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589A -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589A
KR20110109589A KR1020100029378A KR20100029378A KR20110109589A KR 20110109589 A KR20110109589 A KR 20110109589A KR 1020100029378 A KR1020100029378 A KR 1020100029378A KR 20100029378 A KR20100029378 A KR 20100029378A KR 20110109589 A KR20110109589 A KR 20110109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initial
discharge
initial excellent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화
Original Assignee
이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화 filed Critical 이현화
Priority to KR102010002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589A/ko
Publication of KR2011010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구조의 제방인 법면 또는 옹벽에 상판을 갖는 구조물을 설치해 하천방향으로 확장된 노견을 제공하도록 하고, 오염된 물질이 다량 포함된 초기우수와 중반부 이후의 맑은 우수의 배출경로를 달리해 도로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가 인근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하천이 형성하는 습지 등의 자연환경을 보호하면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침사지를 통하여 비중이 큰 물질은 침전시키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식생대를 통하여 분해하여 하천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며, 도로와 하천의 경계인 옹벽 및 법면에 설치되고, 우수를 공급받아 초기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고, 중기 이후의 우수를 월류시켜 인근하천으로 방류하는 초기우수 집수부; 하수구를 구비하는 수평격판 및 상기 하수구에 끼워져 승강하면서 상기 하수구를 개폐하는 부력체를 구비하며, 유입된 초기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부력체가 상기 수평격판으로부터 승강하면서 초기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하수구를 통해서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수평격판 상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는 우수단속장치; 및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 또는 우수단속장치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Nonpoint pollution decrease system using sump for rainwater}
본 발명은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구조의 제방인 법면 또는 옹벽에 상판을 갖는 구조물을 설치해 하천방향으로 확장된 노견을 제공하도록 하고, 오염된 물질이 다량 포함된 초기우수와 중반부 이후의 맑은 우수의 배출경로를 달리해 도로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가 인근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하천이 형성하는 습지 등의 자연환경을 보호하면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침사지를 통하여 비중이 큰 물질은 침전시키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식생대를 통하여 분해하여 하천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게 되면 우수가 도로나 지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지표면에 노출된 각종 비점오염물질(Non-Point Soure Pollutant)과 섞이게 되고,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우수는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비가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우수에 비해 초기우수는 많은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사안이 된다.
특히 도로, 교량, 고가차도등의 도로 노면에 떨어지는 우수는 도로위에 적층된 각종 유해물질 즉, 자동차 주행으로 인해 발생된 타이어 마모 미립자, 자동차의 연소분진 등 미립자 형태의 유해물질은 물론, 비가 내리면서 대기 중의 유해가스나 부유분진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오염도가 매우 높아 하천 오염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비점오염원 중 하나이다.
또한, 일반적인 하천은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강우량이 증가될 때 하천이 인근지역으로 범람하지 않고 인접한 강 또는 바다로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천의 양측에 제방을 쌓으며, 상기 하천과 제방 사이에는 고수부지를 형성하여 집중된 우수가 범람없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평소에 강수량이 적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제방 사이 중앙 부분에만 물이 흐르기 때문에 도심을 지나가는 하천 부분에는 고수부지를 공원화하여 시민에게 개방하고 있다. 즉,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연형 하천사업은 하천의 치수 및 이수에 치중하여 하천의 고수부지를 활용하여 공원화 또는 부족한 도로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여가활용이나 간단한 운동의 기회를 부여하며, 부족한 도로시설을 제공하여 통행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천 고수부지의 상당부분을 자전거도로와 보행도로로 활용하여 시민들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설계함에 따라 하천 고수부지 부분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야 할 습지가 훼손되거나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하천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여 자연정화기능을 증진시키기를 바라는 환경단체와, 하천 정비사업과 도시미관개선을 진행하는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갈등원인이 된다.
