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270A - 노트커버 - Google Patents

노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270A
KR20110107270A KR1020110008305A KR20110008305A KR20110107270A KR 20110107270 A KR20110107270 A KR 20110107270A KR 1020110008305 A KR1020110008305 A KR 1020110008305A KR 20110008305 A KR20110008305 A KR 20110008305A KR 20110107270 A KR20110107270 A KR 20110107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note
pocket
base
not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코 미야니시
Original Assignee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과제] 노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쾌적한 사용감을 줄 수 있는 노트커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복수의 표지(5, 6, 7)를 연설시켜 이루어지는 노트커버(1)로서, 적어도 한쪽의 측단에 위치하는 표지(7)에 노트의 표지(7)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노트 유지용 포켓(72)을 구비하고, 이 노트 유지용 포켓(72)이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노트커버{NOTE COVER}
본 발명은 학습이나 비즈니스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노트커버로서, 겉표지(front cover)와, 이 겉표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連設)된 뒷표지(back cov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겉표지 및 뒷표지는 그 내면 측에 노트 유지용 포켓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포켓에 노트의 표지를 찔러넣어 이용된다. 즉, 이 노트커버에 의해서, 1권의 노트의 표지를 보호하거나 2종류의 노트를 겉표지와 뒷표지에 보유지지시켜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하거나 하는 등 여러 가지 사용구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노트커버는 주로 무선철(無線綴) 노트를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포켓은 각각 안쪽으로 개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노트커버에, 표지 사이에 복수의 중간 종이를 링철 도구에 의해 철한 링노트를 보유지지시킨 경우, 링노트가 구비되어 있는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링노트는 무선철 노트와 같이 펼친 상태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접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링노트의 표지를 안쪽 방향으로 개방한 포켓에 찔러넣으면, 접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어떠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링노트의 표지를 안쪽 방향으로 개방한 포켓에 찔러넣어 접은 상태로 하면, 표면으로 표출(表出)하는 중간 종이와 이면으로 표출하는 중간 종이와의 사이에 링노트의 두께와, 노트커버의 겉표지 및 뒷표지의 두께가 겹치게 된다. 한편, 링철 도구는, 통상, 링노트 자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링노트와 노트커버의 표지가 겹친 두께에 의해서, 중간 종이가 표지로부터 들떠 부적당하게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되어 버려, 사용자가 링노트를 사용할 때에 위화감을 느낀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커버노트 <SYSTEMIC>", 고쿠요 종합 카탈로그 2010년판 스테이셔너리(stationery)편,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평성21년 12월, p.74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억제 또는 해소하여, 노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쾌적한 사용감을 줄 수 있는 노트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노트커버는 복수의 표지를 연설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적어도 한쪽의 측단에 위치하는 표지에 노트의 표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노트 유지용 포켓을 구비하고, 이 노트 유지용 포켓이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것으로 하면, 외측으로 개방시킨 노트 유지용 포켓에 노트의 표지를 보유지지시키는 것에 의해서, 노트커버의 측단에 펼친 상태로 했을 때의 노트의 중앙부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노트를 펼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접은 상태로 사용할 때에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접은 상태로 사용할 때의 노트의 중간 종이 사이에는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을 구비하는 표지만이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노트의 중간 종이 사이에 끼워지는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노트 유지용 포켓」이란, 노트의 표지를 보유지지하는 것만이 아니라, 노트의 중간 종이를 보유지지하는 것이나, 노트의 표지 및 중간 종이의 양쪽 을 보유지지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 「펼친 상태」란, 노트를 대략 180도 개방한 상태를 말하며, 「접은 상태」란, 노트를 대략 360도 개방한 상태를 말한다.
