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376A -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 Google Patents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376A
KR20110105376A KR1020117013918A KR20117013918A KR20110105376A KR 20110105376 A KR20110105376 A KR 20110105376A KR 1020117013918 A KR1020117013918 A KR 1020117013918A KR 20117013918 A KR20117013918 A KR 20117013918A KR 20110105376 A KR20110105376 A KR 2011010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needle
hook
needle bed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87959B1 (en
Inventor
마사노리 고토
요시노리 시마사키
사토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0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04B15/365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with provision for loop transfer from one needle bed to the 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치 드롭이나 스티치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의 불량을 제거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는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을 제공한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횡편기(10)에서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복합바늘(5)의 슬라이더(7)를, 인입되는 훅(6a)의 선단이 스티치(8)에 도달하기 전에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을 시작시킨다.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스티치(8)의 위치까지 도달한다. 텅(7b)을 더 진출시키면,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8)를 따라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상승한다. 스티치(8)는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6c)보다 바늘줄기(6b)측으로 가라앉도록 압입된다. 텅(7b)에 의하여 훅(6a)을 닫을 때에, 텅(7b)의 선단이 바늘줄기(6b)에 대하여 일단 뜬 후에 가라앉도록 하면, 스티치(8)가 떠 있더라도 확실하게 가라앉혀서 훅(6a) 내에 포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t knitting machine and a stitch transfer method capable of stably transferring stitches by eliminating defects in stitch transfer such as stitch drop and breaking of stitches.
As shown in Fig. 1 (a),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the slider 7 of the compound needle 5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before the tip of the hook 6a to be inserted reaches the stitch 8; The advance to the needle bed gap 2 is started. As shown in Fig. 1 (b), the bottom of the tip of the tongue 7b reaches the position of the stitch 8. When the tongue 7b is further advanced, the bottom portion of the tip of the tongue 7b is raised along the stitch 8 as shown in Fig. 1C. The stitch 8 is press-fitted to sink toward the needle stem 6b side rather than the descending trajectory 6c of the tip of the hook 6a. When the hook 6a is closed by the tongue 7b, the tip of the tongue 7b is allowed to sink after floating once against the needle stem 6b. Even if the stitch 8 floats, the needle 6 is reliably submerged and the hook 6a. ) Can be captured.

Description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Flat knitting machine and its stitch transfer method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본 발명은, 훅(hook)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의 선두부(先頭部)가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지는 복합바늘(composite needle)을 편침(編針)으로서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및 그 횡편기에서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stitch transfer 方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needle in which a head of a slider for opening and closing a hook is divided into two blades that can advance into a needle bed gap rather than a hook upper edge.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composite needle as a knitting needle, and a stitch transfer metho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종래로부터, 횡편기의 편침으로서,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의 선두부가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로 나누어지는 복합바늘을 사용하고 있고,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블레이드의 선단부에는, 텅(tongue)이라고 불리는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설치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복합바늘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편성동작이나 스티치 트랜스퍼 동작을 하도록 한다. 특허문헌1의 도12에는, 복합바늘의 바늘본체와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버트(butt)를 안내하여 스티치 트랜스퍼 동작을 하도록 하는 캠 배치가 버트의 통과궤적(通過軌跡)과 함께 나타나 있다.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때에는,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이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킨 텅에 의하여 스티치를 지지한다. 지지되는 스티치가 텅 선단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슬라이더가 텅 선단에 의하여 훅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의 녹 오버(knock over)를 원활하게 하게 하기 위하여, 훅을 닫을 때에 텅의 선단과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의 간격을 일단 증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Conventionally, as the knitting needle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a compound needle is used in which the head of the sli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ok is divided into two blades which can advance into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hook. This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At the distal end of the blade, a step called a tongue is form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a composite needle is provided by a cam mounted on a carriage for providing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and reciprocating the needle bed. Is selectively driven to perform a knitting operation or a stitch transfer operation. In Fig. 12 of Patent Document 1, a cam arrangement for guiding a butt formed on the needle body of the compound needle and the slider to perform a stitch transfer operation is shown together with the pass trajectory of the butt. In the case of stitch transfer, the stitch delivery side supports the stitch by the tongue which is advanced into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hook upper edge. The tip of the tongue when closing the hook to prevent the supported stitch from falling off the tongue tip and to smooth knock over while the slider is closing the opening on the hook tip side by the tongue tip. Also known is a technique of in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needle body and the needle stem of the needle body and then decreasing it (see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특허문헌1의 도13에서 도20까지의 각 도면에서는, 도12의 통과궤적 상에서의 주요위치에 대응하는 복합바늘의 동작상태가 니들베드의 측면도로서 나타나 있다. 특히 도16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슬라이더를 훅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슬라이더의 선두부에 형성되는 텅에 의하여 스티치를 지지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6의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선단의 블레이드는 훅의 양측으로 분기(分岐)되어 선단이 넓어져 있다. 도17 및 도18에는, 블레이드 사이에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의 훅을 침입시키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19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슬라이더를 인입하여, 스티치를 스티치 리시빙측의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에 거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20에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인입하여, 훅 선단측의 개구부 내 즉 훅 내로 스티치를 받아들이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In Figs. 13 to 20 of Patent Document 1,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osite needle corresponding to the main position on the passage trajectory of Fig. 12 is shown as a side view of the needle bed. In particular, Fig. 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r on the stitch delivery side moves into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hook, and the stitch is supported by the tongue formed at the head of the slider. As shown in Fig. 6-B in Fig. 6, the blades at the tip of the slider are branched to both sides of the hook to widen the tip. 17 and 18 show a state in which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enters between the blades. 1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r on the stitch delivery side is inserted and the stitch is hung on the needle stem of the needle body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20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inserted and the stitch is received in the opening on the hook tip side, that is, in the hook.

