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085A -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 Google Patents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085A
KR20110108085A KR1020100027384A KR20100027384A KR20110108085A KR 20110108085 A KR20110108085 A KR 20110108085A KR 1020100027384 A KR1020100027384 A KR 1020100027384A KR 20100027384 A KR20100027384 A KR 20100027384A KR 20110108085 A KR20110108085 A KR 2011010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wall
bar frame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4767B1 (en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남 filed Critical 이창남
Priority to KR102010002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67B1/en
Publication of KR2011010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타운하우스 등 단위 평면 크기가 약 3 × 6m 내외에 불과한 원룸 구조형 다층 건축물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구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위 세대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벽체의 좌우 양 측면 끝단부로부터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직 주근과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 바에 의해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컬럼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너 수직내력부와; 상기 양측 코너 수직내력부의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경계벽체의 상단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평 주근과 스터럽에 의해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빔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단 수평내력부 및; 상기 양측 코너 수직내력부의 사이와 상단 수평내력부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전체적인 벽체를 완성하는 중앙 비내력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와 상단 수평내력부 및 중앙 비내력부의 두께는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급격한 돌출 부위 없이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를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al method that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one-room structure-type multi-story building of about 3 × 6m unit size, such as urban living houses and townhouse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ner vertical strength formed in a partial region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undary wall partitioning the unit generation space, and includes a column bar frame prefabricated into the unit assembly by a vertical main bar and a rectangular border bar therein Wealth; An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unit having a beam bar frame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undary wall by horizontally extend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corner vertical bearing parts and prefabricated into a unit assembly by a horizontal freckle and a stub; And a central non-bearing wall part installed between the two corner vertical bearing parts and a lower area of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art to complete the entire wall. The thickness of the corner vertical bearing part,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art and the central non-bearing part are The same construction provides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 type multi-story building, which is configured to form a planar wall as a whole without a sudden protrusion.

Description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본 발명은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타운하우스 등 단위 평면 크기가 약 3 × 6m 내외에 불과한 원룸 구조형 다층 건축물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구조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이 대규모 건축물에 효과적인 내력벽 시스템을 변형하여 구조내력상 극히 일부분만 내력벽과 같은 두께로 코너 벽컬럼부와 상단 벽빔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한 두께의 비내력벽부로 형성하며 시공에 있어서도 단위 조립체로 공장에서 선제작된 바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구축함으로써 구조 경제 및 시공 능률 등의 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al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one-room structure-type multi-storey building having a unit plane size of about 3 × 6m, such as an urban living house or a townhouse, and more particularly, a bearing wall system effective for a large-scal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The corner wall column and the upper wall beam part are formed with the same thickness as the bearing wall, and the remaining part is formed with the non-bearing wall part of the same thickn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type multi-story building in which a very advantageous effect can be expected in terms of structural economy and construct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원룸 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이 다수의 단위 공간들을 갖는 주거용 건물의 구조 공법으로서 현재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구조 공법을 보게 되면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법들을 들 수 있다.In general, as a structural construction method of a residential building having a plurality of unit spaces such as an apartment, a one-room house, an officetel, and the like, the following construction methods are typical.

먼저, 내력벽 공법은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공법으로서 기둥과 보 대신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상당한 내력을 갖도록 한 벽체(내력벽)를 통해 전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기둥-보 시스템은 상기 내력벽 공법 이전에 적용되던 것으로서 주거 건물 이외에 일반적인 건물들에서는 상기 시스템이 가장 표준 구조로서 적용되고 있다. First of all, the bearing wall method is the most widely applied method in Korea, and is a method of supporting the entire load through a wall (bearing wall) that has a significant strength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stead of columns and beams. In addition, the pillar-beam system was applied before the bearing wall method, and the system is applied as the most standard structure in general buildings other than residential buildings.

또한, 플랫 플레이트(flat plate) 구조는 보 없이 기둥과 슬래브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최근 10여년 전부터 일부 고층 타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하중 부담이 크지 않은 저층 소형 주택의 경우 일부에서는 조적벽과 슬래브를 이용한 조적조도 적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flat plate (flat plate) structure consisting of columns and slabs without beams has been applied mainly to some high-rise tower-type apartments from about 10 years ago. In addition, in the case of low-rise small houses where the load is not large, masonry using masonry walls and slabs has been applied in some cases.

한편, 최근 스틸 하우스라 하여 소형 경량철골 C-형강 골조의 양면에 석고보드 등 패널을 부착하여 벽체로서 활용하는 공법이 신공법으로서 개발된바 있으며, 기타 콘크리트 선타설(Precast Concrete: PC) 조립식 구조로서 기둥과 보와 같은 구조부재를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형태로 선제작하고 현장에서 이를 반입하여 조립 설치하는 구조 방식 등이 알려져 적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steel house has been developed as a new construction method by attaching panels such as gypsum board to both sides of the small lightweight steel C-beam steel frame as a new construction method, and as a precast concrete (PC) prefabricated structure. Structural methods, such as columns and beams, are pre-fabricated in the form of precast concrete members in factories and brought in on the site for assembly and installation.

하지만, 전술한 구조들 중 내력벽 시스템을 비롯하여 조적조, PC 조립식 구조, 스틸 하우스 등과 같은 구조 방식들은 공통적으로 볼 때, 기본적으로 고정된 건축 평면계획에 순응하는 것인바, 거실, 화장실, 침실 등 독립된 공간으로 계획된 각 실들을 추후 리모델링 등을 통해 변경하는 것에 대해 구조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모델링을 고려한 시스템으로 설계할 경우 기본적으로는 각 실의 배치 정도만 변경하고 구조 안전이나 비용 등의 문제로 구조 파트의 경우는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바, 전술한 기존 방식들에 따르면 가급적 기둥 간격을 최대한 멀리하고 허물지 못하는 고정벽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술한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기타 재래식 보+기둥 시스템도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들은 대규모 고층 건축물에 적합한 것으로서 동일 단면과 형상의 시스템을 소규모 다층 건축물에 적용하면 구조적 부담이 증가하여 골조 공사비의 절감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amo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es, structural methods such as load bearing system, masonry construction, PC assembly structure, steel house, etc., are generally in compliance with a fixed building plan. Independent spaces such as living rooms, toilets, bedrooms, etc. It is disadvantageous that it is not structurally suitable for changing each of the planned rooms through remodeling. In addition, when designing a system considering the remodeling, it is desirable to change only the layout of each room and not change the structural parts due to problems such as structural safety and cost. The design is focused on keeping the wall as far as possible and minimizing the fixed wall that cannot be broken down. In view of this, the above-described flat plate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other conventional beam + pillar systems have been applied. However, these methods are suitable for large-scale high-rise building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frame.

