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599A -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599A
KR20110108599A KR1020100027875A KR20100027875A KR20110108599A KR 20110108599 A KR20110108599 A KR 20110108599A KR 1020100027875 A KR1020100027875 A KR 1020100027875A KR 20100027875 A KR20100027875 A KR 20100027875A KR 20110108599 A KR20110108599 A KR 20110108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utton
input
elevator
fixed contac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459B1 (ko
Inventor
이세현
전창현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0002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4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운용 버튼을 복수개 구비하는 승강기 조작반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승강기 제어반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구분없이 터치 센서 방식의 승강기 조작반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ELEVATOR OPERATING SYSTEM, APPARATUS AND ELEVATO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명하면 터치 버튼 방식의 승강기 조작반을 일반인과 시각 장애인이 구분없이 이용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시장의 추세는 다른 여러 사용자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와 마찬가지로 상품의 실용성과 효율성뿐만 아니라 감각적인 아름다움과 공간적인 조화를 추구하는 디자인의 가치에 대한 평가를 중요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조사들은 엘리베이터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승강기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 중 한가지 방안이 승강기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기 조작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승강기 조작반에 사용되던 기계적인 텍트 스위치(Tact Switch), 멤브레인(얇은 막) 접촉 스위치 등을 이용한 투박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승강기 조작반을 대체하고자 터치 센서 스위치 기술을 적용한 승강기 조작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기 조작반을 개선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품질의 신뢰성과 기능적인 효율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승강기 내부의 사용 환경에서 보다 향상된 감각적인 아름다움과 공간적인 조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터치 센서 스위치 기술을 적용한 승강기 조작반은 기존의 멤브레인 접촉 스위치 등을 이용한 승강기 운용 패널 모듈보다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지만, 터치 센서 스위치를 사용하는 승강기 조작반의 구동에 대하여 매우 예민하고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승강기 운용 방안인 점자 처리 방식을 기존의 방식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터치 센서 스위치는 기존 스위치들의 구동 방식인 물리적인 힘의 접촉에 의한 작동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터치 센서 작동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 공간의 범위 안에 유지되는 전자기적 파장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운용 버튼 표면에 양각되어 있는 점자를 인지한 후에 운용 버튼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접점을 구동하는 동작 방식에 기반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특히, 승강기 조작반을 구성하는 운용 버튼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단일 버튼에 단일 터치 센서 스위치를 부착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의 사용 방안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을 고려하는 승강기 조작반에는 터치 센서 스위치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터치 버튼 방식의 승강기 조작반을 일반인과 시각 장애인이 구분없이 이용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운용 버튼을 복수개 구비하는 승강기 조작반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승강기 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조작 장치는 승강기 조작에 이용되는 복수의 운용 버튼 및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되어 상기 운용 버튼 각각에 복수로 설비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운용 버튼의 중앙을 원점으로 하는 평행좌표계의 각 사분면에 한개씩 설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용 버튼 각각에는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제어 장치는 각각의 운용 버튼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출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터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특수 모드인 경우 상기 특수 모드임을 표시하는 특수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모드 표시부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특수 모드 중에 상기 고정 접점 동작에 따른 운용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이 사용자가 의도한 것인지 문의하고, 상기 터치 처리부는 상기 문의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하면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의 처리를 보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확인은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의 재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확인은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특수 모드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에 의해 설정된 목적층까지 정지하는 층마다 음성으로 정지층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특수 모드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에 의해 설정된 목적층에 도착하면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처리부는 승강기 제어부 또는 엘리베이터 컨트롤 패널의 제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제어 방법은 각각의 운용 버튼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출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센서의 출력이 고정 접점 동작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으로 처리하고,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는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운용 버튼을 복수개 구비하는 승강기 조작반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운용 버튼 입력이 고정 접점 동작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정상적으로 터치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이를 표시하는 특수 모드 표시부를 포함하고, 특수 모드 표시부를 음성 출력부로 구성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오조작으로 인하여 운용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조작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시각 장애인이 승강기 조작반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일반인이 승강기 조작반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제어 장치가 설비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복수의 운용 버튼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센서를 논리적인 터치 센서 매트릭스로 표시한 개략도.