이 노트커버의 구체적인 한 형태로서는, 상기 복수의 표지가 겉표지와, 이 겉표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된 뒷표지와, 상기 겉표지 및 뒷표지 중 적어도 한쪽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된 절입(折入)표지로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이 상기 절입표지에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마련된 것을 들 수 있다. 즉, 노트커버의 일측단 측에 절입표지를 배치하는 경우와, 노트커버의 양측단 측에 절입표지를 배치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노트커버의 일단 측에 절입표지를 배치하는 경우로서는, 상기 절입표지가 상기 겉표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시킨 것인 경우와, 상기 뒷표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된 것인 경우가 있다. 한편 노트커버의 양측단 측에 절입표지를 마련하는 경우로서는, 상기 겉표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된 절입표지와, 상기 뒷표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된 절입표지를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의 바람직한 한 형태로서는, 표지 사이에 복수의 중간 종이를 링철 도구에 의해 철한 링노트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것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입표지는 상기 링철 도구의 링 지름 치수보다도 작은 두께 치수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입표지의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면에 포켓 시트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입표지의 제조를 비교적 용이하게 행하는 데에는, 절입표지가 한 장의 수지제 시트 소재의 상하 양단부를 되접음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시트 소재가 되접힌 부분을 상기 포켓 시트로 하고, 상기 시트 소재의 중간 부분을 상기 베이스 시트로 하면 된다.
상기 겉표지 및 뒷표지가 외측의 베이스 생지(生地)와 내측의 베이스 생지와의 사이에 심재(芯材)를 개재시킨 기본 구조를 구비한 것인 경우의 바람직한 한 종류로서는, 상기 겉표지 또는 뒷표지와 절입표지를 잇기 위한 이음부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이음 생지의 측단 가장자리에 상기 절입표지의 기단 가장자리를 꿰매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입표지는 그 측단부에 서표(書標)끈을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에 찔러넣어 펼친 상태의 노트의 중앙이 측단부에 배치되므로, 이 서표끈을 노트의 중앙부에 끼울 수 있다.
복수의 노트를 보유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측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을 구비하고 있는 표지 이외의 표지에 안쪽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쾌적한 사용감을 줄 수 있는 노트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노트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동일한 실시형태의 절입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노트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노트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동일한 실시형태의 노트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커버(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표지(5, 6, 7)를 연설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적어도 한쪽의 측단에 위치하는 표지인 절입표지(7)에 링노트(R)의 표지(R2)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노트 유지용 포켓(72)을 구비하고, 이 노트 유지용 포켓(72)이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이 노트커버(1)는 상기 복수의 표지로서, 겉표지(5)와, 이 겉표지(5)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이음부(21)를 통하여 연설된 뒷표지(6)와, 상기 뒷표지(6)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이음부(22)를 통하여 연설된 절입표지(7)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이 상기 절입표지(7)에 외측으로 개방시켜 마련된 것이다. 또, 상기 외측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72)을 구비하고 있는 절입표지(7) 이외의 표지, 즉, 겉표지(5) 및 뒷표지(6)에는 안쪽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52, 62)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1은 겉표지(5), 뒷표지(6) 및 절입표지(7)를 모두 전개(全開)한 상태에서 외면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2는 같은 전개한 상태에서 내면 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절입표지(7)를 도중까지 일으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겉표지(5)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51)와, 이 베이스(51)의 내면에 마련된 노트 유지용 포켓(52)과, 상기 베이스(51)의 외측에 마련된 수납용 포켓(53)을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51)는 외측의 베이스 생지(54)와 내측의 베이스 생지(55)와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심재를 끼워넣어 이루어지는 판 모양인 것이다.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5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1)의 내면에 상하의 포켓 시트(56, 57)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주머니 모양인 것이며, 안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위의 포켓 시트(56)의 상부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및 아래의 포켓 시트(57)의 외측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51)의 둘레 가장자리에 봉제실(8)을 이용하여 꿰매어져 있다. 상하의 포켓 시트(56, 57)의 내측 가장자리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개방되어 있으며, 이 내측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무선철 노트(N)의 표지(N1)를 찔러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무선철 노트(N)를 겉표지(5)의 노트 유지용 포켓(5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납용 포켓(5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51)의 외면에 수납용 포켓 생지(58)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주머니 모양인 것으로,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수납용 포켓 생지(58)도 상기 베이스(51)의 둘레 가장자리에 상기 봉제실(8)을 이용하여 꿰매져 있다.