또한 대부분 도시지역의 제방에는 도로가 건설되어 있어 강우시 도로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점오염원들이 인접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의 오염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도로의 측면에 우수측구를 설치하여 유입된 우수를 인근 합류식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하천의 자연정화기능을 갖는 하천부지와 습지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공원도로를 제공하고, 초기우수는 별도 분리하여 하수관으로 보내며, 중기 이후의 비교적 맑은 우수는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자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초기우수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을 거치지 않고 별도의 침사지와 미생물조 및 식생대를 통하여 자연친화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로변의 우수측구를 통해 포집된 우수가 유입되어 토사등이 침전되도록 하고, 상기 침전이 이루어진 우수는 제1수직 월류턱을 통해 월류하고, 수평격판과 부력체의 작용으로 초기우수는 하부하수공간을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는 제2수직월류턱을 월류하여 인근하천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와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의 배출경로를 달리하여 실용적인 하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와 하천의 경계인 옹벽 및 법면에 설치되고, 우수를 공급받아 초기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고, 중기 이후의 우수를 월류시켜 인근하천으로 방류하는 초기우수 집수부; 하수구를 구비하는 수평격판 및 상기 하수구에 끼워져 승강하면서 상기 하수구를 개폐하는 부력체를 구비하며, 유입된 초기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부력체가 상기 수평격판으로부터 승강하면서 초기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하수구를 통해서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수평격판 상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는 우수단속장치; 및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 또는 우수단속장치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에 따르면, 하천의 자연정화기능을 갖는 하천부지와 습지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공원도로를 제공하고, 초기우수는 별도 분리하여 하수관으로 보내며, 중기 이후의 비교적 맑은 우수는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자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초기우수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을 거치지 않고 별도의 침사지와 미생물조 및 식생대를 통하여 자연친화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변의 우수측구를 통해 포집된 우수가 유입되어 토사등이 침전되도록 하고, 상기 침전이 이루어진 우수는 제1수직 월류턱을 통해 월류하고, 수평격판과 부력체의 작용으로 초기우수는 하부하수공간을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는 제2수직월류턱을 월류하여 인근하천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와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의 배출경로를 달리하여 실용적인 하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2는 우수단속장치가 초기우수 집수부 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초기우수 집수부에 전처리 집수부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우수단속장치가 전처리 집수부 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전처리 집수부에 단속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우수단속장치가 초기우수 집수부 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초기우수 집수부에 전처리 집수부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우수단속장치가 전처리 집수부 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전처리 집수부에 단속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10)은 초기우수 집수부(100)와 우수단속장치(200) 및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100)는 도로(1)와 하천의 경계인 옹벽 및 법면(2)에 설치되고, 우수를 공급받아 초기우수를 하수관(20)으로 배출시키고, 중기 이후의 우수를 월류시켜 인근하천으로 방류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100)는 내부에 집수구(111)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인접 우수측구(3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도록 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113)를 형성하여 중기 이후의 우수를 인근하천으로 방류토록 하되, 상기 배출구(113)는 상기 집수부(11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초기우수의 하천 방류를 방지하도록 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법면(2)과 접하는 부분의 측벽(114)을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천 법면(2)의 상부를 굴착하여 상기 본체(110)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관로인 집수구(111)가 형성되며, 제방 법면(2)에 매립되는 일측면에는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도로의 우수측구(30)로부터 우수관(31)을 통해 우수를 공급받도록 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113)가 형성되어 중기 이후의 맑은 우수가 인근하천으로 월류하여 방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13)는 본체(110) 내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유량이 적은 초기우수의 경우에는 본체의 집수구(111)를 따라 인근 하수관(20)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량이 많은 중기 이후의 맑은 우수는 본체(110)에 유입되면서 수위가 높아져 배출구(113)의 배출턱(115)을 월류하여 인근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113)로 월류하여 배출된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는 우회수로(116)를 통해 인근하천으로 방류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13)를 갖는 본체(110) 측벽은 그 상태로 상판(120)을 지지하도록 하거나, 일정높이의 배출턱(115)만 형성하고 상기 배출턱(115)과 상판(120)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를 추가 설치하는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상판(12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안치되는 상판(120)은 제방 상부의 도로(1)와 수평상에 설치되어 상판(120) 폭만큼 노견의 길이를 연장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장된 노견은 시민이 이동하는 통행로 상에 각종 운동시설 등을 설치하여 공원도로로 활용하거나 자전거 전용도로 또는 하천을 관망할 수 있는 전망대 등으로 활용되도록 하여 여유롭게 도로부지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20)은 본체(110) 상부에 안치하되 본체(110)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더 연장형성되도록 하여 상부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하천방향의 측벽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판(120)의 