도 9는 터치 센서 매트릭스에서 새로운 터치 센서가 입력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터치 센서 매트릭스에서 터치 센서가 해제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터치 센서 매트릭스에서 터치 센서의 출력이 이동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터치 센서 매트릭스에서 일반인이 운용 버튼을 운용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터치 센서 매트릭스에서 시각 장애인이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해 운용 버튼을 운용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터치 센서 매트릭스에서 시각 장애인이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해 운용 버튼을 운용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터치 센서(111)를 포함하는 운용 버튼(110)을 복수개 구비하는 승강기 조작반(100)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승강기 제어반(200)을 포함하고 있다.
승강기 조작반(100)은 승강기 내에 배치되어 승강기의 운행을 지시하는 입력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목적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층버튼, 승강기 문의 개폐를 지시하는 문열림 버튼/문닫힘 버튼 등의 각종 운용 버튼(110)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운용 버튼은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111)를 포함하고 있다. 즉, 운용 버튼을 터치 버튼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각각의 운용 버튼에 하나가 아니라 복수개 설비하고 있다. 이때 터치 센서는 평면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이면 되므로 그 형태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각각의 운용 버튼에 터치 센서를 4개 배치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때 각각의 터치 센서의 크기는 동일하고 운용 버튼의 중앙을 원점으로 하는 평행좌표계의 각 사분면에 한개씩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운용 버튼에 복수의 터치 센서를 배치하는 이유는 사용자에 의한 운용 버튼 입력이 고정 접점 동작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시각 장애가 없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경우 승강기 조작반을 조작시 원하는 목적층을 나타내는 운용 버튼을 찾아 곧바로 터치하고 터치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의 터치 방식을 살펴보면, 고정 접점 동작 방식에 해당된다. 본 명세서에서 일점 접점 동작은 하나의 운용 버튼을 터치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나의 운용 버튼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따라 운용 버튼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터치 센서가 모두 반응할 수도 있으며 일부만 반응할 수도 있다. 도 1의 경우, 사용자가 '1'버튼의 중앙을 터치하면 4개의 터치 센서가 반응하게 되며 좌상단을 누르면 좌상단의 터치 센서 하나만 반응하고, 좌측 중앙을 누르면 좌측의 상하 센서 두개가 반응하게 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하나의 운용 버튼을 터치하였으므로 일점 접점 동작에 해당하게 된다. 한번에 복수의 운용 버튼을 터치한 경우가 일점 접점 동작에 해당하지 않는 대표적인 예이다.
고정 접점 동작은 터치한 후 드래그 또는 드래그 중인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스크래치와 같은 동작이 수반되지 않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개시로 인해 반응한 터치 센서의 위치 및 개수가 터치 중 및 터치 해제시에 반응한 터치 센서의 위치 및 개수와 동일한 경우를 의미한다.
단시간 접점 동작은 기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설정 시간이 1초인 경우 1초 이내에 터치가 해제되면 단시간 접점 동작이 되고 1초를 초과하여 터치가 계속되면 단시간 접점 동작이 아니다.
