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446A - 골반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골반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446A
KR20110105446A KR1020100024567A KR20100024567A KR20110105446A KR 20110105446 A KR20110105446 A KR 20110105446A KR 1020100024567 A KR1020100024567 A KR 1020100024567A KR 20100024567 A KR20100024567 A KR 20100024567A KR 20110105446 A KR20110105446 A KR 2011010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eat
user
pedestal
pelv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102010002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446A/ko
Publication of KR2011010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4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 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접촉면에 에어 챔버를 내장함으로써 에어를 주입 또는 방출하여 사용자의 착석시에 사용자 골반에 에어로 가압하여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골반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방 양단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1쌍의 베이스 힌지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힌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힌지가 하방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1쌍의 좌대 받침대; 상기 베이스와 좌대 받침대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좌대 받침대를 각각 탄성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적어도 1쌍의 판스프링; 상기 각쌍의 좌대 받침대 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때 내측단이 각각 회전 변위되는 한쌍의 좌대판; 및 상기 한쌍의 좌대판 위에 설치되어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연장 부분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좌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반 교정용 의자{CHAIR FOR CORRECTING OF PELVIS}
본 발명은 골반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접촉면에 에어 챔버를 내장함으로써 에어를 주입 또는 방출하여 사용자의 착석시에 사용자 골반에 에어로 가압하여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골반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골반(pelvis)은 남성의 경우 65°, 여성의 경우 85°의 각도를 이루며, 성기, 분비기관, 소화기관 하부를 수용 및 보호할 뿐만 아니라, 양쪽 다리와 연결되어 몸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골반은 상체와 하체를 연결하는 중심이자 내부 장기와 생식기 등을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는 만큼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부위 중 하나이다.
그런데, 골반은 불규칙한 생활습관, 운동부족, 특히 여성의 경우에 하이힐 착용, 임신과 출산 등에 의해 뒤틀리거나 벌이질 수 있다. 일례로, 여성의 골반은 출산할 때 태아가 잘 나올 수 있도록 벌어졌다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수축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뒤틀리거나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펑퍼짐한 아줌마 체형의 원인도 출산시에 벌어졌다 제대로 돌아가지 못한 골반 때문이다.
골반의 뒤틀림이나 벌어짐은 고관절, 척추부터 목까지 전체적인 체형의 불균형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척추로부터 퍼져 있는 신경이나 골반 안의 장기를 압박해 여러 질환이나 통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골반의 뒤틀림이나 벌어짐은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각종 통증, 전체적인 몸의 균형이 깨지면서 척추가 휘고 휘어진 척추가 신경을 압박해 견비통(어깨결림), 오십견, 요통, 관절염 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골반의 변이에 따라 고관절의 위치도 변형돼 척추 측만증, 휜다리(일명 'O자형'이나 'X'자형 다리), 일자목 등의 체형 불균형을 초래한다. 더욱이, 골반의 변형은 여성의 경우에 골반 안에 있는 자궁과 난소에도 영향을 미쳐 생리통이나 냉대하 등의 여성질환의 원인이 되고, 남성의 경우에 골반 안에 있는 정낭이나 비뇨 생식기에 영향을 미쳐 전립선 질환 등의 남성질환의 원인이 된다.
특히, 여성들의 경우에는 골반의 뒤틀림이나 벌어짐으로 인해 몸매의 불균형 상태가 유발되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잃을 수 있다. 즉, 여성들은 잘록한 허리를 강조하는 하이웨이스트 스커트(high-waist skirt), 예쁜 엉덩이와 다리를 강조하는 미니스커트(mini skirt) 등과 같이 몸매가 드러나는 패션으로 매력을 발산하고 싶지만, 골반의 뒤틀림이나 벌어짐 때문에 전체적인 체형이 틀어져 자신만의 스타일을 연출하기를 망설인다.