지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법면(2)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연장폭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체(110)와 상판(120)이 형성하는 내부 중공부인 집수구(111)의 단면이 상광하협의 사다리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본체(110)와 상판(120)은 다수의 고정핀(4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40)은 상판(120)에서 수직방향으로 삽설되어 본체(110) 양측벽의 상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해 상판(120)이 본체(110)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40)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수단으로는 고무를 포함하는 각종 패킹, 발포수지가 적용될 수 있고, 시멘트를 타설하여 공극을 메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20)에는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층(121)이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감층(121)은 도로와 같은 아스팔트층, 조각블럭을 조적한 도로블럭층, 우레탄을 이용한 방수코팅층 및 방부목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판(120)에는 하천 방향의 단부에 안전난간대(122)를 더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자연상태로 보존되는 하천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초기우수 집수부(100)는 기존 제방의 법면(2)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상판(120)을 도로(1)로부터 연장시켜 연장된 상판(120)을 통해 시민의 보행로와 공원도로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도로(1) 가장자리의 형성된 우수측구(30)로 유입된 우수는 상기 상판(120)을 지지하는 본체(110) 내부의 집수구(111)로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110)의 유입구(112)가 형성된 측벽(114)과 대향되는 타측 측벽에는 집수구(11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출구(113)를 형성하여 유입된 우수 중 비교적 강수량이 적은 초기우수는 집수구(111)의 관로를 따라 인근 하수관(20)으로 유입시켜 하수처리 되도록 하고, 우수량이 많아지는 중기 이후의 맑은 우수는 배출구(113)를 월류하여 인근하천으로 방류시켜 하류로 보냄으로써 하천생태환경의 훼손을 최소한으로 하고 하수처리장의 처리효율을 증가시킨 확장형 노견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우수단속장치(200)는 하수구(211)를 구비하는 수평격판(210) 및 상기 하수구(211)에 끼워져 승강하면서 상기 하수구(211)를 개폐하는 부력체(220)를 구비하며, 유입된 초기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부력체(220)가 상기 수평격판(210)으로부터 승강하면서 초기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하수구(211)를 통해서 하수관(20, 21)으로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수평격판(210) 상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평격판(210)에는 하수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구(211)에 상하부부력통(221, 222)과 승강로드(223)로 구성된 부력체(220)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부력체(220)가 승강하여 하수구(211)를 개폐하게 한다.
즉, 상기 수평격판(210)의 하수구(211)에 설치되는 부력체(220)는 수평격판(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안치되는 상하부부력통(221, 222)과, 상기 상하부부력통(221, 222)을 연결하고 상기 수평격판(210)의 하수구(211)에 삽입, 설치되어 승강높이를 한정하는 승강로드(223)로 구성되데, 상기 상하부부력통(221, 222)은 하수구(211)보다 큰 크기로 형성하여 최대상승위치와 최대하강위치에 있을 경우 하수구(211)와 접하여 하수구(211)를 폐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수구(211)로의 배수는 승강로드(223)와 하수구(211) 사이의 틈으로 이루어짐으로, 상기 하수구(211)의 단면을 승강로드(223)의 단면보다 크게 확장 할수록 배수율이 상승된다.
상기 하수구(211)의 단면이 확장되면, 상기 하수구(211)를 개폐하기 위한 부력체(220)의 상하부부력통(221, 222)의 단면도 크게 형성해야한다. 즉, 단면적을 비교했을 때 승강로드(223) < 하수구(211) < 상하부부력통(221, 222)의 순으로 형성하여 수평격판(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배수와 하수구(211)의 단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평격판(210)의 하수구(211)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부력체(220)는 최대상승위치와 최저하강위치에 있을 때 부력체(220)의 상하부부력통(221, 222)이 하수구(211)의 일측을 막도록하여 유해물질의 함유량이 적은 맑은 우수가 수평격판(210)의 하부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수관(20, 21)으로부터의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부력체(220)는 우수량에 따라 부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수구(211)를 따라 승강되도록 중간에는 협소한 형태를 갖는 아령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300)는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100) 또는 우수단속장치(200)를 통해 하수관(20, 21)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300)는 침사지(310), 저류지(320), 식생대(3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침사지(310)는 상기 하수관(20, 21)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침사지(310)는 하수관(20, 21)에서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비중이 큰 물질은 바닥에 가라앉히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저류지(32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침사지(310)와 저류지(3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콘크리트 바닥 및 벽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저류지(320)의 입구 바닥이 침사지(310)의 바닥보다 높게 형성되어 침사지(310)에 비중이 큰 비점오염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침사지(310)는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입구의 높이보다 초기우수가 배출되는 출구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역류하지 않고 저류지(32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류지(320)는 침사지(31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식생대(330)로 이송하는 관로로서, 이 저류지(320)는 침사지(310) 방향으로부터 식생대(33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사지(31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역류하지 않고 식생대(33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식생대(330)는 상기 저류지(320)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갈과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화 처리한 후 인근하천으로 방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식생대(330)는 저류지(32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을 천연 섬유, 자갈, 모래 등의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수 처리한 후, 깨끗한 초기우수를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초기우수 정화 처리조이다.