횡편기에서의 스티치 트랜스퍼 동작은,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을 편성하는 경우 또는 스티치의 수를 증감시키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전후의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측에서 연결하여 통(筒) 모양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와 백 스티치(back stitch)를 포함하는 리브 편성(rib 編成) 등을 하는 경우에는, 스티치의 형성과 스티치 트랜스퍼를 교대로 하기 때문에, 스티치 트랜스퍼의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드로오프 편성(drawn-off 編成)을 하면,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에서도 리브 편성에 의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니들베드 갭의 양측에서 상하 2단으로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4매 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니들 편성에 의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를 리브 편성으로 편성할 수 있다. 4매 베드의 횡편기에서는, 각 니들베드의 하단측에서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단측에서 백 스티치를 편성한다. 일방의 니들베드의 하단측에는,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과, 대향하는 상단측의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백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이 교대로 배치된다. 백 스티치의 편성과 지지의 사이에 스티치 트랜스퍼가 이루어진다.The stitch transfer operation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is performed when a structure pattern is knitted or when the number of stitches is increased or decreased. Rib knitting including front stitch and back stitch, especially in the case of knitting the knitted fabrics knitted in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by connecting them from both sides of the knitting width to form a tubular shape. In the case of forming, etc., since the formation of the stitches and the stitch transfer are alternately performed, the frequency of the stitch transfer increases. When a draw-off knitting is carried out, a tubular knitted fabric can be knitted by rib knitting even in a pair of front and back needle beds. When using the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needle bed in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on both sides of a needle bed gap, a cylindrical knitted fabric can be knitted by rib knitting by needle knitting.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of 4 sheets, the front stitch is knitted on the lower end side of each needle bed, and the back stitch is knitted on the upper end side. On the lower end side of one needle bed, a knitting needle for knitting the front stitch and an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back stitch knitting on the opposite needle bed are alternately arranged. A stitch transfer is made between the knitting of the back stitch and the support.

