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929A - 밑넓이가 작은 구조의 자율 작동식 모듈을 구비한 모듈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밑넓이가 작은 구조의 자율 작동식 모듈을 구비한 모듈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929A
KR20110106929A KR1020117018915A KR20117018915A KR20110106929A KR 20110106929 A KR20110106929 A KR 20110106929A KR 1020117018915 A KR1020117018915 A KR 1020117018915A KR 20117018915 A KR20117018915 A KR 20117018915A KR 20110106929 A KR20110106929 A KR 20110106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se station
water
beverage preparation
autonom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띠앙 딸롱
쟝-루끄 드니사르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1010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와 같은 캡슐 또는 포드의 내부에 담긴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대용량 물 저장조(12)(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물 저장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 그리고 추출 헤드(4)를 포함하며, 자율 사용 모드로부터 도킹 사용 모드로 전환되도록 베이스 스테이션(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2)을 포함한다.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2)은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 27a)을 포함한다.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은 각각, 음료 조제 모듈(2)이 도킹 위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짝을 이루는 위치 설정 수단(5a, 5b)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모듈이 자율 사용 모드에 있는 경우 모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선택적인 물 공급 수단(11, 29, 36)과 물 유출구 연결 수단(28, 32, 36a)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밑넓이가 작은 구조의 자율 작동식 모듈을 구비한 모듈식 시스템{MODULAR SYSTEM WITH SMALL FOOTPRINT AUTONOMOUS MODULE}
본 발명은 캡슐(capsule) 또는 포드(pod)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모듈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듈식 음료 생성 시스템은 도킹 스테이션과 음료 조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음료 조제 모듈은 선택적으로 연결 상태 및 분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WO 2007/141334 호를 보면, 도킹 스테이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음료 조제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모듈에는 각각 제어 회로가 제공되어 있으며, 모듈의 제어 회로는 분리 상태에서의 모듈의 자율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 회로는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된 모듈의 작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FR 2544185 호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구성하기 위한 일련의 모듈식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이다. 해결되는 문제는 머신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는 외에도 각종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당면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일련의 모듈식 구성 요소에는 장착 히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기 위한 모듈 및 한 개 또는 두 개의 분출구를 구비한 분배 모듈이 포함되며, 이들 구성 요소는 병렬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지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은 밑넓이 (footprint) 를 감소시키며, 제 1 음료 모듈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관련하여 상기 음료 모듈의 휴대성 및 자율 작동성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시스템의 모듈식 구성이 증가되며, 밑넓이는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저장 용량은 증대시킨, 매우 콤팩트한 구성의 모듈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와, 개선된 취급 성능, 그리고 이에 따라 장치 조작자의 편리성 증강을 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목적, 특히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는 바와 같은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전술한 목적은 특히,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캡슐 또는 포드의 내부에 담긴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대용량 물 저장조(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물 저장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그리고 추출 헤드를 포함하며, 자율 사용 모드로부터 도킹 사용 모드로 베이스 스테이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은 물 유입구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은 각각, 음료 조제 모듈이 도킹 위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짝을 이루는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모듈이 자율 사용 모드에 있는 경우 모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모듈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선택적인 물 공급 수단과 물 유출구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위치 설정 수단은 베이스 스테이션의 드립 트레이가 모듈의 액체 유출구의 수직 방향 하방에 배치되도록 음료 조제 모듈을 베이스 스테이션 상에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적인 물 공급 수단은 모듈에 연결 가능한 액체 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저장조의 물 저장 용량은 베이스 스테이션의 물 저장조의 용량보다 작고, 예를 들어, 50ml 내지 250ml이다.
또한, 상기 선택적인 물 공급 수단은 상기 유입구 연결 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또는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가요성 물 인출 관과 물 유출구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관은 외부 물 공급원(예를 들어, 물병 또는 유리잔)과 모듈의 일시적인 유체 연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자율 작동식 모듈의 액체 저장조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모듈의 휴대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물 인출 관은 바람직하지 못한 입자의 흡입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연결 수단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의 도킹 상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과 모듈 사이에는 유체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의 전용 액체 연결 수단이, 바람직하게는, 모듈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추가 물 유입구 연결 수단이 모듈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킹 상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의 액체 연결 수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킹 상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의 대용량 액체 저장조로부터 모듈로 액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제 모듈은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전기 연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연결 수단은 무선 전기 연결 구성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음료 조제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연결 수단에 추가로 전원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음료 조제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음료 조제 모듈의 자율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모듈의 소용량 저장조와 베이스 스테이션의 저장조는 시스템의 구성 모드에 따라, 예를 들어, 도킹 모드 또는 자율 작동 모드에 따라 기능성 블록(예를 들어, 펌프, 히터, 추출 헤드 등)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는 3-방향 밸브에 연결 가능하다. 특히, 도킹 모드에 해당하는 제 1 위치에서, 3-방향 밸브는 선택적으로 베이스 스테이션의 대용량 저장조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자율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제 2 위치에서, 3-방향 밸브는 모듈의 소용량 저장조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3-방향 밸브는 모듈의 물 유입구 수단과 베이스 스테이션의 액체 연결 수단의 결합/분리에 의해 적당한 공급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3-방향 밸브'는 어느 특정한 밸브 구조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정의된 바와 같은 선택적인 공급 위치를 제공하는 모든 유형의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임에 주목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음료 조제 모듈은 모듈이 자율 작동 모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만 모듈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컵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컵 지지부는 별개의 패드, 예를 들어, 고무 패드 또는 지지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이 도킹 위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에 끼워지면 모듈에서 선회되어 복귀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모듈의 추출 헤드는 음료 조제 모듈의 본체의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어도 컵 지지부의 부근과 또는 컵 지지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음료 조제 모듈은 상기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추출 헤드를 회전시켜 결국 추출 헤드가 컵 지지부와 인접하도록 함으로써 매우 콤팩트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밀봉 캡슐 또는 포드의 내부에 담긴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그리고 액체 유출구를 구비한 추출 헤드를 포함하며 베이스 스테이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은 각각, 음료 조제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짝을 이루는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설정 수단은 베이스 스테이션의 드립 트레이가 모듈의 액체 유출구의 수직 방향 하방에 배치되도록 음료 조제 모듈을 베이스 스테이션 상에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음료 조제 모듈은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도킹 상태 그리고 분리 상태로 변경된다. 연결 및 분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수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출구를 구비한 추출 헤드는 자율 작동식 모듈의 본체의 수평 방향 축선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모듈에 연결 가능한 드립 트레이 또는 컵 지지부에 관한 액체 유출구의 위치가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드립 트레이의 수직 방향 위치는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과 모듈의 연결 상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의 드립 트레이에 관한 액체 유출구의 정확한 위치와 추출 헤드의 액체 유출구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구 및 음료 조제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액체를 받기 위하여 상이한 형태 및 크기의 용기가 액체 유출구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모듈의 액체 유출구의 아래에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또는 카페라떼 용기를 배치하도록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을 연결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의 서로 짝을 이루는 표면 및/또는 프로파일을 갖춘 섹션을 포함한다.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의 서로 짝을 이루는 표면 및/또는 프로파일을 갖춘 섹션은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이 연결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끼움 작동이 용이한 단일 위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 조제 모듈은 모듈의 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컵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컵 지지부는 위치 설정 수단을 사용하여 음료 조제 모듈에 연결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듈을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또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의 컵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컵 지지부는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듈에만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스템의 일체형의 매우 콤팩트한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에는 캡슐에 담겨 있는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은 물 펌프와 물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블록은 모듈의 추출 헤드에 수용되는 추출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챔버는 물 펌프와 물 가열 수단으로부터 가열된 압축 액체가 공급되며 재료 성분을 내장한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 펌프와 가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모듈의 액체 저장조에 연결된다.