이 식생대(330)는 저류지(32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 처리하는 다수의 코코넛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 섬유질부(331)와, 상기 천연 섬유질부(331)를 통하여 1차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2차 처리하는 다수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갈부(332)와, 상기 자갈부(332)를 통하여 2차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3차 처리하는 다수의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모래부(333)가 구비되는데, 상기 천연 섬유질부(331)와 자갈부(332) 및 모래부(333)는 수직으로 구역이 나누어진 칸 형태를 이룬다.
상기 식생대(330)의 바닥면과 벽면은 흙다짐(334)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천연 섬유와 자잘 및 모래가 보관되는데, 상기 흙다짐(334) 바닥면의 상부와 천정의 하부에는 각각 수용성 플라스틱 비닐(335)이 배치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대(330)는 저류지(32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중 부피가 큰 물질을 천연 섬유질부(331)에서 걸러 1차 처리하고, 상기 천연 섬유질부(331)에서 걸러지지 않은 비점오염물질은 자갈부(332) 및 모래부(333)를 통하여 2차, 3차 걸러져 처리되면, 모래부(333)에 최종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는 하천으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단속장치(200)는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100)와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300) 사이에 마련되고, 내부수용공간(S)을 갖는 하우징(23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격판(210)을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230) 밖으로 배출된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를 인근하천으로 방류한다.
상기 하우징(230)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통체로 구성되며, 상부면은 개폐 가능한 덮개(231)로 구성하여 내부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경우, 초기우수 집수부(100)에서 1차로 분류되어 하수관(20)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를 수평격판(210)의 상부로 공급받아 2차로 분류하여 초기에 공급된 초기우수를 하수관(21)으로 보내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300)에서 자연정화시킨 뒤 방류토록 하고, 중기 이후에 공급된 초기우수를 수평격판(21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30) 일측에 마련된 배출구(232)로 월류하여 인근하천으로 방류토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232)로 월류하여 배출된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는 우회수로(233)를 통해 인근하천으로 방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단속장치(200)는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1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격판(210) 상부에 채워진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는 상기 배출구(113)를 월류하는 방식으로 인근하천으로 방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우수단속장치(200)가 초기우수 집수부(100) 내에 설치될 경우, 상기 우수단속장치(200)를 통해 초기우수가 1차로 분류되고, 상기 우수단속장치(200)로 부터 분류된 초기의 초기우수는 하수관(20)으로 배출되고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는 수평격판(210) 상부에 채워지다가 배출구(113)를 통해 월류하여 인근하천으로 방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120)은 하천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초기우수 집수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천부지, 습지 또는 자연환경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시민의 접근성은 향상시키고 간단한 운동도 즐길 수 있는 공원도로 및 일반 보행도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100)는 상기 유입구(112)에서 우수를 공급받아 초기우수를 하수관(20)으로 배출시키고, 중기 이후의 우수를 월류시켜 상기 집수구(111)로 배출하는 전처리 집수부(130)를 추가로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집수부(130)는 내부에 집수구(131)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배출구(132)를 형성하여 중기 이후의 우수를 상기 집수구(111)로 배출하되, 상기 배출구(132)는 상기 집수-부(13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초기우수가 상기 집수구(111)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 집수부(130)가 추가로 마련될 경우, 상기 전처리 집수부(130)를 통해 초기우수가 1차로 분류되는데, 초기에 공급된 초기우수는 하수관(20)으로 배출되고, 중기 이후에 공급된 초기우수는 집수구(131)에 채워지다가 배출구(132)를 통해 월류하여 집수구(111)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 집수부(130)를 통해 1차로 분류되어 집수구(111)로 월류된 초기우수는 초기우수 집수부(100)에서 2차로 분류된다.
