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492A -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492A
KR20110109492A KR1020100029259A KR20100029259A KR20110109492A KR 20110109492 A KR20110109492 A KR 20110109492A KR 1020100029259 A KR1020100029259 A KR 1020100029259A KR 20100029259 A KR20100029259 A KR 20100029259A KR 20110109492 A KR20110109492 A KR 20110109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emperature
heating
heat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진성
고승우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492A/ko
Publication of KR2011010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온수탱크 내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온수생성장치는 내부에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수탱크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열부를 구동시키되,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온수생성장치에 의하면, 고도가 높거나 기압이 낮아 끓는점이 낮은 지역 또는 상황에서도 온수탱크의 지속적 가열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도에 관계없이 높은 온도의 온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Water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온수기, 냉온수기, 온수기능이 있는 정수기/이온수기와 같이 음용을 위한 온수를 가열하여 보관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계속하여 가열되거나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수기, 냉온수기, 온수기능이 있는 정수기 등의 온수생성장치는 일반적으로 온수탱크와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가열수단에 의하여 온수탱크 내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온수생성장치는 온수탱크 내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물의 끓는점인 100℃ 보다 낮은 온도를 상한온도, 즉 가열목표온도로 하여 소정범위 내에서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온수온도를 91 내지 96℃로 유지하는 경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91℃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히터 등의 가열수단을 통하여 온수탱크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게 되고, 가열목표온도인 96℃가 되면 온도센서의 온수탱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수단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물의 끓는점은 대기압(1atm, 760mmHg)에서 100℃이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저하된다. 예를 들어, 고도가 1500m인 경우의 기압은 634mmHg(0.834atm)이고, 이에 대응하는 물의 끓는점은 대략 95.2℃가 된다.
따라서, 가열목표온도가 96℃로 설정된 종래의 온수생성장치의 경우에는 끓는점이 96℃ 이하인 고지대에서는 아무리 가열하여도 온수온도의 상한 설정값(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열수단이 계속하여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과열로 인한 화재나 온수탱크의 파손 및 이로 인한 누수를 통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증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열목표온도를 높게 하는 경우에 더 낮은 고도 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가열목표온도보다 높은 끓는점을 가진 지역의 경우에도 온도센서의 오차 등에 의해 가열수단의 지속적 구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지대와 저지대에 관계없이 온수생성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온수탱크의 가열목표온도를 임의로 낮추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목표온도를 93℃로 낮추는 경우에는, 온수탱크의 유지 온도의 하한은 90℃ 이하가 되고 추출코크까지의 열손실을 고려한다면 온수의 온도가 더욱 저하되므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 온도에 전혀 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8-0114310호(2008. 11. 17. 출원)를 통하여 온수생성장치의 사용환경, 즉 기압에 맞추어 가열목표온도를 낮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과 같이 기압에 따라 수동으로 가열목표온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나 판매자, 제품 설치자가 가열목표온도를 조정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만약 사용자나 판매자가 가열목표온도의 조정작업을 잊거나 잘못 조정하는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기압 또는 고도에 따라 수동으로 가열목표온도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온수온도가 고온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가열부의 구동정지가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온도센서의 오작동이나 고장의 경우에도 온수탱크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수탱크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열부를 구동시키되,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수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목표온도는 93 내지 98℃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되며, 상기 안전설정온도는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1 내지 3℃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연속적으로 작동한 누적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연속적으로 작동하면서도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가열부를 구동시키는 가열부 구동단계;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은 상기 가열부 구동단계 이후에, 상기 가열부가 연속적으로 작동한 누적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은 상기 가열부 구동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은 상기 가열제한시간 경과후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한 경우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도가 높거나 기압이 낮아 끓는점이 낮은 지역 또는 상황에서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에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경과한 경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온수탱크의 지속적 가열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재나 안전사고, 온수탱크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설정온도 이상의 온도로 온수를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온도가 높은 온수 생성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가열목표온도까지 온수의 가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에도 기압 또는 고도에 따라 수동으로 가열목표온도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가열부의 구동정지가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으로 높은 온도의 온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열부가 동작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온도센서의 오작동이나 고장, 기타 내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가열탱크가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온수생성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AS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생성장치는 온수기, 냉온수기, 온수기능을 갖는 정수기 또는 이온수기와 같이 음용을 위한 온수를 가열하여 보관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음용용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이라면 그 명칭이나 기능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온수생성장치(100)는 내부에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110)와, 상기 온수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0)와, 상기 온수탱크(110)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130)와, 상기 온도센서(120)에서 측정된 온수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상 발생시 이를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1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온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20)는 상기 온수탱크(110)에 수용된 물(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나 설치위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센서(120)는 온수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온수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130)도 상기 온수탱크(11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면 그 종류, 형태, 발열방식이나 설치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부(130)는 시즈히터, 세라믹 히터, 루테녹스 히터 등 다양한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온도센서(120)에서 측정된 온수온도에 따라 가열부(1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온도센서(120)에서 측정된 온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열부(130)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온수온도의 유지범위가 91 내지 96℃ 사이인 경우(즉 가열목표온도가 96℃이고 가열부 재가동온도가 91℃인 경우), 온수온도가 가열부 재가동 온도인 91℃보다 낮아지면 가열부(130)를 구동시키고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면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고도가 높은 지역과 같이 기압이 낮은 곳에 온수생성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물의 끓는점은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 물의 끓는점이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되어 가열부(130)의 지속적인 가동에도 불구하고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발고도가 1500m인 경우의 기압은 634mmHg(0.834atm)이고, 이에 대응하는 물의 끓는점은 대략 95℃가 되므로 가열부(130)를 구동시켜도 가열목표온도인 96℃에는 도달할 수 없게 된다.
