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236A - 인조혈관 - Google Patents

인조혈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236A
KR20110107236A KR1020100026480A KR20100026480A KR20110107236A KR 20110107236 A KR20110107236 A KR 20110107236A KR 1020100026480 A KR1020100026480 A KR 1020100026480A KR 20100026480 A KR20100026480 A KR 20100026480A KR 20110107236 A KR20110107236 A KR 2011010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diameter
vessel member
main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656B1 (ko
Inventor
이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Priority to KR102010002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65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07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for artificial blood vess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혈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은, 측면에 분지혈관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주혈관 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1 주혈관 부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주혈관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분지혈관을 통과하는 혈류를 증가시켜 인조혈관 내의 전체적인 혈류를 용이하게 하고 가성동맥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바, 의료산업 분야에서 혈관 치환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조혈관 {Artificial Blood Vessel}
본 발명은 인조혈관에 관한 것이다.
인조혈관은 생체 내에서 손상된 혈관을 제거하고 혈액의 흐름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인공장기이다. 인조혈관은 체내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직 자극성이 적으며 감염, 염증 및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다공성인 재료로 만들어져 적당한 투과성을 가져야 하며 계속되는 수축 및 팽창에 견디는 탄성과 유연성을 가져야 하고 혈류의 흐름이 원활하여야 하며 혈관 내면에 혈액이 응고되지 않아야 한다.
인조혈관의 생체적합성을 높이고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로 인공혈관용 소재에 관한 기술 또는 인공혈관의 표면에 단백질 또는 다당류 등을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인조혈관 내 혈액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히 주혈관으로부터 분지된 분지혈관을 포함하는 인조혈관에 있어서 분지혈관으로 흐르는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액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혈관 치환술에 있어서 보다 나은 분지혈관의 혈류를 얻고 가성동맥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혈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주혈관 부재;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지혈관 부재; 및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혈관 부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주혈관 부재를 포함하는 인조혈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은, 측면에 분지혈관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주혈관 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1 주혈관 부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주혈관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분지혈관을 통과하는 혈류를 증가시켜 인조혈관 내의 전체적인 혈류를 용이하게 하고 가성동맥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바, 의료산업 분야에서 혈관 치환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제1 주혈관 부재 및 제2 주혈관 부재가 테이퍼부로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의 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2 주혈관 부재가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의 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제1 주혈관 부재 및 제2 주혈관 부재의 연결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의 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 변화에 따른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유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한 인조혈관 모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 는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 변화에 따른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유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제1 주혈관 부재(10);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지혈관 부재(30); 및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100)보다 작은 직경(200)을 가진 제2 주혈관 부재(20)를 포함하는 인조혈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은 유체역학에 근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분지형 혈관의 해부학적인 형상과 유사하게 제조된 것으로서, 측면에 분지혈관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주혈관 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주혈관 부재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혈액이 제1 주혈관을 통과하여 직경이 보다 작은 제2 주혈관으로 흘러감에 있어서 제2 주혈관 부재를 통과하는 혈류량이 감소하게 되고, 제2 주혈관 부재를 통과하는 혈류량의 감소는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된 분지혈관 부재를 통과하는 혈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1 주혈관 부재로 유입되는 총 혈류량은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과 제2 주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의 총합과 같다. 따라서 제2 주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이 많을수록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은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제2 주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이 적을수록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은 늘어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법칙들에 의해서 유체역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심혈관계에서 혈액의 흐름을 혈류라고 하는데, 수학적으로 혈류는 옴의 법칙(Ohm's law)의 유체 등가물로 생각되는 다시의 법칙(Darcy's law) 및 거의 하겐-프와스위의 법칙(Hagen-Poiseuille's law)에 의해 설명된다.