기타, 전술한 기존의 공법 중 조적조나 스틸 하우스의 경우 그 공법의 특성상 층수가 많은(3층 이상) 원룸형 단위 공간들을 수용하는 공법으로의 적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선타설 조립식 구조의 경우 접합부의 문제가 완벽하지 못할 뿐 아니라 공장제작 단위 부재의 사이즈가 상당히 크므로 협소한 부지 및 작업 공간에서 시공해야 하는 원룸 건물의 대부분에 있어 크레인 등의 중장비 출입에 어려움이 있는바 이 역시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공법으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asonry or steel house among the existing methods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pply to a method that accommodates one-bedroom unit spaces having a large number of floors (three or more floors). In addition, in case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not only the connection problem is not perfect, but also the size of the factory manufacturing unit member is quite large, so most of the studio buildings that need to be installed in the narrow site and working space can be used to access heavy equipment such as crane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method is also not suitable as a construction method for small unit space multi-story buildings.

이에 따라, 원룸 주택과 같은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에 있어 현재 거의 대부분 내력벽 구조를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다. 특히, 내력벽 구조에 따르면 층고를 최소화하면서 내력벽이 기둥과 칸막이 벽을 겸용함에 따라 평면과 단면상에 기둥과 보와 같은 돌출부가 발생하지 않으며 큰 부담없이 내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는바 현재 국내 주거용 건물 구조에서 상기와 같은 내력벽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in constructing a small unit space-type multi-story building such as a one-room house, almost all of them are currently constructed by applying a bearing wall structur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bearing wall structure, as the bearing wall combines the column and the partition wall while minimizing the floor height,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no protrusions such as the column and the beam on the plane and the cross section, and the seismic effect can be expected without any great burden. The domestic load-bearing wall structure is the mainstream in domestic residential building structure.

하지만, 상기와 같은 내력벽 구조의 경우 일반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도 10층 이상 건물일 때는 상당히 경제적이지만 단위 면적이 작은 원룸형 건물을 비롯하여 5층 이하의 저층 건물에까지 통일해서 범용으로 원룸 주택용으로서 적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내력벽 구조의 내력벽을 외벽으로 활용한 경우에는 별도의 단열재를 부착하는 비용을 추가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비용 증가와 함께 소규모 다층 건축물의 경우 좁은 실공간의 효율 면에서도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bearing wall structure, it is quite economical when building more than 10 stories in general multi-unit housing structure, but it is economical to uniformly apply to one-room houses with low floor buildings of less than 5 stories as well as one-room buildings with small unit area. There is a burden. In addition, when the bearing wall of reinforced concrete bearing wall structure is used as an outer wall, the cost of attaching a separate insulation material must be added. there was.

나아가, 상기와 같은 전면적인 내력벽 시스템의 경우 공사 기간 면에서 상당 시간이 소요되는바, 이는 법규적인 이유 등으로 인해 무리하게 공사 기간을 단축할 필요가 없는 일반 공동주택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원룸 주택과 같은 건물의 경우 공사 기간을 가능한 한 단축하는 것이 직접적인 공사 비용뿐 아니라 금융 비용과 간접비를 줄여 시공 경제상 유리하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기존의 내력벽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full-scale bearing wall system as described abov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erms of construction period, which may not be a big problem in general apartment houses that do not nee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due to legal reasons. In the case of a building such as a one-room house,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s much as possible reduces the financial and overhead costs, as well as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and it is advantageous to the construction econom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 type multi-story building.

따라서, 본 발명은 원룸 주택과 같이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에 있어 기존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 공법이 없어 주로 아파트 등 일반 공동주택에 적합한 내력벽 시스템을 적용함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상적인 내력벽 시스템에 비해 단위 면적당 벽량을 최소화하면서 고정 하중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고, 시공에 있어서는 단위 조립체로 공장에서 선제작된 철근 프레임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소운반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여 중장비의 도움 및 숙련공 없이도 정밀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동바리 등 가설자재의 사용 절감 및 사용 최소화, 슬래브 두께 및 층고 절감, 내진 성능의 확보 등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tructural method tha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in the construction of a small unit space-type multi-story building such as a one-room house in consideration of all the problems caused by applying the bearing wall system suitable for general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fixed load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wall per unit area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earing wall system, and in construction, it is applied to the worker's transportation by applying 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frame in the factory as a unit assemb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precisely without the help of heavy equipment and skilled workers. Furthermore, it provides a new structure system that can reduce the use and minimize the use of temporary materials such as copper bars, reduce slab thickness and height, and secure seismic performance. To solve the problem Th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내력벽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며 다수개의 소규모 단위 세대공간이 평면상 연속하여 구축되는 다층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기술로서, 단위 세대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벽체의 좌우 양 측면 끝단부로부터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직 주근과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 바에 의해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컬럼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너 수직내력부와; 상기 양측 코너 수직내력부의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경계벽체의 상단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평 주근과 스터럽에 의해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빔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단 수평내력부 및; 상기 양측 코너 수직내력부의 사이와 상단 수평내력부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전체적인 벽체를 완성하는 중앙 비내력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와 상단 수평내력부 및 중앙 비내력부의 두께는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급격한 돌출 부위 없이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를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ad is supported by a load bearing wall and a technology for a structure of a multi-story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small unit generation space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plan, and the unit generation space is divided. A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 formed in a partial region from both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boundary wall and including a column bar frame prefabricated into a unit assembly by a vertical main bar and a rectangular edge bar; An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unit having a beam bar frame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undary wall by horizontally extend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corner vertical bearing parts and prefabricated into a unit assembly by a horizontal freckle and a stub; And a central non-bearing wall part installed between the two corner vertical bearing parts and a lower area of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art to complete the entire wall. The thickness of the corner vertical bearing part,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art and the central non-bearing part are The same construction provides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 type multi-story building, which is configured to form a planar wall as a whole without a sudden protrusion.

