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307A -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 Google Patents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307A
KR20110109307A KR1020100028964A KR20100028964A KR20110109307A KR 20110109307 A KR20110109307 A KR 20110109307A KR 1020100028964 A KR1020100028964 A KR 1020100028964A KR 20100028964 A KR20100028964 A KR 20100028964A KR 20110109307 A KR20110109307 A KR 2011010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propeller
propeller shaft
bulb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6709B1 (en
Inventor
김기섭
안종우
문일성
백부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09B1/en
Publication of KR2011010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3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력 손실을 감소시키고 표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을 저감시키며 선체 효율을 증가시키는 선박용 방향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펠러 축을 기준으로 프로펠러 축의 위 또는 아래의 일측에만 방향타를 적용하되, 방향타의 프로펠러 축 방향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함으로써, 부호가 다른 프로펠러 후류 입사각으로 인하여 양력이 상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dder for ships that reduces lift loss, reduces cavitation occurring on the surface, and increases hull efficiency. More specifically, the rudder is applied only to one side of the propeller shaft above or below the propeller shaft. By providing a rudder bulb at the end of the propeller axial direction, it is related to a ship rudder using only a part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force is canceled due to the propeller wake incident angle of a different sign.

Description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본 발명은 양력 손실을 감소시키고 표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용 방향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rudder capable of reducing lift loss and reducing cavitation occurring at the surface.

선박의 조종성능을 좌우하는 방향타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관심을 받아 왔다.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하류에 위치하는 방향타는 3차원적으로 불균일도가 매우 높은 프로펠러 후류의 반류 유동장(wake field)에서 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로 인하여 프로펠러와 방향타에 가해지는 유체력 부하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이처럼 프로펠러 후류 특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방향타는 양력 및 항력 발생을 유발하는 성능 특성뿐만 아니라 캐비테이션 발생 관점에서도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Rudder, which determines the ship's maneuverability, has received relatively limited attention compared to propellers that generate propulsion. The rudder, located downstream of the rotating propeller, operates in a wake field downstream of the propeller, which is highly non-uniform in three dimensions. 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large size and high speed of the ship, the hydrodynamic load on the propeller and the rudder has been greatly increased, so that the rudder directly affected by the propeller wak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using the lift and drag generation, There is also a lot of interest in cavitation.

도 1은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프로펠러(2)와 기존의 방향타(1)의 모습이다.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하류에 설치되는 방향타 상하면에 유입되는 유동의 방향과 받음각의 부호는 도 2와 같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타의 단면 위치별로 양(+) 또는 음(-)의 타력(양력)을 발생하여 많은 양의 양력을 상쇄시킨다.1 is a view of the propeller 2 and the existing rudder 1 installed on the stern of the ship. Since the sign of the direction of the flow flow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of the rudder installed downstream of the rotating propeller and the angle of attack are opposit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a positive or negative force (lift) is generated for each cross-sectional position of the rudder. Offsets a large amount of lift.

따라서 필요한 양력 확보를 위해서는 과도한 타 각도 설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타 각도의 증가는 타 표면에 캐비테이션 발생량을 증가시켜 타 표면 침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프로펠러 허브(hub)에 발생하는 보오텍스 캐비테이션은 타 표면에서 붕괴하면서 침식을 유발한다. 비록 많은 연구기관과 조선소 등에서 혼-타(horn rudder; semi-spade rudder)(도 3)나 전가동타(full-spade rudder)(도 5)에서 나타나는 양력 손실과 캐비테이션발생량 저감을 위하여 많은 관심과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excessive rudder angle setting is necessary to secure necessary lift. However, the increase in the rudder angle causes the erosion of the other surfac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avitation generat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botex cavitation generated in the propeller hub collapses on the other surface, causing erosion. Although many research institutes and shipyards have a lot of interest and effort to reduce lift loss and cavitation incidence in horn rudder (semi-spade rudder) (Fig. 3) or full-spade rudder (Fig. 5). It is, but the effectiveness is limited.

