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083A - 전원 시거잭 - Google Patents

전원 시거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083A
KR20110107083A KR1020100026253A KR20100026253A KR20110107083A KR 20110107083 A KR20110107083 A KR 20110107083A KR 1020100026253 A KR1020100026253 A KR 1020100026253A KR 20100026253 A KR20100026253 A KR 20100026253A KR 20110107083 A KR20110107083 A KR 20110107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voltage
charg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카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카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카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0002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083A/ko
Publication of KR2011010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시거잭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시거잭은 인가되는 차량 전원의 전압에 따라 차량 전원을 전기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모니터링부, 차량 전원이 차단되면 충전 전력을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외부 배터리, 그리고 차량 전원이 공급되면 차량 전원으로 외부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시거잭{Power Cigarjack}
본 발명은 전원 시거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원 시거잭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있어 자동차의 시거잭은 단순히 담뱃불을 붙이기 위한 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GPS, DMB등 전기기기의 전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거잭은 자동차의 시동키가 온 상태일 때만 연결된 전기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빈번한 재부팅은 모든 전기기기에 있어서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특히 네비게이션과 같은 전기기기는 목적지가 입력된 후 재부팅될 경우 설정이 초기화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시거잭에 연결된 전기기기는 자동차 시동시마다 전원이 차단되어 재부팅되는 문제점이 있고, 전기기기를 파워아울렛(항시 전원)에 연결할 경우 차량 시동시 전기기기의 재부팅은 방지할 수는 있으나 차량용 배터리가 빨리 방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배터리 상태나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차량 내 전기기기에 항상 일정한 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시거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원 시거잭은 인가되는 차량 전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차량 전원을 전기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차량 전원이 차단되면 충전 전력을 상기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외부 배터리; 및 상기 차량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차량 전원으로 상기 외부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 전기기기에 일정한 전압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차량 시동시 차량용 배터리의 사용 없이도 일정한 전압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거잭은 본체부(100), 외부 배터리(200), 전원 입력부(300) 및 전원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모니터링부(110), 충전부(120) 및 전압 변환부(13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110)는 인가된 차량 전원의 전압을 감시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나 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전력을 전원 출력부(400)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입력부(300)를 통해 인가된 차량 전력[Power IN(1)]의 전압을 감시하여 이 전압 수준에 따라 차량 전력[Power IN(1)]을 전압 변환부(130)에 공급하여 구동 전력[Power OUT(2)]으로 변환되도록 하거나 전압 변환부(13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량 전력[Power IN(1)]은 차량으로부터 전원 입력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으로서, 시동이 걸려 차량 엔진에 의한 발전 전력이 인가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았더라도 충분히 충전된 차량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될 경우에는 차량 전력[Power IN(1)]의 전압은 일정수준(12V 내지 24V)으로 유지될 것이나,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이 부족할 경우 등에 전압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지 않게 될 것이다.
전원 입력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외부 시거잭일 수 있다.
한편, 전압이 일정수준으로 유지되지 않은 전력[Power IN(1)]이 전원 출력부(400)에 연결된 전기기기(네비게이션, GPS, DMB등)를 구동시키는 전력[Power OUT(2)]으로 공급될 경우, 전기기기는 리셋 될 수 있고,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쉽게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110)는 인가된 차량 전력[Power IN(1)]의 전압이 기준 전압(예컨대, 12V 또는 24V)보다 작을 경우, 전원 입력부(300)를 통해 차량 전력[Power IN(1)]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대신 충전된 외부 배터리(200)의 전력[Power IN(2)]이 전압 변환부(130)에 공급되어 구동 전력[Power OUT(2)]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부(110)는 전압이 불안정한(일정수준을 유지하지 못한) 차량 전력[Power IN(1)]이 인가될 경우, 충전된 외부 배터리(200)의 전력[Power IN(2)]이 전자기기의 구동 전력[Power OUT(2)]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가 차량 전력[Power IN(1)]의 불안정한 상태(인가된 차량 전력의 전압이 일정수준으로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차량 전력이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입력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경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10)는 인가된 차량 전력[Power IN(1)]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일 경우(차량 엔진이 안정적으로 동작하여 차량 전력의 전압이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경우), 인가된 차량 전력을 충전부(120)에 전달하여 외부 배터리(200)가 충전부(120)에 의해 충전되도록 한다. 예컨대,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은 차량 전력이 인가될 경우 충전된 외부 배터리(200)의 전력[Power IN(2)]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부(110)는 일정수준의 전압으로 인가되는 차량 전력[Power IN(2)]을 충전부(120)에 전달하고, 충전부(120)는 전달된 차량 전력[Power OUT(1)]으로 외부 배터리(200)를 충전시킨다. 여기서는 모니터링부(110)를 통해 공급된 차량 전력[Power IN(1)]이 충전부(120)에 전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니터링부(110)를 거치지 않고 전원 입력부(300)를 통해 인가된 차량 전력[Power IN(2)]이 직접 충전부(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 배터리(200)는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 배터리와는 별개의 배터리이고, 차량 전력[Power IN(1)]이 차단되면 자신의 충전 전력[Power IN(2)]을 구동 전력으로 공급한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10)에 의해 차량 전력[Power IN(1)]이 차단될 경우, 충전된 외부 배터리(200)는 자신의 충전 전력[Power IN(2)]을 전압 변환부(130)에 공급하고, 전압 변환부(130)에 의해 전압이 조절된 전력[Power OUT(2)]은 전원 출력부(400)를 통해 전기기기에 공급된다.
충전부(120)는 배터리 충전 회로부일 수 있고, 차량 전력[Power IN(1)]이 공급되면 공급된 차량 전력[Power IN(1)]으로 외부 배터리(200)를 충전시킨다. 예컨대, 충전부(120)는 모니터링부(110)에 의해 차량 전력[Power IN(1)]이 공급될 경우, 공급된 차량 전력[Power OUT(1)]으로 외부 배터리(200)를 충전시킨다. 또는 전원 입력부(300)로부터 차량 전력[Power IN(2)]이 공급되면, 공급된 차량 전력[Power OUT(1)]으로 외부 배터리(200)를 충전시킨다.
전압 변환부(130)는 전압변환 회로부일 수 있고, 모니터링부(110)로부터 공급된 차량 전력[Power IN(1)] 또는 충전된 외부 배터리(200)로부터 공급된 전력[Power IN(2)]의 전압을 기준 구동전압(5V 등)으로 변환시켜 전기기기의 구동 전력[Power OUT(2)]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전압 변환부(130)는 공급된 전력을 구동 전력[Power OUT(2)]으로 변환하여 전원 출력부(400)에 전달하고,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전원 출력부(400)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기기(차량용 블랙박스 등)로 전달된 구동 전력[Power OUT(2)]을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원 시거잭은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 충분히 충전된 차량 배터리의 전력이 전원 공급부(300)를 통해 인가되고, 시동이 걸린 경우 엔진에 의한 발전 전력이 인가되며, 시동이 걸리지 않아 차량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되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이 부족하면, 충전된 외부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이 충분하더라도 차량 배터리 대신 외부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시동이 걸렸더라도 엔진에 의한 발전 전력이 일정한 수준의 전압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충전된 외부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모니터링부
120 : 충전부
130 : 전압 변환부
200 : 외부 배터리
300 : 전원 입력부
400 : 전원 출력부