도3은, 4매 베드의 횡편기에서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으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간략화 하여 나타낸다. 도3에서는, 도1에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비교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의 도19에 대응하는 동작을 (a), (b) 및 (c)의 3단계로 나누어서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 갭(2)을 사이에 두고 앞쪽에 전측하단 니들베드(前側下段 needle bed)(3a) 및 전측상단 니들베드(前側上段 needle bed)(3b)와, 뒤쪽에 후측하단 니들베드(後側下段 needle bed)(4a) 및 후측상단 니들베드(後側上段 needle bed)(4b)를 구비한다. 각 니들베드는 니들베드 갭(2)측으로 근접하면 높아지고, 멀어지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전측하단 니들베드(3a) 및 전측상단 니들베드(3b)와, 후측하단 니들베드(4a) 및 후측상단 니들베드(4b)는, 니들베드 갭(2)의 중심면(2a)에 대하여 면대칭(面對稱)이 되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니들베드에서 편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서,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는 방향을 상(上), 니들베드에 삽입되는 방향을 하(下)로 하여 기재한다.Fig. 3 shows a partially simplified view of stitch transfer from the lower end side to the upper end side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of a four-bed bed. In FIG. 3, the operation | movement corresponding to FIG. 19 of patent document 1 is divided into three steps of (a), (b), and (c), in order to compare wi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mentioned later in FIG. The flat knitting machine 1 has a front lower needle bed 3a and a front upper needle bed 3b on the front side with the needle bed gap 2 interposed therebetween. A rear lower needle bed 4a and a rear upper needle bed 4b are provided. Each needle bed is inclined so as to be closer to the needle bed gap 2 and lower when it is farther away. The front lower needle bed 3a and the front upper needle bed 3b, and the rear lower needle bed 4a and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are fac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plane 2a of the needle bed gap 2.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a surface. In this specifica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needle moves in each needle bed, the direction which advances to the needle bed gap 2 is described as an upper direction and a direction inserted into the needle bed as the lower side.

편침은 각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어, 선두부가 니들베드 갭(2)으로 진퇴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니들홈 내에서,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변위를 뜬다라고 기재하고, 저면에 근접하는 방향의 변위를 가라앉는다라고 기재한다. 편침으로서는,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합바늘(5)이 사용된다. 복합바늘(5)은 바늘본체(6)와 슬라이더(7)를 포함한다. 바늘본체(6)의 선두부에는, 훅(6a)이 바늘줄기(6b)의 선단이 되도록 형성된다. 훅(6a)은 갈고랑이 모양으로 만곡(彎曲)되고, 선단이 바늘줄기(6b)측으로 돌아가도록 구부러져 있다. 훅(6a)의 선단과 바늘줄기(6b)의 사이는 개구(開口)된다. 훅(6a)이 삽입될 때에는, 훅(6a)의 선단은 하강궤적(6c)을 지나간다.The knitting needle is accommodated in the needle grooves formed in each needle bed, and the leading part advances and retreats into the needle bed gap 2. In this specification, it is described in each needle groove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direction falling from the bottom surface is floated, and the displacement of the direction approaching a bottom surface will be settled. As the knitting needle, a composite needle 5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or Patent Document 2 is used. The composite needle 5 includes a needle body 6 and a slider 7. At the head of the needle body 6, a hook 6a is formed so as to be the tip of the needle stem 6b. The hook 6a is curved in the shape of a claw, and is bent so that the tip thereof returns to the needle stem 6b side.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tip of the hook 6a and the needle stem 6b. When the hook 6a is inserted, the tip of the hook 6a passes through the descending trajectory 6c.

슬라이더(7)는 바늘본체(6)의 바늘줄기(6b)에 형성되는 홈에 수용되어, 바늘본체(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선단부의 블레이드(7a)는 2매로 나누어지고, 각각 선두부에 텅(7b)이 형성되어 있다. 텅(7b)은 훅(6a)의 선단과 바늘줄기(6b) 사이의 개구부를 닫을 수 있다. 전측하단 니들베드(3a)가 스티치 딜리버링측이 되고, 후측상단 니들베드(4b)가 스티치 리시빙측이 되는 경우에, 스티치(8)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에 의하여 지지되어, 니들베드 갭(2)에 훅(6a)의 상부 가장자리를 넘어서 양측으로 넓어지면서 진출한다. 니들베드 갭(2)의 양측에서, 편침의 사이에는 싱커(sinker)(9)도 형성되어 있다.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블레이드(7a) 사이에 침입하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슬라이더(7)는 인입된다. 스티치(8)는 슬라이더(7)의 텅(7b)으로부터 빠져서 싱커(9)의 상부 테두리 부근에 멈춘다.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을 인입하면, 스티치(8)를 훅(6a) 내에 포착하여 받을 수 있다.
The slider 7 is accommoda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needle stem 6b of the needle body 6, and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needle body 6, and the blades 7a of the tip portion are divided into two pieces, respectively. The tongue 7b is formed in the head part. The tongue 7b can close the opening between the tip of the hook 6a and the needle stem 6b. When the front lower needle bed 3a becomes the stitch delivery side, and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becomes the stitch receiving side, the stitch 8 is supported by the tongue 7b on the stitch delivery side, and the needle bed The gap 2 extends beyond the upper edge of the hook 6a to both sides and advances. On both sides of the needle bed gap 2, a sinker 9 is also form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When the hook 6a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enters between the blades 7a on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slider 7 on the stitch delivery side is drawn in. Stitch 8 exits from tongue 7b of slider 7 and stops near the upper rim of sinker 9. When the hook 6a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pulled in, the stitch 8 can be captured in the hook 6a.