특히 많은 선주들이 선박에 대한 정통적인 관습 등으로 인하여 고정부(fixed part)와 가동부(movable part)로 구성된 혼-타의 사용을 선호하고 있지만, 혼-타 상하면에서 발생하는 양력의 상쇄 및 이로 인한 양력의 손실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수직 및 수평 방향의 간극(gap clearance)에서 침식을 수반하는 심각한 간극 캐비테이션(gap cavitation)의 문제 또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Many ship owners, in particular, prefer the use of horn-taches consisting of fixed and movable parts due to the traditional customs of ships. There is a limitation in overcoming the problem of the loss of, and the problem of serious gap cavitation accompanied by erosion in the gap clearan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s also seriously raised.

비록 이러한 간극 캐비테이션을 극복하고자 전가동타에 대한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양력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증가되는 타각으로 인해 타 표면에 나타나는 캐비테이션을 저감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혼(horn)타와 전가동타(full spade rudder)는 공히 요구되는 타력 확보를 위하여 타각 증가를 수반하므로 선박의 선회성능 등 조종(양력)성능 향상에 매우 제한적이다.Although the preference for full-motion rudders is gradually increasing to overcome this gap cavitation,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cavitation appearing on the other surface due to the increased rudder angle to overcome the lift loss as described above. And full spade rudders are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steering angle to secure the required inertia, which is very limited in improving the steering (lift) performance such as the ship's turn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방향타의 양력 손실을 감소시켜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키며, 항력을 감소시켜 선박의 운항에너지를 절감시키며, 방향타 표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을 저감시켜 타 표면 침식을 줄일 뿐 아니라 프로펠러 허브 보오텍스 캐비테이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선박용 방향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reduce the lift loss of the rudder to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of the vessel, to reduce the drag energy to reduce the operating energy of the vessel, to reduce the cavitation generated on the rudder surface It aims to provide rudders for ships that can minimize damage caused by propeller hub votex cavitation as well as reduce other surface erosion.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hich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e disclosure of the embodiments thereof, but also to the broader ranges by means and combinations within the range readily recited therefrom. Add that it will be inclu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룸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방향타로서, 몸체의 하부 끝단이 프로펠러 축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몸체의 하부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를 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rudder which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gear room by a rotating shaft,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located above the propeller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rudder bulb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udder for ships that uses only a portion of the body and has a rudder bulb.

또한 본 발명은, 슈피스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방향타로서, 몸체의 상부 끝단이 프로펠러 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몸체의 상부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를 제시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rudder is connected to the shoe piece to operate as a rotating shaft,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located below the propeller shaft, the upper end of the body using a portion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udder bulb A ship rudder having a rudder bulb is pres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펠러 축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위치한 방향타의 일방적인 받음각 설정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일체형 방향타와는 달리 양력 상쇄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받음각을 적게 하여도 필요한 타력(양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타 표면에서의 캐비테이션 발생량이 감소하며 표면침식 가능성도 줄어든다. 그리고 보다 적은 받음각에서의 선박 운항은 방향타의 항력(drag) 감소를 유발하므로 선박의 운항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일체형 방향타에서 발생하는 타력의 상쇄현상이 없어지기 때문에 선박의 선회반경(turning circle)을 줄이며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형상적으로 프로펠러 축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방향타가 위치하고 있어서 프로펠러 허브 보오텍스(propeller hub vortex) 캐비테이션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방향타 표면 침식도 피할 수 있다. 타 벌브는 선미 후류의 수축(contraction)을 감소시켜 선체 반류(wake)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선체효율( ηH=(1-t)/(1-w), t : thrust reduction factor, w : wake)을 증가시켜 선박의 추진 효율 증가에도 기여한다.이러한 효과는 방향타의 수명연장, 선박의 추진효율 및 조종성능 향상과 연계하여 국내 조선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sided angle setting of the rudder located only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ropeller shaft is possible, so that lift lift does not occur unlike the conventional integrated rudder. In addition, even if the angle of attack is reduced, the necessary inertia (lift) can be secured, which reduces the amount of cavitation generated on the rudder surface and reduces the possibility of surface erosion. And the ship's operation at a smaller angle of attack causes the drag of the rudder to be reduced, thus reducing the ship's operating energy. In addition, since the canceling phenomenon of the existing integral rudder is eliminated, the turning circle of the ship can be reduced and the steer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rudder is located only on the top or bottom of the propeller shaft in shape to avoid rudder surface erosion caused by propeller hub vortex cavitation. Other bulbs increase the hull wake by reducing the stern constriction. Therefore, increasing the hull efficiency (ηH = (1-t) / (1-w), t: thrust reduction factor, w: wake) contributes to increase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the ship. It is though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shipbuilding industry in conne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propulsion efficiency and maneuverability.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potential effects that may occur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estimated therefrom and potential advantages that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It will be added that it will be covered by a wider scope.