상기 캡슐은 조작자에 의해 모듈의 추출 챔버에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캡슐을 추출 챔버에 제공하기 위하여 캡슐 홀더와 같은 추가 수단이 모듈의 추출 헤드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에 의하면, 추출 챔버에 제공되는 캡슐에 담겨 있는 재료 성분과 모듈의 액체 저장조 및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액체 사이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캡슐에 액체가 공급됨으로 인해 구축되는 밀봉 캡슐 내부의 압력에 의해 캡슐의 하면이 개방됨으로써 조제 음료의 방출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액체의 분사는, 예를 들어, 모듈의 전용 분사 부재에 의해 천공되는 캡슐의 상면에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제되는 음료의 방출은 캡슐의 하면에서 이루어져, 액체의 직접 유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조 음료를 담기 위하여 컵과 같은 용기가 캡슐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WO 03059778 호는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하여 음료를 조제하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캡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캡슐은 하나 이상의 재료 성분을 수용한다. 캡슐 내로의 액체 분사가 이루어진 후, 캡슐 내부에 수용된 재료 성분과 액체의 상호 작용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캡슐로부터의 액체 방출이 지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캡슐로부터 조제되는 음료의 방출을 위해, 캡슐의 하벽을 개방하는 유출구 막에 맞대어 릴리프(relief)와 같은 개방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방 수단은 액체가 분사되는 경우 캡슐 내부의 압력 상승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캡슐은 여러 가지 장점 중에서도 음료가 "교차 오염" 위험 없이 조제될 수 있다는, 즉, 조제되는 제 1 음료의 맛, 색상 및/또는 향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성이 의도하지 않게 상기 제 1 음료에 이어 분배되는 제 2 음료에 전달되는 일 없이 조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 WO 03059778 호와 다른 원리에 따른 음료 장치에서 양조, 용해 또는 희석되는 재료 성분(들)을 수용하는 기타 다른 식품 또는 음료 카트리지, 포드 또는 봉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 내용에서, 용어 "캡슐"은 전술한 기타 다른 양조 원리를 사용하여 밀봉 상태의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캡슐 및/또는 필터 포드, 파우치, 카트리지 또는 봉지와 같은 음료 조제 모듈의 추출 헤드의 추출/양조 챔버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식품 재료 성분을 수용하는 적당한 유형의 패키지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음료 조제 모듈의 추출 헤드의 회전 가능한 구성은, 모듈이 다수의 작동 모드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의 예정된 작동 모드 또는 상태에 대응하도록 모듈의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추출 헤드의 예정된 각 방향 변위 또는 위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의 기부 부근으로 추출 헤드가 회전하여 이동되는 작동은 모듈의 수면 모드에 해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추출 헤드가 전용 수면 모드 위치로 이동되면 음료 조제 모듈의 기능성 블록으로의 또는 기능성 블록의 가열 수단과 같은 일부 구성 요소로의 전력 공급이 방해를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도킹 상태에서, 추출 헤드는 모듈이 수면 모드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음료 조제 모듈에 연결된 베이스 스테이션의 드립 트레이 부근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면 모드에서는 음료 조제 모듈의 매우 콤팩트한 구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위치에서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모듈의 보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모듈을 상기 수면 또는 보관 모드로부터 온(on)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자는 모듈의 본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즉, 베이스 스테이션의 드립 트레이 및 모듈에 연결된 컵 지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추출 헤드를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온 모드에서는, 모듈을 이용한 음료 조제가 가능하도록 전력이 모듈 및 특히 모듈의 기능성 블록에 공급된다.
음료 조제 모듈의 액체 저장조는 바람직하게는 저용량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ml 내지 250ml의 용량의 액체 저장조이다. 이러한 액체 저장조는 음료 조제 모듈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듈의 본체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음료 조제 모듈의 기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머신의 밑넓이가 보다 작아질 수 있으며 또한, 보다 경량의, 휴대성이 뛰어나면서 자율 작동이 가능한 음료 조제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음료 조제 모듈의 휴대성이 증강됨으로 인해, 조작자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완전히 독립적인, 음료 제조를 위해 조작자가 선택한 소정의 위치로 모듈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듈의 비작동 모드에서 액체 저장조용 보관 위치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듈의 본체에 추가 리세스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음료 조제 모듈에는 전기 공급 수단이 제공된다. 베이스 스테이션에는 전기 공급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음료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위치 설정 수단은 음료 조제 모듈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짝을 이루는 전기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의 액체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액체 연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음료 조제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료 조제 모듈의 작동이 자율적으로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전자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음료 조제 모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도의 전자 제어 장치, 유체 공급원, 전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제어 버튼, 디스플레이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또한, 예를 들어, MP3/MP4-플레이어, USB 포트 또는 라디오와 같은 전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스테이션은 본질적으로 음료 조제 모듈의 저용량 액체 저장조보다 용량이 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체 저장조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 대용량 저장조의 용량은 500ml 내지 1000ml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션에는 음료 조제 모듈의 펌프에 기본적으로 비압축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의 상기 액체 연결 수단은 음료 조제 모듈과 외부 액체 저장조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장 도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음료 조제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리고 음료 조제 모듈의 전용 액체 저장조가 모듈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료 조제 모듈에 또한, 외부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액체가, 예를 들어, 유리잔 또는 병에 담긴 물이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캡슐 또는 포드의 내부에 수용된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식 시스템으로서, 물 저장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그리고 추출 헤드를 포함하며, 자율 사용 모드로부터 도킹 사용 모드로 베이스 스테이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테이션은 모듈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보조 장치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서로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기능성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 스테이션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보조 장치는 디지털 데이터 통신 단자(예를 들어, USB, 인터넷,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미디어 플레이어(예를 들어, TV 디스플레이, 라디오, MP3, MP4 등), 휴대용 장치(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용 저전압 충전 단자 및 그 조합체이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보조 장치는 컵 히터, 물 냉각 장치, 우유 거품 생성 장치, 감미료(예를 들어, 설탕) 분배 장치, 스푼 분배 장치 및 그 조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보관 모드에서 소용량 저장조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넓이가 작은 음료 장치로서, 상기 저장조는 상기 보관 모드로부터 물 연결 모드로 변위되어 본체의 물 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물 연결 모드에서보다 보관 모드에서 밑넓이가 보다 작아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 연결 모드에서 물 유입구와 소용량 액체 저장조 사이의 유체 연결을 구축하기 위하여 분리 가능한 또는 펼침 가능한 물 커넥터가 모듈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넥터는 활주 수단, 스위벨 등에 의해 머신의 철회 위치로부터 신장 위치로 펼쳐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장점은 물 연결 모드에서 액체 저장조에 의해 대략 두 컵 분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면서 보관 모드에서는 매우 콤팩트한 구성의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음으로써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추가 특징, 장점 및 목적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상기 음료 조제 모듈이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측면도;
도 2a는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조제 모듈의 보관 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b는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조제 모듈이 커넥터에 의해 액체 저장조에 연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c는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조제 모듈의 유체 연결 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을 보여주는 사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시스템의 음료 조제 모듈과 베이스 스테이션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시스템의 음료 조제 모듈이 모듈 본체의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측면도;
도 7a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후방 리세스에 소형 저장조가 마련되는 음료 조제 모듈의 개략도;
도 7b는 소형 저장조 대신, 후방 리세스에 연장 도관이 배치되는, 도 7a에 따른 모듈의 개략도;
도 7c는 도 7b에 따른 모듈의 연장 도관이 추가 액체 저장조에 모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지지되는 대용량 액체 저장조가 도 7b 및 도 7c에 각각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에 직접 연결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3-방향 밸브 수단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모듈로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 5의 시스템의 개략도;
도 10은 3-방향 밸브 수단을 통해 소용량 물 저장조로부터 모듈의 유체 회로로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 9의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측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음료 조제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을 포함한다.
