23 Kohler Co. Temperature tracking mirror
KR20230031091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 차량을 위한 하이브리드 충전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467A (ja) * 2002-11-29 2004-06-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系統連系形電源システム
JP2008199752A (ja) * 2007-02-09 2008-08-28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充電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079B1 (ko) * 2013-12-27 2015-06-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및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운영 방법
EP2889176A3 (en) * 2013-12-27 2015-11-11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Battery exchang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battery exchange station
US9573479B2 (en) 2013-12-27 2017-02-21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Battery exchang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battery exchange station
CN106828123A (zh) * 2017-02-10 2017-06-13 西南交通大学 一种分布式光伏电源的高速铁路牵引供电系统及控制方法
CN106828123B (zh) * 2017-02-10 2023-04-07 西南交通大学 一种分布式光伏电源的高速铁路牵引供电系统及控制方法
KR101843571B1 (ko) * 2017-12-26 2018-03-30 대영채비(주)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1843570B1 (ko) * 2017-12-26 2018-03-30 대영채비(주)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건의 거치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20190077690A (ko) * 2017-12-26 2019-07-04 김성두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578B1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578B1 (ko) 복합 전력 제어 장치
CN100380774C (zh) 功率控制装置、发电系统以及电力网系统
EP2339713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grid energy from a battery
JP3225707U (ja) モジュール化されたessおよび配電システム
JP6158562B2 (ja) 電力変換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10220411A (ja) 電動自動車駆動エネルギー供給用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05552878B (zh) 直流微电网结构
JP2020530974A (ja) 双方向ストレージ及び再生可能電力コンバータ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Menniti et al. A real-life application of an efficient energy management method for a local energy system in presence of energy storage systems
KR101545136B1 (ko)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의 발전기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Bauer et al. Stand-alone microgrids
KR10222256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50080175A (ko) 풍력 발전기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N205231729U (zh) 直流微电网结构
US9048663B2 (en) Electrical energy distribution system with ride-through capability
JP6355017B2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JP5931346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KR20190024368A (ko) 분산형전원 및 전력계통의 통합 연계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87300A (ja) 電力料金だけでなくco2排出量をも削減することができる、太陽電池及び/又はキュービクルを使用した集合住宅用電力削減システム
JP6147816B2 (ja) 電力融通システム及びそれを具備する住宅街区
KR102057121B1 (ko)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JP2005086984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設備
Siddique et al. Control strategy for a smart grid-hybrid controller for renewable energy using artificial neuro and fuzzy intelligent system
Erdiansyah et al. Grid integration and demand response management of geothermal power plant with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in Indonesia
JP2016174477A (ja) 入力制御蓄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