일본국 특허 제3085657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085657 일본국 특허 제3886903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886903

종래로부터의 복합바늘(5)을 사용하는 스티치 트랜스퍼에서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7)는 후측상단 니들베드(4b)로부터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는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 바늘본체(6)만이 훅(6a)을 연 상태에서 인입된다. 스티치 딜리버링측으로부터 스티치 트랜스퍼 되는 스티치(8)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이 인입되는 도중에 포착된다.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에 포착되는 스티치(8)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빠져서 싱커(9)의 상부 테두리 부근에 멈추고 있다. 스티치(8)가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티치(8)를 넓히는 힘이 편사에 결려 있다. 스티치(8)가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빠지면, 스티치(8)에는 편성포를 낮추는 힘 등이 걸린다. 편사에 충분한 신축성(伸縮性)이나 미끄러짐이 있으면, 스티치(8)의 크기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에 걸려 있는 상태보다 작아진다. 스티치(8)가 작아지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이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 인입될 때에, 훅(6a) 내에 포착하기 쉽다.In the stitch transfer using the conventional composite needle 5, the slider 7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waits in the state of not advancing into the needle bed gap 2 from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Only the needle body 6 is drawn in with the hook 6a open. The stitch 8 transferred from the stitch delivery side to the stitch 8 is captured while the hook 6a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drawn in. The stitch 8 captured by the hook 6a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exits from the upper edge of the tongue 7b on the stitch delivery side and stops near the upper edge of the sinker 9. In the state where the stitch 8 is supported at the upper edge of the tongue 7b on the stitch delivery side, a force for widening the stitch 8 is bound to the knitting yarn. When the stitch 8 is pulled out of the upper edge of the tongue 7 on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stitch 8 is subjected to a force for lowering the knitted fabric or the like. If there is sufficient elasticity or slippage for knitting, the size of the stitch 8 becomes smaller than the state caught on the tongue 7b on the stitch delivery side. When the stitch 8 becomes small, when the hook 6a of the stitch receiving side enters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it is easy to capture in the hook 6a.

편사로서 미끄러짐이 나쁜 경우 또는 신장이 적은 경우, 편성포를 낮추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스티치(8)가 작아지지 않아, 싱커(9)의 상부 테두리 부근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편성포를 낮추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경우로서는, 스티치를 늘려서 편성폭을 크게 하는 경우 또는 되돌림 편성을 하는 경우가 있다.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서 백 스티치로서 편성하는 스티치(8)를, 전측하단 니들베드(3a)로부터 후측상단 니들베드(4b)로 스티치 트랜스퍼 하는 경우에는, 스티치(8) 자체의 성질로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뜨기 쉬워진다.When the slip is bad as the knitting yarn, or when the elongation is small, when the force for lowering the knit fabric is difficult to act, the stitch 8 does not become small,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floating around the upper edge of the sinker 9. have. As a case where the force which lowers a knit fabric is hard to act,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knitting width is extended by increasing a stitch, or a back knitting is performed. In the case of stitch transfer from the front lower needle bed 4b to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from the front lower needle bed 3a to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as a property of the stitch 8 itself, It becomes easy to float in the direction falling from the hook 6a of the stitch receiving side.