음료 조제 모듈(2)은 바람직하게는 펌프(10a)와, 가열 수단(10b) 그리고 적어도 모듈(2)의 펌프(10a)와 가열 수단(10b)에 연결되는 제어 유닛(10c)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블록(도 4 참조)을 포함하는 자율 작동식 모듈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듈(2)은 바람직하게는 모듈(2)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소형 액체 저장조(도 2a 내지 도 2c의 도면 부호 29 및 도 4의 도면 부호 11)를 포함한다. 모듈(2)의 기능성 블록의 적어도 펌프(10a)와 가열 수단(10b)은 모듈(2)의 추출 헤드(4)의 내부에 마련된 추출 챔버(도시하지 않음) 및 액체 저장조와 유체 연결 관계이다. 조작자는 추출 헤드(4)의 추출 챔버 각각에 캡슐(30)(도 1)을 추출 헤드(4)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캡슐(30)은 추출 헤드(4)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또는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캡슐 홀더에 의해 추출 챔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캡슐 홀더는 추출 헤드(4)의 개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열 압축 액체가 추출 챔버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추출 챔버 내부에 수용된 캡슐(30)에 제공될 수 있다.
추출 헤드(4)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레버(18)를 포함하며, 이 제어 레버는 캡슐(30)이 추출 헤드(4) 내로 삽입되는 경우 고온수 또는 저온수를 선택적으로 캡슐(30) 내로 분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레버(18)는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위치, 즉, 중립 위치, 고온수 공급 위치 및 비가열수 공급 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버가 중립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추출 헤드(4)로 물이 공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추출 헤드(4)의 내부에 수용되는 캡슐(30) 내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레버의 위치를 중립 위치로부터 고온수 또는 비가열수 공급 위치로 변경하면, 레버의 위치가 다시 중립 위치로 변경될 때까지 고온수 또는 비가열수가 캡슐(30) 내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추출 헤드(4)의 액체 유출구(4a)로부터 방출되는 고온 또는 저온 음료를 형성하기 위하여, 캡슐(30)의 내부에 분사된 비가열수 또는 고온수가 캡슐(30)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재료 성분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 액체 유출구(4a)가 추출 헤드(4)에 제공되는 캡슐(30)의 저면에 의해 형성되어, 액체가 캡슐(30)을 통과하여 직접 유동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음료 조제 모듈(2)은 하부 스탠드 부분(19a)을 포함하며, 이 하부 스탠드 부분은 모듈(2)의 안정적인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케이블 및 플러그와 같은 전기 연결 수단(16a)이 음료 조제 모듈(2)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모듈(2)을 메인 전원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자율 작동 사용 동안, 즉,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모듈(2)로의 전력 공급을 보장할 수 있다.
시스템의 베이스 스테이션(1)은 바람직하게는 드립 트레이(drip tray)(3)가 연결될 수 있는 본체부(1a)를 포함한다. 드립 트레이(3)의 수직 위치는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음료가 너무 많이 튀지 않도록 하면서 음료 조제 모듈(2)의 액체 유출구(4a)로부터 분배되는 음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높이의 용기를 드립 트레이에 배치할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1)은 음료 조제 모듈(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도의 전자 제어 장치, 유체 공급원, 전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1)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본체(1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액체 저장조(12)를 포함한다. 액체 저장조(12)는 음료 조제 모듈(2)에 직접 연결 가능한 액체 저장조(도 2a 내지 도 2c의 저장조(29))보다 용량이 커야 한다. 따라서,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전체 액체 공급원은 음료 조제 기기의 통상적인 고정적인 사용 용량에 대응하는 충분한 용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조작자가 액체 저장조(12)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스테이션(1)의 액체 저장조(12)에는 바람직하게는 핸들(12a)이 제공된다. 액체 저장조(12)는 또한, 저장조(12)의 재충전을 위해, 뚜껑(도시하지 않음)으로 덮여 있는 충전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1)은 또한, 전기 공급 수단(16b)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전기 공급 수단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공급 수단(16b)은 메인 전원에 베이스 스테이션(1)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과 플러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듈(2)의 사용자가 모듈(2)의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 사이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듈(2)에 온/오프 버튼(12)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모듈(2)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지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LED와 같은 피드백 수단이 모듈(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1)은 또한, 리세스(19b)를 포함하며, 이 리세스는 베이스 스테이션(1)의 본체부(1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치 설정 수단(5b)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설정 수단(5b)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본체부(1a)의 윤곽을 갖춘, 볼록한 및/또는 오목한 구성 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 설정 수단(5b)은 음료 조제 모듈(2)에 제공된 위치 설정 수단(5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듈(2)의 위치 설정 수단(5a)과 베이스 스테이션(1)의 위치 설정 수단(5b)은,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모듈(2)이 안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한 상보형의 볼록면 및 오목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1)의 리세스(19b)는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음료 조제 모듈(2)의 스탠드 부분(19a)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세스(19b)의 내부에는 추가 위치 설정 수단(7a)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추가 위치 설정 수단은 음료 조제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모듈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오목면 및/또는 볼록면일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7b)이 베이스 스테이션(1)의 리세스(19b)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 수단(7b)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스테이션(1)과 모듈(2)의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이 연결되어 있는 동안 베이스 스테이션(1)으로부터 모듈(2)로의 유체 공급이 가능하다.