상기 뒷표지(6)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61)와, 이 베이스(61)의 내면에 마련된 노트 유지용 포켓(62)과, 상기 베이스(61)의 외측에 마련된 수납용 포켓(63)을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61)는 외측의 베이스 생지(64)와 내측의 베이스 생지(65)와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심재를 끼워넣어 이루어지는 판 모양인 것이다.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6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61)의 내면에 상하의 포켓 시트(66, 67)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주머니 모양의 것으로, 안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위쪽의 포켓 시트(66)의 상부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및 아래쪽의 포켓 시트(67)의 외측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61)의 둘레 가장자리에 봉제실(8)을 이용하여 꿰매져 있다. 상하의 포켓 시트(66, 67)의 내측 가장자리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개방되어 있으며, 이 내측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무선철 노트(N)의 표지(N1)를 찔러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납용 포켓(6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61)의 외면에 수납용 포켓 생지(68)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주머니 모양인 것으로,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수납용 포켓 생지(68)도 상기 베이스(61)의 둘레 가장자리에 상기 봉제실(8)을 이용하여 꿰매져 있다.
상기 절입표지(7)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71)와, 이 베이스(71)의 내면에 마련된 노트 유지용 포켓(72)을 구비한 것이다. 즉, 이 절입표지(7)는 베이스(71)와, 이 베이스(71)의 일면에 마련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71)는 베이스 시트(73)를 주체(主體)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시트(73)의 일면에 포켓 시트(74, 75)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즉, 이 절입표지(7)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수지제 시트 소재(S)의 상하 양단부를 되접음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시트 소재(S)를 되접은 되접기 부분(S1)을 상기 포켓 시트(74, 75)로 하고, 상기 시트 소재(S)의 중간 부분(S2)을 상기 베이스 시트(73)로 하고 있다. 이 노트 유지용 포켓(72)은 상기 베이스(71)의 내면에 상하의 포켓 시트(74, 75)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주머니 모양인 것으로,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포켓 시트(74, 75)의 내측 가장자리와 베이스 시트(73)의 내측 가장자리는 봉제실(8)을 이용하여 꿰매져 있다. 또, 상하의 포켓 시트(74, 75)의 외측 가장자리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 외측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링노트(R)의 표지(R2) 등을 찔러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노트 유지용 포켓(72)은 표지(R1, R2) 사이에 복수의 중간 종이(R3)를 링철 도구(R4)에 의해 철한 링노트(R)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링노트(R)를 절입표지(7)의 노트 유지용 포켓(72)에 장착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 및 도 6은 같은 링노트(R)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은 상기 절입표지(7)를 상기 겉표지(5)와 뒷표지(6)와의 사이에 끼워넣어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동일한 도면 중, 4는 절입표지(7)를 수용한 상태에서 겉표지(5) 및 뒷표지(6)를 철할 수 있는 고무 밴드이다.
또, 이 절입표지(7)는 상기 링철 도구(R4)의 링 지름 치수보다도 작은 두께 치수를 가진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절입표지(7)는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에 장착한 링노트(R)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접은 상태로 한 경우에서도 링노트(R)의 중간 종이(R3)에 부적당한 부풀어 오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두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링노트(R)의 표지(R1, R2) 및 중간 종이(R3)의 두께 치수와, 상기 절입표지(7)의 두께 치수와의 합계 치수가 상기 링철 도구(R4)의 링 지름 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동일한 도면 중, 9는 서표끈이며, 상기 절입표지(7)의 측단부(7a)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음부로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겉표지(5)와 뒷표지(6)를 잇는 제1 이음부(21)와, 상기 뒷표지(6)와 절입표지(7)를 잇는 제2 이음부(22)가 존재한다. 이들 제1 이음부(21) 및 제2 이음부(22)는 각각 상기 베이스 생지(54, 55, 64, 65)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23, 2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의 베이스 생지(54, 64)와 내측의 베이스 생지(55, 65)와의 사이에 심재를 개재시킨 겉표지(5) 및 뒷표지(6)에 대해서, 상기 이음부(21, 22)는 상기 심재를 가지지 않은 부분이다.