정리하면, 일반적인 사용자의 경우 원하는 운용 버튼 하나의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고(일점), 드래그나 스크래치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고정), 기설정 시간 내에 터치를 해제하는(단시간) 접점(터치) 동작을 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기 조작반을 구성하는 운용 버튼 각각에 복수의 터치 센서를 설비한 이유는 고정 접점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운용 버튼 각각이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일점 접점 동작과, 단시간 접점 동작의 판별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 그러나 고정 접점 동작의 경우에는 판별이 어렵다. 특히, 하나의 운용 버튼 내에서 이루어지는 드래그 동작이나 스크래치 동작의 판별이 어렵다. 드래그 동작이나 스크래치 동작으로 인하여 현재 터치되는 운용 버튼 외에 다른 운용 버튼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현재 터치되는 운용 버튼의 터치는 해제되고 새로운 운용 버튼이 터치되는 형태가 되므로 드래그 동작을 판별하지 못하고 새로운 운용 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처리하게 된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 승강기 조작반에 점자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기대하므로 점자를 찾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 모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승강기 조작반을 더듬거나 훑어 나가는 형태가 된다. 이때 일반적인 터치 버튼 방식의 승강기 조작반에서라면 더듬거나 훑어 나가는 동작에서 터치되는 모든 운용 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처리하게 될 것이다. 이때 시각 장애인의 접점 동작을 살펴보면 다점 이동 장시간 접점 동작을 취하게 된다. 즉, 동시에 복수의 운용 버튼을 터치하는 접점 동작을 취하고, 드래그나 스크래치 등의 이동 접점 동작을 취하고, 기설정 시간 이상의 장시간 접점 동작을 취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도 3과 같이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하는 운용 버튼을 바로 터치하는 고정 접점 동작, 즉 일반적인 사용자의 접점 방식을 기준으로 한 것은 시각 장애인의 접점 동작 방식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각 장애인은 다중 이동 접점 동작을 통해 점자(113)를 확인한 경우 점자가 확인된 위치에 대해서 고정 접점 동작을 취하게 되며 이 경우 정상적으로 운용 버튼의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정리하면, 이상의 승강기 조작반은 하나의 운용 버튼에 복수의 터치 센서를 설비함으로써 고정 접점 동작과 그 외의 접점 동작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승강기 제어반(200)은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용 버튼 터치가 고정 접점 동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게 된다. 고정 접점 동작인 경우 터치된 터치 센서가 설비된 운용 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처리하고 그 외의 접점 동작인 경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 즉 운용 버튼의 입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반일 수 있으며, 승강기 조작에 이용되는 복수의 운용 버튼(110) 및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되어 상기 운용 버튼 각각에 복수로 설비되는 터치 센서(111)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승강기 조작 장치는 수개의 운용 버튼을 조합하여 목적층을 선택할 수 있는 텐키 입력 방식의 승강기 조작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목적층에 대응되는 해당 운용 버튼을 마련한 일반적인 승강기 조작 장치라도 무방하다. 등록 버튼은 숫자 조합을 입력한 후 입력됨으로써 숫자 조합을 목적층으로 입력받도록 하는 버튼으로서, 텐키 입력 방식에 따라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텐키 입력 방식에서는 복수의 운용 버튼을 조합하여 목적층을 선택하게 되므로 조합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텐키 입력 방식의 승강기 조작 장치에는 조합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운용 디스플레이(190)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승강기 조작 장치에 마련되는 각종 운용 버튼 각각에는 복수의 터치 센서(111)가 포함되어 있다. 운용 버튼에 설비되는 터치 센서의 수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운용 버튼당 4개의 터치 센서가 설비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운용 버튼의 중앙을 원점으로 하는 평행좌표계의 각 사분면에 한개씩 설비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운용 버튼에는 점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추후 기술할 음성 출력부에 의해 점자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참고로, 각 운용 버튼 사이의 간격 또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승강기 조작 장치는 하나의 운용 버튼에 복수의 터치 센서를 설비함으로써 고정 접점 동작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승강기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제어반일 수 있으며, 각각의 운용 버튼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출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210)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터치 처리부(230)를 포함하고 있다.
