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008A -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forming and container-shaped formed article - Google Patents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forming and container-shaped formed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008A
KR20110110008A KR1020110028721A KR20110028721A KR20110110008A KR 20110110008 A KR20110110008 A KR 20110110008A KR 1020110028721 A KR1020110028721 A KR 1020110028721A KR 20110028721 A KR20110028721 A KR 20110028721A KR 20110110008 A KR20110110008 A KR 20110110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ing
aluminum plate
coating
pre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6495B1 (en
Inventor
노부오 핫토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4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8701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46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58701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0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6875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1011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 B05D2202/25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based on 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8/00Poly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성형성, 방열성 및 명도를 갖는 백색 외관 또는 메탈릭을 갖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알루미늄(Al)판(2)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제 1 피막(3)과, Al판(2)의 다른 쪽 측면에 형성된 제 2 피막(6)을 구비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Al판(1)으로서, 제 1 피막(3)은, Tg가 25∼10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와, 백색 안료(5) 또는 메탈릭 안료(5)를 포함하거나, 또는 첨가제 A(5)를 포함하고, 산술평균 조도 Ra가 0.1∼5μm, L*값이 85 이상, 파장이 3∼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겔분율이 50% 이상, 제 2 피막(6)은, Tg가 0∼8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와, 첨가제(8) 또는 첨가제 B(8)를 포함하고, 파장이 3∼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겔분율이 50% 이상이다.
[PROBLEMS] To provide a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molding having a white appearance or metallic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heat dissipation and brightness.
[Measures] Molding precoat Al having a first film 3 formed on one side of the aluminum (Al) plate 2 and a second film 6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l plate 2. As the board | substrate 1, the 1st film 3 is a white pigment and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which cross-reacted the polyester resin whose Tg is 25-100 degreeC with a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and a white pigment. (5) or an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containing a metallic pigment (5) or containing additive A (5) and having a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0.1 to 5 µm, an L * value of 85 or more, and a wavelength of 3 to 30 µm. The crosslinked poly-linked polyether obtained by crosslinking a polyester resin having a Tg of 0 to 80 ° C. with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at a temperature of 25 ° C. of 0.6 or more and a gel fraction of 50% or mor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 which contains the ester resin 7 and the additive 8 or the additive B (8), and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is 25 degreeC This book is more than 50% of 0.6 or higher, the gel fraction.

Description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PRECOATED ALUMINUM SHEET FOR FORMING AND CONTAINER-SHAPED FORMED ARTICLE}PRECOATED ALUMINUM SHEET FOR FORMING AND CONTAINER-SHAPED FORMED ARTICLE}

본 발명은, 주로 산업용 전자기기, 민생용 전자기기, 자동차용 전장품 등에 사용되는, 알루미늄판을 소재로 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에 관한 것이고, 특히 LED 조명 등의 조명 기기 등에 바람직한 우수한 백색성과 가시광 반사성, 성형성, 방열성을 겸비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s and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s made of aluminum plates, which are mainly used in industrial electronic devices,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utomotive electronics,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and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whiteness, visible light reflectivity, moldability and heat dissipation.

최근, 환경에 부담이 적은 조명기기로서, LED를 채용한 LED 조명기기가 연달아서 상품화되고 있다. LED의 수명이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열성을 높게 하여, 효율적으로 열을 외부로 방출할 필요가 있다. 한 마디로 LED 조명기기라고 말하더라도, 액정 텔레비젼에 채용되는 LED 백라이트나 전구형의 LED 조명 등이 있다. In recent years, as a lighting apparatus with less burden on the environment, LED lighting equipment employing LED has been commercialized one after ano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time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and to efficiently release heat to the outside. In a word, LED lighting devices include LED backlights and bulb-type LED lights used in liquid crystal televisions.

LED 백라이트에는, 방열성을 높게 하기 위한 방열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열판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을 굽힘 가공을 주체로 하여 제조되고 있다. As the LED backlight, a heat sink for improving heat dissipation is used. As shown in Fig. 5 (a), such a heat sink is manufactured mainly by bending a metal plate.

한편, LED 조명은, 백열 전구와 유사한 형상이 되도록 다이캐스팅에 의해서 제조한 용기가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는, 외주부에 복수의 핀(fin)이나 요철 등을 설치하여 표면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방열성을 높여, 히트 싱크(heat sink)로서 기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LED 조명을 백열 전구나 형광등과 나란히 보급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이캐스팅이 아닌, 판의 프레스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 싱크로서 기능하도록 설계된 상기한 용기는, 형상이 원통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을 드로잉(drawing) 가공하여 제조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드로잉 가공으로 제조한 커버는 밀폐성이 높기 때문에, 전자파 실드성이 높아, 가정 등의 실내에서 이용되는 민생용 전자기기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produced by die casting is manufactured so that LED lighting may become a shape similar to an incandescent bulb. Such a container may be designed to improve heat dissipa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ins, irregularities, and the like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thereby functioning as a heat sink. In order to spread LED lights side by side with incandescent bulbs and fluorescent lamp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roductivity.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it is preferable to use a press product of a plate rather than die casting. Since the container designed to function as a heat sink is close to a cylinder, it is preferable to draw and manufacture a metal plate as shown in Fig. 5B.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ver manufactured by drawing processing as shown in FIG. 5 (b) has high sealing property, electromagnetic shielding property is high and it can use suitably also for the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ed indoors, such as a home.

열전도성이 좋고, 드로잉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가공성을 갖는 저렴한 소재로서 알루미늄(본 명세서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한다. 이하 같음)판이 있다. 알루미늄판의 표면에는 자연 산화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내식성이 우수하지만, 추가로 윤활성, 내흠집성, 내지문성, 도전성 등의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애프터코트법이나 프리코트법에 의해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한편, 애프터코트법이란, 알루미늄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개별로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프리코트법이란, 알루미늄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기 전에, 미리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해 두는 방법이다. 한편, 생산성을 높여 비용을 저감하는 경우, 프리코트법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코트법에 의하면,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미리 특정한 수지 피막을 형성하고, 프레스 성형기로 연속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As an inexpensive material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having workability that enables drawing processing, there is an aluminum (including aluminum allo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natural oxid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it is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in order to impart desired functions such as lubricity, scratch resistance, anti-fingerprint resistance and conductivity, a resin film is formed by an aftercoat method or a precoat method. There are many cases. On the other hand, after-coat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resin film separately after press-molding an aluminum plate to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coat method is previously performed before press-molding an aluminum plate to a predetermined shape of an aluminum plate. It is a method of forming a resin film on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increasing productivity and reducing cost, it is preferable by the precoat method. This is because the precoat method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because a specific resin film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in advance and a molded article can be produced continuously by a press molding machine.

LED 조명의 용기의 경우, 생산성을 높여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서 프리코트법에 의해서 미리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한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지 피막의 기능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방열성이 요구된다. 또한, 드로잉 가공은 변형량이 큰 가공이기 때문에, 수지 피막은 이것에 추종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는 안 된다. In the case of an LED lighting container, it is necessary to use the precoat aluminum plate which previously formed the resin film in the surface by the precoat method, in order to raise productivity and reduce cost. In addition, heat dissipation is required as described above as a function of the resin film. In addition, since a drawing process is a process with a large deformation amount, a resin film should not be able to follow this.

종래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으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4에 기재된 것이 있다. As a conventional precoat aluminum plate, there exist some which we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4, for example.

특허문헌 1에는, 소정의 산술평균 조도 Ra를 갖는 알루미늄판의 적어도 1면에, 소정의 내식성 피막과 소정의 수지 피막을 형성하고, 그 표면 저항치를 규정함으로써 도전성을 향상시키면서, 그 밖의 요구 성능도 만족시킨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이 개시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1, a predetermined corrosion resistant film and a predetermined resin film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 aluminum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and other required performances are also improved by defining the surface resistance value. The satisfied precoat aluminum plate is disclosed.

특허문헌 1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에 의하면, 세정이 불필요한 속건성 프레스유(press oil)에서의 연속 성형을 가능하게 하고, 프레스유를 세정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한 윤활성,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흠집성 및 내지문성, 대전방지나 접지(earth)를 확보하기 위한 도전성 등의 기능이 수지 피막에 의해서 부여되기 때문에,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에 탑재되는 슬림형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커버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coat aluminum sheet of Patent Literature 1,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form in quick-drying press oil which does not require cleaning, and to improve the lubricity and appearance quality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by eliminating the step of washing the press oil. Since the resin coating provides function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nd fingerprint resistance, antistatic property, and conductivity to secure earth, it is suitable for, for example, a cover of a slim optical disk drive device mounted in a notebook computer. It is described that it can be used easily.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프리코트법에 의해서 형성된 수지 피막 중에 소정 경도의 연질 비드를 첨가하여 수지 피막에 쿠션성을 갖게 한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Patent Literature 2 discloses a precoat aluminum sheet in which a soft bead of a predetermined hardness is added to a resin film formed by the precoat method to give a cushioning property to the resin film.

특허문헌 2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에 의하면, 상기 프리코트 알루미늄판과 접촉하는 상대물을 흠집내기 어렵기 때문에, 예컨대, 슬롯 인 타입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사용되는 커버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즉, 상기 커버의 내면에 수지 피막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광 디스크가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마찰에 의해서 광 디스크가 흠집이 생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coat aluminum plate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counterpart which contacts the said precoat aluminum plate is difficult to be scratched, it is the purpose that it can use suitably as a cover used for the slot-in type optical disk drive apparatus, for example. It is described. That is, it is described that the optical dis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ratched by friction even when the optical disk is in contact with the resin fil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형성된 열경화 수지의 분자간 가교 상태로서, 프리코트 피막의 겔분율의 값을 220℃의 가열 처리를 행한 전후에서 비교한 경우에, 상기 가열 처리 후의 겔분율의 값이, 상기 가열 처리 전의 겔분율의 값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고, 220℃의 상기 가열 처리를 10분간 행한 시점에서의 상기 가열 처리 전의 겔분율의 값으로부터의 감소폭이 10% 미만이도록 제어함으로써, 높은 드로잉 가공성을 만족시킨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3, when the value of the gel fraction of a precoat film is compared before and after heat processing of 220 degreeC as an intermolecular crosslinking state of the thermosetting resin formed on the surface of an aluminum plate, the gel after the said heat processing The value of the fraction is continuously reduced from the value of the gel fraction before the heat treatment, and is controlled so that the decrease from the value of the gel fraction before the heat treatment at the time when the heat treatment at 220 ° C. is performed for 10 minutes is less than 10%. Thereby, the precoat aluminum plate which satisfy | filled the high drawing workability is disclosed.

특허문헌 3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에 의하면, 딥 드로잉 가공이나 아이어닝(ironing) 가공을 행하더라도, 피막의 박리, 균열, 백화가 생기는 일이 없고,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컨대,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등의 산업용 전자기기나, 민생용 전자기기, 차재용 전자기기 등의 커버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coat aluminum plate of patent document 3, even if it carries out a deep drawing process or ironing process, since peeling, a crack, and whitening of a film do not occur, it is excellent in moldability, for example, a slim type optical disc It is describ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as a cover for an industri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rive device,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an on-vehicle electronic device, or the like.

그리고, 특허문헌 4에는, 알루미늄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설치하고,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 위에 열경화성 수지 도막층을 설치한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이 개시되어 있다. And in patent document 4, the precoat aluminum plate which provide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n the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an aluminum plate, and provided the thermosetting resin coating layer on this thermoplastic resin film is disclosed.

특허문헌 4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탈지제에 접촉하는 일은 없고,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 도막층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드로잉 가공 또는 아이어닝 가공시의 성형가공성이 양호한 상태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탈지 처리에 있어서의 변색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인쇄 성능에 관해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전해 컨덴서의 케이스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coat aluminum plate of patent document 4, since a thermoplastic resin film does not contact a degreasing agent and is protected by the thermosetting resin coating layer which was excellent in chemical-resistance, it is in the state with favorable moldability at the time of drawing or ironing. It is described that the discoloration in the degreasing treatm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prevented, and the printing performance can also be improved. Therefore, it is described that it can use suitably for the case of an electrolytic capacitor, for example.

일본 특허공개 2003-31368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313684 일본 특허 제4134237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134237 일본 특허공개 2006-30584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305841 일본 특허 제4003915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003915

그러나 특허문헌 1∼4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드로잉 가공을 행하여 LED 조명의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drawing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of patent documents 1-4, there exists a following problem.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커버에 사용되는 것을 상정한 것으로, 굽힘 가공에 의한 광체 제작을 전제로 한 것이다. 따라서, 드로잉 가공 같은 변형량이 큰 가공에 대해서는 수지 피막의 변형이 추종할 수 없어, 수지 피막에 균열이나 박리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coat aluminum plates of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are assumed to be used for the cover of an optical disk drive apparatus, and assume the manufacture of a body by a bending process. Therefore,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of a resin film cannot follow about processing with a large deformation amount like drawing processing, and it is thought that a crack and peeling generate | occur | produce in a resin film.

또한, 특허문헌 3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드로잉 가공을 상정한 것이지만, LED 조명의 용기의 히트 싱크로서의 기능에 요구되는 방열성이나 가시광 반사성이 고려되어 있지 않아, LED의 수명이나 발광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민생품으로서 요구되는 외관을 전혀 상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외관이 실용할 만하지 않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coat aluminum plate of patent document 3 assumes drawing process,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and visible light reflectivity required for the function as a heat sink of the container of LED lighting are not considered, and it causes the lifetime of LE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fall. There is a concern. In addition, since the appearance required as a fresh product is not assumed at all, the appearance is not practical.

특허문헌 4의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열가소성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라미네이트한 필름 라미네이트재이기 때문에, 내열성에 관해서는 저절로 한계가 있다. Since the precoat aluminum plate of patent document 4 is a film laminate material which laminate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which used the thermoplastic resin as the base resin on the surface of an aluminum plate, there exists a limit in itself about heat resistance.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컨대, 나일론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경우는, 알루미늄판과의 밀착성은 좋고, 우수한 성형성도 얻어지지만, 고온 환경에서는 비교적 단시간에, 열에 의해 베이스 수지가 황변색 또는 갈변색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As a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when the polyamide-based resin represented by nylon is used as the base resin, adhesion to the aluminum plate is good and excellent moldability is obtained. However,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base resin discolors due to heat in a relatively short time. Or there is a problem that browning is easy to discolor.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PET 등의 포화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경우는, 알루미늄판과의 밀착성은 좋고, 우수한 성형성을 나타내며, 고온 환경에서도, 용이하게는 베이스 수지가 열변색하지 않는 특징이 있지만, 베이스 수지는 가수분해되기 쉽기 때문에, 고온 습윤 분위기하에서의 내구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saturated polyester resin such as PET as the thermoplastic resin as the base resin, the adhesiveness with the aluminum plate is good, the moldability is excellent, and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base resin does not easily discolor. Although there is a characteristic, the base resin tends to be hydrolyzed, and thus tends to be poor in durability in a high temperature and wet atmosphere.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면, 베이스 수지는 원칙적으로 탄소와 수소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질소나 산소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에스터 결합, 우레탄 결합, 아마이드 결합이라는 화학 결합의 기점이 되는 하이드록실기나 카복실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아미노기라는 작용기가 없기 때문에, 알루미늄판과의 접착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As the thermoplastic resin, when the polyolefin-based resin represented by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is used as the base resin, the base resin is composed of only carbon and hydrogen in principle, and does not contain nitrogen or oxygen. Therefore, there is no functional group such as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isocyanate group, or an amino group, which are the starting points of chemical bonds such as ester bonds, urethane bonds, and amide bonds, and thus poor adhesion to the aluminum plate.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굽힘 가공 주체로 형성되는 LED 백라이트 같은 성형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LED 전구의 히트 싱크의 판화(板化) 등을 상정한,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성형성)을 갖고, LED의 수명과 발광효율을 높이는 정도에 필요한 우수한 방열성(적외선 방사성)을 갖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민생 기기, 특히 조명기기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명도(L*값)와 가시광 반사성을 갖는 백색 외관 또는 메탈릭 외관을 겸비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applied to a molded article such as an LED backlight formed of a bending main body, as well as excellent drawing workability (formability) that assumes engraving of a heat sink of an LED bulb.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molding having an excellent heat dissipation (infrared radiation) required for increasing the lifespan and luminous efficiency of the LED. Furthermore, it aims at provid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which combines the white appearance or metallic appearance which has the outstanding brightness | luminance (L * value) and visible light reflectivity which are required as a consumer equipment, especially an illuminating device.

청구항 1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제 1 피막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다른 쪽 측면에 형성된 제 2 피막을 구비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으로서,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1 is a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comprising an aluminum plate, a first film formed on one side of the aluminum plate, and a second film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luminum plate. As

상기 제 1 피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25 내지 10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며, 겔분율이 50% 이상을 만족시키고, The first film include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nd reacting a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5 to 100 ° C. with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and has an infrared integration of 3 to 30 μm. Emissivity i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 the gel fraction satisfies 50% or more,

상기 제 2 피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8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겔분율이 50% 이상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film contain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nd reacting a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 to 80 ° C. with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and having an infrared wavelength of 3 to 30 μm. Emissivity i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at least 0.6, the gel fraction at least 50% at a temperature of 2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알루미늄판의 한쪽 측면 및 다른 쪽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이 모두, 소정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성형성)을 갖는다. 제 1 피막이,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서 형성되는 용기 형상 성형품의 외면(즉 제품 외면)이 되도록 하고, 사용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하한치를 제 2 피막과 비교하여 높은 쪽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성형성과 세정시를 포함시킨 내흠집성(세정내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피막은, 사용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치를 제 1 피막과 비교하여 낮게 함으로써 성형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both the 1st film | membrane and the 2nd film | membrane which were formed i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luminum plate, respectively, crosslink reaction of the polyester resin which has a predetermin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ith a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Since it contains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which was made, it has the outstanding drawing workability (formability). Formability by making the 1st film into the outer surface (namely, the product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formed by drawing processing etc., and raising the low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resin to be used compared with a 2nd film, The scratch resistance (washing durability) which included at the time of washing | cleaning can be made compatible. On the other hand, a 2nd film can be made excellent in moldability by making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resin to be used low compared with a 1st film.

또한 제 1 피막은,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그 표면에서 열을 적외선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것에 우수하다. 그 때문에, LED 소자가 따뜻해지기 어렵게 되어, LED의 수명이나 발광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드로잉 가공 후에 내면이 되는 제 2 피막도, 첨가제를 포함하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LED 소자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satisfy | fill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a 1st film is excellent in converting and converting heat into infrared rays in the surface. Therefore, LED element becomes hard to become warm, and it becomes possible to raise lifetime and luminous efficiency of L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2nd film | membrane which becomes an inner surface after a drawing process also contains an additive and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satisfy | fill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the hea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side a container is efficient. By absorbing in thi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LED element can be suppressed.

그리고, 제 1 피막, 제 2 피막 모두 수지 피막의 겔분율이 50% 이상인 것에 의해, 수지 피막의 가교 밀도가 높아져, 수지 피막 중에 첨가한 첨가제가 세정 공정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약품성, 내열성, 내가수분해성 등이 향상되어, 또한, 세정 공정에서의 피막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And since the gel fraction of a resin film is 50% or more in both a 1st film and a 2nd film, the crosslinking density of a resin film becomes high and it can prevent that the additive added in the resin film falls off at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Moreover,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hydrolysis resistance, etc. improve, and also the durability of the film in a washing process improves.

청구항 2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1 피막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L*값을 85 이상 갖고, 상기 제 2 피막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coating contains a white pigment, has an L * value of 85 or more, and the second coating contains an additive.

제 1 피막이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L*값을 85 이상 갖기 때문에, 가시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는(가시광 반사성) 밝은 백색 표면(백색 외관)을 가질 수 있다. Since the first film contains a white pigment and has an L * value of 85 or more, it can have a bright white surface (white appearance) capable of efficiently reflecting visible light (visible light reflection).

그리고, 제 1 피막, 제 2 피막 모두 수지 피막 중에 첨가한 백색 안료나 첨가제가 세정 공정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약품성, 내열성, 내가수분해성 등이 향상되고, 또한, 세정 공정에서의 피막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And it can prevent that the white pigment and the additive which were added to the resin film by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in a washing process fall off. Moreover,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hydrolysis resistance, etc. are improved, and durability of the film in a washing process is improved.

청구항 3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1 피막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가 산화티타늄이며, 이 산화티타늄의 함유율이 20 내지 7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 1 피막의 백색 외관이 한층 더 우수함과 함께, 가시광 반사성도 한층 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성형성도 양호해진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in the first film, the white pigment is titanium oxide, and the content rate of titanium oxide is 20 to 70% by mass.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white appearance of the first film is further excellent, and the visible light reflectivity is further excellent. In addition, moldability becomes good.

청구항 4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1 피막에 있어서, 상기 산화티타늄의 함유율이 40 내지 6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비교적 박막으로 우수한 외관, 가시광 반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film, the content rate of the titanium oxide is 40 to 60 mass%, and the film thickness is 15 μm or less. With such a configuration, excellent appearance and visible light reflectivity can be obtained in a relatively thin film, which is excellent in economy.

청구항 5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2 피막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그 함유율이 5 내지 7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육안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드로잉 가공 내면측은 특별히 우수한 외관이나 가시광 반사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방열 특성 중시나 경제성 중시, 생산성 중시 등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피막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in the second film, the additive contains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and resin beads, and the content thereof is 5 It is -70 mass%, It is characterized by the film thickness of 15 micrometers or less.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drawing processing inner surface side which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naked eye does not require particularly excellent appearance and visible light reflectivity, so that the film can be customiz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mportance on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economic importance, and productivity.

청구항 6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제 1 피막이 메탈릭 안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시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는(가시광 반사성) 밝은 메탈릭 표면(메탈릭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 피막은,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그 표면에서 열을 적외선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것에 우수하다. 그 때문에, LED 소자가 따뜻해지기 어렵게 되어, LED의 수명이나 발광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드로잉 가공 후에 내면이 되는 제 2 피막도, 첨가제를 포함하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LED 소자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6 may have a bright metallic surface (metallic appearance) capable of efficiently reflecting visible light (visible light reflection) because the first coating includes a metallic pigment. In addition, since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satisfy | fill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similarly, a 1st film is excellent in converting and converting heat into infrared rays in the surface. Therefore, LED element becomes hard to become warm, and it becomes possible to raise lifetime and luminous efficiency of L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2nd film | membrane which becomes an inner surface after a drawing process also contains an additive and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satisfy | fill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the hea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side a container is efficient. By absorbing in thi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LED element can be suppressed.