상기 제1 이음부(2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겉표지(5)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겉표지(5)의 베이스 생지(54, 55)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2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이음 생지(23)의 측단 가장자리에 상기 뒷표지(6)의 일측 가장자리를 꿰매고 있다. 이 제1 이음부(21)의 이음 생지(23)의 외면은 상기 겉표지(5) 및 뒷표지(6)의 외측의 베이스 생지(54, 6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이음부(21)의 이음 생지(23)의 내면은 상기 겉표지(5) 및 뒷표지(6)의 내측의 베이스 생지(55, 6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1 이음부(21)의 상단부에는 서표끈(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이음부(22)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뒷표지(6)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뒷표지(6)의 베이스 생지(64, 65)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2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이음 생지(24)의 측단 가장자리에 상기 절입표지(7)의 기단 가장자리를 꿰매고 있다. 이 제2 이음부(22)의 이음 생지(24)의 외면은 상기 뒷표지(6)의 외측의 베이스 생지(6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커버(1)는 복수의 표지(5, 6, 7)를 연설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한쪽의 측단에 위치하는 절입표지(7)에 링노트(R)의 표지(R2)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노트 유지용 포켓(72)을 구비하고, 이 노트 유지용 포켓(72)이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에 링노트(R)의 표지(R2)를 보유지지시킴으로써, 노트커버(1)의 측단부, 즉 노트 유지용 포켓(72)이 외측으로 개방시키고 있는 영역에 임하고 있는 절입표지(7)의 측단부(7a)에 펼친 상태로 했을 때의 링노트(R)의 중앙부가 위치한다. 환언하면, 링노트(R)의 링철 도구(R4)가 상기 절입표지(7)의 측단부(7a)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링노트(R)를 되접음 상태로 사용할 때에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커버(1)에 의하면, 되접음 상태로 사용할 때의 링노트(R)의 중간 종이(R3) 사이에는 상기 절입표지(7)가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노트의 중간 종이(R3) 사이에 끼워넣는 두께를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링노트(R)가 구비하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면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절입표지(7)를 뒷표지(6)에 겹치도록 작게 포개 접는 것으로, 링노트(R)를 펼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표지가 겉표지(5)와, 이 겉표지(5)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이음부(21)를 통하여 연설된 뒷표지(6)와, 상기 뒷표지(6)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이음부(22)를 통하여 연설된 절입표지(7)이므로, 상기 제1 이음부(21) 및 제2 이음부(22)를 이용하여, 겉표지(5)와 뒷표지(6) 및 뒷표지(6)와 절입표지(7)를 각각 겹치도록 작게 포개 접을 수 있다.
또, 상기 절입표지(7)는 상기 링철 도구(R4)의 링 지름 치수보다도 작은 두께 치수를 가진 것이므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에 장착한 링노트(R)를 되접음 상태로 한 경우에서도 링노트(R)의 중간 종이(R3)에 부적당한 부풀어 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링노트(R)의 표지(R1) 및 중간 종이(R3)의 두께 치수와, 상기 절입표지(7)의 두께 치수와의 합계 치수가 상기 링철 도구(R4)의 링 지름 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므로, 링노트(R)의 중간 종이(R3)에 부적당한 부풀어 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절입표지(7)가 한 장의 수지제 시트 소재(S)의 상하 양단부를 되접음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절입표지(7)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상하 양단부가 되접히므로, 그 부분을 재차 접착 또는 봉합할 필요가 없어져,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이 절입표지(7)는 기단 측만을 상기 제2 이음부(22)에 꿰매는 것만으로, 상기 뒷표지(6)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 소재(S)의 되접기 부분(S1)을 상기 포켓 시트(74, 75)로 하고, 상기 시트 소재(S)의 중간 부분(S2)을 상기 베이스 시트(73)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위쪽의 포켓 시트(74)와 아래쪽의 포켓 시트(75)와의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76)이 형성되게 된다. 환언하면, 이 슬릿(76)은 상기 절입표지(7)의 외측으로의 개방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베이스 시트(73)와 포켓 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링노트(R)의 표지(R2)를 찔러넣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겉표지(5) 및 뒷표지(6)가 외측의 베이스 생지(54, 64)와 내측의 베이스 생지(55, 65)와의 사이에 심재를 개재시킨 기본 구조를 구비한 것이므로, 심재에 의해서 강도를 확보하면서, 노트커버(1)를 닫은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하는 겉표지(5) 및 뒷표지(6)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절입표지(7)는 수지제의 시트를 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입표지(7)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가급적으로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뒷표지(6)와 절입표지(7)를 잇기 위한 제2 이음부(22)가 상기 베이스 생지(64, 65)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2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이음 생지(24)의 측단 가장자리에 상기 절입표지(7)의 기단 가장자리를 꿰매고 있으므로, 수지제의 시트 소재(S)로 형성된 절입표지(7)를 용이하게 뒷표지(6)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제2 이음부(22)는 심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로 이음 생지(2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변형시키기 쉽다. 