리세스(19b)에는 또한, 모듈의 하부 스탠드(19a)에 배치되는 상보형 전기 수단과 협동하는 전기 연결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연결 수단이 잔류 액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하도록 전기 연결 수단과 액체 연결 수단은 베이스 스테이션과 모듈의 각각의 표면에 분리되어 이격 배치된다.
간소화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스테이션(1)이 전기 공급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즉, 케이블(16b)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모듈에만 수단(16a)을 사용하여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은 액체 공급 기능(즉, 저장조(12)에 의해) 및 잔류 액체 포집 기능(즉, 드립 트레이(3)에 의해)만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스탠드 표면(19a)에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전기 공급 수단(16a)이 베이스 스테이션을 가로질러 연장하여 스테이션의 후방 또는 측방으로 안내됨으로써 메인 전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따른 음료 조제 모듈(2)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조제 모듈(2)은 보관 모드(도 2a)와 유체 연결 모드(도 2c)를 갖는다.
모듈(2)의 본체(33)는 바람직하게는 보관 모드에서 액체 저장조(29)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보관용 리세스(31a)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관용 리세스(31a)는 본체(33)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용 리세스(31a)는 모듈(2)의 추출 헤드(4)의 아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듈에 의해 조제되는 음료를 받기 위하여 추출 헤드(4)의 아래에 용기(40)를 배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리세스에 해당한다. 또한, 본체(33)는 후방 리세스(31b)를 포함하며, 이 후방 리세스는 본체(33)의 후방부에 형성되며 유체 연결 모드에서 저장조(29)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c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리세스(31a, 31b)는 모듈(2)에 연결되는 액체 저장조(29)의 짝을 이루는 표면과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액체 저장조(29)가 모듈(2)의 전방 리세스(31a) 및 후방 리세스(31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 저장조(29)는 소용량형으로, 적어도 큰 컵으로 한 컵의 또는 작은 컵으로 두 컵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50ml 내지 250ml의,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ml 내지 250ml의 용량인 것인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 모드에서의 자율 작동 가능한 모듈(20의 중량 및 전체 치수를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29)가 전방 리세스(31a)에 연결되는 경우 액체 저장조(29)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액체 저장조는 전방 리세스(31a)에 마련된 지지 수단(34)에 의해 지지된다.
보관 모드에서, 모듈(2) 및 액체 저장조(29)로 이루어진 장치는 매우 콤팩트한 공간 절감형 구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모듈(2)의 스탠드 부분(19a)의 밑넓이가 상당히 작아질 수 있으며 결국, 모듈(2)의 보관성이 크게 증강된다. 결과적으로, 저장조의 액체 공급 모드(도 2c)에서와 비교하여 저장조의 보관 모드(도 2a)에서 머신의 밑넓이, 즉,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 면적이 작아진다. 예를 들어, 머신의 밑넓이는 사용 모드에서보다 보관 모드에서 10% 내지 30% 보다 작아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에 액체 저장조(29)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커넥터(32)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커넥터(32)는 관상 부재(32a)에 의해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과 액체 저장조(29)의 물 유출구 연결 수단(28) 사이의 유체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넥터(32)에는 관상 부재(32a)의 각각의 단부에 두 개의 연결 플러그(32b)가 추가로 마련되어 물 유입구 연결 수단(28)과 물 유출구 연결 수단(28)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 저장조(29)의 물 유출구 수단(28)은 저장조(29)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3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 및 액체 저장조(29)와 별개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편의를 위해, 이러한 커넥터는, 예를 들어, 저장 격실 내부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개구에 보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넥터(32)는 모듈(2) 및 저장조(29)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32)가 또한 모듈(2)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는 모듈(2)로부터 펼쳐지거나 모듈 내로 복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32)의 두 개의 두 개의 연결 플러그(32b) 중 하나는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액체 저장조의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액체 저장조(29)의 상부에는 개구와 뚜껑(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모듈(2)의 유체 연결 모드를 보여주는 도 2c를 참조하면, 저장조(29)는 모듈(2)의 후방 리세스(31b)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32)를 사용하여 저장조(29)와 모듈(2) 사이의 유체 연결이 구축된다.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은 모듈(2)의 본체(33)의 리세스(22)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은 모듈(2)의 기능성 블록, 즉, 펌프(10a)와 가열 수단(10b)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연결 상태에서, 액체가 모듈(2)의 펌프(10b)에 의해 액체 저장조(29)로부터 모듈(2)로 인출될 수 있다.
커넥터(32)가 모듈(2)의 스탠드 부분(19a)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함에 따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체 연결 모드에서의 모듈의 밑넓이가 도 2a에 따른 저장 모드에서보다 넓다. 그러므로, 모듈(2)의 매우 콤팩트한 공간 절감형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모듈(2)의 밑넓이가 최소가 되는 도 2a에 따른 보관 모드로 모듈(2)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따른 음료 조제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의 연결 또는 도킹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듈(2)의 스탠드 부분(19a)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수용 리세스(19b)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시된 연결 상태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에 따른 액체 저장조(29)가 모듈(2)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면,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부를 구성하는 위치 설정 수단(5b)이 모듈(2)의 위치 설정 수단(5a)을 에워싸게 된다.