이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빔바 프레임은 그 조립 시공에 있어 측면 단부가 상기 컬럼바 프레임의 테두리 바 내부로 일정 길이 밀어넣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am bar frame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end portion is push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edge bar of the column bar frame in the assembly construction.

즉,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중을 지지함에 있어 기본적으로 단위 세대공간을 구획하는 벽체를 통해 슬래브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외형적으로만 볼 때는 내력벽 공법과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으나, 통상적인 내력벽 공법과는 달리 전체 벽체 중 구조내력상 극히 일부 영역만 하중을 받을 수 있는 내력 구조로 치환하고 나머지 부분은 경량 조적조와 같은 비내력부 및 창호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벽체 구조물을 가지고 라멘조와 유사한 구조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층고를 최소화하며 벽체가 구조적 역할 및 칸막이 벽을 겸용하여 평면과 단면상에 돌출부(기둥, 보 등)가 없는 내력벽 구조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단위 면적당 벽량 부담, 자중 증가 등의 단점을 개선하고 라멘조의 구조적 합리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라멘조 적용에 따른 구조적 합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구조 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건물의 경우 사용 중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리모델링 시 칸막이 벽을 자유롭게 제거할 수 있으며, 슬래브 최소 두께도 210mm에서 150mm로 감소 적용이 가능하다는 등 여러 장점을 가질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in the above configuration, by supporting the slab through the wall that divides the unit generation space basically in supporting the load, but in terms of appearance only has a similar form to the bearing wall method, but conventional Unlike the bearing wall method, it replaces with the bearing structure that can receive only a small part of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entire wall, and the remaining parts are formed with non-bearing parts such as lightweight masonry and windows, etc.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lemented to produ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height is minimized, and the wall serves both a structural role and a partition wall,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bearing wall structure having no protrusions (columns, beams, etc.) in the plane and the cross section, while increasing the wall load per unit area and increasing the weight. It will be able to improve its shortcomings and expect the rationality of ramenjo.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al rationalit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ramen, the building wall can be freely removed when remodel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and the slab minimum thickness is reduced from 210 mm to 150 mm. It can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being applicable.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In summary,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1. 미리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프레임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중장비의 사용 없이 1 ~ 2인 작업자에 의한 운반 및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1. Since the construction is done by assembling the frame pre-fabricated as a unit assembly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transport and construct by one or two workers without using heavy equipment, thus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2. 기존의 내력벽 구조에 비해 콘크리트 물량이 크게 감소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되고 고정 하중이 저감된다.2. Compared with the existing bearing wall structure, the amount of concrete is grea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and reducing the fixed load.

3. 세대간 간벽 중 보온성이 떨어지는 철근콘크리트 부분을 줄이고 경량재로 대체함으로써 결로현상 및 냉난방비 부담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and the burden of heating and cooling costs are reduced by reducing the reinforced concrete part of the insulation wall between generations and replacing it with a lightweight material.

4. 구조 시스템 형식상 라멘조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므로 슬래브 최소 두께가 감소하고(내력벽: 210mm, 라멘조: 150mm), 기본적으로 라멘조 시스템임에도 보 두께로 인한 층고의 증가가 없어 전체적인 층고의 저감에 유리하다.4. Since the structural system type can be classified as a ramen type, the slab minimum thickness is reduced (bearing wall: 210 mm, ramen type: 150 mm), and even though it is basically a ramen type system, there is no increase in the height due to the beam thickness, which is advantageous for reducing the overall height. .

5. 동일 단면의 선제작 프레임을 반복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시공 능률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숙련 고급인력 대신 미숙련공이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5. By repeatedly using the prefabricated frame of the same section,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and even the unskilled workers can secure a certain level of quality even if they are skilled workers.

6. 선제작 프레임의 반복사용은 현장에서 조립하는 철근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현장조립 철근의 정밀도와 비교 시 구조내력 및 구조성능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한다.6. Repeated use of prefabricated frames improves the precision of reinforcing bars in the field, and great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structural strength and structural performance when compared with the precision of reinforcing bars.

7. 구조 형태상 별도의 부담없이 내진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7. Seismic performance can be secured without any additional burden on structure.

8. 중고층 아파트의 경우 기존 내력벽 구조의 상부에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연장시공 함으로써 일반 공동주택의 최상층에서 적절한 하부층까지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층에 대해 구분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8. In the case of the middle and high-rise apartments by extend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existing bearing wal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apply to the floors in which the load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from the top floor of the general MDU to the appropriate lower floor.