다시의 법칙은 하기 식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유량 Q (시간당 부피의 단위, 예를 들어, cm3/s)는 매질의 투과계수(k 면적 단위, 예를 들어, m2)와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A) 및 유체가 흐르는 두 지점간 압력 차이(Pb - Pa)의 곱을 역학점도 μ (SI 단위에서 예를 들어 kg/(m.s) 또는 Pa.s) 및 유체가 흐르는 길이(L)로 나눈 것과 같다. 즉, 유량 Q 는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A)에 비례함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인조혈관 내 혈류량은 인조혈관의 단면적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하겐--프와스위의 법칙은 하기 식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F 는 혈류, P 는 압력, R 은 저항, υ는 액체 점도, L 은 관의 길이 및 r 은 관의 반경을 의미한다. 즉, 혈류에 대한 저항은 관의 반경의 네제곱에 반비례하며, 따라서 인조혈관의 반경이 줄어들면 이에 대한 혈류의 저항은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법칙들에 의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혈류량은 혈관의 단면적에 비례하고 혈류의 저항성은 혈관 반경에 반비례하므로, 제2 주혈관의 단면적이 작아질수록(직경이 작아질수록) 혈류의 저항성이 증가하며 제2 주혈관을 통과하는 혈류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분지혈관을 통과하는 혈류량이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인조혈관 내의 전체적인 혈액의 흐름이 원활해져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인조혈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인조혈관은, 분지혈관을 통해 혈류량의 일부가 유출되어 나감에도 불구하고 제1 주혈관 및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이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었기 때무에, 제2 주혈관 부재를 통과하여 나가는 혈류의 저항이 작고 혈류량도 상대적으로 많아서 분지혈관을 통해 유출되는 혈류량이 적어 분지혈관을 통한 혈액의 흐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은,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이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제조됨으로써 제2 주혈관 부재를 통과하여 나가는 혈류의 저항성이 크고 혈류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분지혈관을 통해 유출되는 혈류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으로써 분지혈관을 통한 혈액의 흐름이 용이하게 되고, 전체적인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주혈관 부재"란 체내의 주혈관을 대체할 수 있는 관 형상의 인조혈관체를 의미하며, "분지혈관 부재"란 상기 주혈관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분지혈관을 대체할 수 있는 관 형상의 인조혈관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혈관 부재 및 분지혈관 부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거나 비스듬하게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체내 혈관부위의 모양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혈관 부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분지혈관 부재일 수 있으며 또는 주혈관 부재와의 연결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플레어(flare) 형상의 분지혈관 부재일 수도 있다. 인조혈관 내 혈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플레어 형상의 분지혈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 주혈관 부재(10) 및 제2 주혈관 부재(20)는 테이퍼부(25)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직경이 상이한 제1 주혈관 부재 및 제2 주혈관 부재를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테이퍼부를 연결부로 하여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테이퍼부"란 관 형상 부재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2 주혈관 부재는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100)보다 작은 직경(200)을 가진 제2 주혈관 부재는 그 자체가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 부재(2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테이퍼형"이란 관 형상 부재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이루어진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 주혈관 부재(10) 및 제2 주혈관 부재(20)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27)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단차지게 형성된 인조혈관은 단차부에서 혈류가 방해를 받아 혈류에 난류가 생기게 되고 장기적으로 혈전증(thrombosis)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는바, 제1 주혈관 부재 및 제 2 주혈관 부재는 테이퍼부로 연결되거나, 제2 주혈관 부재가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조혈관의 제1 주혈관 부재, 분지혈관 부재 및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하기 수학식 I 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I]
Figure pat00003
이때, R1 은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이고, Rbrn 은 분지혈관 부재의 직경이며, R2 는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이고, m 은 분지혈관의 개수로서 1 내지 10 이다. m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이 적용되는 부위의 분지혈관 개수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10, 1 내지 9, 1 내지 8, 1 내지 7, 1 내지 6, 1 내지 5 또는 1 내지 4 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10을 초과할 수도 있다.
하기 식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제1 주혈관 부재로 유입되는 총 혈류량(Flow1)은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Flowbr)과 제2 주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혈류량(Flow2)의 총합과 같다:
Figure pat00004
여기에서 m 은 분지혈관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혈류량은 인조혈관의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결과적으로 혈류량은 인조혈관의 직경의 제곱에 비례할 것이라는 결론을 바탕으로 수학식 I 을 완성하였다. 상기 수학식 I 은 MRI 또는 CT 를 통해 실제 인간 대동맥의 직경을 측정하여 얻은 측정값에도 상당히 부합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혈관의 구성으로 인해 실제로 분지혈관으로 유출되는 혈류량이 증가함을 보이기 위하여,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 변화에 따른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유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 하나의 분지혈관 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제1 주혈관 부재의 좌측 말단에 제2 주혈관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모형을 제작하였다. 유체로 물을 사용하였으며, 우측에서 제1 주혈관 부재를 통해 물을 유입하여 일부는 측면의 분지혈관 부재를 통해 유출되고 일부는 좌측의 제2 주혈관 부재를 통해 유출되게 하였다.