또한, 리세스(19b)에 형성된 볼록한 및/또는 소정의 프로파일의 위치 설정 수단(7a)(도 1 참조)이 모듈(2)의 스탠드 부분(19a)에 형성된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한 및/또는 소정의 프로파일의 전용 위치 설정 수단(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 참조)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모듈의 연결 안정성이 또한 추가로 증강될 수 있다.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이 연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과 모듈(2) 사이의 유체 연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스테이션(1)의 연결 수단(7b)이 직접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연결된다(도 2a 내지 도 2c 참조). 이에 따라, 이러한 연결 상태에서, 모듈(2)이 음료 조제에 필요한 물을 베이스 스테이션(1)의 대용량 액체 저장조(12)로부터 인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의 액체 저장조(12)는 500ml 내지 1000ml의 용량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19b)에는 베이스 스테이션(1)과 모듈(2)이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의 전기 접속을 설정하기에 적당한 추가 커넥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션(1)은 베이스 스테이션(1)을 메인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공급 수단(16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베이스 스테이션(1)에 전원 수단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개구 또는 홀과 같은 추가 통로가 리세스(19b)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구 또는 홀에 연결되는 하부 홈이 베이스 스테이션(1)의 기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모듈(2)의 전선(16a)이 이러한 통로 및 하부 홈을 통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저장조(12)는 베이스 스테이션(1)의 본체(1a)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액체 저장조(12)와 베이스 스테이션(1)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 밸브(20)가 본체(1a)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상태에서, 밸브(20)와 베이스 스테이션(1)의 연결 수단(7b)을 연결하는 유체 도관을 통해 액체 저장조(12)로부터 모듈(2)로 액체가 공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페라떼 유리잔과 같은 용기(4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2)의 전방 개구(31a), 즉 추출 헤드(4)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드립 트레이(3)에 의해 추출 헤드(4)에 대한 용기(4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조제 동안 액체가 넘쳐 흐르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3)의 수직 방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1)의 본체(1a)의 전방부의 서로 다른 높이에 여러 개의 홈이 형성되어, 드립 트레이의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해당 홈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션(1)의 지지 본체(1a)와 드립 트레이(3)의 사이에 안정적인 키 앤 슬롯 조인트(key and slot joint)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 측면도로서, 음료 조제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액체 저장조(11)가 모듈(2)의 기부(9)에 연결 가능하다. 상기 액체 저장조(9)의 용량은 50ml 내지 250m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저장조(11)는 바람직하게는 모듈(2)의 사용 동안 저장조(11) 내부의 액체의 높이가 관찰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2)은 모듈(2)의 기부(9)에 연결될 수 있는 컵 지지부(8)를 추가로 포함한다. 컵 지지부는 컵 지지부의 바닥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수평 방향 릿지(ridg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엎질러진 액체가 컵 지지부(8)의 바닥부에 모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릿지에 의해 용기(40)의 지지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용기가 컵 지지부(8)에 배치된 후 용기 바닥에 액체가 들러붙을 위험이 최소화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9)의 전방에 위치 설정 수단(22a)이 제공되어, 이 위치 설정 수단에 컵 지지부(8)가 연결될 수 있다. 컵 지지부(8)는 위치 설정 수단(22a)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분리 가능한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모듈(2)의 추출 헤드(4)에는 개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슐(30)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캡슐 홀더(18)가 상기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시스템의 베이스 스테이션(1)은 베이스 스테이션의 본체(1a)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 영역(23a)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지지 영역(23a)은 위치 설정 수단(23b)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위치 설정 수단(23b)은 바람직하게는 모듈(2)의 기부(9)를 에워싸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상향 돌출 가장자리이다. 또한, 모듈(2)의 위치 설정 수단(22a)과 상호 작용하기에 적당한 베이스 스테이션(1)의 전방 위치에 전용 위치 설정 수단(22b)이 제공된다. 따라서, 모듈(2)의 위치 설정 수단(22a)은 컵 지지부(8)와 베이스 스테이션(1)을 각각 모듈(2)에 위치 설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모듈(2)은 바람직하게는, 모듈(2)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에 관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LED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정보 제공 수단(2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제공 수단(25)은 온/오프 스위치(21)의 부근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전용 지지 영역(23a)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2)의 기부(9)의 바닥면이 지지 영역(23a)과 인접하게 된다. 연결 상태에서, 모듈(2)의 위치 설정 수단(22a)이 베이스 스테이션(1)의 대응하는 형상의 위치 설정 수단(22b)과 결합된다. 또한, 연결 상태에서, 전용 위치 설정 수단(23b)이 모듈(2)의 기부(9)를 에워싼다. 연결 상태에서 모듈(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보다 큰 용량의 저장조(12)가 베이스 스테이션(1)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 헤드(4)는 화살표(Z)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의 축선(C)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듈(2)의 전체 본체(6)와 추출 헤드(4)는 축선(C)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6)는 바람직하게는 본체(6)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되는 선형 홈(26)을 포함하며, 모듈(2)의 기부(9)에 연결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T-자형의 안내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선형 홈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듈(2)의 본체(6)와 이 본체(6)에 연결되는 추출 헤드(4)를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 구조가 제공된다.
축선(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모듈(2)의 추출 헤드(4)는 드립 트레이(3)의 부근에서 모듈(2)에 연결되어 있는 컵 지지부(8)와 접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드립 트레이(3)와 접촉할 수도 있다. 추출 헤드(4)의 이러한 회전 위치는 모듈(2)의 적어도 가열 수단(10b)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없는 모듈(2)의 일명 수면 모드(sleep-mode) 또는 보관 모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수면 모드 동안에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면 모드 또는 보관 모드에서는 필요한 모듈(2)의 저장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추출 헤드(4)와 본체(6)를 회전시켜 드립 트레이(3)와 컵 지지부(8)로부터 거리를 둔 소정 위치로 복귀시키면, 모듈(2)이 수면 모드 또는 보관 모드로부터 정상 작동 모드로 다시 복귀되어 가열 수단(10b)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수면 모드는 전기 공급이 최소한도로만 이루어지거나 전기 공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모드에서는 간단한 방식으로 해당 모드 동안 전력을 절감하도록 가열기를 오프시킬 수 있다. 본체가 회전되어 정상 작동 모드로 복귀되면, 사용자가 머신을 추가로 조작할 필요 없이 히터가 자동적으로 온 상태로 전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의 전방에 연결되는 드립 트레이(3)의 수직 방향 위치는 도 5에 화살표(Y)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은 바람직하게는, 펌프(10a)와, 모듈(2)의 소용량 액체 저장조(11), 그리고 모듈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의 사이에 연결되는 밸브 부재(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부재(50)는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연결되는 외부 액체 공급원 또는 소용량 액체 저장조(11)로부터 모듈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3-방향 밸브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듈(2)의 자율 작동 상태에서, 3-방향 밸브(50)는 모듈(2)의 소용량 저장조(11)로부터 펌프(10a)로 그리고 결국 모듈(2)의 유동 회로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밸브는 모듈의 기부로부터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구 연결 수단(27)의 라인을 폐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의 도킹 상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의 대용량 저장조(12) 및 소용량 저장조(11) 모두 3-방향 밸브(50)에 연결되며, 밸브(50)는 바람직하게는 대용량 저장조(12)로부터만 펌프(10a)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밸브(50)는 베이스 스테이션(1)의 연결 수단(7b)이 모듈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결합/분리됨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밸브(50)는 또한, 대용량 저장조(12)로부터 액체를 인출할 수 없는 경우, 즉, 저장조(12)가 비어 있는 경우, 대용량 저장조(12)로부터 소용량 저장조(11)로 공급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외에도, 소용량 저장조(11)에 액체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듈(2)의 소용량 저장조(11)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 수단(50)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대용량 저장조(12)로부터 인출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밸브 수단(50)과 저장조(11)의 사이에 제공된 누출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듈(2)의 도킹 상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의 대용량 저장조(12)로부터 모듈(1)의 소용량 저장조(11)로 음료 조제 공정 동안 액체가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킹 상태에서의 음료 조제 동안 소용량 저장조(11)가 자동적으로 충전될 수도 있어 조작자가 수동으로 액체를 충전할 필요가 없다.