이상과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은 더 많은 장점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등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밝혀질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basic technical effec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more advantages and effects,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reveale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도1은 일반적인 표준 원룸형 건물에 있어 본 발명의 구조를 적용한 골조 평면도 및 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코너 수직내력부 구성 형태를 단면 형태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있어 상단 수평내력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있어 본 발명에 있어 빔바 프레임을 컬럼바 프레임에 조립 연결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상단 수평내력부에 사용되는 빔바 프레임의 바람직한 일 예에 대한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있어 빔바 프레임을 연속으로 이음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shows a skeleton plan view and sectional view to which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general standard studio type buildin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artial plan views showing the assembly of the beam bar frame to the column bar fram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assembly view of a preferred example of the beam bar frame used in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eam bar frame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원룸형 주택이나 타운 하우스와 같이 다수개의 소규모 단위 세대공간이 평면상 연속하여 다층으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기술로서, 도1은 일반적인 표준 원룸형 건물에 대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를 적용한 골조 평면도 및 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시스템은 평면상 및 입면상으로 돌출된 형태의 보 또는 기둥 등을 형성하지 않고 외형적으로만 볼 때 세대간 경계벽체(1) 및 슬래브(2)로 이루어진 골조 형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small unit household spaces such as a studio-type house or a town house are continuously constructed in a multi-layered plane, and FIG. 1 shows a general standard studio-typ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It shows a skeleton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to which the structure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orm beams or pillars protruding in plan and elevation, but only in appearance. It can be seen that it takes the frame form consisting of.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계벽체(1)는 기존의 내력벽 시스템에서처럼 전면적으로 철근콘크리트조로 된 단순한 형태의 내력 벽체가 아니라,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쪽 측면 단부에는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단 수평내력부(20)가 형성되어 구조 내력을 부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곽부의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와 상단 수평내력부(20)를 제외한 중앙 영역에는 비내력벽부(30)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평면 벽체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wall (1) is not a simple strength-bearing wall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s a whole, as in the conventional bearing wall system, as shown in Figure 1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 (10a, 10b) is formed, and the top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is formed at the upper 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bear structural strength, and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s 10a and 10b and the top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are formed at the outer portion. The non-bearing wall portion 30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except for the structure to form one flat wall as a whol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 시스템에 따르면, 내력벽 시스템의 장점인 벽체가 기둥/보와 칸막이 벽의 역할을 겸용하여 평면과 단면상에 돌출부(기둥, 보 등)가 없고 층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체 벽체 중 구조 내력상 극히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내력 구조로 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영역은 경량 비내력 벽체로 함으로써 전체적인 자중을 감소시키고 철근 등 자재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ll,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bearing wall system, serves as a pillar / beam and partition wall, so that there is no protrusion (column, beam, etc.) on the plane and the cross section, and the height of the floor can be minimized. While maintaining the point as it is, only a portion of the entire wall of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tructural strength is a structure with a load-bearing structure, most of the rest as a light weight non-bearing wall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and reduce the material such as reinforcing steel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al system.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구조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체(1)는 구조 내력상 필요한 좌우 및 상부 일부분만 내력벽과 같은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와 상단 수평내력부(20)로 치환하고 나머지 비내력벽부(30) 부분은 경량 조적조나 창문 또는 출입문으로 채운다. 즉, 상기 상단 수평내력부(20)의 폭은 벽 두께와 같은 20cm, 높이는 30 ~ 40cm로 하고, 내부의 주근은 16mm 정도의 가는 것을 사용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undary wall (1) and the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portion only necessary for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 (10a, 10b) of the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of the same thickness as the bearing wall Replaced by the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and the remaining non-bearing wall portion 30 is filled with lightweight masonry or windows or doors. That is, the width of the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is 20 cm, the same as the wall thickness, the height is 30 to 40 cm, the inner circumference is about 16mm thin.

또한,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의 간격은 일반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적용하지 않는 거리인 3m 내외로 하여 설계 응력을 최소화한다. 즉, 일반적으로 주설계응력은 휨 모멘트에 의하는데, 휨 모멘트는 지점간격의 제곱에 비례하는바(예를 들면 3m와 6m의 간격비는 1 : 2이나, 휨모멘트 차이는 1 : 4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직 구조부인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의 간격이 짧기 때문에 폭이 벽체와 같은 20cm 내외에 불과하더라도 10 ~ 15층까지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의 벽체 코너로부터 형성되는 수평 길이는 약 40cm 내외를 기본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corner perpendicular strength parts (10a, 10b) is less than 3m, which is not applied in the gener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o minimize the design stress. That is, in general, the principal design stress is based on the bending moment,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point spacing (for example, the spacing ratio of 3m and 6m is 1: 2, but the difference in bending moment is 1: 4).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vertical portion (10a, 10b) of the vertic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short, even if the width is only about 20cm, such as the wall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up to 10 to 15 layers. At this time, the horizontal length formed from the wall corners of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s 10a and 10b is about 40 cm.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와 상단 수평내력부(20)에는 일반 내력벽 공사방법과는 달리 공장에서 철근을 서로 용접하여 단위 조립체의 형태로 선제작된 컬럼바 프레임(100)과 빔바 프레임(200)을 현장으로 반입하여 조립 설치한다. 실제적인 시공에 있어서는 먼저 컬럼바 프레임(100)을 세워 설치한 뒤 여기에 빔바 프레임(200)의 단부를 고정하여 시공하며, 상기와 같이 설치된 빔바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거푸집을 매달아 동바리 등 가설재 사용을 최소화한다. 이때, 공장 조립 바 프레임의 단위 중량은 30 ~ 50kg 이내로 하여 작업자에 의한 현장내 소운반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 vertical strength parts (10a, 10b) and the upper horizontal strength part 20, unlike the general bear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s welded to each other in the factory in the form of a unit assembly pre-fabricated The column bar frame 100 and the beam bar frame 200 are brought into the field and assembled. In actual construction, first install the column bar frame 100 and then install the beam bar frame 200 by fixing the end of the beam bar frame 200, and then hang the formwork on the lower part of the beam bar frame 20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emporary materials such as copper bar Minimize use At this time, the unit weight of the factory assembly bar frame is within 30 ~ 50kg to enable on-site transport by the operator.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바닥판은 일반 내력벽 구조에서와 같은 거푸집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도 가능하지만 이보다는 경량 트러스 데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재래식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경우 거푸집 목공의 주도하에 시공되고 철근은 보통 거푸집에 의지하여 배근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경우 앞서 본 바와 같이 공장에서 조립한 바 프레임(100)(200)을 먼저 선 조립 설치한 후 이와 같이 선조립된 바 프레임에 의지하여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라 할 수 있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is also capable of casting formwork concrete slabs as in a general bearing wall structure, but more preferably using a lightweight truss deck.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constructed under the initiative of formwork woodworking and reinforcement is usually reinforcement based on the formwork,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installed bar frame 100, 200 assembled in the factory as previously described After that, it can be called a method of assembling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on the prefabricated bar fram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벽체 구조 시스템을 원룸형 주택 건물에 바람직하게 적용한 도1을 참조하면, 도1과 같이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가 형성된 경계벽체(1)의 길이는 기본적으로 3m 거리를 기본 모듈로 하여 시공한다. 일반적으로 원룸형 주택의 경우 세대별 전용 평면이 3 × 6m 정도가 적당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룸 세대간 경계벽체(1)의 길이가 길면 3m 간격 내외마다 전술한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 사이에 중간 수직내력부(10c)를 추가로 형성하며, 이 중간 수직내력부(10c)는 도시된 것처럼 복도 외곽 등에 배치하여 하중크기가 작은 기둥의 역할을 하도록 시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which the wall structu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a one-room house building, the length of the boundary wall 1 having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s 10a and 10b as shown in FIG. 1 is basically 3 m. Construct with distance as basic module. In general, for a one-room home, a 3 × 6m level is suitable for each floo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when the length of the boundary wall 1 between studio generations is long, an intermediate vertical strength portion 10c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aforementioned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s 10a and 10b at intervals of about 3m.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 10c may be disposed and used to serve as a pillar having a small load size by placing the corridor outside as shown.