스티치(8)가 떠 있는 상태가 되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6c)에 걸리거나 하강궤적(6c)보다 더 떠 버릴 우려가 있다. 스티치(8)가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6c)보다 떠 버리면, 스티치(8)를 훅(6a) 내에 포착할 수 없어, 스티치(8)는 니들베드 갭(2)으로 이탈하는 스티치 드롭(stitch drop)이 발생하여 버린다. 스티치(8)가 하강궤적(6c)에 걸리면, 스티치(8)를 형성하는 편사를 훅(6a)의 선단에서 파괴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When the stitch 8 is in a floating st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caught by the falling trajectory 6c of the tip of the hook 6a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or floats more than the falling trajectory 6c. If the stitch 8 floats more than the falling trajectory 6c of the tip of the hook 6a, the stitch 8 cannot be captured in the hook 6a, and the stitch 8 leaves the needle bed gap 2. Stitch drop occurs and is discarded. If the stitch 8 is caught by the falling trajectory 6c, the knitting yarn forming the stitch 8 may be broken at the tip of the hook 6a.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치 드롭이나 스티치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의 불량을 제거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는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 knitting machine and a stitch transfer method capable of stably transferring stitches by eliminating defects in stitch transfer such as stitch drop and breaking of stitches.

본 발명은,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先頭部)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相對移動)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開口部)를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composite needle)이 편침(編針)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tongue)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stitch)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stitch transfer)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has a needle bed which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needle bed is provided with a hook at its head. A composite needle having a needle body provided with a slider for moving relative to the needle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n the tip side of the hook is arranged as a needle. And the head of the slider is divided into two blades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needle bed gap from the upper edge of the hook by inserting the hooks from both sides, and a tongue is formed at the head of each blade. On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stitch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hook and supports the stitch between the opening tongues. On the receiving side, the hook of the needle main body advancing into the needle bed gap is inserted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and then retracted, and the stitch is received in the opening of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to perform a stitch transfer.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which can be used,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키는 훅 진출수단(hook 進出手段)과,Hook advance means for advancing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nto the needle bed gap and intruding between the tongue on the stitch delivery side;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이 인입되어, 훅의 선단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하기 전에, 훅 선단의 하강궤적(下降軌跡)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힐 때까지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텅 진출수단(tongue 進出手段)을Before the hook of the stitch receiving side enters and the tip of the hook reaches the stitch supported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bottom of the tongue tip is closer to the needle stem side of the needle body than the lower track of the hook tip. Tongue exit means for advancing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to the needle bed gap until the stitch has subsided.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橫編機)이다.It is a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는, 상기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도록 상기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기 텅 선단이 상대이동할 때에, 스티치 리시빙측의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 텅 선단의 간격이 일단 증가한 후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spaced between the needle stem and the tongue tip of the needle body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when the tongue tip is moved relative to the needle body so as to close the opening on the tip side of the hook. It is characterized by decreasing once it has increased.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바늘은, 각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의하여 구동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needle is driven by a cam mounted on the carriage reciprocating along each needle bed,

상기 캠은,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을 구동의 경로로서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m is provided with the hook advancement means and the tongue advancement means as driving paths, respectively.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니들베드는, 상기 니들베드 갭의 적어도 일방측(一方側)에서는 상하에 2단 설치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bed is provided in two stages above and below at least one side of the needle bed gap,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은, 상단(上段)의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합바늘을,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하단(下段)측으로부터 스티치 딜리버링 되는 스티치를 수취하는 스티치 리시빙측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ok advancing means and the tongue advancing means serve as a stitch receiving side for receiving a stitch which is stitch-delivered from a lower end side of an opposing needle bed, with a composite needle installed side by side on an upper needle bed. It is characterized by operating.