청구항 7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1 피막에 있어서, 상기 메탈릭 안료가 알루미늄 페이스트이며, 이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함유율이 3 내지 3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 1 피막의 메탈릭 외관이 한층 더 우수함과 함께, 가시광 반사성도 한층 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메탈릭 안료가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페이스트이기 때문에, 피막의 열전도성이 양호해져 방열 효과에 기여한다. 또한, 성형성도 양호해진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etallic pigment is an aluminum paste in the first film, and the content rate of the aluminum paste is 3 to 30% by mass.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metallic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film is further excellent, and the visible light reflectivity is further excellent. In addition, since the metallic pigment is an aluminum past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ilm is improved, contributing to the heat dissipation effect. Moreover, moldability also becomes favorable.

청구항 8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1 피막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함유율이 5 내지 2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비교적 박막으로 우수한 외관, 가시광 반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8 has a content of 5 to 20% by mass and a film thickness of 15 μm or less in the first film. With such a configuration, excellent appearance and visible light reflectivity can be obtained in a relatively thin film, which is excellent in economy.

청구항 9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2 피막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 알루미늄 페이스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그 함유율이 5 내지 7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육안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드로잉 가공 내면측은 특별히 우수한 외관이나 가시광 반사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방열 특성 중시나 경제성 중시, 생산성 중시 등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피막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in the second film, the additive contains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resin beads, and aluminum paste, The content is 5 to 70 mass%, and the film thickness is 15 micrometers or les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drawing processing inner surface side which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naked eye does not require particularly excellent appearance and visible light reflectivity, so that the film can be customiz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mportance on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economic importance, and productivity.

청구항 10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제 1 피막의 피막 표면의 산술평균 조도(Ra)를 규정하여, 제 1 피막 표면에 적절한 조도를 부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피막 표면의 흠이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외관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피막이 드로잉 가공 후에 외면이 되도록 하면, 제 1 피막은,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그 표면에서 열을 적외선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것에 우수하다. 그 때문에, LED 소자가 따뜻해지기 어렵게 되어, LED의 수명이나 발광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드로잉 가공 후에 내면이 되는 제 2 피막도, 첨가제 B를 포함하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이상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LED 소자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10 defines a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film surface of the first film, and imparts appropriate roughness to the first film surface. Thereby, the flaw of the film surface becomes inconspicuous and an external appearance quality improves. In addition, if the first film is made to be the outer surface after the drawing process, the first film has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μm satisfying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thereby converting heat to infrared light on the surface thereof. Excellent for releasing Therefore, LED element becomes hard to become warm, and it becomes possible to raise lifetime and luminous efficiency of L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2nd film | membrane which becomes an inner surface after drawing processing contains additive B, and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satisfy | fill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the hea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side a container By absorbing efficiently, the temperature rise of an LED element can be suppressed.

청구항 11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제 1 피막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첨가제 A 및 상기 제 2 피막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첨가제 B가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 알루미늄 페이스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그 함유율이 3 내지 70질량%이며, 상기 제 1 피막의 막 두께 및 상기 제 2 피막의 막 두께가 함께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뛰어난 방열성을 확보하면서 원하는 색조나 표면의 질감, 경제성,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의 구성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additive A included in the first film and the additive B included in the second film are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resin beads. And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aluminum pastes, the content ratio is from 3 to 70% by mass,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first film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together are 15 μm or less.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ustomize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n consideration of desired color tone, surface texture, economy, productivity, and the like while ensur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청구항 12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은, 상기 산술평균 조도(Ra)가 0.25μm 이상 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 1 피막의 표면 조도가 충분히 큰 것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제 1 피막이 외면으로 되는 성형품으로 성형한 후, 상기 성형품의 외면을 비등 염소계 세정제 같은 가혹한 조건하에서 세정한 경우이더라도, 성형품의 제 1 피막이 다른 성형품의 제 피막과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억제된다.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shaping | molding of Claim 12 is 0.25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rst coating film is sufficiently large, the first coating film of the molding precoat aluminum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lded into a molded article that becomes an outer surface, and then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is treated with a boiling chlorine-based cleaner. Even in the case of washing under severe conditions, the phenomenon that the first coating of the molded article sticks to the first coating of another molded article is suppressed.

청구항 13에 따른 용기 형상 성형품은, 상기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이 사용되어, 상기 제 1 피막이 외면, 상기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성형된 용기 형상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내면 외면 모두 우수한 성형성을 갖기 때문에, 굽힘 가공은 물론 드로잉 가공을 포함해서 다양한 형상의 용기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열원에 가까운 내면측에서는 효율적으로 열을 흡수하고, 외면측에서는 효율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로서는 우수한 방열성을 갖게 된다. 더욱이 제품 외면으로서 육안에 노출되는 외면측은 밝고 아름다운 백색 외관을 갖고, 가시광 반사성도 우수한, LED 전구의 히트 싱크에 알맞은 용기 형상 성형품이 얻어진다. 한편, LED 전구의 히트 싱크는 본 발명의 용기 형상 성형품의 적용 용도의 하나이고, 본 용도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용기 형상 성형품도 드로잉 가공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according to claim 13 is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formed by using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so that the first coat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coating is on the inner surface.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both inner and outer surfaces have excellent moldability, containers of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including bending and drawing. Moreover, since heat can be efficiently absorbed on the inner surface side close to the heat source and heat can be efficiently relea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the container has excellent heat dissipation. Moreover, the outer surface side exposed to the naked eye as a product outer surface has a bright and beautiful white appearance, and the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suitable for the heat sink of LED bulb which is excellent also in visible light reflection is obtained. In addition, the heat sink of an LED bulb is one of the application uses of the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of this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only to this use. Similarly,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is not limited to the one by drawing processing.

청구항 1 내지 1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판의 한쪽 측면에 설치된 제 1 피막 및 다른 쪽 측면에 설치된 제 2 피막이 함께, 프리코트 피막의 유연성을 적절히 얻을 수 있어,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드로잉 가공성(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 드로잉 가공이나 아이어닝 가공 같은 변형이 큰 성형에 추종할 수 있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피막, 제 2 피막 모두 우수한 방열성(적외선방사성)을 갖고 있고, 특히 제 1 피막은 우수한 명도와 가시광 반사 특성을 갖는 백색 외관을 미리 갖고 있고, 이들의 표면 기능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손상되는 일 없이 유지되기 때문에, 수득된 용기상 성형품은 그 후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일 없이 이들의 기능을 가진 고기능 용기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s 1-12, the 1st film | membrane provided in one side of an aluminum plate and the 2nd film | membrane provided in the other side can obtain the flexibility of a precoat film suitably, and drawing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Workability (formability) can be improv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that can follow molding having a large deformation such as drawing or ironing. In addition,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have excellent heat dissipation (infrared radiation), and in particular, the first film has a white appearance with excellent brightness and visible light reflecting properties in advance, and the surface function thereof is damaged by press work. Since it is maintained without work, the obtained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is obtained with the high functional container which has these functions, without performing post-processing after that.

청구항 1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수득된 용기 형상 성형품은, 조명 기구에 바람직한, 우수한 명도(L*값)와 가시광 반사 특성을 갖는 백색 외관 또는 메탈릭 외관 또는 수득된 용기 형상 성형품의 외면은 흠집 등이 눈에 띄기 어려운 우수한 외관을 갖고 있고, 또한, 우수한 방열성(적외선방사성)을 기능으로서 가진, LED 전구의 히트 싱크에 바람직한 용기상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LED 전구의 히트 싱크에는 복잡한 핀 형상을 갖는 다이캐스팅 성형품이 많지만, 본 발명의 용기를 사용하면 판재의 프레스품으로 치환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생산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표면 처리에 관해서도 알루미늄판에 미리 연속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 후에 도장이나 알루마이트라는 배치 처리를 행하는 것에 비하여 대단히 생산성이 우수하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3, the obtained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has a white appearance or metallic appearance having excellent brightness (L * value) and visible light reflecting characteristics, which is preferable for a luminair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obtained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has scratches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suitable for the heat sink of an LED bulb, which has an excellent appearance that is hard to be noticeable and has excellent heat dissipation (infrared radiation) as a function. There are many die-cast molded articles having a complicated fin shape in heat sinks of LED bulbs. However, the use of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productivity since it can be replaced with a press product of a sheet material. Furthermore, since the surface treatment is also continuously processed on an aluminum plate in advance, it is very excellent in productivity compared with performing a batch treatment such as coating or alumite after mo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형상 성형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 공시재(供試材)를 드로잉 가공, 및, 아이어닝 가공함으로써 유저(有底) 원통 용기를 제작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온도 실측용의 모의 LED 전구를 설명하는 투시도이다.
도 5(a)는 굽힘 가공에 의한 상자형 광체(용기)의 모식도이며, 도 5(b)는 드로잉 가공에 의한 상자형 광체(용기)의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agmentary sectional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the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user cylindrical container by drawing and ironing a test material in an Exampl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mulated LED bulb for temperature measurement.
FIG.5 (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box-shaped object (container) by bending process, and FIG.5 (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box-shaped body (container) by drawing process.

이하,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orm for implementing the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and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uitably with reference to drawings is demonstrated concretely.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precoat aluminum plate for the molding >>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은, 알루미늄판(2)과, 알루미늄판(2)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제 1 피막(3)과, 알루미늄판(2)의 다른 쪽 측면에 형성된 제 2 피막(6)을 구비하고 있고, 드로잉 가공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uminum plate 2, a first film 3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and an aluminum plate ( It is provided with the 2nd film 6 formed in the other side surface of 2), and can be used for uses, such as drawing processing. Hereinafter, each structure is demonstrated.

<알루미늄판> <Aluminum plate>

본 발명으로 말하는 알루미늄판(2)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판(알루미늄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2)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제품 형상이나 성형 방법, 사용시에 요구되는 강도 등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비열처리형의 알루미늄판, 즉, 1000계의 공업용 순(純)알루미늄판, 3000계의 Al-Mn계 합금판, 5000계의 Al-Mg계 합금판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이어닝 가공을 수반하는 깊은 용기 형상의 광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JIS H4000에 규정되는 A1050, A1100, A3003, A3004 등의 알루미늄판이 추장된다. 또한, 비교적 얕은 용기 형상의 광체를 제작하는 경우에, 강도가 중시되는 경우에는, JIS H4000에 규정되는 A5052나 A5182 등의 알루미늄판이 추장된다. 조질(調質), 판 두께에 관해서도, 목적에 응하여 여러 가지 것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기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판(2)에, 반응형 하지(下地) 처리, 도포형 하지 처리, 양극 산화 처리, 전해 에칭 처리, 탈지 처리 등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The aluminum plate 2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he aluminum plate (aluminum plate or aluminum alloy plate) 2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ength required at the time of use. In general, a non-heat treatment type aluminum plate, that is, a 1000 industrial pure aluminum plate, a 3000 Al-Mn alloy plate, and a 5000 Al-Mg alloy plate can be suitably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roducing a deep container-shaped ore with ironing, aluminum plates such as A1050, A1100, A3003, A3004, etc. defined in JIS H4000 are recommended. In the case of producing a comparatively shallow container-like ore, when strength is important, aluminum plates such as A5052 and A5182 prescribed in JIS H4000 are recommended. In terms of temper and sheet thickness, various ones can be selected and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As described later, the aluminum plate 2 may be subjected to a reactive base treatment, a coating base treatment, an anodizing treatment, an electrolytic etching treatment, a degreasing treatment, or the like.

<제 1 피막> <The first film>

제 1 피막(3)은, 유리 전이 온도가 25 내지 10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와, 이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 중에 분산된 백색 안료(5)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피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L*값을 85 이상 갖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겔분율이 50% 이상을 만족시킨다. The 1st film 3 i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which crosslinked-reacted the polyester resin whos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25-100 degreeC with a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and this crosslinked polyester resin ( 4) Integral emissivity of an infrared ray having a L * value of 85 or more and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is 0.6 or more and a gel fraction at a temperature of 25 ° C. More than 50% is satisfied.

<제 1 피막> <The first film>

제 1 피막(3)은, 유리 전이 온도가 25 내지 10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와, 이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 중에 분산된 메탈릭 안료(5)를 포함하는 메탈릭 수지 피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겔분율이 50% 이상을 만족시킨다. The 1st film 3 i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which crosslinked-reacted the polyester resin whos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25-100 degreeC with a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and this crosslinked polyester resin ( It consists of the metallic resin film containing the metallic pigment 5 disperse | distributed in 4), and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satisfy | fills 0.6 or more and the gel fraction 50%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 [Crosslinked Polyester Resin]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는, 제 1 피막(3)의 주성분(베이스 수지)이 되는 것으로, 유리 전이 온도가 25 내지 10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여 분자간 가교 반응시킨다.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becomes a main component (base resin) of the first film 3, and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is used for the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5 to 100 ° C. To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molecules.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 [Crosslinked Polyester Resin]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는, 제 1 피막(3)의 주성분(베이스 수지)이 되는 것으로, 유리 전이 온도가 25 내지 10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여 분자간 가교 반응시킨다.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becomes a main component (base resin) of the first film 3, and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is used for the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5 to 100 ° C. To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molecules.

열경화 반응에 의한 분자간 가교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트재도 있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대로, 열가소성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은, 다양한 점에서 실용상의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열경화 반응 등에 의한 분자간 가교를 행하는 수지를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로 선정하면, 이 수지는, 원래 분자간 가교하기 위한 작용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판(2)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가교됨으로써 내약품성이나 내열성이 높아짐과 함께, 내가수분해성에 관해서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Although there is also a film laminate material using a thermoplastic resin as a base resin without performing intermolecular crosslinking by a thermosetting reac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using a thermoplastic resin as a base resin has various practical problems. However, when the resin which performs intermolecular crosslinking by thermosetting reaction etc. is selected as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since this resin originally has a functional group for intermolecular crosslinking, it is excellent in adhesiveness with the aluminum plate 2. . Moreover, by crosslinking,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become high, and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also regarding hydrolysis resistance.

한편, 알루미늄판 도장용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터 수지 이외에, 에폭시 수지나 불화바이닐리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폴리에스터계 수지 등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성형성, 내광성,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생각하면 본 발명에는 적당하지 않다. On the other hand, as the resin for coating the aluminum plate, epoxy resins, vinylidene fluoride resins, acrylic resins, silicone polyester resins, and the like, are widely known as well as polyester resins. Not suitable for

폴리에스터 수지로서는,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을 축합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된 포화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뷰틸렌글리콜, 1,6-헥세인다이올, 다이에틸렌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이나, 글리세린, 트라이메틸올에테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등의 3가 알코올, 더욱이, 4가 이상의 알코올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염기산으로서는, 예컨대, 무수 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등의 2염기산이나, 무수 트라이멜리트산 등의 3염기산, 더욱이, 4가 이상의 다염기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다가 알코올 및 다염기산은,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동시에 사용하여 축합 중합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성분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폴리에스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As the polyester resin, it is preferable to use a saturated polyester resin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a polyhydric alcohol and a polybasic acid. Among these, as a polyhydric alcohol, dihydric alcohols,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1, 3- butylene glycol, 1, 6- hexanediol, diethylene glycol, glycerin, trimethyl, etc. Trihydric alcohols, such as oleethane and trimethylol propane, Furthermore, tetravalent or more alcohol can be used. As the polybasic acid, for example, dibasic acids such as phthalic anhydride,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adipic acid and sebacic acid, tribasic acids such as trimellitic anhydride, and more than tetravalent polybasic acids can be used. . These polyhydric alcohols and polybasic acids may be condensation-polymerized using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simultaneously. In addition, by combining these component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resin can be changed.

유리 전이 온도는 수지의 전이 온도의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의 수지는 부드러운 고무상,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의 수지는 딱딱한 유리상으로 된다. 따라서, 딥 드로잉 가공이나 아이어닝 가공같은 변형이 큰 가공에 제 1 피막(3)이 추종하기 위해서는, 이론상으로는 유리 전이 온도를 가공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분자 물질은, 분자량에 폭이 있어, 분자 내에 분지 구조가 생기는 등, 일차 구조는 균일하지 않고, 분자끼리의 배열 등, 고차 구조도 마이크로로 보면 균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유리 전이 온도는 어디까지나 대표치이며, 어느 정도 폭을 갖는 온도 범위에서 서서히 전이가 생긴다. 또한, 폴리에스터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유리상이더라도, 일부의 상태(가교 반응을 시킬 수 없는 열가소성 수지의 상태로 결정화를 촉진시킨 상태)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높은 신도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범위이면,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수지를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로 해도 성형은 가능하다. 역으로,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수지를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로 한 경우에는, 제 1 피막(3)이 지나치게 부드럽게 되어, 흠집이 생기기 쉽게 된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one of the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resin, and in general, the resin at a temperature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soft rubbery, and the resin at a temperature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hard glassy. Therefore, in order to follow the 1st film | membrane 3 to processing with larg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such as a deep drawing process and ironing process, it is theoretically necessary to mak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below processing temperature. In practice, however, the polymer material has a wide molecular weight, and thus, the primary structure is not uniform, such as branching structures are formed in the molecule, and even higher order structures, such as the arrangement of molecules, are not uniform. Therefo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the representative value to the last, and a transition will gradually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temperature range which has a some width. In addition, even if the polyester resin has a glass phase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polyester resin has a relatively high elongation except for a part of the state (a state in which crystallization is promoted to a state of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not undergo a crosslinking reaction). If it is a range, shaping | molding is possible also as resin which has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s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On the contrary, when the resin with too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made into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the 1st film 3 will become soft too much and a flaw will be easy to produce.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형상 성형품의 외면이 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제 1 피막(3)에 포함되는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는, 그 유리 전이 온도는 25 내지 100℃의 범위인 것이 필요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25℃ 미만이면, 제 1 피막(3)이 지나치게 부드럽게 되어 흠집이 생기기 쉽게 되고, 한편, 100℃를 초과하면,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성형성이 저하되어, 성형 가능한 형상이 한정되어 버린다. 한편, 유리 전이 온도는 25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란, 시차 주사 열량 분석법(DSC법)에 의해서 측정된 것을 말한다. In this inven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contained in the 1st film 3 which is supposed to become the outer surface of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needs to be the range of 25-100 degreeC. Whe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25 degreeC, the 1st film 3 will become soft too much and a flaw will be easy to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100 degreeC, the moldability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will fall, and the shape which can be formed This will be limit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5-80 degreeC, and, as f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5-65 degreeC.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ere means what was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ethod).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만으로는 가교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으로 요구되는 가교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터 수지가 갖는 하이드록실기나 카복실기와 반응하는 경화제를 첨가하거나, 폴리에스터 수지 자체에, 경화제와 같은 기능을 하는 성분이 생성되도록,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터 수지를 개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하이드록실기나 카복실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등이 있고, 이들 작용기를 3개 이상 갖는 물질을 경화제로서 첨가함으로써, 용이하게 가교 반응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화제로서는,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이나,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미노 화합물, 페놀 화합물, 우레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그 경화제는,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경화제는, 도료화가 용이하고, 상온에서의 보존성이나 소부(燒付) 온도에서의 즉반응성을 겸비할 뿐만 아니라, 소부에 의해 변색이 일어나기 어려운 등의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 crosslinking reaction does not occur only with the said polyester resin. In order to produce the crosslinking reaction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chemical reaction is used so that a curing agent reacting with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of the polyester resin is added, or a component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the curing agent is produced in the polyester resin itself.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polyester resin. Examples of functional groups that react with these hydroxyl groups and carboxyl groups include isocyanate groups, amino groups, hydroxyl groups, carboxyl groups, and the like. Crosslinking reactions are easily promoted by adding a substance having three or more of these functional groups as a curing agent. It is possible to. As such a hardening | curing agent, a polyisocyanate compound, a melamine compound, an epoxy compound, an amino compound, a phenol compound, a urea compound, etc. are mentioned.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polyester resin as a base resin like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ening | curing agent is a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These curing agents are easy to paint, and have advantages such as storage at normal temperature and instant reactivity at baking temperature, and discoloration hardly occurs due to baking.

[백색 안료] [White Pigment]

백색 안료(5)는, 제 1 피막(3)을 백색으로 착색하고, L*값을 85 이상으로 함과 함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피막(3)의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 중에 함유시킨다. As for the white pigment 5, the 1st coating film 3 is colored white, L * value is 85 or more, and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ensure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In order to do so, it is made to contain in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of the 1st film 3. As shown in FIG.

상기 조건, 즉 L*값 85 이상,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 들어맞는 한에 있어서, 백색 안료(5)의 종류, 크기, 형태, 첨가량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As long as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n L * value of 85 or more and a wavelength of 3 to 30 µm is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the kind, size, form, addition amount, etc. of the white pigment 5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 목적에 바람직한 백색 안료(5)의 구체예로서는, 산화티타늄, 황화아연, 산화아연(아연화),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white pigment 5 suitable for this purpose, titanium oxide, zinc sulfide, zinc oxide (zincide), barium sulfate, etc. are mentioned.

제 1 피막(3)의 두께를 될 수 있는 한 얇게 하고, 알루미늄판(2)의 색조를 은폐할 수 있는 편이 경제적이다. 이 관점에서 착색력이 강한 산화티타늄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색조나 L*값, 반사율,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도 안정된다. It is more economical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3 as thin as possible and to conceal the color tone of the aluminum plate 2. Titanium oxide with strong coloring power is preferable from this viewpoint. Thereby, the integral emissivity of infrared rays whose color tone, L * value, reflectance, and wavelength are 3-30 micrometers is also stabilized.