도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의 단면 형태별로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경계벽체와 경계벽체가 만나는 형태가 '+'자 또는 'T'자 형으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 형성되는 코너 수직내력부의 단면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b)는 'ㄱ'자로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코너 수직내력부의 단면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2의 (c)는 경계벽체의 길이가 길 때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 사이에 추가로 형성되는 중간 수직내력부(10c)의 단면 형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의 단면 구조는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콘크리트의 배합강도, 주근의 굵기와 개수는 건물 층수에 따르는 하중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igure 2 is shown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 (10a, 10b)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is the form where the boundary wall and the boundary wall meet in a '+' or 'T' shape It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b)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that meets the letter 'b'. In addition, Fig. 2 (c)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 10c which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s when the boundary wall is lo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arts 10a and 10b are as shown in FIG. 2, and the mixing strength of the concrete, the thickness and the number of the main bars may vary depending on the load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또한, 본 발명의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 및 중간 수직내력부(10c)는 구조적 내력의 확보를 위해 그 내부에 컬럼바 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컬럼바 프레임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 주근(110)과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 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두리 바(120)는 RC 기둥에 있어 띠철근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여 D10 철근을 사용하며 피복두께는 동 규정에 따라 4cm로 한다. 상기 테두리 바(120)의 간격은 내진 설계상 조정할 수 있으며 나선형 철근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공장에서 용접으로 조립하는 컬럼바 프레임(100)의 단위길이는 1개 층(3m 내외)으로 하여 운반 조립이 쉽게 하고 상하 컬럼바 프레임끼리 주근의 이음에는 커플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s 10a and 10b and the middle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 10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include a column bar frame 100 therein to ensure structural strength, and the column bar frame is illustrated in FIG. As shown in Figure 2 consists of a vertical bar 110 and a rectangular border bar 120 is installed up and down. The edge bar 120 is used to apply the rules for the reinforcing bar in the RC pillars using D10 rebar and the coating thickness is 4cm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The spacing of the edge bar 120 can be adjusted in the seismic design and may be replaced by a spiral rebar. The unit length of the column bar frame 100, which is assembled by welding in a factory, is one layer (about 3 m) to facilitate transport assembly,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coupler for the joint of the upper and lower column bar frames.

또한, 본 발명의 상단 수평내력부(20)의 경우 그 외곽 폭은 전술한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의 폭과 같이 20cm 내외로 하고, 높이는 30 ∼ 40cm로 하는데, 이때 상기 높이의 기준은 일반 철근콘크리트 보의 높이와는 달리 바닥판 두께를 제외한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idth thereof is set to about 20 cm and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s 10a and 10b, and the height is set to 30 to 40 cm, wherein the reference of the height Unlike the height of ordinary reinforced concrete beams, excluding bottom plate thickness.

도3은 상기 상단 수평내력부(20)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수평내력부(20)의 내부에는 미리 공장에서 단위 조립체 형태로 선제작된 빔바 프레임(200)이 매립 설치된다. 상기 빔바 프레임(200)은 도3과 같이 수평 주근(210)과 스터럽(220)(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수평 주근(210)은 상하 각각 2개씩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하면 상부근 또는 하부근을 2개씩 추가하며 그것도 부족하면 도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처럼 단부측 슬래브 내에 보강 주근(218)을 추가로 배근할 수 있다. FIG. 3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As shown in FIG. 3, a beam bar frame prefabricated in a unit assembly form at the factory in the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is shown in FIG. 200) is buried. The beam bar frame 200 includes a horizontal main pole 210 and a stirrup 220, 230 as shown in Figure 3, the horizontal main pole 210 is based on each of the two upper and lower, if necessary, the upper root or If two lower muscles are added and lack thereof, the reinforcement bar 218 can be further placed in the end side slab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도6은 상기 상단 수평내력부(20)에 사용되는 빔바 프레임(200)의 바람직한 일 예에 대한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6에 도시된 예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빔바 프레임(200)의 구성 형태는 전체적으로 수평 주근(210)과 스터럽(220)(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부 수평 주근과 하부 수평 주근의 사이에 스터럽(220)(230)이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Figure 6 shows an assembly view of a preferred example of the beam bar frame 200 used for the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beam bar frame 200 includes a horizontal main pole 210 and a stirrup 220 and 230 as a whole. Stirrups 220 and 230 are in the form of being repeatedly connected.

또한,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주근(210)은 상하 각각 2 본씩으로 구성하고, 이 상하 수평주근(210)의 좌우 양쪽에 각각 연속 '∧'자형 래티스 트러스 형태의 경사 래티스 스터럽(230)을 용접하여 빔바 프레임(200)의 외곽 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4 및 도5에 도시된 조립 설치 방식에서와 같이 상기 빔바 프레임(200)을 컬럼바 프레임(100) 내부로 끼워 넣어 조립하여도 철근간 공유 공간이 최대화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빔바 프레임(200)에 대한 피복 두께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the horizontal rotator 210 is composed of two each of the top and bottom, each of the continuous '∧' shaped lattice truss shap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rotator 210 The inclined lattice stub 230 is welded to minimize the outer width of the beam bar frame 200. That is, even if the beam bar frame 200 is inserted into the column bar frame 100 and assembled, as in the assembly installation method shown in FIGS. 4 and 5, the rebar sharing space is maximiz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rease in coating thickness for the beambar frame 200.