또한 본 발명은,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이 편침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edle bed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needle bed having a hook body having a hook at its head and an opening at the tip side of the hook relative to the needle body. A composite needle having a sli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eedle is installed side by side as a single needle, and the head of the slider is divided into two blades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hook by inserting the hook from both sides. Tongues are formed at the head, and the stitch delivery hooks the needle body to advance to the needle bed gap from the upper edge of the hook and to support the stitches between the openings of the needles, and to the needle receiving gap from the needle receiving side. Break in between tongue on delivery side Incoming after Keane, and in that the stitch transfer method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available to receive the stitches of the stitch in the opening of the receiver bingcheuk hook to transfer a stitch,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상기 훅의 선단이 상기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할 때까지 인입되기 전에,After advancing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nto the needle bed gap and infiltrating it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before the tip of the hook reaches the stitch supported between the tongues,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히는 것을By moving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nto the needle bed gap, the needle i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tongue tip, rather than the downward track of the hook tip.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이다.
It is a stitch transfer method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바늘본체의 선두부의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슬라이더의 선두부의 텅 사이에 스티치를 지지한다. 스티치 리시빙측에서는, 훅 진출수단에 의하여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다. 텅 진출수단은,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이 인입되어 훅의 선단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하기 전에,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스티치를 가라앉힌다. 스티치는 적어도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에 가라앉힐 수 있기 때문에,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상태에서는 스티치가 떠 있더라도, 훅을 인입할 때의 스티치 드롭이나 스티치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 불량을 제거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titch delivery side, stitches are supported between the tongues of the heads of the sliders which advance into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hook upper edges of the head parts of the needle body and open to each oth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the hook of the needle main body is intruded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by the hook advance means. The tongue advancement means sinks the stitch at the bottom of the tongue tip before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enters and the tip of the hook reaches the stitch supported between the tongue on the stitch delivery side. Since the stitch can sink to the needle stem side of the needle body at least than the descending trajectory of the hook tip, even if the stitch is infiltrated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stitch drops and stitches when the hook is drawn in. Stitch transfer defects such as destroying can be eliminated, resulting in stable stitch transfer.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는,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도록 바늘본체에 대하여 텅 선단이 상대이동할 때에,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 텅 선단의 간격이 일단 증가한 후에 감소한다. 텅 선단의 바닥부가 바늘줄기에 대하여 부침(浮沈)하기 때문에, 바늘줄기로부터 떠 있는 상태의 스티치를 바늘줄기측으로 밀어 내릴 수 있다. 스티치가 떠 있는 것을 해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훅을 스티치 리시빙측의 니들베드에 인입할 때에 확실하게 훅 선단측의 개구부 내에 포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decreases after the interval between the needle stem of the needle body and the tongue tip increases once when the tongue tip moves relative to the needle body so as to close the opening on the tip side of the hook. Since the bottom of the tongue tip is crushed against the needle stem, the stitch in the floating state from the needle stem can be pushed down to the needle stem side. Since the stitches can be eliminated, the hooks can be reliably captured in the openings on the hook tip side when the hooks are pulled into the needle bed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형성되는 구동의 경로로 훅 진출수단 및 텅 진출수단으로서 동작시켜서, 스티치 트랜스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ty of the stitch transfer can be improved by operating as a hook advance means and a tongue advance means through a drive path formed in the cam mounted on the carriag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백 스티치를 편성하는 상단의 니들베드에,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하단의 니들베드에서 결합하는 백 스티치를 스티치 트랜스퍼 할 때에, 떠 있기 쉬운 백 스티치를 텅의 선단에서 압입하여,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 내에 포착함으로써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itch transfer is performed on the needle bed at the upper end of the back stitch to be stitched at the needle bed at the opposite lower end with the needle bed gap therebetween, the tip of the tongue is easily floated. It is press-fitted in,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stable stitch transfer by capturing in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의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스티치를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가라앉힌다. 스티치가 바늘줄기로부터 떠 있더라도 하강하는 훅 선단의 개구부 내에 확실하게 포착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itch supported between the tongue on the stitch delivery side at the bottom of the tongue tip of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sinked to the needle stem side of the needle body rather than the descending trajectory of the hook tip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Even if the stitches float from the needle stem, the descending hook can be reliably captured in the opening of the hook tip, so that a stable stitch transfer can be achiev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서, 4매 베드의 횡편기(10)에서, 하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상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도중의 특징적인 동작을 간략화 한 것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횡편기(10)에 사용하는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의 캠 배치도이다.
도3은 종래로부터의 4매 베드의 횡편기(1)에서,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으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of a four-bed bed shows a simplified characteristic operation during stitch transfer from the needle bed on the lower side to the needle bed on the upper side. It is a cross section.
FIG. 2 is a cam arrangement diagram of the stitch transfer cam 11 us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of FIG.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stitch transfer is performed from the lower end side to the upper end side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of a conventional four-sheet b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서, 4매 베드의 횡편기(10)에서, 하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상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도중의 특징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1의 (a), (b) 및 (C)는 도3의 (a), (b) 및 (c)에 각각 대응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횡편기(10)에 대하여 횡편기(1)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Fig. 1 shows an exemplary operation of stitch stitching from a needle bed on the lower side to a needle bed on the upper side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of a four-sheet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 (a), (b) and (C) correspond to Figures 3 (a), (b) and (c), respective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art which corresponds to the flat knitting machine 1 with respect to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is attached | subjected with the same code | symbol,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횡편기(橫編機)(10)에서는,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의 후측상단 니들베드(後側上段 needle bed)(4b)에 있어서 복합바늘(composite needle)(5)의 슬라이더(slider)(7)를, 훅(hook)(6a)을 인입하기 전에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2)으로 진출시킨다. 도1(a)에서 텅(tongue)(7b)의 진출을 시작하여, 도1(b)에서는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스티치(stitch)(8)의 위치까지 도달한다. 텅(7b)의 선단은 바닥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되어 있다. 텅(7b)을 더 진출시키면,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8)를 따라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상승한다. 스티치(8)는, 싱커(sinker)(9)의 상부 가장자리에 멈추는 싱커 루프(sinker loop)가 요동지점(搖動支點)이 되어, 싱커(9) 사이의 니들 루프(needle loop)의 부분이 훅(6a) 내로의 방향 즉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下降軌跡)(6c)보다 바늘줄기(6b)측으로 가라앉도록 압입(壓入)된다.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the slider of the composite needle 5 in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7)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2 before the hook 6a is introduced. In Fig. 1 (a), the advance of the tongue 7b starts, and in Fig. 1 (b) the bottom of the tip of the tongue 7b reaches the position of the stitch 8. The tip end of the tongue 7b is curved in the direction falling from the bottom part. When the tongue 7b is further advanced, the bottom portion of the tip of the tongue 7b is raised along the stitch 8 as shown in Fig. 1C. As for the stitch 8, the sinker loop which stops at the upper edge of the sinker 9 becomes a swing point, and the part of the needle loop between the sinkers 9 hooks. (6a) It press-fits so that it may sink to the needle stem 6b side rather than the fall trace 6c of the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hook 6a.