[백색 안료의 바람직한 함유율: 20 내지 70질량%][Preferable Content of White Pigment: 20 to 70 Mass%]

백색 안료(5)의 바람직한 함유율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 1 피막(3)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질량% 미만이면, L*값 85 이상,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막 두께가 두껍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게 된다. 한편, 70질량%를 초과하면, 제 1 피막(3)이 취성이 되어 성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백색 안료(5)의 함유율은 20 내지 70질량%가 바람직하다. 한편, 40 내지 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lthough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lso about the preferable content rate of the white pigment 5, When the ratio which occupies for the 1st film 3 is less than 20 mass%,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L * value is 85 or more and th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is 25 The film thickness for satisfying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lt; RTI ID = 0.0 &gt;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70 mass%, the 1st film 3 will become brittle and moldability will fall. Therefore, as for the content rate of the white pigment 5, 20-70 mass% is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0-60 mass%.

[메탈릭 안료][Metallic Pigment]

메탈릭 안료(5)는, 제 1 피막(3)을 메탈릭으로 착색하여, 가시광 반사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제 1 피막(3)에 대하여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피막(3)의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 중에 함유시킨다. The metallic pigment 5 is for securing the visible light reflectivity by coloring the first film 3 with a metallic color, and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m 3 is 25 ° C. In order to ensure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it is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of the 1st film (3).

상기 조건, 즉,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 들어맞는 한에 있어서, 메탈릭 안료(5)의 종류, 크기, 형태, 첨가량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The kind, size, shape, addition amount, etc. of the metallic pigment 5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is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

이 목적에 바람직한 메탈릭 안료(5)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페이스트, 은 페이스트, 알루미늄이나 은을 증착 또는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서 처리한 각종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metallic pigment 5 suitable for this purpose include aluminum paste, silver paste, various fine particles obtained by treating aluminum or silver by a method such as vapor deposition or plating.

경제적인 관점에서 알루미늄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피막(3)의 열 전도율을 높여 방열성을 보조하는 관점에서, 알루미늄을 표면 처리한 각종 미립자보다도 알루미늄 페이스트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색조나 가시광 반사 특성이 안정된다. From an economical point of view, an aluminum-based one is preferable, and an aluminum paste is more preferable than various fine 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aluminum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irst film 3 to assist in heat dissipation. This stabilizes the color tone and the visibl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메탈릭 안료의 바람직한 함유율: 3 내지 30질량%][Preferable Content of Metallic Pigment: 3 to 30 Mass%]

메탈릭 안료(5)의 함유율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 1 피막(3)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질량% 미만이면, 제 1 피막(3)이 소재인 알루미늄판(2)을 은폐하는 힘이 저하되기 때문에, 압연 롤 눈이 보여지고 말아, 외관성이 저하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알루미늄판(2)이 은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라는 조건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30질량%를 넘은 경우도, 제 1 피막(3)의 적외선 방사율이 오히려 저하되어,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라는 조건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것은 함유율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제 1 피막(3)의 표면에 노출되는 알루미늄이 많아져, 소재인 알루미늄판(2)이 노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즉, 소재인 알루미늄판(2)을 은폐시키면서, 은폐하고 있는 제 1 피막(3)의 표면에 노출되는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함유량이 일정 이하로 되는 상태를 확보하기 쉬운 3 내지 30질량%의 경우,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라는 조건을 확보하기 쉽게 된다. 한편,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함유량은 5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lso about the content rate of the metallic pigment 5, If the ratio which occupies for the 1st film 3 is less than 3 mass%, the force which conceals the aluminum plate 2 which the 1st film 3 is a raw material has Since it will fall, a rolling roll eye will be seen and the appearance will fall. In addition, since the aluminum plate 2 is not concealed similarly,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a condition that the integral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is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On the other hand, even when it exceeds 30 mass%, the infrared emission rate of the 1st film 3 will rather fall, and it will become difficult to ensure the conditions that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i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 This is because when the content rate is too high, the aluminum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film 3 increases, and the aluminum plate 2 serving as the raw material is exposed. That is, in the case of 3-30 mass% which is easy to ensure the state which content of the aluminum past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concealed, covering up the aluminum plate 2 which is a raw material becomes below a fixed, it is a wavelength. It becomes easy to ensure the conditions that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is infrared rays of 3-30 micrometers i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On the other h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content of an aluminum paste is 5-20 mass%.

[첨가제 A] [Additive A]

첨가제 A(5)는, 제 1 피막(3)에 대하여 규정되어 있는 표면의 산술평균 조도(Ra)를 0.1μm 이상 5μm 이하로 하여,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을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피막(3)의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다. Additive A (5) sets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prescribed | regulated with respect to the 1st film 3 to 0.1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and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is 25 degreeC In order to ensure at 0.6 or more, it is made to contain in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of the 1st film 3. As shown in FIG.

상기의 조건, 즉,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 들어맞는 한에 있어서, 첨가제 A(5)의 종류, 크기, 형태, 첨가량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As long as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is 0.6 or more at the above conditions, the kind, size, shape, addition amount, etc. of the additive A (5) are particularly limited. no.

이 목적에 바람직한 첨가제 A(5)의 구체예로서는, 산화티타늄, 황화아연, 산화아연(아연화), 황산바륨, 카본 블랙, 흑연,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 알루미늄 페이스트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additive A (5) preferred for this purpose include titanium oxide, zinc sulfide, zinc oxide (zinc oxide), barium sulfate, carbon black, graphite, silica, alumina, resin beads, aluminum paste, and the like.

제 1 피막(3)의 두께를 될 수 있는 한 얇게 할 수 있는 편이 경제적이다. 이 관점에서,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 향상 효과가 높은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판(2)으로부터의 반사를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첨가제 A로서 알루미늄 페이스트도 유효하다. 이것에 의해,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도 높은 값으로 안정된다. It is more economical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3 as thin as possible. From this point of view,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and resin beads having high integrated emissivity improving effect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are preferable. Moreover, an aluminum paste is also effective as an additive A from a viewpoint of suppressing reflection from the aluminum plate 2. Thereby,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is also stabilized by a high value.

[첨가제 A의 바람직한 함유율: 3 내지 70질량%] [Preferable Content of Additive A: 3 to 70 Mass%]

첨가제 A(5)의 함유율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 1 피막(3)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질량% 미만이면,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막 두께가 두껍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게 된다. 한편, 70질량%를 초과하면, 제 1 피막(3)이 취성이 되어 성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배합 비율은 3 내지 70질량%가 바람직하다. 한편, 5 내지 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content rate of the additive A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ither, but if the proportion of the first film 3 is less than 3% by mass, the integral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is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The film thickness for satisfying becomes thick and it is not economical.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70 mass%, the 1st film 3 will become brittle and moldability will fall. Therefore, the blending ratio is preferably 3 to 70% by mass. On the other h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60 mass%.

[제 1 피막의 겔분율: 50% 이상] [Gel fraction of first coating: 50% or more]

본 발명에서는, 제 1 피막(3)의 겔분율을 50% 이상으로 한다. 겔분율은, 열경화성 수지 피막의 가교 반응도의 가늠이 되는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본래라면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 단독의 겔분율을 의논해야 되지만, 제 1 피막(3)은,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 이외에 백색 안료(5)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기 때문에,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의 베이스 수지만의 겔분율을 엄밀히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피막(3)의 겔분율로 대용하여, 이 겔분율로 규정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l fraction of the first film 3 is made 50% or more. Since the gel fraction is a parameter of the crosslinking reaction degree of the thermosetting resin film, the gel fraction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alone should be discussed, but the first film 3 i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Since the white pigment (5) is inclu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in addition to), it is difficult to strictly measure the gel fraction of the base resin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Therefore, in this invention, it substitutes by the gel fraction of the 1st membrane | film | coat 3, and is prescribed | regulated by this gel fraction.

제 1 피막(3)의 겔분율을 50% 이상으로 하면, 제 1 피막(3)을 형성하는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의 가교 밀도가 높아, 사용 환경에서 요구되는 내약품성, 내열성,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제 1 피막(3)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겔분율은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겔분율이 75% 이상이 되면, 내약품성, 내열성, 가수분해성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겔분율은 크면 클 수록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겔분율의 상한치는 특별히 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겔분율을 50% 이상으로 하기 위해, 도막을 소부할 때의 소부 온도는, 150 내지 28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first film 3 is 50% or more,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forming the first film 3 is high, and the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required in the use environment are high. The first film 3 excellent in decomposability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se effects, the gel fraction is preferably 65% or more. When the gel fraction is 75% or more, the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hydrolysis resistance are further higher, and therefore,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rger the gel fraction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the upper limit of the gel fraction does not need to be specifically defined.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a gel fraction 50%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k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baking a coating film shall be about 150-285 degreeC.

겔분율의 측정 방법은, JIS K6796에 준거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단, 추출 용제는 자일렌이 아니라 2-뷰탄온(MEK(메틸 에틸 케톤))을 사용한다). 즉, 비등시킨 2-뷰탄온 중에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공시재를 60분간 침지하고, 침지 전후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질량 변화를 측정한다. 그 후, 제 1 피막(3)만을 완전 용해시킨 알루미늄판(2)의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제 1 피막(3)만의 질량 변화를 계산하고, 2-뷰탄온에 용출하지 않은 성분은 가교 반응하고 있다는 가정을 기초로, 그 비율을 겔분율로서 산출한다. 한편, 후기하는 제 2 피막(6)의 겔분율도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method of a gel fra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method based on JISK6796 (however, extraction solvent uses 2-butanone (MEK (methyl ethyl ketone) instead of xylene). That is, the test material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is immersed for 60 minutes in the boiled 2-butanone, and the mass change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before and after immersion is measured. Then, the mass change of only the 1st coating film 3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mass of the aluminum plate 2 which melt | dissolved only the 1st coating film 3 completely, and the component which eluted in 2-butanone is crosslinking-reacting. Based on the assumptions, the ratio is calculated as the gel fraction. In addition, the gel fraction of the 2nd film 6 mentioned later can also be measured similarly.

[제 1 피막의 L*값: 85 이상] [L * value of the first film: 85 or more]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피막(3)은 L*값이 85 이상으로 한다. L*값은 물질의 색을 표현하는 명도, 채도, 색상 중의 명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수치가 높을 수록 밝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은 조명기기에의 적용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기기가 발하는 빛이 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을 이용한 성형품의 표면에 도달했을 때, L*값이 높은 편이 밝아진다. L*값이 85 미만이면, 조명기기에 사용했을 때에 밝음이 저하된다. 또 L*값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ating film 3 has an L * value of 85 or more. L * value is the numerical value which shows the brightness, saturation, and brightness in a hue which express the color of a substance, The higher the value, the brighter it is. Since the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application to a lighting device,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reaches the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us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molding, The higher the L * value, the brighter it is. If the L * value is less than 85, the brightness deteriorates when used for a lighting devic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L * value is 90 or more.

L*값의 측정은, L*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정해진 JIS 규격을 충족하는 시판의 분광 측색계나 색채색차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of the L * value can be measu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spectrophotometer, a chromatic color difference meter, or the like that satisfies a specified JIS standard in order to measure the L * value.

[제 1 피막의 산술평균 조도(Ra): 0.1μm 이상 5μm 이하][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first film: 0.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본 발명에서는, 제 1 피막(3)의 표면의 산술평균 조도(Ra)를 0.1μm 이상 5μm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은,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성형품을 제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을 가공하는 공구와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이 일어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성형품의 외면이 되는 제 1 피막(3)의 표면에 눈에 띄는 흠집이 존재하면 성형품의 상품 가치를 현저히 저하시켜 버린다. 제 1 피막(3)의 표면의 산술평균 조도(Ra)가 0.1μm 미만이면, 제 1 피막(3)의 표면의 외관이 경면에 가까워져, 미소한 흠집이라도 매우 눈에 띄고 말아 내흠집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제 1 피막(3)의 산술평균 조도(Ra)는 0.1μm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In this inventio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is made into 0.1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of this invention presupposes that a molded article is produced by drawing processing etc. At this time, when a sliding motion occurs between the tool for process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molding and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molding, and scratches occur on the surface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molding. There is. If a noticeable flaw exists in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used as the outer surface of a molded article here, the commodity value of a molded article will fall remarkably. If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is less than 0.1 micrometer,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will be close to a mirror surface, and even a small scratch will be very noticeable, and the scratch resistance will fall. do. For this reason,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1st film 3 needs to be 0.1 micrometer or more.

한편, 제 1 피막(3)의 표면은, 표면 조도가, 산술평균 조도(Ra)로 0.25μm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은,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성형품이 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알루미늄판(2)의 변형량이 큰 드로잉 가공에 있어서는, 속건성 프레스유를 사용한 세정레스(洗淨less) 기술이 충분히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 고점도의 방청유나 에멀젼형의 왁스를 사용하여 성형한 후, 세정제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프레스유나 마모 가루의 제거를 행하는 방법이 많이 채용된다. 여기서, 비등 염소계 세정제를 이용한 가혹한 세정까지 상정한 경우, 표면 조도가, 산술평균 조도(Ra)로 0.25μm 미만이면, 비등 염소계 세정제 중에서 성형품의 제 1 피막(3)끼리가 마주 본 경우, 제 1 피막(3)끼리의 사이에 택(tackiness)이 생기기 시작하여, 지독한 경우는 성형품끼리 들러붙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세정 공정에서의 제 1 피막(3)끼리의 들러붙음은, 프리코트 피막(3)의 표면의 평활성이 크게 관여하고 있어, 제 1 피막(3)의 산술평균 조도(Ra)가 0.25μm 이상이 되면, 일견 접촉하는 것처럼 보이는 제 1 피막(3)의 표면끼리의 사이에 마이크로한 공극이 생겨, 실제로 물리적 접촉하고 있는 표면적이 작게 되기 때문에, 성형품끼리의 들러붙음이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피막(3)의 표면은, 표면 조도가, 산술평균 조도(Ra)로 0.25μm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becomes 0.25 micrometer or more i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of this invention presupposes that it becomes a molded article by drawing processing, in drawing processing with a large deformation amount of the aluminum plate 2, a quick-drying press oil is used. The used washingless technique is not sufficiently established. Therefore, after shaping | molding using high viscosity rustproof oil or emulsion type wax, the method of removing unnecessary press oil and abrasion powder using a washing | cleaning agent is employ | adopted a lot. Here, when it is assumed even the severe washing | cleaning using a boiling chlorine-type cleaner, when surface roughness is less than 0.25 micrometer by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when the 1st film | membrane 3 of the molded article opposes in a boiling chlorine-type cleaner, 1st Tackiness begins to form between the coatings 3, and in a severe case, moldings may stick to each other. As for the sticking of the 1st coating films 3 in this washing | cleaning process,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of the precoat film 3 is largely involved, and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1st coating film 3 is 0.25 micrometer. If abnormality arises, micro voids arise between the surfaces of the first coating film 3, which appear to be in contact at first glance, and the surface area which is actually in physical contact becomes small, so that sticking of the molded articles is suppressed. Therefore, as above-mentioned, it is preferable that surface of the 1st film 3 becomes 0.25 micrometer or more i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한편, 제 1 피막(3)의 표면의 산술평균 조도(Ra)가 5μm를 초과하면, 표면 조도가 지나치게 커져, 피막 표면이 꺼끌거리게 된다. 이 결과, 제 1 피막(3)의 표면의 요철이 커지기 때문에, 오목부에 땀 등의 오염이 괴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성형품을 사용함에 따라서 볼품이 나빠져, 표면 외관이 열화된다. 또한, 제 1 피막(3)의 표면의 산술평균 조도(Ra)가 5μm를 초과하면, 성형에 의해 제 1 피막(3)이 응력을 받은 경우에, 응력이 제 1 피막(3)의 막 두께가 얇은 부분, 즉 제 1 피막(3)의 표면 요철의 오목부에 집중하여 제 1 피막(3)이 깨어지기 쉽게 되어, 성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피막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Ra)는 5μm 이하로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exceeds 5 micrometers, surface roughness will become large too much and a film surface will become noisy. As a result, since the unevenness | corrugation of the surface of the 1st membrane | film | coat 3 becomes large, contamination, such as sweat, becomes easy to stick to a recessed part. For this reason, as a result of using this molded article, the appearance of the article deteriorates and the surface appearance deteriorates. Moreover, when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1st film 3 exceeds 5 micrometers, when the 1st film 3 is stressed by shaping | molding, a stress will be the film thickness of the 1st film 3 The first film 3 tends to be broken at the thin portion, that is, the concave portion of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first film 3, and the moldability is lowered. Therefor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a film surface shall be 5 micrometers or less.

한편, 제 1 피막(3)의 산술평균 조도(Ra)는, 제 1 피막(3) 중에 포함되는 첨가제 A(5)의 입자경이나 배합 비율, 피막 두께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피막(3)의 산술평균 조도(Ra)의 측정은, 시판되고 있는 표면 조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first film 3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article diameter, the blending ratio, the film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additive A (5) contained in the first film 3.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1st film 3 can be measu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제 1 피막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with a Wavelength of 3 to 30 μm of the First Film: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피막(3)은,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을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으로 한다. 방사율은, 물체 표면에서의 적외선 방사능을 흑체 표면에서의 적외선 방사능으로 나눈 비례 계수이며, 특정한 온도에서의 특정 파장의 빛에 대하여 정의된다. 취득되는 수치는 0(백체)부터 1(흑체)의 범위이며, 숫자가 클 수록 적외선 방사능이 크다. 이것을 어느 범위의 파장 영역에서 적분한 것이 적분 방사율이다. 플랑크(Planck)의 방사식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온도 영역인 실온 부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0 내지 100℃의 실용 온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적외선의 파장은, 파장 영역이 3 내지 30μm인 범위에 집중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 파장 영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파장 영역의 적외선은 무시해도 좋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25℃에서의 3 내지 30μm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에 한정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ating film 3 has an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at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Emissivity is a proportional coefficient obtained by dividing infrared radiation on the surface of an object by infrared radiation on the surface of a black body, and is defined for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t a specific temperature. The acquired value ranges from 0 (white) to 1 (black), and the larger the number, the greater the infrared radiation. The integral emissivity is what integrates this in the wavelength range of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Planck's radiation, the wavelength of infrared rays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room temperature, more specifically in the practical temperature range of 0 to 100 ° C, is within the range of 3 to 30 μm. It is concentrated. In other words, the infrared rays in the wavelength region deviating from the range of this wavelength region can be ignored. 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it is limited to the infrared rays of the wavelength range of 3-30 micrometers in 25 degreeC.

제 1 피막(3)에 대한, 파장 3 내지 30μm에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0.6 미만이면, 제 1 피막(3)의 표면에서 적외선으로서 열을 방출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제품을 냉각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한편, 상기한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은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f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at the wavelength of 3 to 30 µm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m 3 is less than 0.6, the ability to emit heat as infrared light on the surface of the first film 3 is lowered, and the ability to cool the product is reduced. Lack.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gral emissivity of said infrared rays is 0.7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8 or more.

제 1 피막(3)에 대한, 파장 3 내지 30μm에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은, 시판되고 있는 간이 방사율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푸리에 변환 적외분광광도계(FTIR)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The emissivity of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 in the wavelength of 3-30 micrometers with respect to the 1st film 3 can be measu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simple emissometer, and using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 etc. It can be measured.

[제 1 피막의 바람직한 막 두께: 15μm 이하][Preferable film thickness of the first film: 15 μm or less]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피막(3)의 막 두께는 1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대로 본 발명에서는 제 1 피막(3)이나 제 2 피막(6)의 형성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도포량이 균일하게 됨과 함께 작업이 간편한 롤 코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롤 코터로, 1코팅으로 도장할 수 있는 피막 두께는 대략 1 내지 20μm 정도로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뛰어난 외관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복수의 로트(lot)에 걸쳐 안정된 외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피막 두께는 15μm 이하로 머무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외관이 우수한 피막을, 1코팅으로 경제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first film 3 is preferably 15 μm or less. As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film 3 or the second film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roll coater having a uniform coating amount and easy operation. As a general roll coater, the coating thickness that can be coated by one coating is about 1 to 20 μm, but in applications where an excellent appearance is requir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cure a stable appearance over a plurality of lots It is desirable to keep the thickness at 15 μm or l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economically form a film having excellent appearance with one coating.

[기타] [Etc]

제 1 피막(3)에는,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로, 소량의 백색 이외의 착색제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The 1st film 3 can be made to contain the coloring agent other than a small amount of white, and the additive which provides various functions in the range which exhibits the desired effect of this invention.

예컨대, 성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카나바 왁스, 미소결정질(microcrystaline) 왁스, 라놀린, 테플론(등록상표) 왁스, 실리콘계 왁스, 흑연계 윤활제, 몰리브덴계 윤활제 등의 윤활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등에서 요구되는 접지 확보를 목적으로 한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전성 미립자로서, 예컨대, 니켈 미립자를 비롯한 금속 미립자, 금속 산화물 미립자, 도전성 카본, 흑연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시킬 수 있다. 그 위에, 방오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불소계 화합물이나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그 이외에 항균제, 방곰팡이제, 탈취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방청 안료, 체질 안료 등을,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한, 함유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moldability, for example, lubricants such as polyethylene wax, canava wax, microcrystaline wax, lanolin, Teflon® wax, silicone wax, graphite lubricant, molybdenum lubricant, It can be contained 1 type or 2 or more types. In addition, as the conductive fine particles for imparting conductivity for the purpose of securing grounding required in electronic devices, etc., for example, metal fine particles including nickel fine particles, metal oxide fine particles, conductive carbon, graphite and the like can be contained. have. On the other hand, when antifouling property is required, a fluorine compound or a silicone compound may be contained. In addition, antimicrobial agents, fungicides, deodorant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rust preventive pigments, extender pigments and the like can be contained as long as the desire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hibited.

<제 2 피막> <The second film>

제 2 피막(6)은,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8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와, 이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 중에 분산된 첨가제(8)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제 2 피막(6)은,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겔분율이 50% 이상을 만족시킨다. The second film 6 i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7) obtained by crosslinking a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 to 80 ° C with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and the crosslinking polyester resin ( And 7) the additive 8 dispersed in it. This second film 6 satisfies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of 0.6 or more and the gel fraction of 50%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 [Crosslinked Polyester Resin]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는, 제 2 피막(6)의 주성분이 되는 것으로,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8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여 분자간 가교 반응시킨다.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7 becomes a main component of the second film 6, and the intermolecular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 to 80 ° C. using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Let's do it.