도 1은 선박의 선미에 부착된 일반적인 프로펠러와 방향타.
도 2는 프로펠러 후류와 방향타.
도 3은 일반적인 혼-타의 형상.
도 4는 일반적인 혼-타의 상, 하부 핀들에서의 단면 형상.
도 5는 일반적인 전가동타의 형상.
도 6은 일반적인 전가동타의 단면 형상.
도 7은 선박의 선미와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
도 8은 선박의 선미와 프로펠러 축 하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
도 9는 선박의 직진 운항 시 프로펠러 유입류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의 배치.
도 10은 선박의 우현 선회 시 프로펠러 유입류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의 배치.
도 11은 선박의 좌현 선회 시 프로펠러 유입류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의 배치.
도 12는 선미 반류가 존재할 경우 모형시험에서 얻은 프로펠러 후류의 방향타에 대한 입사각 분포.
1 is a general propeller and rudder attached to the stern of the ship.
2 is a propeller wake and rudder.
3 is the shape of a typical horn-ta.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and lower fins of a typical horn-ta;
5 is a shape of a general fully movable rudder.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general full swing.
Figure 7 is a rudder applied only to the stern and propeller shaft upper portion of the vessel.
Figure 8 is a rudder applied only to the stern and propeller shaft lower portion of the ship.
9 is a layout of the propeller inflow and the rudder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upp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straight operation of the vessel.
10 is a layout of the propeller inflow and the rudder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upp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starboard turn of the ship.
Figure 11 is a layout of the propeller inflow and the rudder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upp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ip is turning port.
12 is an angle of incidence distribution for the rudder of the propeller wake obtained in the model test when the stern reflux exis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선박의 프로펠러는 선미에서 선수를 바라볼 때 일반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러한 프로펠러 회전의 방향성으로 인하여 프로펠러 후방에 위치하는 방향타에는 도 2와 같이 타의 좌현(port) 상부, 우현(starboard) 하부로 프로펠러 후류가 일정한 받음각(angle of attack)을 가지고 유입된다. 이러한 프로펠러 후류의 특성으로 인하여 선박의 타각을 0도로 할 지라도 선박의 조종성에 직접 영향을 주는 양력이 ‘0’이 아닌 다른 값이 발생하여 선박이 직선으로 운항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선박의 타각을 조절하여 좌현 또는 우현으로 운항을 할 경우에도 방향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큰 받음각이 나타나 양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The ship's propeller normally gains momentum by turning clockwise when looking at the stern. Due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propeller rotation, the propeller wake flows into the rudder located behind the propeller with a constant angle of attack, as shown in FIG. 2, above the port port and the starboar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eller wake, even if the ship's rudder angle is 0 degrees, the lift force that directly affects the maneuverability of the ship is different from '0', which prevents the ship from operating in a straight line. In addition, when the ship's steering angle is adjusted to the port or starboard, a large angle of attack may appear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rudder, causing lift loss.