따라서, 배출구(132)를 통해 월류된 초기우수는 초기에는 하수관(20)으로 배출되고 우수단속장치(200) 및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300)를 거치게 되고, 중기 이후부터는 배출구(113)를 통해 월류되어 인근하천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단속장치(200)는 상기 전처리 집수부(130)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격판(210) 상부에 채워진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는 상기 배출구(132)를 월류하는 방식으로 집수구(111)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우수단속장치(200)가 전처리 집수부(130)내에 설치될 경우, 우수단속장치(200)를 통해 초기우수의 1차 분류가 이루어지고, 전처리 집수부(130)에서 2차 분류가 이루어지며, 초기우수 집수부(100)를 통해 3차 분류가 이루어져 최종적으로는 초기우수 집수부(100)의 배출구(113)를 월류하는 중기 이후의 우수는 인근하천으로 방류되고, 전처리 집수부(130) 및 초기우수 집수부(100)를 통해 하수관(20)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는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300)를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집수부(130)는 상기 배출구(132)를 통해 상기 집수구(111)로 원류된 초기우수가 상기 전처리 집수부(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단속부(140)를 추가로 설치한다.
상기 단속부(140)의 상판(120)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부(141)로 고정되고, 단속부(140)는 집수구(131)에서 배출구(132)를 통해 집수구(111)로 배출되는 초기우수는 간섭하지 않고, 빠져나간 초기우수가 다시 배출구(132)를 통해 집수구(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배출구(132)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되어 배출구(132)의 바깥쪽으로는 열리지만 배출구(132)의 안쪽으로는 배출-턱(133)의 간섭으로 열리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에 따르면, 하천의 자연정화기능을 갖는 하천부지와 습지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공원도로를 제공하고, 초기우수는 별도 분리하여 하수관으로 보내며, 중기 이후의 비교적 맑은 우수는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자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초기우수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을 거치지 않고 별도의 침사지와 미생물조 및 식생대를 통하여 자연친화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도록 장점이 있다.
또한, 도로변의 우수측구를 통해 포집된 우수가 유입되어 토사등이 침전되도록 하고, 상기 침전이 이루어진 우수는 제1수직 월류턱을 통해 월류하고, 수평격판과 부력체의 작용으로 초기우수는 하부하수공간을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는 제2수직월류턱을 월류하여 인근하천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와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의 배출경로를 달리하여 실용적인 하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도로 2 : 법면
10 :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20, 21 : 하수관 30 : 우수측구
31 : 우수관 40 : 고정핀
100 : 초기우수 집수부 110 : 본체
111 : 집수구 112 : 유입구
113 : 배출구 120 : 상판
130 : 전처리 집수부 131 : 집수구
132 : 배출구 140 : 단속부
200 : 우수단속장치 210 : 수평격판
211 : 하수구 220 : 부력체
230 : 하우징 300 :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
310 : 침사지 320 : 저류지
330 : 식생대 331 : 천연 섬유질부
332 : 자갈부 333 : 모래부

Claims (10)

  1. 도로와 하천의 경계인 옹벽 및 법면에 설치되고, 우수를 공급받아 초기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고, 중기 이후의 우수를 월류시켜 인근하천으로 방류하는 초기우수 집수부;
    하수구를 구비하는 수평격판 및 상기 하수구에 끼워져 승강하면서 상기 하수구를 개폐하는 부력체를 구비하며, 유입된 초기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부력체가 상기 수평격판으로부터 승강하면서 초기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하수구를 통해서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수평격판 상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는 우수단속장치; 및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 또는 우수단속장치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는 내부에 집수구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인접 우수측구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도록 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중기 이후의 우수를 인근하천으로 방류토록 하되, 상기 배출구는 상기 집수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초기우수의 하천 방류를 방지하도록 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상기 하수관으로 배출된 초기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시키는 침사지;
    상기 침사지로부터 유출되는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이송시키는 저류지;
    상기 저류지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갈과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화 처리한 후 인근하천으로 방류하는 식생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단속장치는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와 친환경 초기우수 처리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내부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격판을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 밖으로 배출된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를 인근하천으로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단속장치는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격판 상부에 채워진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는 상기 배출구를 