도 7a는 음료 조제 모듈(2)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 소용량 액체 저장조(29)가 모듈(2)의 후방부에 형성된 리세스(34)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저장조(29)는 리세스(3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세스(34)에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a)이 마련되어 저장조(29)의 기부에 마련된 물 유입구 연결 수단(28)과 직접 결합됨에 따라, 모듈(2)이 콤팩트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출 헤드(4)와 모듈(2)의 액체 유출구(4a)의 아래에 배치되는 드립 트레이(39a)는 바람직하게는 피봇(39b)을 중심으로 모듈(2)의 본체(33)의 바닥부에서 선회 이동된다. 이에 따라, 드립 트레이(39a)가 본체(33)의 바닥부에 형성된 전용 리세스(39c)에 보관되는 복귀 위치로 컵 지지부(39a)가 피봇(39b)을 중심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시된 실시형태의 모듈(2)의 밑넓이가 보관용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듈(2)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드립 트레이(39a)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장 위치로 피봇(39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드립 트레이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도 7b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르면, 저용량 저장조(29)가 아니라 연장 도관(36)용 지지 부재(35)가 모듈(2)의 후방 리세스(34)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부재(35)는 바람직하게는 롤링(rolling) 장치로서, 리세스(36)의 내부에 도관이 효율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장 도관(36)을 둥글게 말라 올리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둥글게 말아 올리는 대신, 튜브 형상의 연장 도관이 또한, 분리 가능한 도어에 의해 폐쇄될 수도 있는 후방 리세스(34)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연장 도관(36)은, 바람직하게는,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a)에 외부 액체 공급원 또는 외부 액체 저장조를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이에 따라, 연장 도관(36)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부재(36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2)과 외부 액체 공급원(37),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병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장 도관(36)은 우선 지지 부재(35)로부터 풀린 다음, 커넥터 부재(36a)가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a)에 연결되고, 연장 도관(36)의 타단부는 외부 액체 저장조(37)의 수면(39) 아래로 담가진다. 이에 따라, 모듈(2)의 내부에 전용 액체 저장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듈(2)의 휴대성 및 독립성이 상당히 증강되는데, 그 이유는 외부 액체 공급원(37)이 음료를 조제하기 위하여 모듈(2)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의 본체(33)의 바닥부에 분리 가능한 드립 트레이(38)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립 트레이(38)는 바람직하게는 모듈(2)의 아래에 마련되는 고무 패드의 형태로 형성되어, 자율 작동 모드에서의 음료 분배 시에 분리 가능하다. 이러한 패드에는 바람직하게는 약간의 릿지가 마련되며, 또한 패드는 사용 후 깨끗한 물로 헹궈질 수 있다. 따라서, 모듈(2)의 밑넓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모듈(2)의 이동성 및 보관성이 증강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a, 도 7b 및 도 7c에 각각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2)에 베이스 스테이션(1)에 의해 지지되는 대용량 액체 저장조(41)가 직접 연결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 스테이션(1)은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3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 스테이션에 대응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은 베이스 스테이션(1)에 의해 지지되는 대용량 액체 저장조(41)의 액체 유출구 연결 수단(28)이 모듈(2)의 후방 리세스(34)에 위치한 모듈(2)의 액체 유입구 연결 수단(27a)과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대용량 액체 저장조(41)는 부분적으로는 모듈(2)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부분적으로는 베이스 스테이션(1)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1)과 모듈(2)의 매우 콤팩트한 모듈식 구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시스템의 액체 저장조(41)의 용적이 최대화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상태에서, 모듈(2)의 회전 가능한 드립 트레이(39a)는 복귀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39c)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듈(2)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리세스(7b)에 완벽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베이스 스테이션(1)의 드립 트레이(3)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의 전선(16a)이 베이스 스테이션(1)의 리세스(7b)에 형성된 홀(42a)을 통과한 다음 홀(42a)에 연결된 통로 또는 홈(42b)을 통하여 베이스 스테이션(1)의 후방부에 안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긴 하지만,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수의 수정예 및 변형예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캡슐(capsule) 또는 포드(pod)의 내부에 담긴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대용량 물 저장조(12)(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물 저장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 그리고
    추출 헤드(4)를 포함하며, 자율 사용 모드로부터 도킹 사용 모드로 베이스 스테이션(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2)을 포함하며,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2)은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 27a)을 포함하며,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은 각각, 음료 조제 모듈(2)이 도킹 위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짝을 이루는 위치 설정 수단(5a, 5b)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이 자율 사용 모드에 있는 경우 모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모듈(2)의 물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선택적인 물 공급 수단(11, 29, 36)과 물 유출구 연결 수단(28, 32, 3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수단(5a, 5b)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드립 트레이(3)가 모듈(2)의 액체 유출구(4a)의 수직 방향 하방에 배치되도록 음료 조제 모듈(2)을 베이스 스테이션(1) 상에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인 물 공급 수단은 모듈(2)에 연결 가능한 액체 저장조(11, 29)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저장조(11, 29)의 물 저장 용량이 베이스 스테이션의 물 저장조(12, 41)의 용량보다 작고, 예를 들어, 액체 저장조(11, 29)의 물 저장 용량은 50ml 내지 25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인 물 공급 수단은 유입구 연결 수단(27)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또는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가요성 물 인출 관(36)과 물 유출구 연결 수단(36a)을 포함하며, 상기 관은 외부 물 공급원(예를 들어, 물병 또는 유리잔)에 모듈을 일시적으로 유체 연결하기 위해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밀봉 캡슐 또는 포드의 내부에 담긴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드립 트레이(3)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 그리고
    액체 유출구(4a)를 구비한 추출 헤드(4)를 포함하며 베이스 스테이션(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2)을 포함하며,
    상기 자율 작동식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은 각각, 음료 조제 모듈(2)이 베이스 스테이션(1)에 연결되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짝을 이루는 위치 설정 수단(5a, 5b)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설정 수단(5a, 5b)은 베이스 스테이션(1)의 드립 트레이(3)가 모듈(2)의 액체 유출구(4a)의 수직 방향 하방에 배치되도록 음료 조제 모듈(2)을 베이스 스테이션(1) 상에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출구(4a)를 구비한 추출 헤드(4)는 자율 작동식 모듈(2)의 본체(6)의 수평 방향 축선(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의 드립 트레이(3)의 수직 방향 위치는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조제 모듈(2)은 모듈(2)의 기부(9)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컵 지지부(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조제 모듈(2)은 물 펌프(10a)와 물 가열 수단(10b)을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은 본질적으로 음료 조제 모듈(2)의 액체 저장조(11)보다 크기가 큰 추가의 액체 저장조(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조제 모듈(2)과 베이스 스테이션(1)의 사이의 액체 연결 및/또는 전기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연결 수단(1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캡슐 또는 포드의 내부에 담긴 일정한 비율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식 시스템으로서,
    물 저장조(12, 4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테이션(1), 그리고
    추출 헤드(4)를 포함하며, 자율 사용 모드로부터 도킹 사용 모드로 전환되도록 베이스 스테이션(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자율 작동식 음료 조제 모듈(2)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 단자(예를 들어, USB, 인터넷,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미디어 플레이어(예를 들어, TV 디스플레이, 라디오, MP3/MP4), 이동 장치(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용 저전압 충전 단자 및 그 조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시스템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서로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기능성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 스테이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컵 히터, 물 냉각 장치, 우유 거품 생성 장치, 감미료(예를 들어, 설탕) 분배 장치, 스푼 분배 장치 및 그 조합체를 포함하는 추가의 기능성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보관 모드에서 소용량 저장조(29)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1a)를 구비하는 본체(33)를 포함하는 밑넓이가 작은 음료 장치로서, 상기 저장조(29)는 상기 보관 모드로부터 본체의 물 유입구(27)에 연결되는 물 연결 모드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장치는 물 연결 모드에서보다 보관 모드에서 밑넓이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장치.