상기와 같이 상하 수평주근(210)과 래티스 스터럽(2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티스 스터럽의 '∧'자형 한 조마다 수평주근 외부로 수직 스터럽(220)을 연결하여 빔바 프레임(200)을 완성한다. 상기 수직 스터럽(220)은 도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전체적으로 'U'자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며, 이 'U'자형 수직 스터럽(220)을 개방부위가 아래로 하여 상기 수평주근(210)의 외부에 감아 용접하며, 이때 상기 'U'자형 수직 스터럽(220)의 하부 끝단에는 사전에 나사산을 가공하여 커플러(228)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터럽에 사용되는 철근은 D10을 표준으로 한다. The beam bar frame 200 i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vertical stirrup 220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freckle for each pair of '∧'-shapes of the lattice stirrup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eckle 210 and the lattice stub 230 are coupled as described above. do. As shown in Figure 6, the vertical stirrup 220 is open so that one side is formed to have an overall 'U' shape, and the horizontal vertebrae 210 with the 'U' shaped vertical stirrup 220 open at the bottom. And wound around the outside, an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U'-shaped vertical stub 220 is processed in advance to allow the coupling of the coupler 228.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bar used in the above stirrup is based on D10.

또한, 상기와 같이 'U'자형 수직 스터럽(220)을 설치한 다음에는 그 개방된 하부측에 타이바(225)를 추가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평 주근(210)을 폐쇄형으로 감싸도록 조립하며, 이때 상기 타이바(225)의 고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수직 스터럽(220)에 미리 마련된 나사산에 커플러(228)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after installing the 'U'-shaped vertical stub 220 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tie bar 225 to the open lower side assembling so as to surround the horizontal horizontal root 210 as a closed type as a whole, Fixing of the tie bar 225 is to fasten the coupler 228 to the thread provided in advance in the 'U'-shaped vertical stub 220 as shown.

나아가,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타이바(225) 고정용 커플러(228)는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U'자형 수직 스터럽(220)의 하부에 나사 체결되어 타이바(225)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 하부측에 볼트를 이용해 거푸집을 고정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조립된 철근 프레임에 의지하여 거푸집을 지지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바, 거푸집 선설치 후 여기에 철근을 배근하여 시공하였던 재래식 공법과 비교할 때 동바리 등 가설 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및 공사비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재래식 라멘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경우 보 거푸집 하부를 지지하는 가설 동바리의 설치 간격이 보통 보 길이방향을 따라 60cm 간격 2줄로 설치되었던 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양 단부측에 각 2개 정도의 동바리 설치만으로 충분하므로 가설 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e bar 225 fixing coupler 228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leeve formed with a threa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shaped vertical stub 220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of fastening the tie bar 225 by screwing it can be fixed to the formwork using bolts on the lower side to allow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formwork and reinforce the concrete by relying on the pre-assembled reinforcing bar frame, the use of a temporary material such as copper bar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by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here after the formwork installation This can minimize the process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reduc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amen-lik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installation spacing of the temporary copper ba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ormwork was normally installed in two rows of 60 cm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It is enough to install copper spools, which minimizes the use of temporary materials.

한편,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시공 방식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공장 등에서 미리 선조립 제작된 컬럼바 프레임(100)과 빔바 프레임(200)은 적절한 길이(약 3m 내외)의 단위 조립체 형태로 현장에 반입되어 현장에서 중장비의 도움없이 주로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방식에 의해 조립 시공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bar frame 100 and the beam bar frame 200 pre-fabricated in the factory as described above are brought into the field in the form of unit assembly of the appropriate length (about 3m or so) It is assembled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mainly by the worker's personnel without the help of heavy equipment in the field.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있어 상기와 같은 빔바 프레임(200)을 컬럼바 프레임(100)에 조립 연결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코너 수직내력부(10a, 10b)와 상단 수평내력부(20) 및 중간 수직내력부(10c)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컬럼바 프레임(100)을 경계벽체의 수평 방향 단부측에 세워 설치한 다음, 이와 같이 설치된 컬럼바 프레임(100)에 빔바 프레임(200)의 양 단부를 고정하여 수평으로 설치 시공한다. 4 and 5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form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beam bar frame 200 to the column bar frame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corner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s 10a and 10b, the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portion 20 and the middle vertical load bearing portion 10c, the column bar frame 100 is firs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end side of the boundary wall. Next, both ends of the beam bar frame 200 are fixed to the column bar frame 100 installed in this way and installed horizontally.

상기와 같은 컬럼바 프레임(100)과 빔바 프레임의 조립 시공 방식은 도4 및 도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선설치된 컬럼바 프레임(100)의 상단부 측면에 빔바 프레임(200)의 단부를 삽입하여 컬럼바 프레임(100)의 수직 주근(110) 및 직사각형 테두리 바(120)의 단면 내측으로 일정 길이 침투하여 삽입되도록 조립 설치한다. 이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결속선이나 태그 용접 등으로 임시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특별한 추가의 보강 조치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공 방식에 따르면, 3m 내외의 짧은 길이로 모듈화 제작된 빔바 프레임(200)을 작업자 1인 또는 2인이 직접 들어올려 매우 간편한 단순 작업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는바 작업 공수를 줄이면서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ssembly method of the column bar frame 100 and the beam bar fram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4 and 5, by inserting the end of the beam bar frame 200 to th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ar frame 100 pre-installed column Assembled and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main bar 110 and the rectangular border bar 120 of the bar frame 100. In this way, if the concrete is temporarily fixed after binding lines or tag welding in the assembled state, structurally stable coupling can be achieved without any additional reinforcement measur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of the beam bar frame 200 modularized to a short length of about 3m by one or two workers directly lift the construction is made by a very simple simple operation work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while reducing.