이 때문에, 절입표지(7)를 뒷표지(6) 측에 용이하게 겹치도록 포개 넣을 수 있어, 이와 같은 포개 넣음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는 것에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입표지(7)는 상기 겉표지(5)와 뒷표지(6)와의 사이에 끼워넣어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절입표지(7)는 상기 겉표지(5)와 뒷표지(6)와의 사이에 끼워넣어 수용할 수 있도록 겉표지(5), 뒷표지(6) 및 절입표지(7), 및 제1 이음부(21) 및 제2 이음부(22)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노트 커버(1)를 닫은 상태로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절입표지(7)가 그 측단부(7a)에 서표끈(9)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링노트(R)의 표지(R2)를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에 찔러넣었을 때에, 링노트(R)의 링철 도구(R4)가 절입표지(7)의 측단부(7a)에 위치하는 것과 더불어, 서표끈(9)을 링노트(R)의 중앙부에 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72)을 구비하고 있는 절입표지(7) 이외의 표지인 겉표지(5) 및 뒷표지(6)에 안쪽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52, 62)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안쪽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52, 62)에는 무선철 노트(N)를 보유지지시키고, 외측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72)에는 링노트(R)를 보유지지시킴으로써, 복수 종류의 노트(N, R)를 한 번에 보유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안쪽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52, 62)은, 노트 외에, 자료나 명함 등을 끼워넣는 것도 가능하다.
또, 겉표지(5) 및 뒷표지(6)는 수납용 포켓(53, 63)을 가지고 있으므로, 펜 등의 필기구나 부전(附箋) 등, 노트와 함께 이용하는 빈도가 높은 소품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커버(1)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겉표지(5), 뒷표지(6) 및 양측의 절입표지(7, 7)를 모두 전개한 상태로 외면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10은 같은 전개한 상태로 내면 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이 노트커버(1)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표지로서, 겉표지(5)와, 이 겉표지(5)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이음부(21)를 통하여 연설된 뒷표지(6)와, 상기 겉표지(5) 및 뒷표지(6)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2 이음부(22) 및 제3 이음부(25)를 통하여 연설된 절입표지(7, 7)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72)이 상기 절입표지(7, 7)에 각각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마련된 것이다. 즉, 상기 이음부로서, 상기 제1 이음부(21) 및 제2 이음부(22) 외에 상기 겉표지(5)와 절입표지(7)를 잇는 제3 이음부(25)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1 이음부(21), 제2 이음부(22) 및 제3 이음부(25)는 각각 상기 베이스 생지(54, 55, 64, 65)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23, 24, 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이음부(21), 제2 이음부(22) 및 제3 이음부(25)는 상기 심재를 가지지 않는 부분이다.
제3 이음부(25)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겉표지(5)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겉표지(5)의 베이스 생지(54, 55)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이음 생지(26)의 측단 가장자리에 상기 절입표지(7)의 기단 가장자리를 꿰매고 있다. 이 제3 이음부(25)의 이음 생지(26)의 외면은 상기 겉표지(5)의 외측의 베이스 생지(5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것이면, 양측의 절입표지(7, 7)에 링노트(R)를 각각 보유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겉표지(5) 및 뒷표지(6)의 노트 유지용 포켓(52, 62)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한 장의 포켓 시트(59, 69)로 형성된 이른바 홀더 타입인 것이다. 이 노트 유지용 포켓(52, 62)은 상기 베이스(51, 61)의 내면에 포켓 시트(59, 69)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홀더 모양인 것으로, 안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포켓 시트(59, 69)의 외측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51, 61)의 둘레 가장자리에 봉제실(8)을 이용하여 꿰매져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커버(1)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겉표지(5), 뒷표지(6) 및 절입표지(7)를 모두 전개한 상태로 외면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12는 같은 전개한 상태로 내면 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이 노트커버(1)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노트 유지용 포켓(62, 72)의 형상이 다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뒷표지(6)의 노트 유지용 포켓(62)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포켓 시트(69)로 형성된 이른바 홀더 타입인 것이다. 이 노트 유지용 포켓(62)은 상기 베이스(61)의 내면에 포켓 시트(69)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홀더 모양인 것으로, 안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포켓 시트(69)의 외측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61)의 둘레 가장자리에 봉제실(8)을 이용하여 꿰매져 있다.