그 결과, 도 5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주혈관 부재의 반경이 작아질수록 분지혈관 부재로 유출되는 유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인조혈관은 대동맥궁 또는 복부대동맥 치환용 인조혈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동맥궁 치환용 인조혈관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세 개의 분지혈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주혈관 부재는 근위대동맥궁 부위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주혈관 부재는 원위대동맥궁 부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세 개의 분지혈관은 각각 온목동맥 (common carotid artery), 쇄골하동맥 (subciavian artery) 및 무명동맥 (innominate artery)에 해당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25 내지 35 mm 이고,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18 내지 26 mm 이며, 분지혈관부재의 직경은 7 내지 12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30 mm, 온목동맥의 직경이 8 mm, 쇄골하동맥의 직경이 8 mm, 무명동맥의 직경이 11.3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25 mm 일 수 있다.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28 mm, 온목동맥의 직경이 8 mm, 쇄골하동맥의 직경이 8 mm, 무명동맥의 직경이 11.3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23 mm 일 수 있다. 또한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26 mm, 온목동맥의 직경이 8 mm, 쇄골하동맥의 직경이 8 mm, 무명동맥의 직경이 11.3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20.5 mm 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부대동맥 치환용 인조혈관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네 개의 분지혈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주혈관 부재는 근위대동맥궁 부위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주혈관 부재는 원위대동맥궁 부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네 개의 분지혈관은 각각 복강동맥 (celiac artery), 위창자간막동맥 (superior mesenteric artery) 및 좌, 우 신동맥 (renal artery) 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네 개의 분지혈관 부재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복부대동맥 치환용 인조혈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제1 주혈관 부재(10)에 복강동맥(30a), 위창자간막동맥(30b) 및 좌, 우 신동맥(30c, 30d)에 해당하는 분지혈관 부재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말단에는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100)보다 작은 직경(200)을 갖는 제2 주혈관부재(20, 20', 20")가 연결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25 내지 35 mm 이고,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18 내지 26 mm 이며, 분지혈관부재의 직경은 6 내지 10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30 mm, 복강동맥의 직경이 8 mm, 위창자간막동맥의 직경이 8 mm, 좌, 우 신동맥의 직경이 8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25.4 mm 일 수 있다.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28 mm, 복강동맥의 직경이 8 mm, 위창자간막동맥의 직경이 8 mm, 좌, 우 신동맥의 직경이 8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23 mm 일 수 있다.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26 mm, 복강동맥의 직경이 8 mm, 위창자간막동맥의 직경이 8 mm, 좌, 우 신동맥의 직경이 8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20.5 mm 일 수 있다.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30 mm, 복강동맥의 직경이 10 mm, 위창자간막동맥의 직경이 10 mm, 좌, 우 신동맥의 직경이 10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22.4 mm 일 수 있다. 또한 근위대동맥궁의 직경이 28 mm, 복강동맥의 직경이 10 mm, 위창자간막동맥의 직경이 10 mm, 좌, 우 신동맥의 직경이 10 mm 일 때, 원위대동맥궁의 직경은 19.6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인조혈관은 인체에 무해한 생물학적 물질 또는 생체적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생물학적 물질"이란 인간, 소, 돼지 등의 동물로부터 유래된 동물막을 의미하며, "생체적합성 물질"이란 합성 물질로서 혈액 속에서 장기간 그 물성이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지닌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물학적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가심낭막, 동종심낭막, 소심낭막, 돼지의 심장판막, 복막, 흉막 또는 근막일 수 있으며, 상기 생체적합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일론, 실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틸렌 (PE), 폴리에스터(PES),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 폴리실록산 (Silicone Rubber),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글리콜산 (PGA) 또는 폴리락트산 (PLA)을 포함하는 합성물질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이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 1 주혈관 20 : 제 2 주혈관
20': 제 2 주혈관 20": 제 2 주혈관
25 : 테이퍼부 27 : 절곡부
30 : 분지혈관 30a : 제 1 분지혈관
30b : 제 2 분지혈관 30c : 제 3 분지혈관