Claims (5)

  1. 인가되는 차량 전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차량 전원을 전기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차량 전원이 차단되면 충전 전력을 상기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외부 배터리; 및
    상기 차량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차량 전원으로 상기 외부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를 포함하는 전원 시거잭.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된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상기 충전 전력의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구동 전원으로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시거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차량 전원의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외부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상기 구동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
    인 전원 시거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차량 전원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상기 충전부에 전달하여 상기 외부 배터리가 상기 충전부에 의해 충전되도록 하는 것
    인 전원 시거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배터리는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배터리와는 별개의 배터리이되, 상기 구동 전원의 전압이 기준 구동 전압을 유지하도록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것
    인 전원 시거잭.
KR1020100026253A 2010-03-24 2010-03-24 전원 시거잭 KR20110107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53A KR20110107083A (ko) 2010-03-24 2010-03-24 전원 시거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53A KR20110107083A (ko) 2010-03-24 2010-03-24 전원 시거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83A true KR20110107083A (ko) 2011-09-30

Family

ID=4495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253A KR20110107083A (ko) 2010-03-24 2010-03-24 전원 시거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0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934B1 (ko) * 2013-05-08 2013-10-28 주식회사 이젠 차량 장비용 배터리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KR101626976B1 (ko) * 2016-02-16 2016-06-13 티오씨 주식회사 블랙박스 전원 공급 장치
WO2016159474A1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오윈 적응형 비콘 시가잭 장치
KR101667670B1 (ko) * 2016-02-16 2016-10-20 티오씨 주식회사 블랙박스 자원 공급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934B1 (ko) * 2013-05-08 2013-10-28 주식회사 이젠 차량 장비용 배터리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WO2014181993A1 (ko) * 2013-05-08 2014-11-13 주식회사 이젠 차량 장비용 배터리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WO2016159474A1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오윈 적응형 비콘 시가잭 장치
US10848968B2 (en) 2015-03-27 2020-11-24 Owin Inc. Adaptive type beacon cigar jack device
KR101626976B1 (ko) * 2016-02-16 2016-06-13 티오씨 주식회사 블랙박스 전원 공급 장치
KR101667670B1 (ko) * 2016-02-16 2016-10-20 티오씨 주식회사 블랙박스 자원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64429B (zh) 一种充电控制方法、设备及系统
US20160111908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6524889A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のための磁場検知装置
CN107791872B (zh) 车载充电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车辆
EP2442428A1 (en) Electric vehicle
US20110148344A1 (en) Battery Powered Charger
US9774273B2 (en) 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202864A3 (en)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ethod
JP6612043B2 (ja) 車両用充電器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CN104737407A (zh) 电动车辆的功率供应系统和方法
KR20110107083A (ko) 전원 시거잭
WO2014108726A3 (en)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and vehicle charging system
EP1443626A3 (en) Electric power generating system for a vehicle
JP2010183689A (ja) バッテリの補助充電器および車載機器
CN105794102A (zh) 自充电电力发动机
KR101836582B1 (ko) 전기충전 차량의 비상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65934B1 (ko) 차량 시동 장치 및 제어방법
US10696179B2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KR100591826B1 (ko) 자동차 배터리의 완전방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6107550B2 (ja) 車載充電装置
TWM514152U (zh) 車輛用之備用電源裝置
KR102281649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정보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CN203747458U (zh) 一种工程机械蓄电池电能管理装置
KR2013001107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보조 배터리 관리 방법
JP2017093235A (ja) ハイブリッド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