도 12는 일반 혼-타에 대한 캐비테이션 터널에서의 모형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본 시험은 선미 반류, 프로펠러, 혼-타가 있을 경우에 프로펠러와 혼-타 사이에서 유동장을 측정하여 방향타로의 입사각을 측정한 것이다. Z축은 방향타의 높이 방향을 의미하며 D는 프로펠러의 직경을 의미한다. X축은 방향타의 앞날에 대한 프로펠러 후류의 입사각(incident angle)을 나타낸다. 도 12를 보면 Z/D = 0(프로펠러 축)을 경계로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부호가 다른 프로펠러 후류 입사각이 발생하여 방향타에 서로 반대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펠러의 회전 특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방향타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양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Z/D = 0.15 위치에서 40도에 가까운 입사각이 나타나고 있으나 Z/D ≥ 0.2 이상의 영역에서는 20도 미만의 입사각이 나타나 방향타의 높이에 따라 방향타 입사각이 다르게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 shows the results of a model test in a cavitation tunnel for a general horn-hit. This test measures the angle of incidence to the rudder by measuring the flow field between the propeller and the horn rudder in the presence of the stern return, propeller and horn rudder. Z-axis means height direction of rudder and D means diameter of propeller. The x-axis represents the incident angle of the propeller wake relative to the leading edge of the rudder. 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propeller wake incident angles having different signs are gener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Z / D = 0 (propeller axis), thereby adversely affecting the rudder. This phenomenon is inevitable due to the propeller's rot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oss of lift is inevitable when the rudder is rotated at an angle. In addition, the angle of incidence close to 40 degrees appears at the position Z / D = 0.15, but the angle of incidence of less than 20 degrees appears in the region of Z / D ≥ 0.2, indicating that the rudder incidence angle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udd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는 선박용 방향타를 제공하는 바, 본 발명은 프로펠러 축을 기준으로 프로펠러 축의 위 또는 아래의 일측에만 방향타를 적용하되, 방향타의 프로펠러 축 방향 끝단에는 러더 벌브(rudder bul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룸(steering gear room)(6)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방향타(5)로서 몸체의 하부 끝단이 프로펠러 축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몸체의 하부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하거나(도 7), 슈피스(shoe piece)(7)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방향타(8)로서 몸체의 상부 끝단이 프로펠러 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몸체의 상부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8).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방향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p rudder using only a portion of the body as shown in Figures 7 and 8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udder only on one side of the propeller shaft above or below the propeller shaft. However, the propeller axial end of the ru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udder bulb (rudder bulb).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the rudder (5)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gear room (steering gear room) 6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located above the propeller shaft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a rudder bulb Or a rudder 8 which is connected to and operated by a rotational shaft to a shoe piece 7, the upper end of which is located below the propeller shaft,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having a rudder bulb. It is characterized by (Fig. 8). Hereinafter, the ship ru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타 입사각의 특성을 역으로 이용한 것으로, 프로펠러 축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타의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다른 부호의 입사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양력이 상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이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방향타(5)를 설치하거나, 도 8과 같이 프로펠러 축 하부에만 방향타(8)를 설치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dder incidence angl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incident angle of the different sign is generat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udder relative to the propeller axis, thereby canceling the lift, Figure 7 As shown in FIG. 8, the rudder 5 was installed only on the propeller shaft, or as shown in FIG. 8.

도 7과 같이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설치된 방향타(5)는 기존의 경우와 같이 스티어링 기어룸(6)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프로펠러 축 하부에만 설치된 방향타(8)는 선미 바닥의 슈피스(7)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방향타(8)는 슈피스(7) 내에 설치되어 유압으로 작동하는 구동장치(9)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 the rudder 5 installed only on the propeller shaft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gear room 6 by a rotation shaft as in the conventional case. And the rudder 8 is installed only on the propeller shaft lower portion as shown in Figure 8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o the shoe piece 7 of the stern bottom, in this case the rudder 8 is installed in the shoe piece 7 to operate hydraulically To be operated by the drive device 9.

도 7과 같이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방향타(5)를 설치하게 되면, 기존의 방향타였다면 발생하였을 하부의 부호가 다른 프로펠러 후류 입사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양력이 상쇄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프로펠러 축 하부에만 방향타(8)를 설치하게 되면, 기존의 방향타였다면 발생하였을 상부의 부호가 다른 프로펠러 후류 입사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양력이 상쇄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의 경우에는 받음각을 적게 하여도 필요한 타력(양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타 표면에서의 캐비테이션 발생량이 감소하며 표면침식 가능성도 줄어든다.When the rudder 5 is installed only on the propeller shaft as shown in FIG. 7, since the propeller wake incident angle at which the lower sig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rudder does not occur, the lift force is maintained without being canceled. And if the rudder 8 is provided only on the lower propeller shaft as shown in FIG. 8, since the propeller wake incident angle different from the upper sign which would have occurred if the existing rudder does not occur, the lift force is maintained without being cancel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S. 7 and 8, the required inertia (lift) can be secured even with a small angle of attack,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avitation generated on the rudder surface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surface erosion.