터치 감지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 센서의 출력을 감지한다. 터치 처리부는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 센서의 출력이 고정 접점 동작인지 판별한다. 판별 결과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출력이 감지된 터치 센서가 설비된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는 대신 보류하게 된다.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를 특수 모드라 칭할 때 사용자에게 특수 모드 상태임을 알려 운용 버튼을 정상적으로 입력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수 모드임을 특수 모드 표시부(25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터치된 운용 버튼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는 드래그, 스크래치 접점 동작으로는 운용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려주고, 필요에 따라 고정 접점 동작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특수 모드 표시부(250)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는 앞에서 언급한 운용 디스플레이(19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특수 모드가 표시된다고 하더라도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특수 모드 표시부는 음성 등 청각적인 수단으로 특수 모드임을 표시하는 음성 출력부(25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수 모드 표시부에 음성 출력부가 포함되어 특수 모드임을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중에 고정 접점 동작에 따른 운용 버튼의 입력이 있는 경우, 음성 출력부는 운용 버튼의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특수 모드 중에 고정 접점 동작이 있으면 정상적으로 운용 버튼의 입력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음성 출력부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된 운용 버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특수 모드가 개시되면 그 이후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운용 버튼의 입력을 안내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승강기 제어 장치는 시각 장애인이 승강기 조작 장치, 구체적으로 운용 버튼(110)을 더듬는(드래그, 스크래치) 접점 동작에서는 고정 접점 동작이 아니므로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고 이러한 상태(특수 모드)를 특수 모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가 점자 등을 통해 운용 버튼을 확인한 후 고정 접점 동작을 수행하면 해당 운용 버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이때 처리된 운용 버튼을 음성 출력부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음성 출력부는 고정 접점 동작에 의해 입력된 운용 버튼이 사용자가 의도한 것인지 문의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처리부는 상기 문의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하면 입력된 운용 버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입력된 운용 버튼의 처리를 보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점자를 확인한 후 운용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올바르게 터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시켜줄 필요가 있다. 또한 운용 버튼에 점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시각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음성 출력부에 고정 접점 동작에 의해 입력된 운용 버튼이 사용자가 의도한 것인지 문의하는 것은 이를 위한 것이다. 즉, 고정 접점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라 하더라도 입력된 운용 버튼을 바로 처리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의도한 입력인지 문의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정의 기회를 제공한다.
상기 문의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을 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확인을 수행하지 않거나 다른 운용 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문의에 대응된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한다. 상기 문의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방법은 다양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된 운용 버튼을 재입력하도록 하거나 음성 인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확인 방법이 존재하므로 음성 출력부는 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에는 '1번 버튼을 선택하셨습니다. 맞으면 1번 버튼을 한번 더 눌러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이 문의와 함께 확인 수행 방법을 안내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1번 버튼을 선택하셨습니다. 맞으면 '예'라고 말씀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이 문의와 안내를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사용자의 확인은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의 재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2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 따르면 고정 접점에 의해 입력된 운용 버튼이 의도한 것인지 문의하고 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는 점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음성 출력부의 문의에 따라 의도한 운용 버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음성 출력부는 특수 모드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에 의해 설정된 목적층에 도착하면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특수 모드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은 특수 모드 개시 후에 이루어진 고정 접점 동작에 의해 입력된 운용 버튼이다. 특수 모드 개시로 인하여 음성 출력부에 의한 특수 모드 안내, 운용 버튼 입력, 문의 등의 표시가 이루어지는데 언제까지 음성 출력부가 구동할지가 문제된다. 사용자의 목적은 의도한 목적층으로 승강기를 운행시키는 것이다. 특수 모드를 개시한 사용자의 목적 또한 이와 같을 것이다. 따라서, 특수 모드 개시 후 정상적으로 처리된 운용 버튼에 의해 설정된 목적층까지 음성 출력부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성 출력부는 특수 모드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에 의해 설정된 목적층까지 정지하는 층마다 음성으로 정지층을 안내할 수 있다. 특수 모드에서 운용 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평소 정지층마다 음성 안내를 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특수 모드에서 운용 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목적층까지 정지층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치 처리부(230)는 도 6의 승강기 제어부(280) 또는 엘리베이터 컨트롤 패널의 제어부(38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기에 설비되는 승강기 제어부(280)와 승강기의 운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CP)의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처리부가 컨트롤 패널의 제어부와 일체인 경우 승강기와 컨트롤 패널과의 통신을 위한 승강기 통신부(290)와 CP 통신부(390)가 요구되나, 이미 설비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이를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음성 인식부, 터치 감지부 또한 승강기 제어부 또는 컨트롤 패널의 제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승강기 제어 방법은 앞에서 살펴본 승강기 제어 장치의 동작으로서 설명될 수도 있다.