또, 절입표지(7)의 노트 유지용 포켓(72)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의 포켓 시트(74)와 아래쪽의 포켓 시트(75)와의 되접음 폭을 다르게 하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노트 유지용 포켓(72)의 위쪽의 포켓 시트(74)의 되접음 양은 아래쪽의 포켓 시트(75)의 되접음 양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위쪽의 포켓 시트(74) 및 아래쪽의 포켓 시트(75)에 의해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76)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노트커버(1)의 슬릿에 비해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것으로 하면, 상기 절입표지(7)에 링노트(R) 등을 보유지지시킬 수도 있는 것 외에, 예를 들면, 용지의 상단 측을 철하여 이루어지는 리포트 용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유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절입표지에 찔러넣는 노트의 종류는 링노트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무선철 노트, 리포트 용지, 메모장 등이라도 된다. 그렇지만, 링노트로 하면, 링노트가 구비하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절입표지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포켓 시트의 크기 및 형상은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켓 시트는 상하로 분할된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한 장의 포켓 시트로 외측 및 위쪽으로 개방된 것이나, 외측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것이어도 된다. 위쪽의 포켓 시트와 아래쪽의 포켓 시트와의 사이의 슬릿의 크기도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또, 외측으로의 개방의 형태로서는,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표지의 측단이 개방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절입표시의 측단이 개방되어 있지 않아도 외측으로 개방하는 슬릿 모양의 개구부를 가지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또, 겉표지 또는 뒷표지만으로 이루어지는 노트커버의 경우에는, 겉표지 및 뒷표지 중 적어도 한쪽에 외측으로 개방하는 노트 유지용 포켓을 마련하면 된다.
또한, 겉표지, 뒷표지 및 절입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측으로 개방하는 노트 유지용 포켓을 마련함과 아울러, 안쪽으로 개방하는 노트 유지용 포켓을 마련한 것이라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해도 된다.
11 … 노트커버 21, 22, 25 … 이음부
23, 24, 26 … 이음 생지 5 … 겉표지(표지)
52, 62, 72 … 노트 유지용 포켓 54, 64 … 외측의 베이스 생지
55, 65 … 안쪽의 베이스 생지 6 … 뒷표지(표지)
7 … 절입표지(표지) 71 … 베이스
73 … 베이스 시트 74, 75 … 포켓 시트
9 … 서표끈 S … 시트 소재
S1 … 되접기 부분 S2 … 중간 부분
R … 링노트 R1, R2 … 표지
R3 … 중간 종이 R4 … 링철 도구

Claims (11)

  1. 복수의 표지를 연설(連設)시켜 이루어지는 노트커버로서,
    적어도 한쪽의 측단에 위치하는 표지에 노트의 표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노트 유지용 포켓을 구비하고,
    이 노트 유지용 포켓이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지가 겉표지와, 이 겉표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된 뒷표지와, 상기 겉표지 및 뒷표지 중 적어도 한쪽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통하여 연설된 절입표지이며,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이 상기 절입표지에 외측으로 개방시켜서 마련된 것인 노트커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이 표지 사이에 복수의 중간 종이를 링철 도구에 의해 철한 링노트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것인 노트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입표지가 상기 링철 도구의 링 지름 치수보다도 작은 두께 치수를 가진 것인 노트커버.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표지가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일면에 마련한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노트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베이스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트 유지용 포켓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면에 포켓 시트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것인 노트커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입표지가 한 장의 수지제 시트 소재의 상하 양단부를 되접음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시트 소재가 되접힌 되접기 부분을 상기 포켓 시트로 하고, 상기 시트 소재의 중간 부분을 상기 베이스 시트로 하고 있는 노트커버.
  8. 청구항 2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 및 뒷표지가 외측의 베이스 생지와 내측의 베이스 생지와의 사이에 심재(芯材)를 개재시킨 기본 구조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겉표지 또는 뒷표지와 절입표지를 잇기 위한 이음부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연속하는 이음 생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이음 생지의 측단 가장자리에 상기 절입표지의 기단 가장자리를 꿰매고 있는 노트커버.