30d : 제 4 분지혈관
100 : 제 1 주혈관의 직경 200 : 제 2 주혈관의 직경

Claims (12)

  1. 제1 주혈관 부재;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측면에서 분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지혈관 부재; 및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주혈관 부재를 포함하는
    인조혈관.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주혈관 부재 및 제2 주혈관 부재는 테이퍼부로 연결된 인조혈관.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주혈관 부재는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 인조혈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혈관 부재, 분지혈관 부재 및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하기 수학식 I 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인 인조혈관:
    [수학식 I]
    Figure pat00005

    이때,
    R1 은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이고, Rbrn 은 분지혈관 부재의 직경이며, R2 는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이고, m 은 분지혈관의 개수로서 1 내지 10 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혈관은 대동맥궁 또는 복부대동맥 치환용인 인조혈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동맥궁 치환용 인조혈관은 세 개의 분지 혈관 부재로 이루어진 인조혈관.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25 내지 35 mm,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18 내지 26 mm, 분지혈관 부재의 직경은 7 내지 12 mm 인 인조혈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대동맥 치환용 인조혈관은 네 개의 분지 혈관 부재로 이루어진 인조혈관.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25 내지 35 mm, 제2 주혈관 부재의 직경은 18 내지 26 mm, 분지혈관 부재의 직경은 6 내지 10 mm 인 인조혈관.
  10. 제1항에 있어서,
    인조혈관은 생물학적 물질 또는 생체적합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혈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물질은 자가심낭막, 동종심낭막, 소심낭막, 돼지의 심장판막, 복막, 흉막 또는 근막인 인조혈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물질은 나일론, 실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우레탄 (P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아미드 (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폴리에틸렌 (PE), 폴리에스터 (PES),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 폴리실록산 (Silicone Rubber),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글리콜산 (PGA) 또는 폴리락트산 (PLA)인 인조혈관.
KR1020100026480A 2010-03-24 2010-03-24 인조혈관 KR101162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480A KR101162656B1 (ko) 2010-03-24 2010-03-24 인조혈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480A KR101162656B1 (ko) 2010-03-24 2010-03-24 인조혈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236A true KR20110107236A (ko) 2011-09-30
KR101162656B1 KR101162656B1 (ko) 2012-07-04

Family

ID=4495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480A KR101162656B1 (ko) 2010-03-24 2010-03-24 인조혈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6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837B2 (ja) 1999-12-13 2006-07-19 株式会社メディコスヒラタ 弓部大動脈用人工血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656B1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9227B2 (ja) 分岐ステントグラフトデバイスと配置展開
JP7373889B2 (ja) グラフト固定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960713B2 (ja) 血管枝部位におけるステントグラフトの生体位(insitu)開窓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20170196677A1 (en) Arterial anchor devices forming an anastomotic connector
JP6080893B2 (ja) 血管移植片
EP3033122B1 (en) Systems for a fluid carrying conduit of a vascular access system
US10682453B2 (en) Vascular access system with reinforcement member
US20170135803A1 (en) Antireflux stent
JP6887958B2 (ja) 経皮カテーテル、経皮カテーテルの使用方法
US11260159B2 (en) Percutaneous catheter and percutaneous catheter assembly
KR101162656B1 (ko) 인조혈관
JP6761117B2 (ja) 全体アーチ概念
US9622887B2 (en) Stent graft with valve arrangement
US7641635B2 (en) Method for substantially non-delaminable smooth ventricular assist device conduit and product from same
CN109529172A (zh) 导管及导管组装体
EP3427788B1 (en) Medical instrument
US20220401208A1 (en) Endograft with bristles
US20180256310A1 (en) Vascular graft
Cerda et al. Tuning adhesion at contacting device interfaces: geometric tools for minimizing surface fouling
TW202106259A (zh) 中心靜脈用覆膜支架
CA2960263A1 (en) Vascular g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