먼저, 각각의 운용 버튼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출력을 감지한다(S 510). 하나의 운용 버튼에 복수의 터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고정 접점 동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이용해 상기 감지된 터치 센서의 출력이 고정 접점 동작인지 판별한다(S 520).
판별 결과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으로 처리하고(S 530),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한다(S 540). 입력 보류는 곧 특수 모드임을 의미하며, 이때 특수 모드 표시부를 통한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수 모드 표시부에 음성 출력부가 포함된 경우에는 특수 모드 중에 이루어진 고정 접점에 의한 운용 버튼 입력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입력된 운용 버튼을 문의할 수 있다. 또한 목적층까지 정지층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운용 버튼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출력 처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8은 복수의 운용 버튼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센서를 논리적인 터치 센서 매트릭스로 표시한 개략도이다.
논리적인 터치 센서 매트릭스는 터치 센서에 대응되는 배열 요소를 복수개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배열 요소는 터치 센서를 누르는(터치) 행위, 떼는 행위 그리고 점자 인식을 위하여 터치 센서 표면을 이동하는 행위 등에 의한 접점 표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터치 센서에 대한 사용자의 일련의 행위들은 터치 센서의 접점 표면에 대한 일련의 변화의 연속으로 나타나므로, 변화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행위를 판단하여 고정 접점 동작을 판별할 수 있다.
배열 요소들에서 터치 센서(111) 표면에 이미 발생되어 있는 사용자의 접점 부위에 대한 배열 요소들의 값이 활성화되어 있는 접점 변화 이전의 상태에서 새로운 접점 부위ⓐ가 발생하여 해당 배열 요소들의 값이 활성화되는 접점 변화가 생기면, 승강기 제어 장치는 접점이 새로 생성되는 것으로 감지하여 사용자가 새롭게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한다. 즉, 특수 모드 상태, 예를 들어 도 9의 접점 변화 이전과 같이 다점 접점 동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새로운 접점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새로운 접점에 대해서 고정 접점 동작을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 접점 동작은 다른 접점이 이루어진 상태 하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접점 동작을 처리하는 것은 시각 장애인이 점자를 찾는데 이용한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의도한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도 10의 터치 센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배열 요소들에서 터치 센서 표면에 이미 발생되어 있는 사용자의 접점 부위에 대한 배열 요소들의 값이 활성화되어 있는 접점 변화 이전의 상태에서 접점 부위가 사라짐으로써 해당 배열 요소들이 비활성화되는 접점 변화가 생기면 승강기 제어 장치는 접점이 새로 소멸되는 것으로 감지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점자 인식을 위하여 운용 버튼을 훑는 행위가 끝난 것으로 해석한다.
도 11의 터치 센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배열 요소들에서 터치 센서 표면에 이미 발생되어 있는 사용자의 접점 부위에 대한 배열 요소들의 값이 활성화되어 있는 접점 변화 이전의 상태에서 기존의 접점 부위가 사라짐으로써 해당 배열 요소들이 비활성화되는 접점 변화가 생기고 새로운 접점 부위가 발생하여 해당 배열 요소들의 값이 활성화되는 접점 변화가 생기면 승강기 제어 장치는 접점이 새로 생성되는 것으로 감지하여 사용자가 점자 인식을 위하여 운용 버튼을 훑는 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한다.