폴리에스터 수지인 것의 필요성, 분자간 가교를 행하는 것의 필요성과 이점, 폴리에스터 수지의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의 예, 및 유리 전이 온도의 설명에 관해서는, 제 1 피막(3)에 사용하는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의 설명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The necessity of being a polyester resin, the necessity and advantage of intermolecular crosslinking, examples of the polyhydric alcohol and polybasic acid which can be used as components of the polyester resin, and the description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re used in the first film 3.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description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mentioned above, it abbreviate | omits.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형상 성형품으로 했을 때에 내면이 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제 2 피막(6)에 포함되는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는, 그 유리 전이 온도는 0 내지 80℃의 범위인 것이 필요하다. 제 1 피막(3)은 용기 형상 성형품의 제품 외면이 되기 때문에, 유리 전이 온도가 25℃ 미만이면, 피막이 지나치게 부드럽게 되어 흠집이 생기기 쉽게 되는 과제가 있었지만, 용기 형상 성형품의 제품 내면이 되는 제 2 피막(6)은 내흠집성을 그 정도로 고려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25℃ 미만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단, 0℃ 미만으로 하면 표면의 택감이 강하게 되어,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코일로서 권취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0℃ 이상일 필요가 있다. 80℃를 초과하면,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가공성이 저하되어, 성형 가능한 형상이 한정되어 버린다. 특히, 제품 내면이 되는 제 2 피막(6)은, 회로 기판 등이 인접하기 때문에, 가공을 받은 피막이 탈락하면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 점에서 제품 외면이 되는 제 1 피막(3)보다는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을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리 전이 온도는 25 내지 80℃인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is inven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7 contained in the 2nd film 6 which is supposed to become an inner surface when it is set as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needs to be the range of 0-80 degreeC. Do. Since the 1st film 3 becomes a product outer surface of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25 degreeC, there existed a subject that the film | membrane became too soft and a flaw was easy, but the 2nd film used as the product inner surface of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Since (6) does not have to consider the scratch resistance to such an extent, it can be used even if it is less than 25 degreeC. However, when it is less than 0 degreeC, since the surface feel becomes strong and it becomes difficult to wind up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shaping | molding as a coil, it needs to be 0 degreeC or more. When it exceeds 80 degreeC, the workability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falls, and the shape which can be shape | molded will be limited. In particular, since the circuit board etc. adjoin the 2nd film | membrane 6 used as an inner surface of a product, when a processed film | membrane falls out, it will cause a malfunction. In this respect, it is preferable to lower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first film 3 serving as the product outer surface.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5-80 degreeC, and, as f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5-65 degreeC.

[첨가제] [additive]

첨가제(8)는, 제 2 피막(6)에 대하여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피막(6)의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 중에 함유시킨다. The additive 8 is for ensuring an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μm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lm 6 at a temperature of 25 ° C. or higher, and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of the second film 6 ( 7) to contain.

상기 조건, 즉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 들어맞는 한에 있어서, 첨가제(8)의 종류, 크기, 형태, 첨가량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The kind, size, shape, addition amount, etc. of the additive 8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is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이 목적에 바람직한 첨가제(8)의 구체예로서는,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적어도 1종류 이상 포함시킬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additive 8 preferred for this purpose include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resin beads, and the like, and at least one of them can be included.

[첨가제의 바람직한 함유율: 5 내지 70질량%] [Preferable Content of Additives: 5 to 70% by Mass]

첨가제(8)의 함유율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 2 피막(6)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질량% 미만이면,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막 두께가 두껍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게 된다. 한편, 70질량%를 초과하면, 제 2 피막(6)이 취성이 되어 성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함유율은 5 내지 70질량%가 바람직하다. 한편, 5 내지 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lso about the content rate of the additive 8, but when the ratio which occupies for the 2nd film 6 is less than 5 mass%,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satisfy | fill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degreeC. In order to make the film thickness thicker, it is not economical.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70 mass%, the 2nd film 6 will be brittle and moldability will fall. Therefore, as for content rate, 5-70 mass% is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60 mass%.

[제 2 피막의 겔분율: 50% 이상] [Gel fraction of second coating: 50% or more]

본 발명에서는, 제 2 피막(6)의 겔분율을 50% 이상으로 한다. 이렇게 수치를 한정하는 이유는, 제 1 피막(3)의 겔분율의 한정 이유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겔분율의 대상을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가 아니라 제 2 피막(6)으로 하는 것이나, 측정 방법에 관해서도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l fraction of the second coating 6 is 50% or more. The reason for limiting the numerical value in this manner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reason for limiting the gel fraction of the first coating film 3. Since the object of a gel fraction is not made into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7 but the 2nd film 6, and the measuring method is the same, it abbreviate | omits.

제 2 피막(6)의 겔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6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75% 이상이다. 겔분율은 크면 클 수록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겔분율의 상한치는 특별히 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겔분율을 5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도막을 소부할 때의 소부 온도는 150∼28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el fraction of the second coating 6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6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75% or more. Since the larger the gel fraction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the upper limit of the gel fraction does not need to be specifically defined.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a gel fraction 50% or more, it is preferable to set bak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baking a coating film to about 150-285 degreeC.

[제 2 피막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 25℃의 온도에서 0.6 이상][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with a Wavelength of 3 to 30 μm of the Second Film: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피막(6)은,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으로 한다. 제 2 피막(6)의, 파장이 3 내지 30μm에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0.6 미만이면, 제 2 피막(6)의 표면에서 적외선으로서 열을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제품을 냉각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방사율은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ating film 6 has an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at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If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at the wavelength of 3 to 30 µm of the second coating 6 is less than 0.6, the ability to absorb heat as infrared rays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coating 6 is lowered, and the ability to cool the product is reduced. Lack.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missivity of this invention is 0.7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8 or more.

[제 2 피막의 바람직한 막 두께: 15μm 이하] [Preferable film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15 μm or less]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피막(6)의 막 두께는 1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피막(3)과 비교하면 제 2 피막(6)은 외관에 대한 요구는 엄하지 않지만, 본 발명과 같이 뛰어난 방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복수의 로트에 걸쳐 안정된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피막 두께는 15μm 이하로 머무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열성이 우수한 피막을, 1코팅으로 경제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6 is preferably 15 μm or less. Compared with the first film 3, the second film 6 is not severely demanded for its appearance, but in applications where excellent heat dissipation is requir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n integrated emissivity of stable infrared rays over a plurality of lot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kept at 15 µm or l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economically form a film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with one coating.

[기타] [Etc]

제 2 피막(6)에는,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로, 착색제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The 2nd film 6 can be made to contain the coloring agent and the additive which provides various functions in the range which exhibits the desired effect of this invention.

예컨대, 성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1 피막(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윤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등에서 요구되는 접지 확보를 목적으로 한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제 1 피막(3)에서 설명한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그 이외에, 산화방지제, 방청 안료, 체질 안료 등을,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한, 함유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moldability, it is possible to contain a lubricant as described in the first film 3. Moreover, in order to provide the electroconductivity for the purpose of ensuring grounding requested | required by an electronic device, etc., the electroconductive fine particle demonstrated by the 1st film 3 can be contained. In addition, antioxidant, an rust preventive pigment, a extender pigment, etc. can be contained as long as the desired effect of this invention is exhibited.

이상,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be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It can change into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range of this invention.

예컨대, 알루미늄판(2)의 표면에, 하지 처리에 의해, 하지 처리 피막(도시 생략)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For example, a ground treatment film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by a ground treatment.

<하지 처리> <Not processed>

알루미늄판(2)의 표면은, 제 1 피막(3)과의 밀착성이나 제 2 피막(6)과의 밀착성, 및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서, 하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하지 처리로서는, Cr, Zr 또는 Ti를 함유하는 종래 공지된 반응형 하지 처리 피막 및 도포형 하지 처리 피막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인산 크로메이트 피막, 크롬산 크로메이트 피막, 인산 지르코늄 피막, 산화지르코늄 피막, 인산 티타늄 피막, 도포형 크로메이트 피막, 도포형 지르코늄 피막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피막에 유기 성분을 조합시킨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형의 하지 처리 피막이라도 좋다. 한편, 최근, 환경 대응의 흐름으로부터 6가 크롬이 꺼려지는 경향이 있어, 6가 크롬을 포함하지 않는 인산 크로메이트 피막이나, 인산 지르코늄 피막, 산화지르코늄 피막, 인산 티타늄 피막, 도포형 지르코늄 피막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hat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may improve adhesiveness with the 1st coating film 3, adhesiveness with the 2nd coating film 6, and corrosion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ground process. As a preferable base treatment, the conventionally well-known reaction type base coating film and coating type base coating film containing Cr, Zr, or Ti can be used. That is, a chromate phosphate film, a chromate chromate film, a zirconium phosphate film, a zirconium oxide film, a titanium phosphate film, a coated chromate film, a coated zirconium film, etc. can be used suitably. An organic-inorganic hybrid type base treatment film in which organic components are combined with these films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hexavalent chromium tends to be retarded from the flow of environmental response, and a chromate phosphate coating, zirconium phosphate coating, zirconium oxide coating, titanium phosphate coating, coated zirconium coating, etc., which do not contain hexavalent chromium are used. It is desirable to.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지 처리 피막의 막 두께로서, 하지 처리 피막 성분 중에 포함되는 Cr, Zr 또는 Ti의 알루미늄판(2)에의 부착량(금속 Cr, 금속 Zr 또는 금속 Ti 환산치)을, 예컨대, 종래 공지된 형광 X선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편하고 또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품질 관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하지 처리 피막의 부착량으로서는, 금속 Cr, 금속 Zr 또는 금속 Ti 환산치로 10∼50m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량이 10mg/m2 미만이면, 알루미늄판(2)의 전면을 균일하게 피복할 수 없고, 제 1 피막(3)이나 제 2 피막(6)과의 밀착성, 및 내식성이 저하된다. 또한, 50mg/m2를 초과하면,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을 성형했을 때에, 하지 처리의 피막 자체에 균열이 생기기 쉽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lm thickness of the undercoat coating, the adhesion amount (calculated in terms of metal Cr, metal Zr or metal Ti) of Cr, Zr or Ti contained in the undercoat coating component to the aluminum plate 2 is, for example, conventionally. Since a known fluorescent X-ray method can be used to measure relatively easily and quantitatively, the quality control of the precoat aluminum sheet 1 for molding can be performed without impairing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50 mg / m <2> in conversion amount of a metal Cr, a metal Zr, or a metal Ti as an adhesion amount of a base treatment film. If the adhesion amount is less than 10 mg / m 2 , the entir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cannot be uniformly coated, and the adhesion to the first coating 3 and the second coating 6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are lowered. Moreover, when it exceeds 50 mg / m < 2 >, when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is shape | molded, a crack arises easily in the film | membrane itself of a base process.

또한, 생산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알루미늄판(2)의 표면에 양극 산화처리나 전해 에칭 처리 등의 종래 공지된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이들 처리를 행하면, 알루미늄판(2)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피막(3)과의 밀착성이나 제 2 피막(6)과의 밀착성이 크게 향상된다. In addition, when productivity is not considered, conventionally well-known processes, such as anodizing process and an electrolytic etching process, can also be performed to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When these processes are performed, fine unevenness | corrugation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and the adhesiveness with the 1st film 3 and the adhesiveness with the 2nd film 6 are improved significantly.

또한, 내식성을 그 정도로 요구하지 않고 간이한 방법으로 끝내고 싶은 경우에는, 알루미늄판(2)의 표면을 탈지 처리만 하는 수법이라도 상관 없다. 탈지의 수법으로서는, 유기계 약제에 의한 탈지, 계면활성제계 약제에 의한 탈지, 알칼리계 약제에서의 탈지, 산계 약제에 의한 탈지 등,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단, 유기계 약제나 계면활성제계 약제의 경우에는, 탈지 능력이 약간 뒤떨어지기 때문에, 알칼리계 약제나 산계 약제에 의한 탈지 쪽이 생산성은 좋게 된다. 알칼리계 약제의 탈지 능력은, 사용하는 알칼리의 주성분, 농도, 처리 온도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지만, 탈지 능력을 강하게 한 경우에는, 많은 스머트(smut)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후의 수세를 충분히 하지 않으면, 오히려 제 1 피막(3)이나 제 2 피막(6)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알루미늄판(2)에, 첨가 원소로서 마그네슘을 많이 포함하는 품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칼리계 약제로서는, 마그네슘이 표면에 남아 제 1 피막(3)과의 밀착성이나 제 2 피막(6)과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산계 약제를 사용 또는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finish by a simple method without requiring such corrosion resistance, the method of only degreasing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may be sufficient. As the degreasing method,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such as degreasing with an organic drug, degreasing with a surfactant drug, degreasing with an alkali drug, or degreasing with an acid drug can be used. However, in the case of an organic chemical | medical agent or surfactant chemical | medical agent, since the degreasing ability is slightly inferior, the degreasing by an alkali chemical | medical agent or an acidic chemical | medical agent becomes good productivity. The degreasing ability of the alkali chemicals can be controlled by the main component, the concentration, and the treatment temperature of the alkali used. However, when the degreasing ability is strengthened, many smuts are generated. If not, the adhesiveness of the 1st film 3 and the 2nd film 6 may fall rather. In addition, when using the varieties containing much magnesium as an addition element for the aluminum plate 2, as an alkaline chemical | medical agent, magnesium remains on the surface, adhesiveness with the 1st film 3, and 2nd film 6 Adhesiveness with may fall.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or use an acidic chemical | medical agent.

《용기 형상 성형품》<<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형상 성형품(10)은, 본 발명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을 사용하여, 제 1 피막(3)이 용기 형상 성형품(10)의 외면, 제 2 피막(6)이 용기 형상 성형품(10)의 내면이 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내면, 외면 모두 드로잉 가공에 추종하는,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성형성)을 가짐과 아울러, 열원에 가까운 내면측에서는 효율적으로 열을 흡수하고, 외면측에서는 효율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로서는 우수한 방열성을 갖게 된다. 더욱이 제품 외면으로서 육안에 노출되는 외면측은 밝고 아름다운 백색 외관을 갖고, 가시광 반사성도 우수한, LED 전구의 히트 싱크에 알맞은 용기 형상 성형품이 얻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coating 3 i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10. And the second film 6 is molded so as to be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shaped molded product 10.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have excellent drawing processability (formability) that follows the drawing process, heat can be efficiently absorbe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close to the heat source, and heat can be efficiently released from the outer surface side. The container has excellent heat dissipation. Moreover, the outer surface side exposed to the naked eye as a product outer surface has a bright and beautiful white appearance, and the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suitable for the heat sink of LED bulb which is excellent also in visible light reflection is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형상 성형품(10)은, LED 전구에의 적용을 시야에 넣은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용도를 특별히 제한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성형성, 방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자기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가공 형상은 용도에 따라 원통 딥 드로잉 형상, 각통 드로잉 형상뿐만 아니라, 굽힘 가공에 의한 상자형 광체(도 5(a) 참조)로 해도 좋다. 또한 용기는 유저(有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멍이 빈 형상이라도 좋다.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pplication to the LED bulb is put into the field of view. Applicable to the application. The work shape may be not only a cylindrical deep drawing shape and a square drawing shape, but also a box-like housing (see Fig. 5 (a)) by bending. In addition, a container is not limited to a user shape, A hole shape may be sufficient.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

다음으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적절히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is demonstrated suitably with reference to FIG.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1)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알루미늄판(2)의 한쪽 측면에 제 1 피막(3)을 형성하고, 알루미늄판(2)의 다른 쪽 측면에 제 2 피막(6)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1 for shaping | molding, the 1st film 3 is formed in one sid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and the 2nd film 6 is provided i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As shown in FIG. What should just be formed is not restrict | limited.

제 1 피막(3)은,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4)의 원료가 되는 폴리에스터 수지,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백색 안료(5)를 포함하는 도료를,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알루미늄판(2)의 한쪽 측면 상에 도포한 후, 가열에 의해 가교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피막(6)은,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7)의 원료가 되는 폴리에스터 수지,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첨가제(8)를 포함하는 도료를,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알루미늄판(2)의 다른 쪽 측면 상에 도포한 후, 가열에 의해 가교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The 1st coating film 3 is a conventionally well-known method of coating material containing the polyester resin used as a raw material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4, a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and the white pigment 5. After apply | coating on one sid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2, it can form by carrying out a crosslinking reaction by heating, and similarly, the 2nd film 6 is polyester which becomes a raw material of the crosslinked polyester resin 7 similarly. After coating the coating material containing resin, a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and the additive 8 on the other side of the aluminum plate 2 by a conventionally well-known method, and carrying out a crosslinking reaction by heating. It can form by.

도료를 도포하는 순서는 특별히 지정은 없고, 제 1 피막(3)용 도료를 한쪽 측면에 도포 후, 제 2 피막(6)용 도료를 다른 쪽 측면에 도포할 수도 있고, 제 2 피막(6)용 도료를 다른 쪽 측면에 도포 후, 제 1 피막(3)용 도료를 한쪽 측면에 도포할 수도 있고, 또는, 제 1 피막(3)용 도료, 제 2 피막(6)용 도료를 각각, 한쪽 측면 및 다른 쪽 측면에 동시에 도포하더라도 좋다. 또한,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한 가열도, 제 1 피막(3)용 도료, 제 2 피막(6)용 도료를 각각 도포한 후에 하나하나 차례로 가열하더라도 좋고, 제 1 피막(3)용 도료, 제 2 피막(6)용 도료를 양쪽 도포한 후, 동시에 가열하더라도 좋다. 한편, 제 1 피막(3), 제 2 피막(6)의 겔분율을 5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도료를 소부할 때의 소부 온도를 150 내지 28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rder of applying the paint is not particularly specified, and after applying the paint for the first coat 3 to one side, the paint for the second coat 6 may be applied to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coat 6 After apply | coating a paint for the other side, the paint for the 1st film 3 may be apply | coated to one side, or the paint for the 1st film 3, and the paint for the 2nd film 6, respectively, one side It may be applied to the side and the other side at the same time. Moreover, after apply | coating the heating degree for advancing a crosslinking reaction,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1st film 3, and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2nd film 6, respectively, you may heat one by one, and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1st film 3, agent After coating both the coating materials for 2 films 6, you may heat simultaneously.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the gel fraction of the 1st film 3 and the 2nd film 6 into 50% or mo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bak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baking a coating material about 150-285 degreeC.

여기서, 도료의 도포는, 솔, 롤 코터, 커튼 플로우 코터, 롤러 커튼 코터, 정전 도장기, 블레이드 코터, 다이 코터 등, 어느 쪽의 수단으로 행하더라도 좋지만, 특히, 도포량이 균일하게 됨과 함께 작업이 간편한 롤 코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코터로 도포하는 경우, 제 1 피막(3), 제 2 피막(6)의 막 두께의 제어는, 알루미늄판(2)의 반송 속도, 롤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 롤 사이의 누름압(닙압)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행하지만, 통상의 경우, 1회의 도포 작업에 의해서 도포되는 제 1 피막(3), 제 2 피막(6)의 두께는 1∼20μm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피막(3) 및 제 2 피막(6)은 각각 뛰어난 외관이나 뛰어난 방열성이 요구된다. 이들 특성을 복수의 로트에 걸쳐 안정되게 성능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 1 피막(3), 제 2 피막(6)의 두께는 15μm를 상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ating of the paint may be performed by any means such as a brush, a roll coater, a curtain flow coater, a roller curtain coater, an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 a blade coater, a die coater,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the coating amount becomes uniform and the work is performed. It is desirable to use a simple roll coater. When apply | coating with a roll coater, control of the film thickness of the 1st membrane | film | coat 3 and the 2nd membrane | film | coat 6 is a conveyance speed of the aluminum plate 2,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a roll, and the pressing pressure between rolls ( Nip pressure) or the like, but in general,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ating 3 and the second coating 6 applied by one coating operation is generally 1 to 20 µm. However, each of the first film 3 and the second film 6 in the present invention is required to have excellent appearance and excellent heat dissipation. In order to ensure performance stably over these lots,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1st film 3 and the 2nd film 6 shall be 15 micrometers upper limit.

실시예Examp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실시예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를 대비시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shaping |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and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concretely in contrast with the Example which satisfy | fills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hich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제 1 실시예]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에서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에 대해 검토했다. In Example 1,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was examined.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검토에 임하여, 소재로서 사용한 알루미늄판은, 합금번호 A1100-H24의 판 두께 0.3mm재를 사용했다. 이것을 약알칼리 탈지제로 알칼리 탈지한 후, 하지 처리로서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했다.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의 조건은 크롬 부착량으로 20mg/m2로 했다. 또한, 사용한 알루미늄판의 기계적 성질은, 인장 강도 130MPa, 내력 120MPa, 신도 8%였다. In examination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the aluminum plate used as a raw material used the 0.3-mm-thick material of alloy number A1100-H24. After alkali degreasing with a weak alkali degreasing agent, the phosphate chromate treatment was performed as a base process. The conditions for the phosphoric acid chromate treatment were 20 mg / m 2 in terms of chromium adhesion amount. In addi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used aluminum sheet were 130 MPa in tensile strength, 120 MPa in strength, and 8% in elongation.

다음으로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알루미늄판에 대하여, 우선 한쪽 측면에, 표 1 중의 제 1 피막용 도료란에 기재된 성분의 도료를 바 코터로 도포한 후, 가교 반응이 촉진되지 않을 정도의 100℃에서 60초간 가건조를 행하고, 다음으로 다른 쪽 측면에, 표 1 중의 제 2 피막용 도료란에 기재된 성분의 도료를 바 코터로 도포한 후, 소부 온도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시켜 도료를 가열함으로써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제조하여, No. 1∼43에 따른 공시재로 했다. 여기서, 제 1 막 두께 및 제 2막 두께가 25μm로 되는 No. 39에 대해서는 1회의 도장으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우선 10μm 바 코터로 도장하여 소부한 후, 나머지 15μm을 바 코터로 도장하여 2회째 소부하는 것을, 한쪽 측면, 다른 쪽 측면 각각에 대해서 실시했다. Next, about the aluminum plate subjected to the phosphate chromate treatment, first, on one side, the coating material of the component described in the first coating film for coating in Table 1 was applied with a bar coater, and then at 100 ° C. at which the crosslinking reaction was not promoted. Temporarily dry for 60 seconds, and then apply the coating material of the component described in the second coating film in Table 1 to the other side with a bar coater, and then change the baking temperature as shown in Table 1 to heat the coating material. By forming a precoat aluminum plate for molding, It was set as the test material according to 1-43. Here, the No. 1 in which the first film thickness and the second film thickness are 25 μm. For 39,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a film by one coating, the coating is first baked by a 10 μm bar coater, followed by a second coat by coating the remaining 15 μm with a bar coater fo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arried out.