아름다운 몸매는 잘록한 허리와 탄력 있는 엉덩이 라인에 의해 좌우된다. 하지만 대다수의 여성들은 체형적으로 아름다운 엉덩이 라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드물다. 대부분 엉덩이 상부는 볼륨이 적고, 하부는 엉덩이 바깥쪽과 허벅지에 지방이 축적돼 쳐져 보이기 쉬운 형태로 변형되는 동시에 다리까지 짧아 보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엉덩이가 처지고 퍼져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엉덩이 근육을 감싸고 있는 골반이 틀어지고 벌어져 있기 때문이다. 골반이 벌어지고 틀어지면 골반과 연결된 고관절(다리관절)의 돌출증상이 유발되어 엉덩이 바깥쪽이 튀어나와 보이면서, 엉덩이 근육은 더욱 퍼지고 처지게 마련이다. 또한, 체중의 중심이 다리 바깥쪽으로 기울고 종아리 사이가 벌어지면서 골반이 안쪽으로 들어가 골반 옆 라인부터 엉덩이까지 군살이 붙으며, 엉덩이 아래로는 지방이 축적되어 엉덩이가 더욱 넓게 보이게 된다.
특히,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 이후에 엉덩이의 탄력성이 더욱 떨어진다. 즉, 엉덩이가 처지고 퍼지는 것은 불어난 체중과 동시에 출산에 의해 과도하게 틀어지고 벌어진 골반이 제대로 회복되기 이전에 무리한 육아 생활로 자세가 더욱 나빠지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들은 자연스럽게 30대를 넘어서면서 임신과 출산 후 골반 벌어짐 방치, 신체의 호르몬적 변화, 자연노화로 인한 근육량 저하와 지방분포도의 변화, 피부 탄력의 저하 등으로 엉덩이의 탄력성을 회복하기 어려울 지경에 이르게 된다.
이처럼 골반의 변형은 여러 가지 건강상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불균형 체형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매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골반의 뒤틀림과 벌어짐을 교정해야 한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에는 출산 직후에 골반 교정이 중요한데, 임신기간 벌어진 골반을 제때 교정만 해준다면 손상된 근육을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와 기초대사를 높여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매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이 제안한 특허등록번호 제 654918 호의 "골반 보호용 의자"가 있다. 이와 같은 의자는 사용자가 분할된 좌대에 착석할 때 분할된 좌대 받침대가 판스프링에 의해 각각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들의 신체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골반의 간격에 맞게 한 쌍의 좌대 간격을 일정한 거리로 설정하여 중심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골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의자는 기본적으로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용자의 골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골에 대한 압박을 해소하여 미골에 발생되는 통증을 억제하며, 항문 질환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종래의 의자는 좌대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된 판스프링에 의해 각각 내측으로 변위되는 구조만으로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의 골반이 틀어지거나 벌어지기 이전에 예방 기능을 주로 제공하며, 임산부와 같이 실제로 골반이 틀어지거나 벌어진 이후에 골반 교정 기능을 제공하기에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형상이 아닌 평판형 좌대로서, 이러한 좌대가 판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변위될 때 골반의 한 부분(즉, 골반의 엉덩이)에만 힘이 작용하여, 골반 둘레에 고르게 힘을 작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의자는 골반 둘레에 골반 교정을 위한 힘을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기 체형이 다른 사용자를 위해 적합한 골반 교정을 기대하기 어렵다. 즉, 사람은 각기 체형이 다르며, 이에 따라 골반이 작거나 또는 크거나, 살이 쪘거나 말랐거나 등등 여러 가지 형태의 골반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체형을 고려하고 그에 따라 골반 둘레에 힘을 가하여 골반을 교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의자는 골반의 틀어짐이나 벌어짐을 예방하는 본연의 기능에 부가하여 골반을 교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건강과 아름다운 몸매를 가꿀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성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접촉면에 에어 챔버를 내장함으로써 에어를 주입 또는 방출하여 사용자의 착석시에 사용자 골반에 에어로 가압하여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골반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방 양단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1쌍의 베이스 힌지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힌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힌지가 하방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1쌍의 좌대 받침대; 상기 베이스와 좌대 받침대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좌대 받침대를 각각 탄성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적어도 1쌍의 판스프링; 상기 각쌍의 좌대 받침대 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때 내측단이 각각 회전 변위되는 한쌍의 좌대판; 및 상기 한쌍의 좌대판 위에 설치되어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연장 부분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좌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대는, 상기 연장 