도 12는 일반인이 운용 버튼을 운용하는 경우에 대한 패턴 변화의 분석 및 처리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의 터치 센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배열 요소들에서 패턴의 변화 순서는 초기 접점이 없는 상태에서 배열 요소들이 활성화되는 상태로 변화되어 그 배열 요소가 활성화가 유지되는 상태를 거쳐 접점이 소멸되는 상태의 패턴 변화를 인식하여 일반인이 운용 버튼을 터치한 후 뗀 것으로 해석하고 해당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한다. 즉, 도 12는 고정 접점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도 13은 시각 장애인이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운용 버튼을 운용하는 경우에 대한 패턴 변화의 분석 및 처리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의 터치 센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배열 요소들에서 패턴의 변화 순서는 초기 접점이 없는 상태에서 배열 요소들이 활성화되는 상태로 변화되어 그 배열 요소의 활성화가 유지되는 상태를 거치거나, 기존의 배열 요소가 비활성화되고 새로운 배열 요소들이 활성화되는 상태를 거치거나, 배열 요소의 활성화 부분이 이동되는 상태가 발생허간 또는 생성, 소멸, 이동의 유사한 상태의 반복이 발생되면 시각 장애인이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운용 버튼을 훑는 과정으로 인식하여 버튼의 입력을 허가하지 않다가(입력 보류) 접점이 소멸되는 상태를 거쳐 그 전의 배열 요소의 활성화에 대응되는 버튼의 배열 요소가 다시 선택되어 활성화되는 상태를 거쳐, 접점이 소멸되는 상태의 패턴 변화를 감지하면 시각 장애인이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운용 버튼을 이동하는 과정을 거쳐 운용 버튼을 찾은 후 한번 더 선택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일반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을 허가한다.
도 14는 시각 장애인이 여러 손가락을 사용하여 운용 버튼을 운용하는 경우에 대한 패턴 변화의 분석 및 처리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의 터치 센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배열 요소들에서 패턴의 변화 순서는 초기의 3개의 손가락의 접점에 의하여 배열 요소들이 활성화되는 상태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배열 요소 중에 하나가 비활성화되어 소멸되는 상태를 거치거나, 배열 요소들이 새롭게 활성화되어 생성되는 상태로 변화되거나, 접점이 이동하여 배열 요소들의 활성화를 변경하는 상태로 변화되거나, 그 전의 상태에서 유지되던 접점 표면에 대한 배열 요소의 활성화가 이동되는 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생성, 소멸, 이동의 유사한 상태의 반복이 발생되면 시각 장애인이 여러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버튼 패널을 훑는 과정으로 인식하여 버튼의 입력을 허가하지 않다가 접점이 소멸되는 상태를 거쳐 그 전의 배열 요소의 활성화에 대응되는 버튼의 배열 요소가 다시 선택되어 활성화되는 상태를 거쳐 접점이 소멸되는 상태의 패턴 변화를 감지하면 시각 장애인이 여러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버튼 패널을 이동하는 과정을 거쳐 운용 버튼을 찾은 후 한번 더 선택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일반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을 허가한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일반인의 경우 운용 버튼 사용이 단조로운 반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운용 버튼의 사용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살펴본, 고정 접점 동작 외의 접점 동작을 특수 모드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승강기 내부에 장치되는 승강기 조작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터치 센서로 구동되는 승강기 조작 장치에 유리하다. 이때의 승강기 조작 장치의 방식은 텐키 입력 방식과 기존 입력 방식을 불문한다.
100...승강기 조작 장치 200...승강기 제어 장치
110...운용 버튼 111...터치 센
113...점자 190...운용 디스플레
210...터치 감지부 230...터치 처리
250...특수 모드 표시부 251...음성 출력
270...음성 인식부 280...승강기 제어
290...승강기 통신부 390...CP 통신
380...CP 제어부

Claims (15)

  1.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운용 버튼을 복수개 구비하는 승강기 조작반;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승강기 제어반;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2. 승강기 조작에 이용되는 복수의 운용 버튼; 및
    평면상으로 서로 분리되어 상기 운용 버튼 각각에 복수로 설비되는 터치 센서;
    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운용 버튼의 중앙을 원점으로 하는 평행좌표계의 각 사분면에 한 개씩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복수개의 센서 여러 개씩) 설비되는 승강기 조작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버튼 각각에는 점자가 형성되는 승강기 조작 장치.