즉, 온수를 아무리 가열하여도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않게 되므로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가열 또는 과열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 및 온수탱크의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성이 매우 증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끓는점이 낮은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안전설정온도를 통하여 온수온도를 이중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140)는 온수탱크(110)에 저장된 온수가 가열되어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130)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기준시간은 온수탱크(110)의 용량이나 가열부(130)의 발열량 등을 고려하여 통상적인 상황에서(1기압 상태에서) 안전설정온도로부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고도가 1500m인 경우를 예로 들면, 안전설정온도를 가열목표온도(96℃)보다 2℃ 낮은 94℃로 설정하면 1500m 고도지역에서의 끓는점은 대략 95℃이므로 가열부(130)의 가열에 의하여 온수온도는 안전설정온도인 94℃에 도달할 수 있으나, 가열을 계속하여도 가열목표온도인 96℃에는 도달할 수 없다. 그러나,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기준시간(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하였다면 온수의 온도는 충분히 상승하여 끓는점(대략 95℃)에 도달한 상태이므로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더라도 높은 온도의 온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목표온도는 온수생성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93 내지 98℃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설정온도는 사람이 거주 가능한 높이(대략 4000m 이하)를 고려하여 가열목표온도보다 일정수준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설정온도는 고도에 따른 끓는점 내림을 감안하여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약간 낮은 1 내지 3℃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안전설정온도가 가열목표온도보다 1℃ 미만의 작은 값을 갖는 경우 고도에 따른 끓는점 내림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게 되고, 안전설정온도가 가열목표온도보다 3℃를 초과한 낮은 온도를 갖는다면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보다 너무 낮아져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온도를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열부(130)가 연속적으로 작동한 누적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초과한 경우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120)의 오작동이나 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온수온도의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부(130)가 계속 가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과열로 인한 화재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130)의 누적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경과한 경우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온수생성장치(100)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제한시간은 온수탱크(110)의 용량이나 가열부(130)의 발열량 등을 고려하여 통상적인 상황에서(1기압 상태에서) 상온의 물이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는 달리,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열부(130)가 연속적으로 작동하면서도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가열부(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열제한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한 경우에는 온도센서(120)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LED 등의 표시장치 또는 알람 등의 소리발생장치와 같은 표시부(150)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은 온수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0)에서 측정된 온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지 판단하고(S120)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가열부(130)를 구동시키는 가열부 구동단계(S130)와,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와,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고(S160)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면(S170) 상기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온수생성장치(100)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온수생성장치(100)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온수탱크(110) 내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확인하여(S110), 온수의 온도가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지 판단하고(S120),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으면 가열부(130)를 구동시키게 된다(S130). 만약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보다 높으면 온수온도 확인단계(S110)로 복귀하게 된다.
가열부(130)가 구동된 후에는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보다 높은지 낮은지 판단하게 된다(S140). 만약,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가열부(130)의 구동을 계속시키고(S130),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각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누적하게 된다(S150).
이후 누적된 경과시간이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0), 누적경과시간이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다면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다시 한번 판단하게 된다(S170).
이때,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였다면 가열부(130)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되고(S180), 이와는 달리 온수온도가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가열부(130)의 구동을 계속하여 온수를 가열한다.