부분에 내장되고, 에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가압하기 위한 에어 챔버(air chamber)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좌대는, 상기 에어 챔버로 에어를 주입 또는 방출시키기 위한 에어 펌핑부; 및 상기 에어 펌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하 운동을 상기 에어 펌핑부에 전달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대는, 체압 분산 효과가 있고 통기성 재질의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접촉면에 에어 챔버를 내장함으로써 에어를 주입 또는 방출하여 사용자의 착석시에 사용자 골반에 에어로 가압하여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의 형태를 올바른 자세, 골반을 교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따로 운동 시간을 내거나 헬스클럽과 같은 곳을 찾지 않고 간편하게 골반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의자의 주요구성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판스프링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의자의 주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좌대의 사시도,
도 5b 및 도 5c는 좌대의 단면도,
도 5d는 상기 도 5a의 번형예에 대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에어 펌핑부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의자의 주요구성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 판스프링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의자의 주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는 좌대의 사시도이고, 도 5d는 상기 도 5a의 번형예에 대한 사시도, 도 5b 및 도 5c는 좌대의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에어 펌핑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의자는 기본적으로, 캐스터(66)가 장착된 스탠드(65)의 상단에 장착된 고정부(60)에 설치되는 베이스(10), 베이스의 양단에 힌지(hinge) 결합되는 2쌍의 좌대 받침대(20), 베이스(10)와 좌대 받침대(20) 사이에 탄성적 결합을 가능하게 해 주는 판스프링(30), 2쌍의 좌대 받침대(20) 위에 설치되며 플라스틱 또는 합판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좌대판(50b), 한쌍의 좌대판(50b) 위에 설치되는 한쌍의 좌대(50a), 베이스(10)에 형성된 설정 나사 결합부(11c)에 결합되어 좌대(50a)의 변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변위 각도 설정 나사 또는 볼트(80), 베이스(10)에 장착되는 등받이(70) 및 팔걸이(75)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70) 및 팔걸이(75)는 주지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베이스(10)는 판형구조의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대칭적으로 그 양단에 배치된 2쌍의 베이스 힌지(13)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베이스 힌지(13)에는 힌지 결합을 위한 제1 힌지 결합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후단 중앙 부분에는 고정부(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a)에는 고정부(6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적어도 4개의 베이스 결합공(11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a)는 베이스(10)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요홈 구조로 형성하여 베이스 결합공(11b)에 결합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용하고, 스프링(30)의 만곡부(35)의 하향에 따른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된 베이스 결합공(11b)의 각 내측방향(중심부 방향) 일측에 좌대(50a)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변위 각도 설정 나사(80)가 결합되는 설정 나사 결합부(11c)가 형성된다. 즉, 좌대(50a)의 회전 각도는 설정 나사 결합부(11c)에 변위 각도 설정 나사(80)를 사용자에 따라 적당한 높이로 결합함으로써 제한된다. 이는 변위 각도 설정 나사(80)의 설정 위치에 따라 좌대(50a)의 회전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최적의 골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10)의 일측 즉, 좌대판(50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설정 나사 결합부(11c)에 나사 결합되는 변위 각도 설정 나사(80)를 돌려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나사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면 좌대판(50b)과 좌대(50a)의 중앙부분에 대한 변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골반의 크기와 체중 같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좌대판(50b)과 좌대(50a)의 변위 각도를 설정할 수 있어서 착용감을 최적화할 수 있다.
특히, 신체의 하중 상태가 비대칭인 장애자가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변위 각도 설정 나사(8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 사용자에게 최적인 상태로 각 좌대판(50b)과 좌대(50a)의 변위 각도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약 2mm 두께의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모서리 부분은 하향으로 절곡되게 하고, 그 중심부는 가로 방향 즉, 베이스 힌지(13) 방향으로 길게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게 프레스 가공하여 전체적으로 기계적 강도를 높였다.