한편, 도 7의 경우 방향타(5)의 몸체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벌브(10) 중심축은 프로펠러 축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8의 경우 방향타(8)의 몸체 상부 끝단에 설치되는 벌브(11) 중심축은 프로펠러 축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case of FIG. 7, the central axis of the bulb 1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rudder 5 is preferably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propeller shaft, and in the case of FIG. 8, the central axis of the rudder 8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rudder 8. The central axis of the bulb 11 is preferably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propeller shaft.

물론 이 경우 부호가 다른 프로펠러 후류 입사각으로 인하여 양력이 상쇄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의 경우 방향타(5, 8)의 크기가 기존의 혼-타에 비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그에 따라 방향타에 걸리는 토크(torque)도 작게 형성되므로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도 7) 또는 구동장치(도 8)의 용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lift force is not canceled due to the propeller wake incident angles having different signs. In the case of FIGS. 7 and 8, the size of the rudders 5 and 8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orn rudders, which is very efficient in terms of cost, and accordingly, the torque applied to the rudder is also formed small. The capacity of the gear (FIG. 7) or the drive (FIG. 8) can be greatly reduced.

도 9는 선박의 직진 운항 시 프로펠러 유입류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의 배치(top view)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방향타의 경우 비록 타각은 0도이나 프로펠러 후류가 특정 받음각으로 유입되므로 양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의 타각을 적절히 조절하여 받음각이 0도가 되게 할 수 있으며 양력과 항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받음각을 최소화하였으므로 타의 몸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프로펠러 축 하부에만 방향타를 적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Figure 9 shows the propeller inflow and the top view of the rudder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straight navigation of the vessel. In general rudders, although the rudder angle is 0 degrees, the propeller wake is introduced at a certain angle of attack, so the lift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attack can be adjusted to 0 degrees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rudder angle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and the lift and drag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angle of attack is minimized, cavitation occurring in the other body can be reduced. The same applies to the use of the rudder only under the propeller shaft.

도 10 및 도 11은 선박의 우현 및 좌현 선회 시 프로펠러 유입류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의 배치(top view)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방향타의 경우에는 타 상부면과 하부면의 양력상쇄가 발생하므로 원하는 조타력 또는 양력을 얻기 위해서 타각을 더 크게 해야 한다. 타각이 너무 커지면 양력을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타의 흡입면(좌현)에서 강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여 타 표면에 심각한 침식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의 타각을 흡입류의 입사각에 적합하게 설정하여 원하는 양력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상대적으로 유동의 받음각이 크지 않아 캐비테이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프로펠러 축 하부에만 방향타를 적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Figures 10 and 11 show the propeller inflow and the top view of the rudder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starboard and port turn of the ship. In the case of general rudder, lift offset of upper and lower rudder occurs, so the rudder angle should be larger to obtain the desired steering force or lift. Too large a rudder angle can increase lift, but strong cavitation can occur at the suction surface (port) of the rudder, causing severe erosion on the rudder surfac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red lift force can be efficiently obtained by setting the rudder angle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to the incidence angle of the suction flow, and at this time, the angle of attack of the flow is not large so that damage due to cavitation can be prevented. have. The same applies to the use of the rudder only under the propeller shaf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방향타
2 : 프로펠러
3 : 혼-타
4 : 전가동타
5 : 프로펠러 축 상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
6 : 스티어링 기어룸(steering gear room)
7 : 슈피스(shoe piece)
8 : 프로펠러 축 하부에만 적용되는 방향타
9 : 구동장치
10, 11 : 러더 벌브(rudder bulb)
1: Rudder
2: propeller
3: horn-ta
4: electric drive
5: Rudder applied only to the propeller shaft upper part
6: steering gear room
7: shoe piece
8: Rudder applied only to the lower part of the propeller shaft
9: driving device
10, 11: rudder bulb