  5. 각각의 운용 버튼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출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터치 처리부;
    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특수 모드인 경우 상기 특수 모드임을 표시하는 특수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모드 표시부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특수 모드 중에 상기 고정 접점 동작에 따른 운용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출력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이 사용자가 의도한 것인지 문의하고,
    상기 터치 처리부는 상기 문의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하면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의 처리를 보류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은 상기 입력된 운용 버튼의 재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승강기 제어 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확인은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승강기 제어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특수 모드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에 의해 설정된 목적층까지 정지하는 층마다 음성으로 정지층을 안내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특수 모드에서 입력된 운용 버튼에 의해 설정된 목적층에 도착하면 구동을 중지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처리부는 승강기 제어부 또는 엘리베이터 컨트롤 패널의 제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승강기 제어 장치.
  15. 각각의 운용 버튼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출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센서의 출력이 고정 접점 동작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고정 접점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정상으로 처리하고, 고정 접점 외의 동작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운용 버튼의 입력을 보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방법.
KR1020100027875A 2010-03-29 2010-03-29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KR10115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75A KR101154459B1 (ko) 2010-03-29 2010-03-29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75A KR101154459B1 (ko) 2010-03-29 2010-03-29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99A true KR20110108599A (ko) 2011-10-06
KR101154459B1 KR101154459B1 (ko) 2012-06-13

Family

ID=4502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875A KR101154459B1 (ko) 2010-03-29 2010-03-29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48035A1 (en) * 2018-08-10 2020-02-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assenger interface including special assistance feat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931A (ko) 2018-07-11 2020-01-21 노병덕 숫자 식별이 용이한 승강기 버튼
KR102348313B1 (ko) 2019-12-02 2022-01-1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기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2058B2 (ja) * 2006-05-25 2012-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盤
JP5115554B2 (ja) * 2007-06-20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KR101026730B1 (ko) * 2008-09-05 2011-04-08 문재성 시각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조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48035A1 (en) * 2018-08-10 2020-02-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assenger interface including special assistance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459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1065B2 (ja) 障害のあるユーザ支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255284B1 (ko) 가상 포인팅 디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장치, 컴퓨터 시스템의 지시 방법 및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구비한 제조 물품
EP3105160B1 (en) Elevator operator interface
JP3589381B2 (ja) 仮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の生成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4384734B2 (ja) 仮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の生成指示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装置
KR100255285B1 (ko) 가상 포인팅 디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의 지시 방법, 및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구비한 제조 물품
JP5159723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操作装置
JPH1063427A (ja) 仮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を不活発状態に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10409412B1 (en) Multi-input element for electronic device
WO2016192642A1 (zh)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US2016004169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touch-sensitive control system and device having such a control system
US10494225B2 (en) Control panel with accessibility wheel
KR101154459B1 (ko)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CN106662977A (zh) 用于在多手指操纵的情况下运行机动车的操纵装置的方法
CN108334224A (zh) 输入装置和检测输入的方法
CN110121474A (zh) 电梯呼叫输入装置
JPWO2020183626A5 (ko)
KR101260756B1 (ko) 시각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GB2591841A (en) Keyboard
JP2022547422A (ja) タッチ感応式スクリーンシステムを備えたエレベータ操作デバイスの操作方法
CN116495584A (zh) 电梯系统
KR20090084079A (ko)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운전반과 엘리베이터 운전반의 구동방법
WO2018173952A1 (ja) イネーブルスイッチおよび操作部
KR101706909B1 (ko) 핑거 입력장치
JP202313229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