월류하는 방식으로 인근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천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 집수부는 상기 유입구에서 우수를 공급받아 초기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고, 중기 이후의 우수를 월류시켜 상기 집수구로 배출하는 전처리 집수부를 추가로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집수부는 내부에 집수구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중기 이후의 우수를 상기 집수구로 배출하되, 상기 배출구는 상기 집수-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초기우수가 집수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단속장치는 상기 전처리 집수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격판 상부에 채워진 중기 이후의 초기우수는 상기 배출구를 월류하는 방식으로 집수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집수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집수구로 원류된 초기우수가 상기 전처리 집수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단속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1020100029378A 2010-03-31 2010-03-31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20110109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378A KR20110109589A (ko) 2010-03-31 2010-03-31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378A KR20110109589A (ko) 2010-03-31 2010-03-31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589A true KR20110109589A (ko) 2011-10-06

Family

ID=4502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378A KR20110109589A (ko) 2010-03-31 2010-03-31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58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67B1 (ko) * 2011-06-30 2013-01-09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호기성 및 혐기성 분해반응을 통한 도시비점 오염물질 처리목적의 식생 습지 시스템
KR101233093B1 (ko) * 2012-09-25 2013-02-14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저류조 세척장치
CN103088896A (zh) * 2013-01-10 2013-05-08 朱加林 生态道路抗冲击雨水利用系统
KR101272268B1 (ko) * 2012-12-07 2013-06-13 주식회사 수로텍 초기우수 처리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우수정화시스템
KR101301042B1 (ko) * 2013-04-04 2013-08-28 (주)아록이엔지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CN103498507A (zh) * 2013-10-22 2014-01-08 苏州合展设计营造有限公司 一种雨水弃流装置
KR101583357B1 (ko) * 2014-09-18 2016-01-07 장익식 개량형 레인가든 구조
CN106930390A (zh) * 2017-04-05 2017-07-07 韩守相 一种城市雨水回流处理方法
KR20180051864A (ko) 2016-11-09 2018-05-17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모듈형 초기우수처리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67B1 (ko) * 2011-06-30 2013-01-09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호기성 및 혐기성 분해반응을 통한 도시비점 오염물질 처리목적의 식생 습지 시스템
KR101233093B1 (ko) * 2012-09-25 2013-02-14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저류조 세척장치
KR101272268B1 (ko) * 2012-12-07 2013-06-13 주식회사 수로텍 초기우수 처리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우수정화시스템
CN103088896A (zh) * 2013-01-10 2013-05-08 朱加林 生态道路抗冲击雨水利用系统
CN103088896B (zh) * 2013-01-10 2015-05-06 朱加林 生态道路抗冲击雨水利用系统
KR101301042B1 (ko) * 2013-04-04 2013-08-28 (주)아록이엔지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CN103498507A (zh) * 2013-10-22 2014-01-08 苏州合展设计营造有限公司 一种雨水弃流装置
CN103498507B (zh) * 2013-10-22 2014-09-24 苏州合展设计营造有限公司 一种雨水弃流装置
KR101583357B1 (ko) * 2014-09-18 2016-01-07 장익식 개량형 레인가든 구조
KR20180051864A (ko) 2016-11-09 2018-05-17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모듈형 초기우수처리장치
CN106930390A (zh) * 2017-04-05 2017-07-07 韩守相 一种城市雨水回流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9589A (ko)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100810415B1 (ko) 비점오염물질 우수받이
KR100718719B1 (ko)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959161B1 (ko)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KR101346104B1 (ko) 필터링 스페이스를 위한 데크보도형 빗물저류장치
KR100848011B1 (ko)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JP2009257005A (ja) 高架道路の雨水利用システム
KR10099117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99251B1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005589B1 (ko) 하천의 법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초기우수처리 시스템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JP4112532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100856883B1 (ko)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리형 배수처리장치
CN111287079A (zh) 一种新型高架桥雨水综合利用系统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100824268B1 (ko) 배수처리장치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200287647Y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