Claims (5)

프로펠러 축을 기준으로 프로펠러 축의 위 또는 아래의 일측에만 방향타를 적용하되, 방향타의 프로펠러 축 방향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Rudder is applied to only one side of the propeller shaft above or below the propeller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rudder propeller axial end is provided with a rudder bulb, using only a part of the body and having a rudder bulb. 스티어링 기어룸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며 프로펠러 축 중심선과 일치하는 방향타로서, 몸체의 하부 끝단이 프로펠러 축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몸체의 하부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A rudder which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gear room by a rotational axis and coincides with the propeller shaft centerline,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located above the propeller shaft,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rudder bulb. A rudder for ships with rudder bulb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타의 몸체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벌브 중심축은 프로펠러 축과 일치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
The method of claim 2,
Bulb center axis which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ru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ller shaft, using a portion of the body rudder for ships having a rudder bulb.
슈피스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방향타로서, 몸체의 상부 끝단이 프로펠러 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몸체의 상부 끝단에는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A rudder that is connected to and operated by a rotating shaft,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positioned below the propeller shaft,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rudder bulb. Rudder for ship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타의 몸체 상부 끝단에 설치되는 벌브 중심축은 프로펠러 축과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ulb central axis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ru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to match the propeller shaft, using only a portion of the body rudder for ships having a rudder bulb.
KR1020100028964A 2010-03-31 2010-03-31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KR101106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64A KR101106709B1 (en) 2010-03-31 2010-03-31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64A KR101106709B1 (en) 2010-03-31 2010-03-31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307A true KR20110109307A (en) 2011-10-06
KR101106709B1 KR101106709B1 (en) 2012-01-18

Family

ID=4502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964A KR101106709B1 (en) 2010-03-31 2010-03-31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9445A (en) * 2016-01-05 2018-01-05 现代重工业株式会社 Ship rud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6852A (en) 1970-01-27 1971-09-21 Thomas Cafiero Rudder
KR100346513B1 (en) * 1999-07-07 2002-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rudder of ship
KR100899737B1 (en) * 2007-10-29 200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ull spade rudder with twisted leading edge having a small rudder bulb
DE202007015941U1 (en) 2007-11-13 2008-01-17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Oars for shi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9445A (en) * 2016-01-05 2018-01-05 现代重工业株式会社 Ship rud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709B1 (en)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670B2 (en) Twin Skeg ship
EP2110311B1 (en) Finned rudder
WO2016158725A1 (en) Vessel
KR20110083998A (en) Duct for ship
JP4936798B2 (en) Mariner type high-lift two-wheel rudder device
JP6158331B2 (en) Ring propeller with forward skew
EP3854676B1 (en) Steering device
JP2015116850A5 (en)
KR101106709B1 (en)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rudder bulb
JP6638941B2 (en) Ship rudder with stern fins
KR20110109306A (en)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KR101106710B1 (en) Ship rudder using its upper or lower part alone and having twisted rudder sections in the span direction
KR20120094763A (en) Ducted-propeller with pre-swirl stator for vessels
KR101106708B1 (en) Ship rudder operating its upper and lower parts separately and having rudder bulb
JP2011025734A (en) Compound energy-saving propulsion system for ship, and single-screw twin-rudder ship
CN102501957A (en) Tuck plate structure of ship
JP4575985B2 (en) Rudder and ship for ships
KR20110109303A (en) Ship rudder operating its upper and lower parts separately
JP2011042204A (en) Complex type energy-saving propulsion device for vessel and single-screw twin-rudder vessel
JP2013132937A (en) Ship
TW201339052A (en) Asymmetrical fin device for ship
KR101100061B1 (en) Ship rudder operating its upper and lower parts separately and having twisted rudder sections in the span direction
WO2019239869A1 (en) Ship rudder and ship
JP5147901B2 (en) Energy-saving devices and single-axle-two-steer vessels
JP2010095181A (en) Propulsion device for marine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