KR1020117018915A 2009-01-14 2010-01-12 밑넓이가 작은 구조의 자율 작동식 모듈을 구비한 모듈식 시스템 KR20110106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0556.0 2009-01-14
EP09150556A EP2208450A1 (en) 2009-01-14 2009-01-14 Modular system with small footprint autonomous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929A true KR20110106929A (ko) 2011-09-29

Family

ID=4062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915A KR20110106929A (ko) 2009-01-14 2010-01-12 밑넓이가 작은 구조의 자율 작동식 모듈을 구비한 모듈식 시스템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8978542B2 (ko)
EP (3) EP2208450A1 (ko)
JP (1) JP5497788B2 (ko)
KR (1) KR20110106929A (ko)
CN (1) CN102281804B (ko)
AU (1) AU2010205742B2 (ko)
BR (1) BRPI1007366A2 (ko)
CA (1) CA2747645C (ko)
DK (1) DK2387341T3 (ko)
ES (1) ES2403229T3 (ko)
HK (1) HK1162279A1 (ko)
HR (1) HRP20130247T1 (ko)
IL (1) IL213512A0 (ko)
MX (1) MX2011007473A (ko)
MY (1) MY153774A (ko)
PL (1) PL2387341T3 (ko)
PT (1) PT2387341E (ko)
RU (1) RU2520600C2 (ko)
SG (1) SG172135A1 (ko)
SI (1) SI2387341T1 (ko)
UA (1) UA106599C2 (ko)
WO (1) WO20100817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8450A1 (en) 2009-01-14 2010-07-21 Nestec S.A. Modular system with small footprint autonomous module
CA2991233C (en) * 2010-11-09 2019-07-23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20120241352A1 (en) 2011-03-22 2012-09-27 Pramanik Pranabes K Articles formed from a multi-layer sheet structure
EP2755535B1 (en) * 2011-09-16 2018-10-31 Nestec S.A.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multiple connections
CN103781388A (zh) * 2011-09-16 2014-05-07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清洁的多系统饮料机
CA2845399A1 (en) * 2011-09-16 2013-03-21 Nestec S.A.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safe connector
US10034570B2 (en)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10080459B2 (en) 2011-11-09 2018-09-25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9445686B2 (en) 2011-11-16 2016-09-20 Bunn-O-Matic Corporation Liquid beverage dispenser
BR112014015797A8 (pt) * 2011-12-30 2017-07-04 Nestec Sa máquina de bebidas de múltiplos sistemas
WO2013175346A1 (en) * 2012-05-23 2013-11-28 Koninklijke Philips N.V. Beverage producing device with a dual-position water container
US8811008B2 (en) * 2012-06-08 2014-08-19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Llc Modular docking station for enclosing mobile devices
WO2015006448A1 (en) 2013-07-10 2015-01-15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with carafe compatible drip tray
DE202014003780U1 (de) * 2014-05-07 2014-06-03 ATLANTIS Information Technology GmbH Spielgerätesteuerung
GB2531780B (en) * 2014-10-30 2018-04-04 Douwe Egberts Bv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10067109B2 (en) * 2014-11-05 2018-09-04 Creator, Inc. Method for tracking heat exposure of foodstuffs
CN108289567A (zh) * 2015-10-05 2018-07-17 磨王公司 具有可调节搁架的饮料冲调机
CN108778069B (zh) 2016-03-17 2021-07-20 优格斯特/弗里斯马格股份公司 饮料制备装置以及运行方法
ITUA20163311A1 (it) 2016-05-10 2017-11-10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da caffè con telaio modulare e relativo metodo di assemblaggio
CN106264143B (zh) * 2016-09-22 2019-05-10 佛山市艾妙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胶囊咖啡机
JP7177049B2 (ja) 2016-11-09 2022-11-22 ペプシコ・インク 炭酸飲料メーカ、方法、及びシステム
CN108309058B (zh) * 2017-01-16 2024-05-31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用于净饮机的接水盒组件和具有其的净饮机
KR102216748B1 (ko) * 2017-06-26 202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GB2570366B (en) * 2018-01-26 2020-03-18 Ne Innovations Ltd Pod and dispensing method
US10772458B2 (en) 2018-07-25 2020-09-15 Willie Lawrence Rollable beverage brewing assembly
WO2020064982A1 (en) * 2018-09-27 2020-04-0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daptive service unit of a beverage machine
USD909173S1 (en) * 2019-02-25 2021-02-02 Keurig Green Mountain, Inc. Handle
CN110101306B (zh) * 2019-05-10 2021-06-15 蔡坚明 咖啡机
CN110638317B (zh) * 2019-11-05 2020-12-29 郝迪 一种加热及搅拌的水杯套件
WO2022024069A1 (en) * 2020-07-30 2022-02-03 Gruppo Gimoka S.R.L.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unit starting from disposable product packages and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said unit
USD978653S1 (en) 2021-08-20 2023-02-21 Keurig Green Mountain, Inc.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6137A (en) * 1960-09-21 1965-06-01 Melikian Inc Rud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beverage type
US3293042A (en) * 1966-02-21 1966-12-20 Melikian Inc Rudd Ground coffee filled beverage tape
US3915341A (en) * 1974-11-27 1975-10-28 Jet Spray Cooler Inc Manual fill hot beverage dispenser
US4147097A (en) * 1976-09-23 1979-04-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drip-type coffee
US4138936A (en) * 1977-05-20 1979-02-13 Rival Manufacturing Company Coffee brewing machine
JPS554741U (ko) * 1978-06-26 1980-01-12
US4263498A (en) * 1979-02-26 1981-04-21 Hobart Corporation Expansion chamber arrangement for water heating and dispensing device
US4252254A (en) * 1979-07-26 1981-02-24 Umc Industries, Inc. Hot beverage vendor
US4300442A (en) * 1980-04-28 1981-11-17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Coffee maker
US4448113A (en) * 1982-09-29 1984-05-15 Brabon David L Coffee refreshener
IT8321541V0 (it) 1983-04-14 1983-04-14 Nuova Faema Spa Serie di elementi modulari, variamente componibili, per la formazione di macchine per ilcaffe' espresso.