충분한 가열에도 불구하고 누적경과시간이 기준시간을 경과하여 가열부(130)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도가 높아(또는 기압이 낮아) 끓는점이 낮은 지역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가열부(130)의 구동을 강제로 종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도가 높아 끓는점이 낮은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안전설정온도로부터 기준시간 동안 충분히 가열하므로 높은 온도의 온수 생성이 가능하게 되며,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가열부(130)의 구동을 종료시킴으로써 지속적인 가열부(130)의 작동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 온수탱크의 파손, 안전사고, 화재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구동제어방법은 가열부(130)의 구동이 이루어진 후(S130) 가열부(130)가 계속하여 작동한 가동시간을 누적하고(S210), 이러한 누적 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고(S220), 이에 상응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구동제어방법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구동제어방법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은 온도센서(120) 등의 오작동, 고장으로 인하여 가열부(130)가 계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부 구동단계(S130) 이후에,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열부(13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면(S130) 가열부(130)가 계속하여 작동한 가동시간을 누적하게 된다(S210).
이때,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온수를 계속 가열할 필요가 있고, 가열부(130)의 구동을 계속하는 단계(S130)를 거치기 전에 누적된 가동시간이 가열제한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20).
만약,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누적 가동시간이 가열제한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이는 온도센서(120) 등의 오작동, 고장 등에 의한 이상 상태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열부(130)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되고(S230), 빛이나 소리 등 인지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상태임을 알리게 된다(S240).
한편, 도 3에서는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누적 가동시간이 가열제한시간을 경과한 경우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가열부 구동단계(S130) 이후에, 온수온도가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가열부(130)가 연속적으로 작동한 누적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열부(130)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온수생성장치 110... 온수탱크
120... 온도센서 130... 가열부
140... 제어부 150... 표시부

Claims (8)

  1. 내부에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수탱크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열부를 구동시키되,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온수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목표온도는 93 내지 98℃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되며,
    상기 안전설정온도는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1 내지 3℃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생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연속적으로 작동한 누적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생성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연속적으로 작동하면서도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생성장치.
  5.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수온도가 미리 설정된 가열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가열부를 구동시키는 가열부 구동단계;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한 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가열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구동단계 이후에,
    상기 가열부가 연속적으로 작동한 누적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구동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가열제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수온도가 상기 안전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한시간 경과후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한 경우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생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KR1020100029259A 2010-03-31 2010-03-31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KR20110109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59A KR20110109492A (ko) 2010-03-31 2010-03-31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59A KR20110109492A (ko) 2010-03-31 2010-03-31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492A true KR20110109492A (ko) 2011-10-06

Family

ID=4502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259A KR20110109492A (ko) 2010-03-31 2010-03-31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4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053A (ko) * 2012-12-14 2014-06-25 코웨이 주식회사 써미스터를 이용한 히터 탱크의 제어 방법
KR20170096783A (ko) * 2016-02-17 2017-08-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
CN111621954A (zh) * 2019-02-12 2020-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沸点校准的方法、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053A (ko) * 2012-12-14 2014-06-25 코웨이 주식회사 써미스터를 이용한 히터 탱크의 제어 방법
KR20170096783A (ko) * 2016-02-17 2017-08-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
CN111621954A (zh) * 2019-02-12 2020-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沸点校准的方法、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553B2 (ja) 揚げ器のための自動の充填
JP2014146368A (ja) 加熱された液体槽をモニタ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7434544B2 (en) Water heater with dry tank or sediment detection feature
EP1840485A2 (en) Water flow detection system for a bathing unit
EP1661544A1 (en) Water flow detection system for a bathing unit
JP2010012085A (ja) 蒸し器
JP2016084960A (ja) 貯湯式電気温水器
JP2010172557A (ja) 電気湯沸し器
KR20110109492A (ko) 온수생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KR20170009310A (ko) 절전 및 안전 기능이 구비된 시트형 전열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919450A (zh) 电蒸锅和用于电蒸锅的蒸汽浓度控制方法
JP6490984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KR101085091B1 (ko) 온수침구용 온수공급장치 및 온도제어방법
KR20180007868A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JP3855903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
CN112315327B (zh)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14172408U (zh) 加湿器以及空调
KR101466861B1 (ko) 스팀오븐의 대류팬 제어방법
KR101586749B1 (ko) 전기레인지 소비전력 제한장치
KR200398108Y1 (ko) 온수 보일러의 제어장치
JP4659630B2 (ja) 給湯装置
KR20130007709A (ko) 전기온열매트용 온도조절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128506A (ja) 家電機器
KR20110098444A (ko) 과열스팀조리장치
JP2013040563A (ja) ポンプ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