한편, 좌대 받침대(20)는 베이스(10)의 베이스 힌지(13)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4개로 구성된다(도 2 참조). 이러한 좌대 받침대(20)는 베이스 힌지(13)에 힌지 결합되는 4개의 받침대 힌지(23)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좌대판(50b)이 설치되는 좌대 설치부(21)가 형성된다. 아울러, 좌대 설치부(21)의 일단인 받침대 힌지(23)의 반대측에는 판스프링(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단(34)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21a)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좌대판(50b)을 결합시키기 위한 좌대 결합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대 힌지(23)는 베이스 힌지(13)의 제1 힌지 결합공(13a)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 결합공(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에는 베이스(10)의 측단부에 걸리는 스토퍼(23b)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베이스(10)의 베이스 힌지(13)와 좌대 받침대(20)의 받침대 힌지(23)는 서로 힌지 볼트(40)를 이용하여 힌지 결합하는데, 베이스(10)와 좌대 받침대(20) 사이에 판스프링(30)을 강제로 압착하여 장착한 후에 힌지 볼트(40)를 체결한다.
판스프링(30)은 베이스(10)와 좌대 받침대(20)의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만곡된 형태로 설치되는 중앙부(33), 중앙부(33)를 중심으로 두고 좌대 받침대(20)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상단부(32), 상단부(32)의 일단부에 상향 절곡되어 좌대 받침대(20)의 스프링 결합부(21a)에 결합되는 고정단(34), 중앙부(33)를 중심으로 두고 베이스(1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하단부(31)로 구성된다(도 3 참조).
좌대(50a)는 좌대 받침대(20) 위의 좌대판(50b)에 좌대 볼트(55)로 고정된다.
좌대(50a)는 사용자가 앉지 않은 상태일 때 판스프링(30)에 의해 좌대 받침대(20)와 좌대판(50b)이 베이스(10)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평행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좌대(50a)는 판스프링(30)에 의한 척력을 좌대 받침대(20)의 받침대 힌지(23)에 형성된 스토퍼(23b)의 일측이 베이스(10)의 측단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수평상태를 벗어나 상방으로 올라가지 않고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좌대(50a)는 사용자가 앉으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베이스 힌지(13) 및 받침대 힌지(23)를 중심으로 의자의 중앙 쪽에서 하향 이동하여 완만한 V자형을 형성한다. 이는 골반의 양측면에서 중심쪽으로 밀어주는 힘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교정한다. 이때, 베이스 힌지(13) 및 받침대 힌지(23)의 회전 중심은 시소(seesaw)의 받침대로서 작용하며, 도 1과 같이 좌대(50a)의 단면을 양분하여 의자 중앙쪽을 내측이라 하고 반대쪽을 외측이라 할 때, 외측 임의의 지점에 위치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힌지(13) 및 받침대 힌지(23)의 회전 중심은 좌대(50a)의 중앙쪽부터 2/3 지점에 위치한다. 이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좌대(50a)의 기울어짐을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골반 교정이 필요하지 않은 어린이의 경우에 일반적인 의자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몸무게가 가벼운 어린이(30㎏ 미만)의 경우에는 좌대(50a)의 기울어짐이 거의 없고, 골반 교정이 필요한 임산부(40㎏ 이상)의 경우에는 좌대(50a)가 충분하게 기울어져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좌대(50a)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직접 밀착하는 밑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엉덩이의 옆면을 둘러싸 좌우 골반을 수용하기 위한 좌대 연장 부분(A)을 형성한다. 