EP0228760A1 (en) * 1986-01-08 1987-07-15 W.M. STILL & SON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hot liquids
US4748901A (en) * 1986-10-23 1988-06-07 Sunbeam Corporation Coffeemaker
US4704954A (en) * 1986-11-10 1987-11-10 Mollenhoff David V Drip coffee maker
US5217288A (en) * 1991-02-28 1993-06-08 Boyd Coffee Company Beverage brewer with interlocking component parts for nontool assembly/disasembly
USD350872S (en) * 1992-04-24 1994-09-27 Zeller Noel E Hot-beverage maker
US5755149A (en) * 1993-12-20 1998-05-26 Compagnie Mediterraneenne Des Cafes S.A. Automati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hot beverage infusions
US5461867A (en) * 1994-05-31 1995-10-31 Insta-Heat, Inc.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D370588S (en) * 1995-04-17 1996-06-11 Health O Meter, Inc. Brewing device
US5549036A (en) * 1995-08-24 1996-08-27 Hourizadeh; Richard Cappuccino making apparatus
DE29605821U1 (de) * 1996-03-28 1996-06-20 Wu, Tsann-Kuen, Tainan Hsien Aufgußeinrichtung für eine Venturi-artige Vorrichtung zur Blasenerzeugung
US6405637B1 (en) * 2000-01-13 2002-06-18 Houseware Technology Group Llc Fluid delivery system for generating pressure pulses to make beverages
FR2806606B1 (fr) * 2000-03-24 2002-10-25 Moulinex Sa Machine a cafe electrique avec reservoir d'eau pivotant
DE20102048U1 (de) * 2001-02-06 2002-01-10 Eugster Frismag Ag Romanshorn Sicherheitsvorrichtung eines Dampfschäumgeräts zur Herstellung eines geschäumten Getränks
FR2823962B1 (fr) * 2001-04-26 2003-08-01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cuisson a la vapeur a degagement de vapeur reduit
US6619507B2 (en) * 2001-08-16 2003-09-16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dispenser with drip tray assembly and method
ATE343531T1 (de) 2002-01-16 2006-11-15 Nestle Sa Geschlossene kartusche versehen mit einer öffnungsanordnung
US7231869B2 (en) * 2003-01-24 2007-06-19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017472B2 (en) * 2003-10-10 2006-03-28 Hp Intellectual Corp. Brewing apparatus water temperature control
JP4133754B2 (ja) * 2003-11-13 2008-08-13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コーヒーメーカー
ATE375743T1 (de) * 2003-11-22 2007-11-15 Nestec Sa Mobile oder tragbare vorrichtung mit druckgasreservoir zur zubereitung von getränken oder ähnlichen produkten
GB2413480B (en) *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677158B2 (en) * 2004-11-03 2010-03-16 Sunbeam Products, Inc. Beverage maker having brewing chamber adapted to receive coffee pods or loose coffee
PL383109A1 (pl) * 2005-02-07 2008-02-18 Nestec S.A. Urządzenie do sporządzania napoju z kapsułki przez wtryskiwanie płynu pod ciśnieniem, i dostosowana do tego oprawa kapsułki
US20060254428A1 (en) * 2005-05-14 2006-11-16 Glucksman Dov Z Coffee making apparatus
ATE440529T1 (de) * 2005-06-07 2009-09-15 Nestec Sa Schaumspender mit milchgefäb, abnehmbarer düse und tropfenfangvorrichtung für empfänger von unterschiedlicher híhe
WO2007017849A2 (en) * 2005-08-11 2007-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US7926413B2 (en) * 2006-05-19 2011-04-19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server with a drip tray assembly
DE602006020119D1 (de) 2006-06-09 2011-03-31 Nestec Sa Modulares Getränk-Herstellungs-System mit einer Dockingstation
US20080000357A1 (en) * 2006-06-30 2008-01-03 Frank Yang Hot beverage brewing device
US8087346B2 (en) * 2006-07-25 2012-01-03 Newco Enterprises, Inc. Multiple beverage brewer
US20080041231A1 (en) * 2006-08-17 2008-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beverages
US7861646B2 (en) * 2006-12-22 2011-01-04 Bockbrader Robert H Device for producing small batches of coffee from liquid coffee concentrate
US20080178741A1 (en) * 2007-01-31 2008-07-31 Demars Robert Coffee maker with CD, DVD and MP3 player
GB2447024A (en) * 2007-02-27 2008-09-03 Kraft Foods R & D Inc A dispensing machine for hot or cold drinks
EP2208450A1 (en) * 2009-01-14 2010-07-21 Nestec S.A. Modular system with small footprint autonomous module
US9764937B2 (en) * 2013-05-15 2017-09-19 Ecolab Usa Inc. Mass based low product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387341T3 (da) 2013-04-08
HRP20130247T1 (hr) 2013-04-30
US20110265658A1 (en) 2011-11-03
CA2747645A1 (en) 2010-07-22
CN102281804A (zh) 2011-12-14
US20150144003A1 (en) 2015-05-28
US8978542B2 (en) 2015-03-17
WO2010081791A3 (en) 2010-11-11
PT2387341E (pt) 2013-03-18
PL2387341T3 (pl) 2013-08-30
UA106599C2 (uk) 2014-09-25
WO2010081791A2 (en) 2010-07-22
AU2010205742B2 (en) 2015-07-16
AU2010205742A1 (en) 2011-07-14
BRPI1007366A2 (pt) 2016-02-16
EP2387341B1 (en) 2013-03-06
EP2387341A2 (en) 2011-11-23
CN102281804B (zh) 2014-04-16
MY153774A (en) 2015-03-13
CA2747645C (en) 2015-09-01
HK1162279A1 (en) 2012-08-31
EP2208450A1 (en) 2010-07-21
IL213512A0 (en) 2011-07-31
MX2011007473A (es) 2011-08-03
ES2403229T3 (es) 2013-05-16
RU2520600C2 (ru) 2014-06-27
SI2387341T1 (sl) 2013-04-30
RU2011134042A (ru) 2013-02-20
EP2462849A1 (en) 2012-06-13
JP2012515009A (ja) 2012-07-05
SG172135A1 (en) 2011-07-28
JP5497788B2 (ja)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6929A (ko) 밑넓이가 작은 구조의 자율 작동식 모듈을 구비한 모듈식 시스템
EP2222210B1 (en) One hand carriable liquid food or beverage machine
EP2592980B1 (en) Secure cup support for beverage machine
CA2821826A1 (en) Modular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10334980B2 (en) Mobil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ES2466865T3 (es) Dispositivo de distribución de vapor o agua caliente que se puede almacenar
US20180103793A1 (en) Mobile Liquid Tank for Heating Liquids
CN110691538A (zh) 具有可收缩界面的饮料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