도1(c)에서는, 훅(6a)도 후측상단 니들베드(4b)의 방향으로 인입되어, 텅(7b)의 선단에서 훅(6a)이 닫힌다. 이와 같이 훅(6a)을 닫은 후에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 인입하면, 훅(6a) 내에 포착된 스티치(8)를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훅(6a)을 텅(7b)의 선단에서 닫을 때에, 특허문헌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텅의 선단과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의 간격을 일단 증가시킨 후에 감소시킬 수도 있다. 텅(7b)의 선단 바닥부에서 스티치(8)를 압입할 때에 텅(7b)의 선단을 바늘줄기(6b)로부터 일단 뜨게 한 후에 가라앉히기 때문에, 스티치(8)가 떠 있더라도 확실하게 가라앉혀서 훅(6a) 내에 포착할 수 있다.In Fig. 1C, the hook 6a is also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and the hook 6a is closed at the tip of the tongue 7b. In this way, when the hook 6a is clos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the stitch 8 captured in the hook 6a can be reliably received. When closing the hook 6a at the tip of the tongue 7b, as shown in Patent Literature 2,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tongue and the needle stem of the needle body may be increased once. When pressing the stitch 8 at the tip bottom of the tongue 7b, the tip of the tongue 7b is settled after floating once from the needle stem 6b, so that even if the stitch 8 is floating, it is reliably sinking and hooking It can capture in (6a).