이러한 좌대 연장 부분(A)은 사용자 엉덩이의 측면을 에어(air)를 이용해 가압하기 위한 에어 챔버(air chamber, AC)를 내포하고 있다. 이때, 좌대(50a)는 에어 관통로(50e)를 통해 연결되고, 에어 챔버(AC)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방출하기 위한 에어 펌핑부(air pumping, 50c)를 하부에 구비한다. 여기서는 좌대(50a)의 좌대 연장 부분(A)이 골반의 측면에만 형성되어 사용자 엉덩이의 옆면을 둘러싸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사용자 엉덩이의 배면에 대해서도 에어 챔버(AC)를 내포하는 좌대 연장 부분(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좌대(50a)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인 바닥면에 엉덩이 수용부(B)를 형성하여 엉덩이의 밀착도를 높여 골반 교정의 효과를 향상한다(도 5a 참조). 이때, 엉덩이 수용부(B)는 평평한 상태로 형성하거나(도 5b 참조), 의자 중앙부분으로 소정의 각도(θ)로 경사를 갖는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도 5c 참조). 이때, 좌대(50a)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오랜 시간 접촉하기 때문에 체압 분산 효과가 있고 통기성 재질(일례로, 폴리우레탄 수지 등)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대(50a)는 변형 실시예로서, 바닥면에도 에어 챔버(AC)를 형성하여 측면의 에어 챔버(AC)와 연통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 5d 참조). 이는 사용자가 착석할 때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바닥면의 에어 챔버(AC)가 눌려 에어를 밀어내고 그에 따라 측면의 에어 챔버(AC)에 의해 골반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져 골반 교정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에어 펌핑부(50c)는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50d) 조작을 통해 에어 챔버(AC)에 에어를 주입한다. 즉, 에어 펌핑부(50c)는 손잡이(50d)의 상하 반복 운동에 의한 펌핑 동작을 통해 에어 챔버(AC)에 에어를 주입한다.
이를 위해, 에어 펌핑부(50c)는 사용자의 손잡이(50d) 조작에 의해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 챔버(AC)에 주입하는 피스톤(50f), 손잡이(50d)와 피스톤(50f)을 서로 연결하여 손잡이(50d)의 운동을 피스톤(50f)에 전달하는 연결축(50g), 에어의 흡입을 위한 통로로서의 에어 흡입부(50h), 피스톤(50f)을 이용해 에어 챔버(AC)에 에어가 주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50i), 연결축(50g)에 연결되어 스프링(50i)을 지지하는 스프링 받침대(50j)를 포함한다(도 6a 내지 도 6c 참조). 이때, 에어 펌핑부(50c)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에어를 에어 챔버(AC)에 주입할 때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 관통로(50e)와 에어 흡입부(50h)에 체크밸브(check valve, CV)를 구비한다. 이러한 체크밸브(CV)는 에어챔버(AC)에 에어를 주입하는 일방에 대해서만 개방한다.
에어 펌핑부(50c)는 사용자가 손잡이(50d)를 상하로 동작시키면 에어 흡입부(50h)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 관통로(50e)를 통해 에어 챔버(AC)로 주입한다(도 6a 및 도 6b 참조). 즉, 사용자는 손잡이(50d)를 아래로 내릴 때 에어 흡입부(50h)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고, 다시 손잡이(50d)를 위로 올릴 대 에어 관통로(50e)를 통해 에어 챔버(AC)에 에어를 주입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에어 챔버(AC)는 사용자의 골반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에어가 주입된다.