한편, 상기와 같은 빔바 프레임(200)의 이음은 도4 및 도5와 같이 기둥단면 내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 필요하면 도7과 같은 방식으로 빔바 프레임(200)을 연속으로 이음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7의 (a)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연결형 빔바 프레임(200)의 경우 끝단부의 경사 스터럽을 구성함에 있어 '>'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철근을 사용한 조인트 스터럽(240)으로 구성하며, 상기와 같은 조인트 스터럽(240)의 중간 절곡 꼭지점 부위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연결 강판(245)을 대고 여기에 상기 조인트 스터럽(240)을 용접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전단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인트 스터럽(240)에 의한 연결에 더하여 상하 수평 주근(210)끼리는 별도의 커플러(212)를 사용하여 이음 연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joint of the beam bar frame 200 as described above is in principle in the columnar cross-sec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but if necessary, if the beam bar frame 200 is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manner as shown in FIG. Can also be used. That is, referring to Figure 7 (a),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type beam bar frame 200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joint stub 240 using a reinforcing bar bent in a '>' shape in configuring the inclined stirrup of the end,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steel plate 245 cut to an appropriate size to the middle bending vertex portion of the joint stub 240 as described above, the joint stub 240 is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hear connection can be made.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by the joint stub 240,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heads 210 can be jointed using a separate coupler 212.

또한, 도7의 (b)는 상기한 빔바 프레임(200)을 이음 연결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7의 (b)에서와 같이 '>'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조인트 스터럽(240)의 중간 절곡 꼭지점 부위는 둥글게 벤딩하여 된 아이홀(242)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빔바 프레임의 아이홀(240')끼리 겹쳐 전체적으로 'X'자와 같이 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홀(242)에 볼트(243)를 체결함으로써 이음 연결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Figure 7 (b) shows another example of connecting the beam bar frame 20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7 (b) of the joint stirrup bent in a '>' shape as shown in (b) The intermediate bending vertex portion forms an eye hole 242 that is bent roundly, and overlaps the eye holes 240 ′ of adjacent beam bar frames with bolts on the eye holes 242 in a state of becoming “X” overall.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joint by tightening 243).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축 구조 시스템은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타운하우스 등 단위 평면 크기가 약 3 × 6m 내외에 불과한 원룸 구조형 다층 건축물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중대형 아파트 건축물 등에도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중고층 아파트 건물의 경우 저층부는 상부 하중에 의해 상당한 구조 내력이 필요하므로 내력벽 시스템과 함께 필요한 경우 기둥, 보 등이 추가로 시공되지만, 고층부의 경우 상부 하중이 그다지 크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저층부와 같은 구조 시스템을 통일적으로 적용할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구조 내력이 필요한 저층부의 경우에는 기존의 내력벽 및 기둥/보 시스템을 적용하고, 상층부 구조물의 구축에 있어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조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전체적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하고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합리적인 설계 및 시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struction structu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one-room structure-type multi-story building with a unit plane size of about 3 × 6m, such as urban living houses or townhouses.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eferably employed in existing medium and large apartment buildings. In the case of middle and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the lower part requires considerable structural strength due to the upper load, so columns, beams, etc. are additionally constructed if necessary along with the bearing wall system. It does not need to be applied uniforml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low-floor part requiring high structural strength, the existing load-bearing wall and the column / beam system are applied, 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part structure, if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It is expected to be very reasonable design and construction possible.

1 : 경계벽체 2 : 슬래브
10a, 10b : 코너 수직내력부 10c : 중간 벽컬럼부
20 : 상단 수평내력부 30 : 비내력벽부
100 : 컬럼바 프레임 200 : 빔바 프레임
110 : 수직 주근 120 : 테두리 바
210 : 수평 주근 220 : 수직 스터럽
225 : 타이바 228 : 커플러
230 : 래티스 스터럽 240 : 조인트 스터럽
245 : 연결판
1: boundary wall 2: slab
10a, 10b: Corner vertical strength part 10c: middle wall column part
20: upper horizontal bearing portion 30: non-bearing wall portion
100: column bar frame 200: beam bar frame
110: vertical freckles 120: border bars
210: horizontal freck 220: vertical stirrup
225: tie bar 228: coupler
230: lattice stirrup 240: joint stirrup
245: connecting plate

Claims (9)