  9. 청구항 2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표지가 상기 겉표지와 뒷표지와의 사이에 끼워넣어 수용할 수 있는 것인 노트커버.
  10. 청구항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표지가 그 측단부에 서표끈을 구비하고 있는 노트커버.
  11. 청구항 2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을 구비하고 있는 표지 이외의 표지에 안쪽으로 개방된 노트 유지용 포켓을 마련하고 있는 노트커버.
KR1020110008305A 2010-03-24 2011-01-27 노트커버 KR201101072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8626A JP2011201071A (ja) 2010-03-24 2010-03-24 ノートカバー
JPJP-P-2010-068626 2010-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270A true KR20110107270A (ko) 2011-09-30

Family

ID=4465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305A KR20110107270A (ko) 2010-03-24 2011-01-27 노트커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201071A (ko)
KR (1) KR20110107270A (ko)
CN (1) CN102198772A (ko)
TW (1) TW2011440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588A1 (ko) * 2013-04-15 2014-10-23 Park Kyoungsook 복수의 속지를 끼울 수 있는 노트커버
US20150314627A1 (en) * 2014-05-02 2015-11-05 Agustin M. Latosquin, III Notepad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876B1 (ko) * 2015-07-23 2017-06-02 박경숙 속지의 교체가 가능한 시스템노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1315U (ko) * 1975-04-10 1976-10-22
US4314635A (en) * 1980-08-29 1982-02-09 Falconer Security Printers Checking account check and check book order-taking portfolio
JPS6222865U (ko) * 1985-07-25 1987-02-12
CN2145109Y (zh) * 1992-06-22 1993-11-03 赵景林 万次书写练习册
JP2540988Y2 (ja) * 1992-11-13 1997-07-09 山本化成株式会社 パスポートカバー
JPH075769U (ja) * 1993-07-07 1995-01-27 サンエックス株式会社 組み合わせフアイル
CN2702854Y (zh) * 2004-04-05 2005-06-01 郏岩斌 名片记事本
CN2782399Y (zh) * 2005-04-07 2006-05-24 李惠瑛 可装资料册的资料夹
CN2902724Y (zh) * 2006-05-24 2007-05-23 周芝瑛 多功能数据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588A1 (ko) * 2013-04-15 2014-10-23 Park Kyoungsook 복수의 속지를 끼울 수 있는 노트커버
US20150314627A1 (en) * 2014-05-02 2015-11-05 Agustin M. Latosquin, III Notepad Cover
US9403398B2 (en) * 2014-05-02 2016-08-02 Agustin M. Latosquin, III Notepad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4092A (en) 2011-12-16
CN102198772A (zh) 2011-09-28
JP2011201071A (ja)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36774A1 (en) Notebook, folio, and divider with pen holder
US7972076B2 (en) Refillable notebook
EP3078502B1 (en) Notebook
KR20110107270A (ko) 노트커버
US5411293A (en) Double cover ring binder
US9902188B2 (en) Multi-pocket folder
US6729790B1 (en) Divider pocket
JP2006507955A (ja) 少なくとも2つのフラップを有する書類分類用ホルダー
US20200171873A1 (en) Edge tabs for notebook
US20180201041A1 (en) Notebook system capable of replacing stacks of one -side-bound inner paper sheets
JP4023551B2 (ja) フォルダーファイル
JP7106064B1 (ja) 手帳
CA2428042A1 (en) Notebook with supplemental bound component
JP3239142U (ja) 簡易書類フォルダー
CN216423894U (zh) 一种资料册
JP3211925U (ja) ノートカバー
KR102248925B1 (ko) 양면 포켓이 형성되는 파일 커버
JP3093321U (ja) ブックカバー
JP3157366U (ja) ファイリング書類
CN114801546A (zh) 封面体和文件夹
KR200326658Y1 (ko) 투명 포켓이 구비된 탁상용 캘린더
KR200432592Y1 (ko) 접이식 다이어리
JP2016193577A (ja) 見出し付きシート及びバインダー
KR100987593B1 (ko) 부착식 메모용지용 수납케이스
KR20180057067A (ko) 다목적 스프링 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