한편, No. 40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전성에 특징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 구조의 특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드는 백색 안료가 포함되지 않고, 실리카는 포함되어 있고, 피막 두께가 매우 얇은 것을 들 수 있다. No. 41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광 디스크에의 상처 방지성에 특징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의 특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드는 백색 안료가 포함되지 않고, 가교 우레탄 비드가 포함되어 있고, 베이스 피막이 에폭시계인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No. 42는,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드로잉 가공성에 특징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 구조의 특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드는 백색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들 수 있다. No. 43은,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이며, 그 특징으로서는,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로 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점을 들 수 있다. Meanwhile, No. 40 is a test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conductivity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and as a characteristic of the film structure, the white pigmen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cluded, and silica is included and the film thickness is very thin. No. 41 is a test material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wound prevention property to the optical disc of patent document 2, As a characteristic of a film, the white pig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contained, crosslinked urethane bead is contained, and a base film is an epoxy type There is a point. Also no. 42 is a test material characterized by drawing processability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3, and the feature of the film structure is that the white pigment and additive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cluded. No. 43 is the test material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film of patent document 4, As the characteristic, the point which laminated the film which made aromatic nylon the base resin is mentioned.

한편, No. 43은,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로 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이기 때문에, 피막 형성 방법은 다른 예와 같이 도료를 바 코터 도장하는 방법이 아니라,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했다. 또한, 소부 온도 대신에 필름을 비정질화시키기 위한 재가열 급냉 처리의 온도를 표 1에 기재했다. Meanwhile, No. Since 43 is the test material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film which used the aromatic nylon of patent document 4 as a base resin, the film formation method was not the method of coating a coating material like the other example but the method of sticking a film.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reheating quenching treatment for amorphousizing the film instead of the baking temperature is shown in Table 1.

여기서, 표 1에 나타내는 베이스 수지란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멜라민은, 폴리에스터계 수지에 멜라민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폴리에스터아이소사이아네이트는, 폴리에스터계 수지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 우레아는, 에폭시계 수지에 우레아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 페놀은, 에폭시계 수지에 페놀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아크릴은, 분자내 가교형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것이다.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인 No. 43은, 사용한 필름의 성분인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란에 기재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각 수지에 있어서의 유리 전이 온도이며, 통상적 방법에 의해 시차 주사 열량 분석법(DSC법)에 의해서 측정한 것이다. Here, as for the polyester melamine described in the base resin column shown in Table 1, the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was mix | blended with polyester type resin, and polyester isocyanate mix | blends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with polyester type resin Epoxy urea is a compound in which a urea-based curing agent is blended with an epoxy resin, an epoxy phenol is a compound in which a phenol-based curing agent is blended with an epoxy resin, and epoxyacryl is an intramolecular cross-linked acrylic modified epoxy resin. . No. which is a test material laminated the film 43 described the aromatic nylon which is a component of the used film in the base resin column.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shown in Table 1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said each resin, and is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ethod) by a conventional method.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첨가제는, 백색 안료로서의 산화티타늄, 흑색 안료로서의 카본 블랙, 무기 미립자로서의 실리카와 알루미나, 유기 미립자로서의 가교 아크릴 비드, 가교 우레탄 비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했다. In addition, the additive shown in Table 1 used titanium oxide as a white pigment, carbon black as a black pigment, silica and alumina as inorganic fine particles, crosslinked acrylic beads as crosslinked organic particles, crosslinked urethane beads, etc. as needed.

한편, 백색 안료의 함유율 및 첨가제의 함유율은, 각각의 피막의 베이스 수지와 백색 안료 또는 첨가제를 포함시킨 건조 수지 피막의 질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질량%)로 했다. In addition, the content rate of a white pigment and the content rate of an additive were made into the ratio (mass%) to the mass of the dry resin film which contained the base resin of each film, and the white pigment or an additive.

(외관) (Exterior)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공시재에 대하여, 우선은 제 1 피막의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소재가 되는 알루미늄의 압연 롤 눈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양호(○), 압연 롤 눈이 보이는 은폐 부족의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About the test material manufactured as mentioned above, first,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1st film is visually evaluated, and the case where the rolling roll eye of aluminum used as a raw material is not seen is good ((circle)), and the rolling lack of the concealment lack which a rolling roll eye sees is seen. The case was evaluated as defective (×).

외관 평가 후, 제조한 공시재에 있어서의 필요 물성을 측정했다. 즉, 제 1 피막에 관해서는 L*값, 25℃에서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 피막의 겔분율을 측정하고, 제 2 피막에 관해서는 25℃에서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과 피막의 겔분율을 측정했다. After the external appearance evaluation, necessary physical properties in the prepared test material were measured. That is, the L * value of the first film,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 to 30 µm at 25 ° C, and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were measured, and the wavelength at 25 ° C of the second film was 3 to 30 µm. The integral emissivity of phosphorus infrared and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were measured.

한편, L*값, 25℃에서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측정 방법, 겔분율은 아래와 같이 하여 측정하여 평가했다. In addition, L * value and the measuring method and the gel fraction of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s in 25 degreeC are 3-30 micrometer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as follows.

(L*값의 측정) (Measurement of L * value)

L*값은, 코니카 미놀타사제의 분광측색계 CM-600d를 사용하여, 정(正)반사광을 포함하는 측정 모드(SCI 모드)로 측정했다. 광원은 JIS 등에서 표준광이라고 하는 D65를 사용했다. L * value was measured in the measurement mode (SCI mode) containing a specularly reflected light using the spectrophotometer CM-600d by Konica Minolta. As a light source, D65 called standard light was used by JIS.

제 1 피막의 L*값이 85 이상인 것을 양호, 85 미만인 것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It was good that the L * value of a 1st film was 85 or more, and the thing below 85 was evaluated as defect.

(파장이 3 내지 30μm에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의 측정) (Measurement of Emissivity of Integral Emissivity of Infrared at a Wavelength of 3 to 30 µm)

파장이 3 내지 30μm에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은, 시판되고 있는 간이방사율계(D and S사제 D&S Model AE)를 사용하여 25℃의 온도 조건하에서 측정했다. 한편, 이 간이방사율계의 측정 파장 영역은 3 내지 30μm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수치가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적분 방사율로 된다. The emissivity of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s 3-30 micrometers was measured on 25 degreeC temperature conditions us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simple emissivity meter (D & S Model AE by D and S compan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asurement wavelength range of this simple emissometer is 3-30 micrometers, the numerical value displayed becomes an integrated emissivity defined by this invention.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모두, 파장이 3 내지 30μm에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표 2 중에서 간단히 「적외선 방사율」이라고 기재)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인 것을 양호, 0.6 미만인 것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re good that the emissivity (infrared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diation at a wavelength of 3 to 30 μm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infrared emissivity” in Table 2) is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is less than 0.6. Evaluated.

(겔분율의 측정) (Measurement of gel fraction)

겔분율은, 제 1 피막과 제 2 피막을 따로따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내수 연마지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면의 이면에 형성된 피막을 제거했다. 즉, 제 1 피막을 갖는 시험재는, 내수 연마지로 공시재의 제 2 피막을 연마 제거하고, 이것을 10cm×10cm로 잘라내어 제작했다. 마찬가지로, 제 2 피막을 갖는 시험재는, 공시재의 제 1 피막을 연마 제거하고, 이것을 10cm×10cm로 잘라내어 제작했다. Since the gel fraction should measure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separately, the film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to be measured using the water resistant abrasive paper was removed. That is, the test material which has a 1st film | membrane grind | polishing-removed the 2nd film | membrane of a test material with water-resistant abrasive paper, and cut out this to 10 cm x 10 cm, and produced it. Similarly, the test material which has a 2nd film grind | polishing-removed the 1st film of a test material, and cut it into 10 cm x 10 cm, and produced it.

제작한 각 시험재는, 80℃에서 60분간 건조시킨 후, 초기 질량(a)을 측정하고, 다음으로 비등시킨 MEK(메틸 에틸 케톤) 중에 시험재를 60분간 침지하여 미가교 성분을 용출시킨 후, 150℃에서 60분간 건조시켜 피막 중의 잔존 MEK을 건조하고, 추출후 질량(b)을 측정했다. 최후로, 발연 질산 중에서 피막을 완전히 용해시켜, 알루미늄판만의 질량(c)을 측정했다. 여기서, (a)-(c)가 원래의 프리코트 피막만의 질량이며, (b)-(c)가 가교하고 있는 피막 질량이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겔분율이, 피막의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After each produced test material was dried for 60 minutes at 80 ° C, the initial mass (a) was measured, and the test material was immersed for 60 minutes in MEK (methyl ethyl ketone) which was then boiled to elute uncrosslinked components, It dried for 60 minutes at 150 degreeC, dried the residual MEK in a film, and measured the mass (b) after extraction. Finally, the film was completely dissolved in the fuming nitric acid, and the mass (c) of only the aluminum plate was measured. Here, since (a)-(c) is the mass of only the original precoat film, and (b)-(c) can be regarded as the mass of the crosslinked film, the gel fractio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t will show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a film.

겔분율(%)=((b)-(c)/(a)-(c))×100 Gel fraction (%) = ((b)-(c) / (a)-(c)) × 100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모두, 겔분율이 50% 이상인 것을 양호, 50% 미만의 것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ere evaluated to have a good gel fraction of 50% or more and less than 50% of a defective product.

또한, 상기한 공시재에 대하여, 성형성과, 성형 후의 세정 공정에 대한 내구성(세정내구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성형성과 세정내구성은, 아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Moreover, about the said test material, the moldability and the durability (wash durability) with respect to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after shaping | molding were evaluated. Moldability and washing durability were evaluated as follows.

(성형성) (Forming)

도 3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공시재의 성형성을 조사했다. By the process shown in FIG. 3, the moldability of the test material was investigated.

우선, 원통 블랭크 타발(打拔)후, 드로잉 가공을 행했다. 다음으로 재드로잉 가공으로, 12mmφ×15mmL의 원통 드로잉 성형품(중간 성형품)을 수득했다. 추가로, 중간 성형품에, 원통 측벽부의 판 두께 감소율이 20%가 되도록 아이어닝을 가하고, 트리밍을 행하여 최종 10mmφ×20mmL의 원통 용기 형상으로 가공하여, 최종 성형품을 수득했다. 여기까지의 공정에서, 제 1 피막이 원통 용기 형상의 외면,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표리면을 설정했다. 이 시점에서 수득된 최종 성형품에서의 피막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표 2 중의 성형성으로 했다. 한편, 프레스유로는 지방산 에스터와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에멀젼 왁스를 사용했다. 또한, 가공은 실온(35℃)에서만 실시했다. First, a drawing process was performed after the cylindrical blank punching. Next, by the redrawing process, the cylindrical drawing molded article (middle molded article) of 12 mm (phi) 15 mmL was obtained. Furthermore, ironing wa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molded product so that the plate | board thickness reduction rate of the cylindrical side wall part might be 20%, it was trimmed, it processed into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of 10 mm diameter x 20 mmL, and the final molded product was obtained. In the process to here, the front and back surface was set so that a 1st film might become an outer surface of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and a 2nd film might be an inner surface. The result of having evaluated the film state in the final molded article obtained at this point was made into the moldability of Table 2. On the other hand, as the press oil, an aqueous emulsion wax containing a fatty acid ester and a surfactant as a main component was used. In addition, processing was performed only at room temperature (35 degreeC).

피막 상태의 평가는, 성형성에 관해서는, 피막 박리 등의 이상이 없는 경우를 양호(○), 박리가 생긴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판정을 최종 성형품 외면에 대응하는 제 1 피막과, 최종 성형품 내면에 대응하는 제 2 피막 각각에 대하여 실시했다. Evaluation of the film state evaluated the case where there existed no abnormalities, such as peeling of a film, regarding moldability as good ((circle)) and the case where peeling generate | occur | produced as defect (x). This determination wa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first film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al molded product and the second film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nal molded product.

(세정내구성) (Wash durability)

염소계 세정제로서 트리클렌을 사용하여, 이것을 1리터 비등시켰다. 각 공시재에 대하여 20개의 상기 최종 성형품을 제작하여, 비등 트리클렌 중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외관을 확인했다. 각 공시재에 대하여 제작한 20개의 최종 성형품에 대하여, 피막의 용해, 피막의 박리, 피막의 변색, 피막의 상처, 피막끼리의 들러붙음 등의 표면 이상이 0개인 경우를 세정내구성이 양호(○), 표면 이상이 1개라도 있는 경우를 세정내구성이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Trickle was used as a chlorine-type cleaner, and it boiled 1 liter. Twenty said final molded articles were produced for each specimen, and after immersing in boiling tricene for 10 minutes, it was taken out and the external appearance was confirmed. For 20 final molded articles produced for each specimen, cleaning durability was good in cases where surface abnormalities such as dissolution of the coating, peeling of the coating, discoloration of the coating, wounds of the coating, and sticking between the coating films were zero. ), The durability of cleaning was evaluated as the case where there was even one surface abnormality.

표 1에, 제 1 피막용 도료의 조건(베이스 수지의 수지계와 유리 전이 온도(℃) 및 백색 안료의 종류와 함유율(질량%)) 및 제 2 피막용 도료의 조건(베이스 수지의 수지계와 유리 전이 온도(℃) 및 첨가제의 종류와 함유율(질량%)), 소부 온도(℃), 제 1 피막의 건조막 두께(μm), 및 제 2 피막의 건조막 두께(μm)을 나타낸다. Table 1 shows the conditions of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first coating film (resin system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C) of the base resin and the kind and content of the white pigment (mass%)) and the conditions of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second coating film (resin system and glass of the base resin). Transition temperature (° C.) and the type and content of additives (mass%)), baking temperature (° C.), dry film thickness (μm) of the first film, and dry film thickness (μm) of the second film.

또한, 표 2에, 제 1 피막 특성(외관, 겔분율(%), L*값, 적외선 방사율), 제 2 피막 특성(겔분율(%), 적외선 방사율), 제 1 피막의 성능(성형성, 세정내구성), 제 2 피막의 성능(성형성, 세정내구성)을 나타낸다. In addition, in Table 2, the first film characteristics (appearance, gel fraction (%), L * value, infrared radiation rate), the second film characteristics (gel fraction (%), infrared radiation rate),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film (formation) , Cleaning durability), and performance (forming, cleaning durability) of the second film.

한편, 표 1 및 표 2 중에서의 밑줄 부분은, 본 발명의 요건 또는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underlined part in Table 1 and Table 2 shows that it does not have a requirement or an effect of this inven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시재 No. 1(이하, 간단히 No. 1 등으로 말함) 및 No. 40∼43은, 제 1 피막에 필수 성분인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 또한, 백색 안료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압연 롤 눈이 보이는 결과로 되어, 제 1 피막의 외관이 은폐 부족이 되었다. 한편, 필름 라미네이트재의 비교예인 No. 43은, 겔분율의 측정에 있어서 피막이 용해되지 않고서 박리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the test material No. 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No. 1, etc.) and No. Although 40-43 is a comparative example which does not contain the white pigment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1st film, infrared emissivity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Moreover, since it did not contain a white pigment, it became a result which a rolling roll eye is seen,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1st film became the lack of concealment. On the other hand, No. which is a comparative example of a film laminate material. 43 peeled without melt | dissolving a film in the measurement of a gel fraction.

No. 2, No. 7, No. 8은, 제 1 피막의 L*값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결과로 된 비교예이지만, 제 1 피막의 은폐력이 부족하여, 압연 롤 눈이 들여다 보이는 외관이 되었다. 그 때문에, 외관이 은폐 부족이라는 결과로 되었다. 또한, No. 7에 관해서는, 적외선 방사율도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 No. 2, No. 7, No. 8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L * value of the first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hiding power of the first film was insufficient, resulting in an appearance of rolling roll eyes. As a result, the appearance resulted in the lack of concealment. In addition, As for 7, the infrared emissivity also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10은, 제 1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세정내구성 시험에서 제 1 피막에, 성형품끼리가 접촉한 상처가 생겼다. No. 10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resin of the first coating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the cleaning durability test, a wound in which molded articles contacted the first coating occurred.

No. 15는, 제 1 피막, 제 2 피막의 겔분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세정내구성 시험에서 제 1 피막, 제 2 피막의 양쪽 모두 용해되었다. No. 15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el fractions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ere dissolved in the cleaning durability test.

No. 19∼21은, 제 1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종류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 시험에서 제 1 피막에 박리가 생겼다. No. 19-21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kind of base resin of a 1st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but peeling arose in the 1st film by the moldability test.

No. 42 및 No. 43은, 제 2 피막 그 자체가 없는 비교예이지만,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 No. 42 and No. 43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second film itself, but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22는, 제 2 피막에 필수 성분인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결과로 되었다. No. Although 22 is the comparative example which does not contain the additive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2nd film, the infrared emissivity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No. 23 및 No. 40은,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다. No. 23 and No. 40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35는, 제 2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 시험에서 제 2 피막에 박리가 생겼다. No. 35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resin of the second coating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peeling occurred in the second coating in the moldability test.

No. 36∼38 및 No. 41은, 제 2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종류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 시험에서 제 2 피막의 박리가 생겼다. No. 36 to 38 and No. Although 41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kind of base resin of a 2nd coating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peeling of a 2nd coating occurred in the moldability test.

상기 이외의 공시재는,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실시예이지만, 모든 결과에 있어서 양호했다. 단,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은 전부 만족시키지만, No. 39에 관해서는 제 1 피막, 제 2 피막 모두 1회의 도장으로 피막 형성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생산성 및 비용을 고려하면 피막 두께는 1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est materials other than the above are examples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were satisfactory in all results. However, although all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isfied, No. As for 39, since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ere difficult to form by one coating,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15 μm or less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and cost.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예에서는, 용기 형상 성형품에 대하여 검토했다. In Example 2,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was examined.

용기 형상 성형품의 검토에 임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온도 실측용의 모의 LED 전구(20)를 제작했다. 모의 LED 전구(2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했다. On the examination of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the simulated LED bulb 20 for temperature measurement shown in FIG. 4 was produced. The simulated LED bulb 20 was produced as follows.

우선, 시판되고 있는 4.1W의 LED 전구를 구입하고 해체하여, LED(11)가 점등하는 상태로 LED(11), LED 기판(12) 및 회로(13) 한 벌을 끄집어냈다. 이것을,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을 성형하여 제작한 원통 용기(10)에, LED(11)가 겉, 회로(13)가 속이 되도록 끼워 넣고 고정하여, 온도 실측용의 모의 LED 전구(20)를 제작했다. First, a commercially available 4.1W LED bulb was purchased and dismantled, and the LED 11, the LED substrate 12, and the circuit 13 were taken out in a state where the LED 11 was lit. The LED 11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formed by molding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having infrared emissivity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circuit 13 lie inside and fixed. The simulated LED bulb 20 for temperature measurement was produced.

여기서, 원통 용기(10)는, 약알칼리 탈지 후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판 두께 1mm의 A1100-O에, 제 1 피막과 제 2 피막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방법에 의해 설치한 No. 44∼No. 56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여 제작했다. 여기서, 소부 온도는 260℃로 했다. 한편, 원통 용기(10)는, No. 44∼No. 56의 각각에 대하여, 제 1 피막이 외면,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원통 딥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여, 직경 55mmφ, 길이 55mmL이 되도록 했다. Here, in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No.1 in which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were provided to the A1100-O of 1 mm of plate | board thickness which performed phosphoric acid chromate treatment after weak alkali degreasing by the method similar to 1st Example. 44 to No. It produced us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according to 56. Here, the baking temperature was set at 260 ° C. 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is No. 44 to No. About each of 56, the cylindrical deep drawing process was implemented so that a 1st film might become an outer surface, and a 2nd film might be an inner surface, and it was set so that it might be set to diameter 55mm (phi) and length 55mmL.

원통 용기의 천면부(14)에는, 직경 10mmφ의 구멍부(15)를 뚫어 전원 코드(16)를 통과시킨 후, 시일제로 메워 구멍부(15)를 밀폐했다. 또한, LED 기판(12)을 직경 53mmφ의 알루미늄제 고정판(17)에 부착하고, 이것을 LED(11)의 회로(13)가 원통 용기(10) 내에 수습되도록 하여(즉, LED(11)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원통 용기(10)의 개구부(18)에 끼워 넣어 개구부(18)를 고정했다. After drilling the hole part 15 of diameter 10mm (phi) and let the power cord 16 pass through the top surface part 14 of a cylindrical container, it filled with the sealing compound and sealed the hole part 15. In addition, the LED substrate 12 is attached to a fixed plate 17 made of aluminum having a diameter of 53 mm phi, so that the circuit 13 of the LED 11 is settled in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that is, the LED 11 is outside). The opening 18 was fixed by inserting it into the opening 18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so as to face the opening.

온도 측정은, 4개 있는 LED(11) 중의 1개의 표면에 열전대(19)의 선단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구를 점등시키고,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최고 도달 온도 T1을 측정했다. 한편, 열전대(19)의 선단부가 온도 측정 부위가 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measurement was made to light up a light bulb in the state which contacted the front end part of the thermocouple 19 to one surface of four LED 11, observed the temperature change, and measured the highest achieved temperature T1. On the other hand, the tip of the thermocouple 19 is a temperature measuring site, whereby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비교재로서 제 1 피막, 제 2 피막을 함께 갖고 있지 않은 알루미늄 소판(素板)을 사용한 원통 용기(No. 44)를 이용하여, 이것을 이용한 경우의 비교재 온도 측정치 T0으로 했다. 그리고, ΔT(ΔT=T1-T0)를 냉각 효과로 정의했다. 냉각 효과 ΔT의 값이 작을 수록(즉, ΔT가 음의 값인 경우는 절대치가 클 수록), 공시재의 방열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ΔT가 -5℃ 이하인 경우를 양호, ΔT가 -5℃보다도 높은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As a comparative material, a cylindrical container (No. 44) using aluminum platelets not having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as used as the comparative material temperature measured value T0 when using this. ΔT (ΔT = T1-T0) was defined as the cooling effect.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cooling effect ΔT (that is, the larger the absolute value when ΔT is negative), the better the heat dissipation of the specimen. In Example 2, the case where (DELTA) T was -5 degrees C or less was favorable, and the case where (DELTA) T was higher than -5 degreeC was evaluated as defect.