여기서는 일체형 에어 펌핑부(50c)가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에어 펌핑부(50c)의 연결없이 통상의 분리된 에어 펌프를 에어 관통로(50e)에 연결하여 에어를 주입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동식 에어 펌핑부(50c) 대신에 주지된 전동식 에어 펌핑부를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에어 관통로(50e)는 에어 관통로(50e) 상에 에어 챔버(AC)에 주입된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에어 방출부(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거나, 에어 챔버(AC)의 일측에 에어 방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에어 방출부는 튜브나 물풀에서 이용되는 이중 마개형,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밸브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베이스 11: 베이스 플레이트
11a: 결합부 11b: 베이스 결합부
11c: 설정나사 결합부 13: 베이스 힌지
13a: 제1 힌지 결합공 20: 좌대 받침대
21: 좌대 설치부 21a: 스프링 결합부
21b: 좌대 결합공 23: 받침대 힌지
23a: 제2 힌지 결합공 23b: 스토퍼
30: 판스프링 40: 힌지볼트
50a: 좌대 50b: 좌대판
50c: 에어 펌핑부 50d: 손잡이
60: 고정부 65: 스탠드
66: 캐스터 70: 등받이
75: 팔걸이 80: 변위 각도 설정 나사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방 양단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1쌍의 베이스 힌지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힌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힌지가 하방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1쌍의 좌대 받침대;
    상기 베이스와 좌대 받침대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좌대 받침대를 각각 탄성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적어도 1쌍의 판스프링;
    상기 각쌍의 좌대 받침대 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때 내측단이 각각 회전 변위되는 한쌍의 좌대판; 및
    상기 한쌍의 좌대판 위에 각각 설치되어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싸는 좌대 연장 부분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한쌍의 좌대
    를 포함하는 골반 교정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상기 좌대 연장 부분에 내장되고, 에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가압하기 위한 에어 챔버(air chamber)를 포함하는 골반 교정용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상기 에어 챔버로 에어를 주입 또는 방출시키기 위한 에어 펌핑부; 및
    상기 에어 펌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하 운동을 상기 에어 펌핑부에 전달하기 위한 손잡이
    를 포함하는 골반 교정용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챔버는,
    상기 좌대의 측면에 내장되거나, 상기 좌대의 측면 및 바닥면에 내장되고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체압 분산 효과가 있고 통기성 재질의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의자.
KR1020100024567A 2010-03-19 2010-03-19 골반 교정용 의자 Ceased KR20110105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567A KR20110105446A (ko) 2010-03-19 2010-03-19 골반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567A KR20110105446A (ko) 2010-03-19 2010-03-19 골반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46A true KR20110105446A (ko) 2011-09-27

Family

ID=4495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567A Ceased KR20110105446A (ko) 2010-03-19 2010-03-19 골반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4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18A1 (ko) * 2011-10-14 2013-04-18 Hong Seung-Ho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KR101382394B1 (ko) * 2012-03-02 2014-04-08 대한민국 신체 고정 장치
KR101991835B1 (ko) * 2018-07-23 2019-06-21 강선대 온열좌욕 기능을 가지는 골반 교정 운동기
JP2019162227A (ja) * 2018-03-19 2019-09-26 有限会社Opti 椅子の背凭れ
KR20210050404A (ko) 2019-10-28 2021-05-07 윤임식 골반 교정용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18A1 (ko) * 2011-10-14 2013-04-18 Hong Seung-Ho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KR101382394B1 (ko) * 2012-03-02 2014-04-08 대한민국 신체 고정 장치
JP2019162227A (ja) * 2018-03-19 2019-09-26 有限会社Opti 椅子の背凭れ
KR101991835B1 (ko) * 2018-07-23 2019-06-21 강선대 온열좌욕 기능을 가지는 골반 교정 운동기
KR20210050404A (ko) 2019-10-28 2021-05-07 윤임식 골반 교정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058B1 (ko) 골반 교정용 좌판
US9609950B2 (en) Active seating cushion
KR20110105446A (ko) 골반 교정용 의자
WO2011019165A2 (ko) 골반 교정용 좌판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KR20070001031U (ko) 허리운동용 의자
CN209564360U (zh) 按摩座椅
CN205434270U (zh) 加热按摩多功能老人椅
CN204071226U (zh) 一种办公室用健身休闲椅
KR102358047B1 (ko) 척추 스트레칭용 의자
KR100940126B1 (ko) 포터블 무릎 의자
KR20090131603A (ko) 마사지용 테이블
CN203507054U (zh) 一种保健按摩器
KR101237513B1 (ko) 골반 및 힙업 교정장치
JP3063421U (ja) 脊椎保護矯正式左右均衡座布団
CN208909432U (zh) 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CN209316175U (zh) 一种健身骑马椅
KR20090048281A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CN110623457A (zh) 适于男性人体工程学的座椅组合装置的制备方法
CN219460713U (zh) 一种靠枕
KR200204832Y1 (ko) 등받이에 지압판이 부설된 의자
KR102764180B1 (ko) 골반 및 경추용 자세 교정 기구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CN219538799U (zh) 一种适用于强直性脊柱炎的腰背拉伸器
JP3091714B2 (ja) 健康増進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3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