통상적으로 내력벽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며 다수개의 소규모 단위 세대공간이 평면상 연속하여 구축되는 다층 건축물의 구조에 있어서,
단위 세대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벽체의 좌우 양 측면 끝단부로부터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직 주근과 이를 둘러싸는 테두리 바에 의해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컬럼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너 수직내력부;
상기 양측 코너 수직내력부의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경계벽체의 상단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평 주근과 스터럽에 의해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빔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단 수평내력부;
상기 양측 코너 수직내력부의 사이와 상단 수평내력부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전체적인 벽체를 완성하는 중앙 비내력벽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너 수직내력부와 상단 수평내력부 및 중앙 비내력부의 두께는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급격한 돌출 부위 없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평면 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In a structure of a multi-layered building in which load is generally supported by a bearing wall and a plurality of small unit generation space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plan,
A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 formed in a partial region from left and right side end portions of the boundary wall partitioning the unit generation space, and including a column bar frame prefabricated into the unit assembly by a vertical main rod and an edge bar surrounding the unit wall;
An upper horizontal load bearing unit having a beam bar frame pre-fabricated into a unit assembly by horizontal lateral roots and a stub and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boundary wall body horizontally arranged at an upper end of the two corner vertical bearing units;
A central non-bearing wall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wo corner vertical bearing portions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ortion to complete the entire wall; And,
The corner vertical bearing portion, the upper horizontal bearing portion and the central non-bearing portion have the same thickness, so that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 type multi-stor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a single flat wall as a whole without a sudden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바 프레임은 그 측면 단부가 상기 컬럼바 프레임의 테두리 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침투하여 삽입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 type multi-story build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m bar frame is assembled and installed with its side end penetrated and inserted into the edge bar of the column bar frame for a predetermined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바 프레임은, 그 길이 방향이 코너 수직내력부에 연결되는 경계벽체의 진행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직사각형 테두리 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 바는 서로 평면상 일부 중첩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lumn bar frame,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ctangular border bars are install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undary wall connected to the corner vertical strength portion, the plurality of edge bars are planar portion of each other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 type multi-story building, which is assembled to overl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코너 수직내력부 사이에는, 상기 중앙 비내력벽부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수직 주근과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 바에 의해 단위 조립체로 선제작된 컬럼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중간 수직내력부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two corners of the vertical strength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non-bearing wall portion is made of the same thickness therein includes a column bar frame pre-fabricated as a unit assembly by a vertical bar and a rectangular edge bar in the interior;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type multi-stor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perpendicular strength portion is further form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바 프레임의 스터럽은 상기 상부 수평주근과 하부 수평주근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스터럽과 경사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 래티스 스터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스터럽은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로 된 U형 스터럽을 상기 상부 수평주근과 하부 수평주근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하고 상기 U형 스터럽의 개방된 단부측에 타이바를 체결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The stirrup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tirrup of the beam bar frame includes a vertical stirrup vertically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root and the lower horizontal root and an inclined lattice stirrup connecting in an oblique direction,
The vertical stirrup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and lower horizontal roots of the U-shaped stirrup of the 'U' shape, the one side is open as a whole and fastened by fastening the tie bar to the open end side of the U-shaped stub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mall unit space-type multi-stor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형 스터럽은 개방된 부위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타이바를 하부에 연결한 뒤 커플러를 체결하여 설치되며, 상기 타이바 고정용 커플러는 하부측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볼트공에 거푸집을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According to claim 5, The U-shaped stub is installed so that the open portion facing downwards and connecting the tie bar to the bottom and is installed by fastening the coupler, The tie bar fixing coupler is formed with a bolt hole on the lower side The small structure of the unit space-type multi-stor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o be installed by fixing the formwork to the bolt bol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바 프레임의 끝단부에는 >자형 철근으로 된 조인트 스터럽이 구비되고, 상기 빔바 어셈블리와 인접 빔바 어셈블리와의 이음 연결은 중간에 연결강판을 매개하여 상기 조인트 스터럽을 상기 연결강판의 양측에 접합함으로써 이음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nd of the beam bar frame is provided with a joint stub made of> -shaped reinforcing bar, and the joint connection between the beam bar assembly and the adjacent beam bar assembly is intermediate the connecting steel plate. And joining the joint stirrups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steel sheet so that a joint connection is ma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바 프레임의 끝단부에는 >자형 철근의 절곡 꼭지점 부위를 둥글게 벤딩하여 된 아이홀을 갖는 조인트 스터럽이 구비되고, 상기 빔바 어셈블리와 인접 빔바 어셈블리와의 연결은 상기 조인트 스터럽의 아이홀끼리 겹친 상태에서 상기 아이홀에 볼트를 체결하여 연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nd of the beam bar frame is provided with a joint stub having an eye hole formed by roundly bending a bending vertex portion of a> -shaped rebar, the beam bar assembly and the adjacent beam bar assembly The structure of the small-scale unit space-type multi-stor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the eye joints of the joint stub overlapping the eye holes by fastening bolts.
다수개의 단위 세대공간이 평면상 연속하여 구축되고 다수 층으로 구축 시공되는 건축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층 중 하부층 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조의 내력벽에 의해 상부 하중이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층의 상부에 시공되는 상부층 구조물은 제1항에 기재된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에 의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In a structure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generation space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plane and constructed in multiple floors,
A lower layer structure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is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load is supported by the bearing wall of the reinforced concrete tank;
The upper floor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aid lower floor is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mall unit space type multilayer building of Claim 1,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multilayer building.
KR1020100027384A 2010-03-26 2010-03-26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KR101204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84A KR101204767B1 (en) 2010-03-26 2010-03-26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84A KR101204767B1 (en) 2010-03-26 2010-03-26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85A true KR20110108085A (en) 2011-10-05
KR101204767B1 KR101204767B1 (en) 2012-11-27

Family

ID=4521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84A KR101204767B1 (en) 2010-03-26 2010-03-26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6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638B1 (en) * 2011-07-26 2013-04-01 삼성물산 주식회사 Complex Frame System for Build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8867938A (en) * 2018-09-04 2018-11-23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A kind of wall beam unit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ed-type house system
CN108867856A (en) * 2018-09-04 2018-11-23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A kind of vertical supporting member of T font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type steel structure
CN111902592A (en) * 2018-04-03 2020-11-06 朴大隆 Duplex apartment design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interlayer noise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744B2 (en) 1998-11-26 2000-07-17 三井建設株式会社 housing complex
JP2001032366A (en) 1999-07-23 2001-02-06 Shimokobe Kenchiku Sekkei Jimusho:Kk Multi-layer concrete house having no resistant beam or column
JP5004434B2 (en) 2005-04-27 2012-08-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Steel house
JP5288703B2 (en) 2006-12-13 2013-09-11 株式会社アールシーコア Building design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638B1 (en) * 2011-07-26 2013-04-01 삼성물산 주식회사 Complex Frame System for Build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1902592A (en) * 2018-04-03 2020-11-06 朴大隆 Duplex apartment design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interlayer noise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CN108867938A (en) * 2018-09-04 2018-11-23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A kind of wall beam unit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ed-type house system
CN108867856A (en) * 2018-09-04 2018-11-23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A kind of vertical supporting member of T font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type stee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767B1 (en)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3428B2 (en) Sequence for constructing a building from prefabricated components
JP5643205B2 (en) Unit building system
US6298617B1 (en) High rise building system using steel wall panels
EP1971727B1 (en) Construction of buildings
US7856786B2 (en) Wall and floor construction arrangements and methods
US8225578B2 (en) Flexible interlocking mortarless wall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US3712008A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JP2007529660A (en) Transportable modula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Z20003911A3 (en)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KR10138920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sidential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and modular unit
JPH10131516A (en) Reinforcing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CN207794290U (en) A kind of multilayer light gauge cold-formed steel shape-concrete composite structure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101204767B1 (en) Structural System for One-Room Type Multi-Story Building
JP4520242B2 (en) Frame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CN212453083U (en) Detachable assembly type composite building
RU2385998C1 (en) Wall
KR101266215B1 (en)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of Staggered wall system with central hall
RU2197578C2 (en) Structural system of multistory building and process of its erection ( variants )
US20210032855A1 (en) Construction System
JPS6314937A (en) Reinforcing bar composite pillar
CN108166612A (en) A kind of multilayer light gauge cold-formed steel shape-concrete composite structure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CN115142553B (en) Multi-layer assembled concrete slab type structure hous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7432273B1 (en) Hous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using structure
CN218933503U (en) Prefabricated outer wall structure system
JP2012202051A (en) Mixed structure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