실험에 이용한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의 구성과 적외선 방사율, LED의 도달온도 T1(℃)및 냉각 효과 ΔT(℃)를 표 3에 나타낸다. Table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used for the experiment, the infrared radiation rate, the attainment temperature T1 (° C) and the cooling effect ΔT (° C) of the LED.

한편, 표 3 중에 있어서의 밑줄 부분은, 본 발명의 요건 또는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underlined part in Table 3 shows that it does not have a requirement or an effect of this inventio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한편, No. 44, No. 45, No. 49는,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중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지만, 편의상, 외면의 적외선 방사율을 표 3 중의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란에 기재하고, 내면의 적외선 방사율을 표 3 중의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란에 기재했다. Meanwhile, No. 44, No. 45, No. 49 show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s not formed, but for convenience,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outer surface is described in the infrared emissivity column of the first film in Table 3, and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inner surface is indicated in the second in Table 3. It described in the infrared ray emissivity column of a film.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 48 및 No. 51∼No.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이들 실시예는, 냉각 효과 ΔT가 -5℃ 이하의 온도로 되어, 양호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As shown in Table 3, No. 48 and No. 51 to No. 5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oling effect ΔT was a temperature of −5 ° C. or lower, and a favorable effect was obtained.

한편, No. 45는 제 1 피막이 없는 비교예이고, No. 46과 No. 47은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며, No. 49는, 제 2 피막이 없는 비교예이고, No. 50은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다. 이들, 제 1 피막 또는 제 2 피막 중 어느 한쪽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냉각 효과 ΔT가 -5℃보다도 높은 온도로 되어, 효과가 불충분했다. Meanwhile, No. 45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first coating, and No. 46 and No. 47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first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9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second coating, and No. 50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ither of the 1st film or the 2nd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the cooling effect (DELTA) T became temperature higher than -5 degreeC, and the effect was inadequ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면, 성형성, 외관 성상, 세정내구성, 적외선 방사율(방열성)이 우수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이 됨을 알 수 있다.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isfied, it becomes a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and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excellent in moldability, appearance properties, cleaning durability, and infrared ray emissivity (heat dissipation).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및 실시예를 게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는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따라서 넓게 해석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내용은, 상기한 기재에 따라서 개변·변경 등을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form and Example for invent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and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which concern on this invention were published and demonstrated concretely,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tent, The technical scope should be construed broadly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changed, etc.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제 3 실시예] [Third Embodiment]

제 3 실시예에서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에 대하여 검토했다. In the 3rd Example,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was examined.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검토에 임하여, 소재로서 사용한 알루미늄판은, 합금번호 A1100-H24의 판 두께 0.3mm재를 사용했다. 이것을 약알칼리 탈지제로 알칼리 탈지한 후, 하지 처리로서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했다.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의 조건은 크롬 부착량으로 20mg/m2로 했다. 또한, 사용한 알루미늄판의 기계적 성질은, 인장 강도 130MPa, 내력 120MPa, 신도 8%였다. In examination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the aluminum plate used as a raw material used the 0.3-mm-thick material of alloy number A1100-H24. After alkali degreasing with a weak alkali degreasing agent, the phosphate chromate treatment was performed as a base process. The conditions for the phosphoric acid chromate treatment were 20 mg / m 2 in terms of chromium adhesion amount. In addi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used aluminum sheet were 130 MPa in tensile strength, 120 MPa in strength, and 8% in elongation.

다음으로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알루미늄판에 대하여, 우선 한쪽 측면에, 표 101 중의 제 1 피막용 도료란에 기재된 성분의 도료를 바 코터로 도포한 후, 가교 반응이 촉진하지 않을 정도의 100℃에서 60초간 가건조를 행하고, 다음으로 다른 쪽 측면에, 표 101 중의 제 2 피막용 도료란에 기재된 성분의 도료를 바 코터로 도포한 후, 소부 온도를 표 1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시켜 도료를 가열함으로써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제조하여, No. 101∼144에 따른 공시재로 했다. 여기서, 제 1 막 두께 및 제 2 막 두께가 25μm로 되는 No. 140에 관해서는 1회의 도장으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우선 10μm 바 코터로 도장하고 소부한 후, 나머지 15μm를 바 코터로 도장하고 다시 소부하는 것을, 한쪽 측면, 다른 쪽 측면 각각에 대하여 실시했다. Next, about the aluminum plate subjected to the phosphate chromate treatment, first, on one side, the coating material of the component described in the first coating film in Table 101 was applied with a bar coater, and then at 100 ° C. to such an extent that the crosslinking reaction did not accelerate. Temporarily dry for 60 seconds, then apply the coating material of the component described in the second coating film in Table 101 to the other side with a bar coater, and then change the baking temperature as shown in Table 101 to heat the coating material. By forming a precoat aluminum plate for molding, It was set as the test material according to 101-144. Here, No. 1 in which the first film thickness and the second film thickness are 25 μm. As for 140,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a film by one coating, the coating is first performed by a 10 μm bar coater and baked, and then the remaining 15 μm is coated by a bar coater and then baked agai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arried out.

한편, No. 14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전성에 특장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 구조의 특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드는 메탈릭 안료가 포함되지 않고, 실리카는 포함되어 있고, 피막 두께가 매우 얇은 것을 들 수 있다. No. 142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광 디스크에의 상처 방지성에 특장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의 특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드는 메탈릭 안료가 포함되지 않고, 가교 우레탄 비드가 포함되어 있고, 베이스 피막이 에폭시계인 점을 들 수 있다. No. 143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드로잉 가공성에 특장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 구조의 특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드는 메탈릭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들 수 있다. No. 144는,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이며, 그 특징으로서는,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로 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점을 들 수 있다. Meanwhile, No. 141 is a test material with the electroconductivity of patent document 1, As a characteristic of a film structure, the metallic pig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contained, silica is contained, and the film thickness is very thin. No. 142 is a test material with the feature of the wound prevention property to the optical disc of patent document 2, As a characteristic of a film, the metallic pig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contained, a crosslinked urethane bead is contained, and a base film is an epoxy type There is a point. No. 143 is a test material with the feature of drawing processability of patent document 3, As a characteristic of a film structure, the point which does not contain the metallic pigment and additive which are used in this invention is mentioned. No. 144 is a test material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film of patent document 4, As the characteristic, the point which laminated the film which made aromatic nylon the base resin is mentioned.

한편, No. 144는,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로 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이기 때문에, 피막 형성 방법은 다른 예와 같이 도료를 바 코터 도장하는 방법이 아니라,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했다. 또한, 소부 온도 대신에 필름을 비정질화시키기 위한 재가열 급냉 처리의 온도를 표 101에 기재했다. Meanwhile, No. Since 144 is a test material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film which used the aromatic nylon of patent document 4 as a base resin, the film formation method was not the method of coating the coating material like the other example but the method of sticking a film.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reheating quenching treatment for amorphousizing the film instead of the baking temperature is shown in Table 101.

여기서, 표 101에 나타내는 베이스 수지란에 기재된 폴리에스터멜라민은, 폴리에스터계 수지에 멜라민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폴리에스터아이소사이아네이트는, 폴리에스터계 수지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 우레아는, 에폭시계 수지에 우레아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 페놀은, 에폭시계 수지에 페놀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아크릴은, 분자내 가교형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것이다.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인 No. 144는, 사용한 필름의 성분인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란에 기재했다. 또한, 표 101에 나타내는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각 수지에 있어서의 유리 전이 온도이며, 베이스 수지의 용제 성분을 건조시킨 후, 시차 주사 열량 분석법(DSC법)에 의해서 측정한 것이다. Here, as for the polyester melamine described in the base resin column shown in Table 101, the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was mix | blended with polyester type resin, and polyester isocyanate mix | blends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with polyester type resin Epoxy urea is a compound in which a urea-based curing agent is blended with an epoxy resin, an epoxy phenol is a compound in which a phenol-based curing agent is blended with an epoxy resin, and epoxyacryl is an intramolecular cross-linked acrylic modified epoxy resin. . No. which is a test material laminated the film 144 described the aromatic nylon which is a component of the used film in the base resin column.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shown in Table 101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said each resin, and is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ethod) after drying the solvent component of a base resin.

또한, 표 101에 나타내는 첨가제는, 백색 안료로서의 산화티타늄, 흑색 안료로서의 카본 블랙, 무기 미립자로서의 실리카와 알루미나, 유기 미립자로서의 가교 아크릴 비드, 가교 우레탄 비드, 알루미늄 페이스트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했다. As the additive shown in Table 101, titanium oxide as a white pigment, carbon black as a black pigment, silica and alumina as inorganic fine particles, crosslinked acrylic beads as crosslinked organic particles, crosslinked urethane beads, aluminum paste, and the like were used as necessary.

한편, 메탈릭 안료의 함유율 및 첨가제의 함유율은, 각각의 피막의 베이스 수지와 메탈릭 안료 또는 첨가제를 포함시킨 건조 수지 피막의 질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질량%)로 했다. In addition, the content rate of a metallic pigment and the content rate of an additive were made into the ratio (mass%) to the mass of the dry resin film which contained the base resin of each film, and a metallic pigment or an additive.

(외관) (Exterior)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공시재에 대하여, 우선은 제 1 피막의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소재가 되는 알루미늄의 압연 롤 눈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양호(○), 압연 롤 눈이 보이는 은폐 부족의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About the test material manufactured as mentioned above, first,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1st film is visually evaluated, and the case where the rolling roll eye of aluminum used as a raw material is not seen is good ((circle)), and the rolling lack of the concealment lack which a rolling roll eye sees is seen. The case was evaluated as defective (×).

외관 평가 후, 제조한 공시재에 있어서의 필요 물성을 측정했다. 즉, 제 1 피막, 제 2 피막 모두, 25℃에서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 피막의 겔분율을 측정했다. After the external appearance evaluation, necessary physical properties in the prepared test material were measured. That is,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s at 25 degreeC are 3-30 micrometers, and the gel fraction of a film were measured for both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한편, 25℃에서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측정 방법, 겔분율은 아래와 같이 하여 측정하여 평가했다. In addition, the measuring method and the gel fraction of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s in 25 degreeC are 3-30 micrometer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as follows.

(파장이 3 내지 30μm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의 측정)(Measurement of Emissivity of Integral Emissivity of Infrared when the Wavelength is 3 to 30 µm)

파장이 3 내지 30μm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은, 시판되고 있는 간이방사율계(D and S사제 D&S Model AE)를 사용하여 25℃의 온도 조건하에서 측정했다. 한편, 이 간이방사율계의 측정 파장 영역은 3 내지 30μm로 되어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수치가 본 발명으로 정의하고 있는 적분 방사율이 된다. The emissivity of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in 3-30 micrometers of wavelengths was measured on 25 degreeC temperature conditions us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simple emissometer (D & S Model AE by D and S compan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asurement wavelength range of this simple emissometer is 3-30 micrometers, the numerical value displayed becomes an integrated emissivity defined by this invention.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모두, 파장이 3 내지 30μm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표 102 중에 있어서 간단히 「적외선 방사율」이라고 기재)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인 것을 양호, 0.6 미만인 것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missivity (infrared emissivity) simply described in Table 102) of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in the wavelengths of 3 to 30 μm in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s preferably 0.6 or less at a temperature of 25 ° C., which is less than 0.6. Evaluated as bad.

(겔분율의 측정)(Measurement of gel fraction)

겔분율은, 제 1 피막과 제 2 피막을 따로따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내수 연마지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면의 이면에 형성된 피막을 제거했다. 즉, 제 1 피막을 갖는 시험재는, 내수 연마지로 공시재의 제 2 피막을 연마 제거하고, 이것을 10cm×10cm로 잘라내어 제작했다. 마찬가지로, 제 2 피막을 갖는 시험재는, 공시재의 제 1 피막을 연마 제거하고, 이것을 10cm×10cm로 잘라내어 제작했다. Since the gel fraction should measure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separately, the film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to be measured using the water resistant abrasive paper was removed. That is, the test material which has a 1st film | membrane grind | polishing-removed the 2nd film | membrane of a test material with water-resistant abrasive paper, and cut out this to 10 cm x 10 cm, and produced it. Similarly, the test material which has a 2nd film grind | polishing-removed the 1st film of a test material, and cut it into 10 cm x 10 cm, and produced it.

제작한 각 시험재는, 80℃에서 60분간 건조시킨 후, 초기 질량(a)을 측정하고, 다음으로 비등시킨 MEK(메틸 에틸 케톤) 중에 시험재를 60분간 침지하여 미가교 성분을 용출시킨 후, 150℃에서 60분간 건조시켜 피막 중의 잔존 MEK을 건조하여, 추출후 질량(b)을 측정했다. 최후에, 발연 질산 중에서 피막을 완전히 용해하여, 알루미늄판만의 질량(c)을 측정했다. 여기서, (a)-(c)가 원래의 프리코트 피막만의 질량이며, (b)-(c)가 가교하고 있는 피막 질량이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겔분율이, 피막의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After each produced test material was dried for 60 minutes at 80 ° C, the initial mass (a) was measured, and the test material was immersed for 60 minutes in MEK (methyl ethyl ketone) which was then boiled to elute uncrosslinked components, It dried for 60 minutes at 150 degreeC, dried MEK in a film, and measured the mass (b) after extraction. Finally, the film was completely dissolved in the fuming nitric acid, and the mass (c) of only the aluminum plate was measured. Here, since (a)-(c) is the mass of only the original precoat film, and (b)-(c) can be regarded as the mass of the crosslinked film, the gel fractio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t will show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a film.

겔분율(%)=((b)-(c)/(a)-(c))×100 Gel fraction (%) = ((b)-(c) / (a)-(c)) × 100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모두, 겔분율이 50% 이상인 것을 양호, 50% 미만의 것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ere evaluated to have a good gel fraction of 50% or more and less than 50% of a defective product.

또한, 상기한 공시재에 대하여, 성형성과, 성형 후의 세정 공정에 대한 내구성(세정내구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성형성과 세정내구성은, 아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Moreover, about the said test material, the moldability and the durability (wash durability) with respect to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after shaping | molding were evaluated. Moldability and washing durability were evaluated as follows.

(성형성) (Forming)

도 103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공시재의 성형성을 조사했다. By the process shown in FIG. 103, the moldability of the test material was investigated.

우선, 원통 블랭크 타발 후, 드로잉 가공을 행했다. 다음으로 재드로잉 가공으로, 12mmφ×15mmL의 원통 드로잉 성형품(중간 성형품)을 수득했다. 추가로, 중간 성형품에, 원통 측벽부의 판 두께 감소율이 20%가 되도록 아이어닝을 가하고, 트리밍을 행하여 최종 10mmφ×20mmL의 원통 용기 형상으로 가공하여, 최종 성형품을 수득했다. 여기까지의 공정에서, 제 1 피막이 원통 용기 형상의 외면,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표리면을 설정했다. 이 시점에서 수득된 최종 성형품에서의 피막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표 2 중의 성형성으로 했다. 한편, 프레스유로는 지방산 에스터와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에멀젼 왁스를 사용했다. 또한, 가공은 실온(35℃)에서만 실시했다. First, drawing was performed after cylindrical blank punching. Next, by the redrawing process, the cylindrical drawing molded article (middle molded article) of 12 mm (phi) 15 mmL was obtained. Furthermore, ironing wa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molded product so that the plate | board thickness reduction rate of the cylindrical side wall part might be 20%, it was trimmed, it processed into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of 10 mm diameter x 20 mmL, and the final molded product was obtained. In the process to here, the front and back surface was set so that a 1st film might become an outer surface of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and a 2nd film might be an inner surface. The result of having evaluated the film state in the final molded article obtained at this point was made into the moldability of Table 2. On the other hand, as the press oil, an aqueous emulsion wax containing a fatty acid ester and a surfactant as a main component was used. In addition, processing was performed only at room temperature (35 degreeC).

피막 상태의 평가는, 성형성에 관해서는, 피막 박리 등의 이상이 없는 경우를 양호(○), 박리가 생긴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판정을 최종 성형품 외면에 대응하는 제 1 피막과, 최종 성형품 내면에 대응하는 제 2 피막 각각에 대하여 실시했다. Evaluation of the film state evaluated the case where there existed no abnormalities, such as peeling of a film, regarding moldability as good ((circle)) and the case where peeling generate | occur | produced as defect (x). This determination wa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first film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al molded product and the second film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nal molded product.

(세정내구성) (Wash durability)

염소계 세정제로서 트리클렌을 사용하여, 이것을 1리터 비등시켰다. 각 공시재에 대하여 20개의 상기 최종 성형품을 제작하여, 비등 트리클렌 중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외관을 확인했다. 각 공시재에 대하여 제작한 20개의 최종 성형품에 대하여, 피막의 용해, 피막의 박리, 피막의 변색, 피막의 상처, 피막끼리의 들러붙음 등의 표면 이상이 0개인 경우를 세정내구성이 양호(○), 표면 이상이 1개라도 있는 경우를 세정내구성이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Trickle was used as a chlorine-type cleaner, and it boiled 1 liter. Twenty said final molded articles were produced for each specimen, and after immersing in boiling tricene for 10 minutes, it was taken out and the external appearance was confirmed. For 20 final molded articles produced for each specimen, cleaning durability was good in cases where surface abnormalities such as dissolution of the coating, peeling of the coating, discoloration of the coating, wounds of the coating, and sticking between the coating films were zero. ), The durability of cleaning was evaluated as the case where there was even one surface abnormality.

표 101에, 제 1 피막용 도료의 조건(베이스 수지의 수지계와 유리 전이 온도(℃) 및 메탈릭 안료의 종류와 함유율(질량%)) 및 제 2 피막용 도료의 조건(베이스 수지의 수지계와 유리 전이 온도(℃) 및 첨가제의 종류와 함유율(질량%)), 소부 온도(℃), 제 1 피막의 건조막 두께(μm), 및 제 2 피막의 건조막 두께(μm)를 나타낸다. Table 101 shows the conditions of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first coating film (resin type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C) of the base resin and the type and content of the metallic pigment (mass%)) and the conditions of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second coating film (resin resin and glass of the base resin). Transition temperature (degreeC) and the kind and content rate (mass%) of an additive), baking temperature (degreeC), the dry film thickness (micrometer) of a 1st film, and the dry film thickness (micrometer) of a 2nd film.

또한, 표 102에, 제 1 피막 특성(외관, 겔분율(%), 적외선 방사율), 제 2 피막 특성(겔분율(%), 적외선 방사율), 제 1 피막의 성능(성형성, 세정내구성), 제 2 피막의 성능(성형성, 세정내구성)을 나타낸다. Table 102 also shows the first film properties (appearance, gel fraction (%), infrared emissivity), the second film properties (gel fraction (%), infrared emissivity),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film (formability, cleaning durability). And the performance (forming, cleaning durability) of the second film.

한편, 표 101 및 표 102 중에 있어서의 밑줄 부분은, 본 발명의 요건 또는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underlined part in Table 101 and Table 102 shows that it does not have a requirement or an effect of this invention.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101 및 표 1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시재 No. 101(이하, 간단히 No. 1 등이라 함) 및 No. 141∼144는, 제 1 피막에 필수 성분인 메탈릭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 또한, 메탈릭 안료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압연 롤 눈이 보이는 결과로 되어, 제 1 피막의 외관이 은폐 부족이 되었다. 또 필름 라미네이트재의 비교예인 No. 144는, 겔분율의 측정에 있어서 피막이 용해하지 않고서 박리했다. As shown in Table 101 and Table 102, Test Material No. 10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No. 1, etc.) and No. Although 141-144 is the comparative example which does not contain the metallic pigment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1st film, infrared emissivity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Moreover, since it did not contain a metallic pigment, it became a result which a rolling roll eye is seen,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1st film became the lack of concealment. Moreover, No. which is a comparative example of a film laminate material. 144 peeled, without melt | dissolving a film in the measurement of a gel fraction.

No. 102, No. 107, No. 108은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다. 이들은 제 1 피막의 은폐력도 부족하여, 압연 롤 눈이 들여다보이는 외관이 되었다. No. 102, No. 107, No. 108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first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lso lacked the hiding power of the 1st film, and became the external appearance which a rolling roll eye sees.

No. 110은, 제 1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세정내구성 시험에서 제 1 피막에, 성형품끼리가 접촉한 상처가 생겼다. No. Although 110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resin of a 1st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the wound which the molded articles contacted the 1st film in the cleaning durability test generate | occur | produced.

No. 115는, 제 1 피막, 제 2 피막의 겔분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세정내구성 시험에서 제 1 피막, 제 2 피막의 양쪽 모두 용해되었다. No. 115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el fractions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ere dissolved in the cleaning durability test.

No. 119∼121은, 제 1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종류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 시험에서 제 1 피막에 박리가 생겼다. No. Although 119-121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kind of base resin of a 1st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peeling arose in the 1st film in a moldability test.

No. 143 및 No. 144는, 제 2 피막 그 자체가 없는 비교예이지만,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 No. 143 and No. 144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second film itself, but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122는, 제 2 피막에 필수 성분인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결과로 되었다. No. Although 122 is a comparative example which does not contain the additive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2nd membrane | film | coat, it came to the result that infrared emissivity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No. 123 및 No. 141은,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다. No. 123 and No. 141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135는, 제 2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 시험에서 제 2 피막에 박리가 생겼다. No. 135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resin of the second coating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peeling occurred in the second coating in the moldability test.

No. 136∼138 및 No. 142는, 제 2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종류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 시험에서 제 2 피막의 박리가 생겼다. No. 136 to 138 and no. Although 142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kind of base resin of a 2nd coating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peeling of a 2nd coating occurred in a moldability test.

상기 이외의 공시재는,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실시예이지만, 모든 결과에서 양호했다. 단,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은 전부 만족시키지만, No. 140에 관해서는 제 1 피막, 제 2 피막 모두 1회의 도장으로 피막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성 및 비용을 고려하면 피막 두께는 1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est materials other than the above are examples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were satisfactory in all the results. However, although all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isfied, No. As for 140,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a film by one coating for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15 µm or less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and cost.

[제 4 실시예] [Fourth Embodiment]

제 4 실시예에서는 용기 형상 성형품에 대하여 검토했다. In Example 4,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was examined.

용기 형상 성형품의 검토에 대응하여 도 104에 나타내는 온도 실측용의 모의 LED 전구(20)를 제작했다. 모의 LED 전구(2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했다. In response to the examination of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a simulated LED bulb 20 for temperature measurement shown in FIG. 104 was produced. The simulated LED bulb 20 was produced as follows.

우선, 시판되고 있는 4.1W의 LED 전구를 구입하여 해체하여, LED(11)가 점등하는 상태로 LED(11), LED 기판(12) 및 회로(13) 한 벌을 끄집어냈다. 이것을,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을 성형하여 제작한 원통 용기(10)에, LED(11)가 겉, 회로(13)가 속이 되도록 끼워 넣어 고정하여, 온도 실측용의 모의 LED 전구(20)를 제작했다. First, a commercially available 4.1W LED bulb was purchased and dismantled, and the LED 11, the LED substrate 12, and the circuit 13 were taken out in a state where the LED 11 was lit. The LED 11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formed by molding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having an infrared emissivity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circuit 13 lie in place. The simulated LED bulb 20 for temperature measurement was produced.

여기서, 원통 용기(10)는, 약알칼리 탈지 후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판 두께 1mm의 A1100-O에, 제 1 피막과 제 2 피막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방법에 의해 설치한 No. 145∼No. 157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여 제작했다. 여기서, 소부 온도는 260℃로 했다. 한편, 원통 용기(10)는, No. 145∼No. 157의 각각에 대하여, 제 1 피막이 외면,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원통 딥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여, 직경 55mmφ, 길이 55mmL가 되도록 했다. Here, in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No.1 in which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were provided to the A1100-O of 1 mm of plate | board thickness which performed phosphoric acid chromate treatment after weak alkali degreasing by the method similar to 1st Example. 145-No. It was produced using a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molding according to 157. Here, the baking temperature was set at 260 ° C. 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is No. 145-No. About each of 157, the cylindrical deep drawing process was given so that a 1st film might become an outer surface, and a 2nd film might be an inner surface, and it was set as 55 mm diameter and 55 mmL in length.

원통 용기의 천면부(14)에는, 직경 10mmφ의 구멍부(15)를 뚫어 전원 코드(16)를 통과시킨 후, 시일제로 메워 구멍부(15)를 밀폐했다. 또한, LED 기판(12)을 직경 53mmφ의 알루미늄제 고정판(17)에 부착하여, 이것을 LED(11)의 회로(13)가 원통 용기(10) 내에 수습되도록 하여(즉, LED(11)가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원통 용기(10)의 개구부(18)에 끼워 넣어 개구부(18)를 고정했다. After drilling the hole part 15 of diameter 10mm (phi) and let the power cord 16 pass through the top surface part 14 of a cylindrical container, it filled with the sealing compound and sealed the hole part 15. In addition, the LED substrate 12 is attached to a fixed plate 17 made of aluminum having a diameter of 53 mm φ so that the circuit 13 of the LED 11 is settled in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that is, the LED 11 is outside the outside). The opening 18 was fixed by inserting it into the opening 18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so as to face the opening.

온도 측정은, 4개 있는 LED(11) 중의 1개의 표면에 열전대(19)의 선단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구를 점등시키고,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최고 도달 온도 T1을 측정했다. 한편, 열전대(19)의 선단부가 온도 측정 부위가 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비교재로서 제 1 피막, 제 2 피막을 함께 갖고 있지 않은 알루미늄 소판을 사용한 원통 용기(No. 145)를 이용하여, 이것을 이용한 경우의 비교재 온도 측정치 T0으로 했다. 그리고, ΔT(ΔT=T1-T0)를 냉각 효과로 정의했다. 냉각 효과 ΔT의 값이 작을 수록(즉, ΔT가 음의 값인 경우는 절대치가 클 수록), 공시재의 방열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ΔT가 -5℃ 이하인 경우를 양호, ΔT가 -5℃보다도 높은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The temperature measurement was made to light up a light bulb in the state which contacted the front end part of the thermocouple 19 to one surface of four LED 11, observed the temperature change, and measured the highest achieved temperature T1. On the other hand, the tip of the thermocouple 19 is a temperature measuring site, whereby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s a comparative material, the cylindrical container (No. 145) using the aluminum platen which does not have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together was used as the comparative material temperature measured value T0 at the time of using this. ΔT (ΔT = T1-T0) was defined as the cooling effect.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cooling effect ΔT (that is, the larger the absolute value when ΔT is negative), the better the heat dissipation of the specimen. In Example 2, the case where (DELTA) T was -5 degrees C or less was favorable, and the case where (DELTA) T was higher than -5 degreeC was evaluated as defect.

실험에 이용한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의 구성과 적외선 방사율, LED의 도달온도 T1(℃) 및 냉각 효과 ΔT(℃)를 표 103에 나타낸다. 한편, 표 103 중에 있어서의 밑줄 부분은, 본 발명의 요건 또는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Table 103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used for the experiment, the infrared emissivity, the attainment temperature T1 (° C) and the cooling effect ΔT (° C) of the LED. In addition, the underlined part in Table 103 shows that it does not have a requirement or an effect of this invention.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한편, No. 145, No. 146, No. 150은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중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지만, 편의상, 외면의 적외선 방사율을 표 103 중의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란에 기재하고, 내면의 적외선 방사율을 표 103 중의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란에 기재했다. Meanwhile, No. 145, No. 146, No. At least one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s not formed at 150, but for convenience, the infrared radiation rate of the outer surface is described in the infrared radiation rate column of the first film in Table 103, and the infrared radiation rate of the inner surface is shown in the second film in Table 103. The infrared ray emissivity column described below.

표 1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 149 및 No. 152∼No. 1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이들 실시예는, 냉각 효과 ΔT가 -5℃ 이하의 온도로 되어, 양호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As shown in Table 103, No. 149 and No. 152-No. 15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oling effect ΔT was a temperature of −5 ° C. or lower, and a favorable effect was obtained.

한편, No. 146은 제 1 피막이 없는 비교예이고, No. 147과 No. 148은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며, No. 150은 제 2 피막이 없는 비교예이고, No. 151은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다. 이들, 제 1 피막 또는 제 2 피막의 어느 한쪽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냉각 효과 ΔT가 -5℃보다도 높은 온도로 되어, 효과가 불충분했다. Meanwhile, No. 146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first coating, and No. 147 and No. 148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first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50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second coating, and No. 151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ither of the infrared or emissivity of the first film or the second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effect ΔT was higher than -5 ° C, and the effect was insuffici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면, 성형성, 외관 성상, 세정내구성, 적외선 방사율(방열성)이 우수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이 됨을 알 수 있다.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isfied, it becomes a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and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excellent in moldability, appearance properties, cleaning durability, and infrared ray emissivity (heat dissipation).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및 실시예를 게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는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따라서 넓게 해석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본 발명의 내용은, 상기한 기재에 따라서 개변·변경 등을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form and Example for invent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and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which concern on this invention were published and demonstrated concretely,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tent, The technical scope should be construed broadly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changed, etc.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제 5 실시예] [Fifth Embodiment]

제 5 실시예에서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에 대하여 검토했다. In Example 5,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was examined.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의 검토에 임하여, 소재로서 사용한 알루미늄판은 합금 번호 A1100-H24의 판 두께 0.3mm재를 사용했다. 이것을 약알칼리 탈지제로 알칼리 탈지한 후, 하지 처리로서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했다.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의 조건은 크롬 부착량으로 20mg/m2로 했다. 또한, 사용한 알루미늄판의 기계적 성질은, 인장 강도 130MPa, 내력 120MPa, 신도 8%였다. In examination of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the aluminum plate used as a raw material used the 0.3-mm-thick material of alloy number A1100-H24. After alkali degreasing with a weak alkali degreasing agent, the phosphate chromate treatment was performed as a base process. The conditions for the phosphoric acid chromate treatment were 20 mg / m 2 in terms of chromium adhesion amount. In addi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used aluminum sheet were 130 MPa in tensile strength, 120 MPa in strength, and 8% in elongation.

다음으로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알루미늄판에 대하여, 우선 한쪽 측면에, 표 201 중의 제 1 피막용 도료란에 기재된 성분의 도료를 바 코터로 도포한 후, 가교 반응이 촉진하지 않을 정도의 100℃에서 60초간 가건조를 행하고, 다음으로 다른 쪽 측면에, 표 201 중의 제 2 피막용 도료란에 기재된 성분의 도료를 바 코터로 도포한 후, 소부 온도를 표 2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시켜 도료를 가열함으로써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제조하여, No. 201∼249에 따른 공시재로 했다. 여기서, 제 1 막 두께 및 제 2 막 두께가 25μm가 되는 No. 245에 관해서는 1회의 도장으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우선 10μm를 바 코터로 도장하고 소부한 후, 나머지 15μm를 바 코터로 도장하고 다시 소부하는 것을, 한쪽 측면, 다른 쪽 측면 각각에 대하여 실시했다. Next, about the aluminum plate subjected to the phosphate chromate treatment, first, on one side, the coating material of the component described in the first coating film in Table 201 was coated with a bar coater, and then at 100 ° C. at such a degree that the crosslinking reaction did not accelerate. Temporarily dry for 60 seconds, then apply the coating material of the component described in the second coating film in Table 201 to the other side with a bar coater, and change the baking temperature as shown in Table 201 to heat the coating material. By forming a precoat aluminum plate for molding, It was set as the test material according to 201-249. Here, No. 1 in which the first film thickness and the second film thickness become 25 μm. As for 245,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a film by one coating, first, 10 μm is coated with a bar coater and baked, and then the remaining 15 μm is coated with a bar coater and then baked agai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as carried out.

한편, No. 246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전성에 특장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 구조의 특징으로서는, 피막 두께가 매우 얇은 것을 들 수 있다. No. 247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광 디스크에의 상처 방지성에 특장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의 특징으로서는, 가교 우레탄 비드가 포함되어 있고, 베이스 피막이 에폭시계인 점을 들 수 있다. No. 248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드로잉 가공성에 특장이 있는 공시재이며, 피막 구조의 특징으로서는, 본 발명에서 드는 첨가제 A, 첨가제 B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들 수 있다. No. 249는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이며, 그 특징으로서는,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로 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점을 들 수 있다. Meanwhile, No. 246 is a test material with features of the conductivity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nd the film thickness is very thin as a feature of the film structure. No. 247 is a test material with the feature of the wound prevention property to the optical disk of patent document 2, As a characteristic of a film, a crosslinked urethane bead is contained and the base film is an epoxy type. No. 248 is a test material with the feature of drawing processability of patent document 3, As a characteristic of a film structure, the point which does not contain the additive A and additive B which are used in this invention is mentioned. No. 249 is a test material which laminated the film of patent document 4, As the characteristic, the point which laminated the film which made aromatic nylon the base resin is mentioned.

한편, No. 249는,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로 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이기 때문에, 피막 형성 방법은 다른 예와 같이 도료를 바 코터 도장하는 방법이 아니라,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했다. 또한, 소부 온도 대신에 필름을 비정질화시키기 위한 재가열 급냉 처리의 온도를 표 201에 기재했다. Meanwhile, No. Since 249 is a test material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film which used the aromatic nylon of patent document 4 as a base resin, the film formation method was not the method of coating the coating material like the other example but the method of sticking a film.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reheating quenching treatment for amorphousizing the film instead of the baking temperature is shown in Table 201.

여기서, 표 201에 나타내는 베이스 수지란에 기재된 폴리에스터멜라민은, 폴리에스터계 수지에 멜라민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폴리에스터아이소사이아네이트는, 폴리에스터계 수지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 우레아는, 에폭시계 수지에 우레아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 페놀은, 에폭시계 수지에 페놀계 경화제를 배합한 것, 에폭시아크릴은, 분자내 가교형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것이다.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공시재인 No. 249는, 사용한 필름의 성분인 방향족 나일론을 베이스 수지란에 기재했다. 또한, 표 201에 나타내는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각 수지에 있어서의 유리 전이 온도이며, 통상적 방법에 의해 시차 주사 열량 분석법(DSC법)에 의해서 측정한 것이다. Here, the polyester melamine of the base resin column shown in Table 201 mix | blended the melamin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with polyester type resin, and polyester isocyanate mix | blends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with polyester type resin Epoxy urea is a compound in which a urea-based curing agent is blended with an epoxy resin, an epoxy phenol is a compound in which a phenol-based curing agent is blended with an epoxy resin, and epoxyacryl is an intramolecular cross-linked acrylic modified epoxy resin. . No. which is a test material laminated the film 249 described in the base resin column the aromatic nylon which is a component of the used film.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shown in Table 201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said each resin, and is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ethod) by a conventional method.

또한, 표 201에 나타내는 첨가제 A 및 첨가제 B는, 백색 안료로서의 산화티타늄, 흑색 안료인 카본 블랙, 무기 미립자로서의 실리카와 알루미나, 유기 미립자로서의 가교 아크릴 비드, 메탈릭 안료로서의 알루미늄 페이스트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했다. 한편, 함유율은, 베이스 수지와 첨가제를 포함한 건조 수지 피막의 질량에서 차지하는 첨가제의 비율(질량%)로 했다. In addition, additive A and additive B shown in Table 201 use titanium oxide as a white pigment, carbon black as a black pigment, silica and alumina as inorganic fine particles, crosslinked acrylic beads as organic fine particles, aluminum paste as a metallic pigment, etc. as needed. did. In addition, the content rate was made into the ratio (mass%) of the additive which occupies for the mass of the dry resin film containing a base resin and an additive.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공시재에 대하여 필요 물성을 측정했다. 즉,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의 25℃에서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과 피막의 겔분율을 측정함과 함께, 제 1 피막에 대해서는 산술평균 조도 Ra에 대해서도 측정했다. 한편, 25℃에서의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 겔분율 및 산술평균 조도 Ra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했다.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test materials produced as described above were measured. That is, while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at 25 degreeC of a 1st film and a 2nd film is 3-30 micrometers, and the gel fraction of a film were measured,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was also measured about the 1st film.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integral emissivity, gel fraction, and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infrared rays whose wavelength in 25 degreeC is 3-30 micrometers was performed as follows.

(파장이 3 내지 30μm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의 측정)(Measurement of Emissivity of Integral Emissivity of Infrared when the Wavelength is 3 to 30 µm)

파장이 3 내지 30μm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은, 시판되고 있는 간이방사율계(D and S사제 D&S Model AE)를 사용하여 25℃의 온도 조건하에서 측정했다. 한편, 이 간이방사율계의 측정 파장 영역은 3 내지 30μm로 되어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수치가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적분 방사율이 된다. The emissivity of the integral emissivity of the infrared rays in 3-30 micrometers of wavelengths was measured on 25 degreeC temperature conditions us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simple emissometer (D & S Model AE by D and S compan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asurement wavelength range of this simple emissometer is 3-30 micrometers, the numerical value displayed becomes an integrated emissivity defined by this invention.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모두, 파장이 3 내지 30μm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의 방사율(표 2 중에 있어서 간단히 「적외선 방사율」이라고 기재)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인 것을 양호, 0.6 미만인 것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 films, the emissivity (infrared emissivity) simply described in Table 2 of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infrared rays at a wavelength of 3 to 30 μm is preferably 0.6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is less than 0.6. Evaluated as bad.

(겔분율의 측정)(Measurement of gel fraction)

겔분율은, 제 1 피막과 제 2 피막을 따로따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내수 연마지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면의 이면에 형성된 피막을 제거했다. 즉, 제 1 피막을 갖는 시험재는, 내수 연마지로 공시재의 제 2 피막을 연마 제거하고, 이것을 10cm×10cm로 잘라내어 제작했다. 마찬가지로, 제 2 피막을 갖는 시험재는, 공시재의 제 1 피막을 연마 제거하고, 이것을 10cm×10cm로 잘라내어 제작했다. Since the gel fraction should measure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separately, the film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to be measured using the water resistant abrasive paper was removed. That is, the test material which has a 1st film | membrane grind | polishing-removed the 2nd film | membrane of a test material with water-resistant abrasive paper, and cut out this to 10 cm x 10 cm, and produced it. Similarly, the test material which has a 2nd film grind | polishing-removed the 1st film of a test material, and cut it into 10 cm x 10 cm, and produced it.

제작한 각 시험재는, 80℃에서 60분간 건조시킨 후, 초기 질량(a)을 측정하고, 다음으로 비등시킨 2-뷰탄온 중에 시험재를 60분간 침지하여 미가교 성분을 용출시킨 후, 150℃에서 60분간 건조시켜 피막 중의 잔존 2-뷰탄온을 건조하여, 추출후 질량(b)을 측정했다. 최후에, 발연 질산 중에서 피막을 완전히 용해하고, 알루미늄판만의 질량(c)을 측정했다. 여기서, (a)-(c)가 원래의 프리코트 피막만의 질량이며, (b)-(c)가 가교하고 있는 피막 질량이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겔분율이, 피막의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Each produced test material was dried at 80 ° C for 60 minutes, the initial mass (a) was measured, and the test material was immersed for 60 minutes in 2-butanone which was then boiled to elute uncrosslinked components, and then 150 ° C. Was dried for 60 minutes, the remaining 2-butanone in the film was dried, and the mass (b) after extraction was measured. Finally, the film was completely dissolved in fuming nitric acid, and the mass (c) of only the aluminum plate was measured. Here, since (a)-(c) is the mass of only the original precoat film, and (b)-(c) can be regarded as the mass of the crosslinked film, the gel fractio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t will show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a film.

겔분율(%)=((b)-(c)/(a)-(c))×100 Gel fraction (%) = ((b)-(c) / (a)-(c)) × 100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모두, 겔분율이 50% 이상인 것을 양호, 50% 미만의 것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ere evaluated to have a good gel fraction of 50% or more and less than 50% of a defective product.

(산술평균 조도 Ra의 측정) (Measurement of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제 1 피막의 산술평균 조도(Ra)의 측정은, 표면 조도 측정기(고사카 연구소사제 서프코더 SE-30D)를 사용하여, 탐침을 공시재의 제 1 피막에 대하여, 압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주사(走査)하여, JIS B0601에 기재된 산술평균 조도(Ra)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실시했다.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first film was measured by using a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Surcoder SE-30D manufactured by Kosaka Research Institu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m of the specimen ( Iii) and measuring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described in JIS B0601.

또한, 상기한 공시재에 대하여, 성형성과, 성형 후의 세정 공정에 대한 내구성(세정내구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성형성과 세정내구성은 아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Moreover, about the said test material, the moldability and the durability (wash durability) with respect to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after shaping | molding were evaluated. Moldability and washing durability were evaluated as follows.

(성형성) (Forming)

도 203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공시재의 성형성을 조사했다. By the process shown in FIG. 203, the moldability of the test material was investigated.

우선, 원통 블랭크 타발 후, 드로잉 가공을 행했다. 다음으로 재드로잉 가공으로, 12mmφ×15mmL의 원통 드로잉 성형품(중간 성형품)을 수득했다. 추가로, 중간 성형품에, 원통 측벽부의 판 두께 감소율이 20%가 되도록 아이어닝을 가하고, 트리밍을 행하여 최종 10mmφ×20mmL의 원통 용기 형상으로 가공하여, 최종 성형품을 수득했다. 여기까지의 공정에서, 제 1 피막이 원통 용기 형상의 외면,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표리면을 설정했다. 이 시점에서 수득된 최종 성형품에서의 피막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표 2 중의 성형성으로 했다. 한편, 프레스유로는 지방산 에스터와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에멀젼 왁스를 사용했다. 또한, 가공은 실온(35℃)에서만 실시했다. First, drawing was performed after cylindrical blank punching. Next, by the redrawing process, the cylindrical drawing molded article (middle molded article) of 12 mm (phi) 15 mmL was obtained. Furthermore, ironing wa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molded product so that the plate | board thickness reduction rate of the cylindrical side wall part might be 20%, it was trimmed, it processed into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of 10 mm diameter x 20 mmL, and the final molded product was obtained. In the process to here, the front and back surface was set so that a 1st film might become an outer surface of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and a 2nd film might be an inner surface. The result of having evaluated the film state in the final molded article obtained at this point was made into the moldability of Table 2. On the other hand, as the press oil, an aqueous emulsion wax containing a fatty acid ester and a surfactant as a main component was used. In addition, processing was performed only at room temperature (35 degreeC).

피막 상태의 평가는, 성형성에 관해서는, 피막 박리 등의 이상이 없는 경우를 양호(○), 박리가 생긴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판정을 최종 성형품 외면에 대응하는 제 1 피막과, 최종 성형품 내면에 대응하는 제 2 피막 각각에 대하여 실시했다. Evaluation of the film state judged that the case where there was no abnormality, such as film peeling, was good ((circle)) and the case where peeling produced was defective (x) regarding moldability. This determination wa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first film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al molded product and the second film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nal molded product.

(세정 공정 내구성) (Cleaning process durability)

염소계 세정제로서 트리클렌을 사용하여, 이것을 1리터 비등시켰다. 각 공시재에 대하여 20개의 상기 최종 성형품을 제작하여, 비등 트리클렌 중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외관을 확인했다. 각 공시재에 대하여 제작한 20개의 최종 성형품에 대하여, 피막의 용해, 피막의 박리, 피막의 변색, 피막의 상처, 피막끼리의 들러붙음 등의 표면 이상이 0개인 경우를 세정내구성이 양호(○), 표면 이상이 1개라도 있는 경우를 세정내구성이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Trickle was used as a chlorine-type cleaner, and it boiled 1 liter. Twenty said final molded articles were produced for each specimen, and after immersing in boiling tricene for 10 minutes, it was taken out and the external appearance was confirmed. For 20 final molded articles produced for each specimen, cleaning durability was good in cases where surface abnormalities such as dissolution of the coating, peeling of the coating, discoloration of the coating, wounds of the coating, and sticking between the coating films were zero. ), The durability of cleaning was evaluated as the case where there was even one surface abnormality.

표 201에, 제 1 피막용 도료의 조건(베이스 수지의 수지계와 유리 전이 온도(℃) 및 첨가제 A의 종류와 함유율(질량%)) 및 제 2 피막용 도료의 조건(베이스 수지의 수지계와 유리 전이 온도(℃) 및 첨가제 B의 종류와 함유율(질량%)), 소부 온도(℃), 제 1 피막의 건조막 두께(μm), 및 제 2 피막의 건조막 두께(μm)를 나타낸다. In Table 201, conditions of the coating material for a 1st coating film (resin system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egreeC) of base resin, and kind and content rate (mass%) of additive A), and conditions of the coating material for 2nd coating film (resin system and glass of base resin) The transition temperature (° C.) and the kind and content of the additive B (mass%)), the baking temperature (° C.), the dry film thickness (μm) of the first film, and the dry film thickness (μm) of the second film are shown.

또한, 표 202에, 제 1 피막 특성(겔분율(%), 산술평균 조도 Ra(μm), 적외선 방사율), 제 2 피막 특성(겔분율(%), 적외선 방사율), 제 1 피막의 성능(성형성, 세정내구성), 제 2 피막의 성능(성형성, 세정내구성)을 나타낸다. In Table 202, the first film characteristics (gel fraction (%),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μm), infrared emissivity), the second film characteristics (gel fraction (%), infrared emissivity),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film ( Moldability, cleaning durability), and the performance (molding, cleaning durability) of the second film.

한편, 표 201 및 표 202 중에 있어서의 밑줄 부분은, 본 발명의 요건 또는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underlined part in Table 201 and 202 shows that it does not have a requirement or an effect of this invention.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표 201 및 표 2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시재 No. 201(이하, 간단히 No. 201 등이라 함) 및 No. 246∼249는, 제 1 피막에 필수 성분인 첨가제 A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결과로 되었다. 또한 No. 201 및 No. 248, 249에 관해서는, 산술평균 조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결과로 되었다. 또한, No. 201의 제 1 피막에 관해서는 성형성의 시험에 있어서 제 1 피막의 내흠집성이 뒤떨어지는 결과로 되었다. 또한, No. 201과 No. 248에 관해서는 세정내구성의 시험에 있어서 제 1 피막끼리의 들러붙음(접착)이 생기고, No. 249에 관해서도 세정내구성의 시험에 있어서 변색이 생겼다. 한편, 필름 라미네이트재의 비교예인 No. 249는, 겔분율의 측정에 있어서 피막이 용해되지 않고서 박리되었다. As shown in Tables 201 and 202, Test Material No. 20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No. 201, etc.) and No. Although 246-249 are the comparative examples which do not contain the additive A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1st film, the infrared radiation rate of a 1st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Also no. 201 and No. Regarding 248 and 249,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Regarding the first film of 201,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first film was inferior in the test of formability. In addition, 201 and No. As for 248, adhesion (adhesion) of the first films occurs in the cleaning durability test. Also in 249, discoloration occurred in the test of washing durability. On the other hand, No. which is a comparative example of a film laminate material. 249 peeled without melt | dissolving a film in the measurement of a gel fraction.

No. 202, No. 213은,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 이 중, No. 202에 관해서는 제 1 피막의 산술평균 조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또한 성형성의 시험에 있어서 제 1 피막의 내흠집성이 뒤떨어지는 결과로 되었다. 더욱이 세정내구성의 시험에 있어서 제 1 피막끼리의 들러붙음이 생겼다. No. 202, No. 213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first film. Among these, No. As for 202,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of the first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 was that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first film was inferior in the test of formability. Furthermore, in the test of cleaning durability, sticking of the first films occurred.

No. 215는, 제 1 피막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세정내구성의 시험으로 제 1 피막에, 성형품끼리가 접촉한 상처가 생겼다. No. Although 215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 1st coating base resin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the wound | wound which molded articles contacted the 1st coating by the test of cleaning durability generate | occur | produced.

No. 220은, 제 1 피막, 제 2 피막의 겔분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세정내구성의 시험으로 제 1 피막, 제 2 피막의 양쪽 모두 용해되었다. No. Although 220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el fractions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were dissolved in the test for cleaning durability.

No. 224는, 제 1 피막 베이스 수지의 종류와 유리 전이 온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며, No. 225, 226은, 제 1 피막 베이스 수지의 종류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어느 것이나 성형성의 시험에서 제 1 피막의 피막에 박리가 생겼다. No. 224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kind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film base resin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225 and 226 are comparative examples in which the kind of 1st film base resin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peeling occurred in the film of a 1st film by the test of moldability in all.

No. 248 및 No. 249는 제 2 피막 그 자체가 없는 비교예이지만,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 No. 248 and No. 249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second film itself, but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227은 제 2 피막에 필수 성분인 첨가제 B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결과로 되었다. No. Although 227 is a comparative example which does not contain the additive B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2nd film, it became the result which infrared emissivity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No. 228 및 No. 246은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다. No. 228 and No. 246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oes not satisfy the present invention.

No. 241은 제 2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의 시험에서 제 2 피막의 박리가 생겼다. No. 241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resin of the second coating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peeling of the second coating occurred in the moldability test.

No. 242∼244는 제 2 피막의 베이스 수지의 종류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지만, 성형성의 시험에서 제 2 피막의 피막에 박리가 생겼다. No. Although 242-244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kind of base resin of a 2nd coating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peeling arose in the film of a 2nd coating in the test of moldability.

상기 이외의 공시재는 본 발명을 만족하는 실시예이지만, 모든 결과에 있어서 양호했다. 한편, No. 204에 관해서는 세정내구성의 시험에 있어서 제 1 피막끼리면에 가벼운 택이 생겼지만, 세정액인 트리클렌의 건조와 함께 자연스럽게 벗겨졌기 때문에 문제로는 되지 않는 수준이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은 전부 만족시키지만, No. 245에 관해서는 제 1 피막, 제 2 피막 모두 1회의 도장으로 피막 형성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생산성 및 비용을 고려하면 피막 두께는 1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est materials other than the above are examples satisfy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were satisfactory in all results. Meanwhile, No. As for 204, in the test of cleaning durability, light tack occurr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films, but it was not a problem because it peeled off naturally with drying of the washing liquid tricen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are satisfied, No. As for 245, since it was difficult to form a film by one coating for both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15 µm or less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and cost.

[제 6 실시예] [Sixth Embodiment]

제 6 실시예에서는 용기 형상 성형품에 대하여 검토했다. In Example 6,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was examined.

용기 형상 성형품의 검토에 대응하여 도 204에 나타내는 온도 실측용의 모의 LED 전구(20)를 제작했다. 모의 LED 전구(2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했다. In response to the examination of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a simulated LED bulb 20 for temperature measurement shown in FIG. 204 was produced. The simulated LED bulb 20 was produced as follows.

우선, 시판되고 있는 4.1W의 LED 전구를 구입하고 해체하여, LED(11)가 점등하는 상태로 LED(11), LED 기판(12) 및 회로(13) 한 벌을 끄집어냈다. 이것을,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을 성형하여 제작한 원통 용기(10)에, LED(11)가 겉, 회로(13)가 속이 되도록 끼워 넣고 고정하여, 온도 실측용의 모의 LED 전구(20)를 제작했다. First, a commercially available 4.1W LED bulb was purchased and dismantled, and the LED 11, the LED substrate 12, and the circuit 13 were taken out in a state where the LED 11 was lit. The LED 11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formed by molding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having infrared emissivity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circuit 13 lie inside and fixed. The simulated LED bulb 20 for temperature measurement was produced.

여기서, 원통 용기(10)는, 약알칼리 탈지 후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판 두께 1mm의 A1100-O에, 제 1 피막과 제 2 피막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방법에 의해 설치한 No. 250∼270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여 제작했다. 여기서, 소부 온도는 260℃로 했다. 한편, 원통 용기(10)는, No. 250∼270의 각각에 대하여 제 1 피막이 외면,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원통 딥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여, 직경 55mmφ, 길이 55mmL가 되도록 했다. Here, in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No.1 in which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were provided to A1100-O of 1 mm of plate | board thickness which performed phosphoric acid chromate treatment after weak alkali degreasing by the method similar to 1st Example. It produced us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according to 250-270. Here, the baking temperature was set at 260 ° C. 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is No. About each of 250-270, the cylindrical deep drawing process was implemented so that a 1st film might become an outer surface, and a 2nd film might be an inner surface, and it was set as 55 mm diameter and 55 mmL in length.

원통 용기의 천면부(14)에는, 직경 10mmφ의 구멍부(15)를 뚫어 전원 코드(16)를 통과시킨 후, 시일제로 메워 구멍부(15)를 밀폐했다. 또한, LED 기판(12)을 직경 53mmφ의 알루미늄제 고정판(17)에 부착하고, 이것을 LED(11)의 회로(13)가 원통 용기(10) 내에 수습되도록 하여(즉, LED(11)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원통 용기(10)의 개구부(18)에 끼워 넣어 개구부(18)를 고정했다. After drilling the hole part 15 of diameter 10mm (phi) and let the power cord 16 pass through the top surface part 14 of a cylindrical container, it filled with the sealing compound and sealed the hole part 15. In addition, the LED substrate 12 is attached to a fixed plate 17 made of aluminum having a diameter of 53 mm phi, so that the circuit 13 of the LED 11 is settled in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that is, the LED 11 is outside). The opening 18 was fixed by inserting it into the opening 18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10 so as to face the opening.

온도 측정은, 4개 있는 LED(11) 중의 1개의 표면에 열전대(19)의 선단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구를 점등시키고,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최고 도달 온도 T1을 측정했다. 한편, 열전대(19)의 선단부가 온도 측정 부위가 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measurement was made to light up a light bulb in the state which contacted the front end part of the thermocouple 19 to one surface of four LED 11, observed the temperature change, and measured the highest achieved temperature T1. On the other hand, the tip of the thermocouple 19 is a temperature measuring site, whereby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비교재로서 제 1 피막, 제 2 피막을 함께 갖고 있지 않은 알루미늄 소판을 사용한 원통 용기(No. 50)를 이용하여, 이것을 이용한 경우의 비교재 온도 측정치 T0으로 했다. 그리고, ΔT(ΔT=T1-T0)를 냉각 효과로 정의했다. 냉각 효과 ΔT의 값이 작을 수록(즉, ΔT가 음의 값인 경우는 절대치가 클 수록), 공시재의 방열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ΔT가 -5℃ 이하인 경우를 양호, ΔT가 -5℃보다도 높은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As a comparative material, the cylindrical container (No. 50) using the aluminum platen which does not have the 1st film and the 2nd film together was used as the comparative material temperature measured value T0 at the time of using this. ΔT (ΔT = T1-T0) was defined as the cooling effect.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cooling effect ΔT (that is, the larger the absolute value when ΔT is negative), the better the heat dissipation of the specimen. In Example 2, the case where (DELTA) T was -5 degrees C or less was favorable, and the case where (DELTA) T was higher than -5 degreeC was evaluated as defect.

실험에 이용한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의 구성과 적외선 방사율, LED의 도달 온도 T1(℃) 및 냉각 효과 ΔT(℃)를 표 203에 나타낸다. Table 203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used for the experiment, the infrared ray emissivity, the attainment temperature T1 (° C) and the cooling effect ΔT (° C) of the LED.

한편, 표 203 중에 있어서의 밑줄 부분은, 본 발명의 요건 또는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underlined part in Table 203 shows that it does not have a requirement or an effect of this invention.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한편, No. 250, No. 251, No. 262는, 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중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지만, 편의상, 외면의 적외선 방사율을 표 203 중의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란에 기재하고, 내면의 적외선 방사율을 표 203 중의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란에 기재했다. Meanwhile, No. 250, no. 251, No. Although 262 is not formed with at least one of a 1st film and a 2nd film, for convenience, the infrared emissivity of an outer surface is described in the infrared emissivity column of the 1st film of Table 203, and the infrared ray emissivity of an inner surface is 2nd in Table 203. It described in the infrared ray emissivity column of a film.

표 2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 255∼261 및 No. 264∼2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이들 실시예는, 냉각 효과 ΔT가 -5℃ 이하의 온도로 되어, 양호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As shown in Table 203, No. 255 to 261 and no. 264 to 270 a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oling effect ΔT was a temperature of −5 ° C. or lower, and a favorable effect was obtained.

한편, No. 251은 제 1 피막이 없는 비교예이고, No. 252와 No. 253과 No. 254는 제 1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며, No. 262는 제 2 피막이 없는 비교예이고, No. 263은 제 2 피막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이다. 이들, 제 1 피막 또는 제 2 피막의 어느 한쪽의 적외선 방사율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제 1 피막 및 제 2 피막 중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이유로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냉각 효과 ΔT가 -5℃보다도 높은 온도로 되어, 효과가 불충분했다. Meanwhile, No. 251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first coating, and No. 251 was used. 252 and No. 253 and No. 254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radiation rate of the first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62 is a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second coating, and No. 263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nfrared emissivity of the second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rared emissivity of any of these 1st film or 2nd film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is invention (it includes the case where at least one of a 1st film and a 2nd film is not formed), And cooling effect (DELTA) T became temperature higher than -5 degreeC, and the effect was insuffici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면, 성형성, 세정내구성, 적외선 방사율(방열성)이 우수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이 됨을 알 수 있다.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isfied, it becomes a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and a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excellent in moldability, cleaning durability, and infrared radiation (heat dissipation).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및 용기 형상 성형품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및 실시예를 게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는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따라서 넓게 해석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내용은, 상기한 기재에 따라서 개변·변경 등을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form and Example for inventing the precoat aluminum plate and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which concern on this invention were published and demonstrated concretely,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tent, The technical scope should be construed broadly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changed, etc.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1: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2: 알루미늄판
3: 제 1 피막
4: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
5: 백색 안료 또는 메탈릭 안료 또는 첨가제 A
6: 제 2 피막
7: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
8: 첨가제 또는 첨가제 B
10: 용기 형상 성형품
1: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2: aluminum plate
3: first film
4: crosslinked polyester resin
5: white pigment or metallic pigment or additive A
6: second film
7: crosslinked polyester resin
8: additive or additive B
10: container shape molded article

Claims (13)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제 1 피막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다른 쪽 측면에 형성된 제 2 피막을 구비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으로서,
상기 제 1 피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25 내지 10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이며, 겔분율이 50% 이상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 2 피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80℃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멜라민계 경화제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반응시킨 가교 폴리에스터 수지와, 첨가제를 포함하고, 파장이 3 내지 30μm인 적외선의 적분 방사율이 25℃의 온도에서 0.6 이상, 겔분율이 50% 이상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A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comprising an aluminum plate, a first film formed on one side of the aluminum plate, and a second film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luminum plate,
The first film include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nd reacting a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5 to 100 ° C. with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and has an infrared integration of 3 to 30 μm. Emissivity is 0.6 or more at the temperature of 25 ℃, the gel fraction satisfies 50% or more,
The second film includes a crosslinked polyester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 polyest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 to 80 ° C. with a melamine curing agent or an isocyanate curing agent, and an additive, and the wavelength is 3 to 30 μm. Integral emissivity of infrared ray satisfies 0.6 or more at 25 ° C and 50% or more gel fraction
A precoat aluminum sheet for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L*값이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ating film includes a white pigment, and the L * value is 85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은, 상기 백색 안료가 산화티타늄이며, 이 산화티타늄의 함유율이 20 내지 7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1st membrane | film | coat is a precoat aluminum sheet for shaping | molding of the said white pigment whose titanium oxide and the content rate of this titanium oxide are 20-70 ma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은, 상기 산화티타늄의 함유율이 40 내지 6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aid 1st film is a content rate of the said titanium oxide 40-60 mass%, and the film thickness is 15 micrometers or less, The precoat aluminum sheet for shaping | molding.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막은, 상기 첨가제가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그 함유율이 5 내지 7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cond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ve contains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and resin beads, the content thereof is from 5 to 70 mass%, and the film thickness is 15 μm or less. Molding precoat aluminum she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은 메탈릭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at is a precoat aluminum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tallic pigm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은, 상기 메탈릭 안료가 알루미늄 페이스트이며, 이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함유율이 3 내지 3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aid 1st membrane | film | coat is a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of the said metallic pigment whose aluminum paste is 3-30 mas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은,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함유율이 5 내지 2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aid 1st film is a content rate of the said aluminum paste 5-20 mass%, and the film thickness is 15 micrometers or less, The precoat aluminum plate for shaping | mold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막은, 상기 첨가제가,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 알루미늄 페이스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그 함유율이 5 내지 70질량%이며, 막 두께가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aid 2nd membrane | film | coat is the said additive contains at least 1 or more types chosen from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resin beads, and aluminum paste, The content rate is 5-70 mass%, The film thickness is It is 15 micrometers or less, The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은, 첨가제 A를 포함하고, 표면의 산술평균 조도(Ra)가 0.1μm 이상 5μm 이하이며, 상기 제 2 피막은, 첨가제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1st film contains the additive A,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is 0.1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and the said 2nd film contains the additive B, The shaping |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막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첨가제 A 및 상기 제 2 피막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첨가제 B가 카본 블랙, 흑연, 산화티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지 비드, 알루미늄 페이스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그 함유율이 3 내지 70질량%이며, 상기 제 1 피막의 막 두께 및 상기 제 2 피막의 막 두께가 함께 1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10,
The additive A included in the first film and the additive B included in the second film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carbon black, graphite, titanium oxide, silica, alumina, resin beads, and aluminum paste. And the content rate is 3-70 mass%,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aid 1st film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aid 2nd film are 15 micrometers or less together, The shaping | molding precoat aluminum plat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술평균 조도(Ra)가 0.25μm 이상 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
The method of claim 10,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is 0.25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제 1 항에 기재된 성형용 프리코트 알루미늄판이 사용되고, 상기 제 1 피막이 외면, 상기 제 2 피막이 내면이 되도록 성형된 용기 형상 성형품.
The molded precoat aluminum plate of Claim 1 was used, and the container-shaped molded article shape | molded so that the said 1st film might become an outer surface, and the said 2nd film would be an inner surface.
KR1020110028721A 2010-03-31 2011-03-30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forming and container-shaped formed article KR1013064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4640 2010-03-31
JP2010084643A JP5587016B2 (en) 2010-03-31 2010-03-31 Pre-coated aluminum plate for molding and molded container
JPJP-P-2010-084643 2010-03-31
JP2010084640A JP5587015B2 (en) 2010-03-31 2010-03-31 Pre-coated aluminum plate for molding and molded container
JP2010110643A JP5646875B2 (en) 2010-05-12 2010-05-12 Pre-coated aluminum plate for drawing and container-shaped molded products
JPJP-P-2010-110643 2010-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008A true KR20110110008A (en) 2011-10-06
KR101306495B1 KR101306495B1 (en) 2013-09-09

Family

ID=4477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721A KR101306495B1 (en) 2010-03-31 2011-03-30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forming and container-shaped formed art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6495B1 (en)
CN (1) CN102218860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900B1 (en) * 2011-12-09 2013-04-24 (주) 넥스원이노베이션 Heatsink that motive convection current flowing
WO2018108529A1 (en) * 2016-12-12 2018-06-21 Norsk Hydro Asa Composite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7180A (en) * 1973-12-04 1975-07-14
JPH0219226Y2 (en) * 1985-08-19 1990-05-28
KR100677928B1 (en) * 2003-02-25 2007-02-05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Reflector-use precoat metal plate
CN1597307A (en) * 2004-08-10 2005-03-23 戚国林 Manufacturing technology of plastic cloth aluminium coated compound photopathy material
KR101082122B1 (en) * 2004-12-08 2011-11-10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ecoated metal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precoated metal plate
JP4448511B2 (en) * 2006-12-26 2010-04-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Pre-coated metal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re-coated metal plate
JP4559513B2 (en) * 2008-09-09 2010-10-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Laminate and composite molded bod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900B1 (en) * 2011-12-09 2013-04-24 (주) 넥스원이노베이션 Heatsink that motive convection current flowing
WO2018108529A1 (en) * 2016-12-12 2018-06-21 Norsk Hydro Asa Composite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8860B (en) 2014-04-09
KR101306495B1 (en) 2013-09-09
CN102218860A (en)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7272B2 (en) Heat dissipation member for LED bulb
KR101277778B1 (en) Coated metallic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849729B1 (en) Visible ray reflection plate and electric/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587015B2 (en) Pre-coated aluminum plate for molding and molded container
TW200426025A (en) Precoated metal sheet for light reflectors
TWI494472B (en) Pre-coated aluminum sheet
JP4634747B2 (en) High-performance resin-coated aluminum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dissipation
TW201441064A (en) Transfer film for decoration
CN110382739B (en) Organic resin-coated plated steel sheet
KR101306495B1 (en) Precoated aluminum sheet for forming and container-shaped formed article
JP2010089399A (en) Decorative resin mold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46875B2 (en) Pre-coated aluminum plate for drawing and container-shaped molded products
JP5587016B2 (en) Pre-coated aluminum plate for molding and molded container
JP4638538B2 (en) Pre-coated aluminum plate
JP2006258849A (en) Resin coated metallic plate superior in light reflectivity
JP2005262841A (en) Resin coated aluminum material excellent in processability and heat radiation
JP6313639B2 (en) Pre-coated aluminum plate for capacitor case
JP2011201198A (en) Resin-coated ai plate for drawn and ironed can excellent in luster, and method for producing drawn and ironed can
JP2007181984A (en) Resin-coated aluminum sheet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heat dissipating property, conductivity and processability
JP2013018233A (en) Resin-coated aluminum bas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256137B2 (en) blind
JP2015136890A (en) Resin-coated aluminum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114642A (en) Precoat resin coating reflection plate of low odor
JP2006123463A (en) Resin coated aluminum reflective plate showing excellence in light reflection and workability
JP2005169857A (en) Coated metal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