도2는, 도1의 횡편기(10)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 설치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스티치 트랜스퍼 캠(stitch transfer cam)(11)의 개략적인 캠 배치를 나타낸다. 전측하단 니들베드(前側下段 needle bed)(3a)의 복합바늘(5)은 전측하단 캠(前側下段 cam)(13)에 의하여 구동되고, 후측상단 니들베드(4b)의 복합바늘(5)은 후측상단 캠(後側上段 cam)(14)에 의하여 구동된다. 후측하단 니들베드(4a) 및 전측상단 니들베드(3b)의 복합바늘(5)을 구동하는 캠은, 전측하단 캠(13) 및 후측상단 캠(14)과 각각 동등하다.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이 반전(反轉)되더라도 동등한 동작을 하도록 중심선(11a)과 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방향에 대하여 중심선(11a)보다 선행측을 전반(前半), 후행측을 후반(後半)으로 하여 나타낸다.FIG. 2 shows a schematic cam arrangement of a stitch transfer cam 11 mounted on a carriage provided in each needle b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of FIG. The composite needle 5 of the front lower needle bed 3a is driven by the front lower cam 13, and the composite needle 5 of the rear needle bed 4b is It is driven by a rear upper cam 14. The cams driving the compound needles 5 of the rear lower needle bed 4a and the front upper needle bed 3b are equal to the front lower cam 13 and the rear upper cam 14, respectively. The stitch transfer cam 11 is symmetrical with the center line 11a so as to perform an equivalent operation even if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is rever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ading side is shown as the front half and the trailing side as the rear half of the running line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도2에는, 캐리지의 좌행(左行)에 의하여 전측하단 니들베드(3a)의 복합바늘(5)로부터 후측상단 니들베드(4b)의 복합바늘(5)로 스티치를 이동하는 경우에, 복합바늘(5)의 바늘본체(6) 및 슬라이더(7)의 버트(butt)가 안내되는 경로(16, 17)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측하단 니들베드(3a)가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이 되고, 후측상단 니들베드(4b)가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이 되는 것은, 경로(18)에 의하여 나타내는 실렉트잭(select jack)으로의 선침(選針) 결과에 의거한다. 실렉트잭은 각 편침에서 바늘본체보다 니들베드 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접속되고, 니들홈으로부터 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트가 프레서 군(presser 群)(19)에 의하여 가압되면, 바늘본체(6)의 버트를 니들홈 내에 가라앉힌다.In Fig. 2, in the case where the stitch is moved from the compound needle 5 of the front lower needle bed 3a to the compound needle 5 of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by the left row of the carriage, The paths 16 and 17 through which the butt of the needle body 6 and the slider 7 of (5) are guided are shown, respectively. In this way, it is the select jack indicated by the path 18 that the front lower needle bed 3a becomes the stitch delivering side and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becomes the stitch receiving si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election to (select jack). The select jack is connected to the side farther from the needle bed gap 2 than the needle body in each knitting needle, and when the butt projecting in the floating direction from the needle groove is pressed by the presser group 19, the needle body ( 6) Set the butt in the needle groove.

전측하단 캠(13)에는, 니들 조작캠(needle 操作cam)(20) 및 슬라이더 조작캠(slider 操作cam)(21)이 포함된다. 니들 조작캠(20)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와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20b)가 형성된다. 슬라이더 조작캠(21)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 텅 진출경로(21a)와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21b)가 형성된다. 스티치 딜리버링측과 스티치 리시빙측의 절환(切換)은, 편침마다의 선침 결과에 의거하는 실렉트잭의 버트의 경로(18)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면과 같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이 되는 경우에는 H포지션의 선침이 이루어져서,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22a, 22b)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22a)를 비작용(非作用), 후반의 프레서(22b)를 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전반의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로 안내되어 훅(6a)을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시킨다. 전반에서는, 슬라이더(7)는 바늘본체(6)의 니들베드 갭(2)으로의 진출에 부수되어 니들베드 갭(2)측으로 조금 진출한다. 또한 슬라이더(7)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21a)로 안내되어, 텅(7b)은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한다. 바늘본체(6)의 버트는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의 정상부를 지나쳐서 하강하여, 훅(6a)은 전측하단 니들베드(3a)에 인입된다. 실렉트잭의 버트는 후반의 프레서(22b)의 작용을 받아서 가라앉기 때문에, 바늘본체(6)의 버트는 후반의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는다.The front lower end cam 13 includes a needle manipulation cam 20 and a slider manipulation cam 21. The needle operating cam 20 is provided with a stitch delivery side hook advance path 20a and a stitch receiving side hook advance path 20b. In the slider operation cam 21, a stitch delivery side tongue advance path 21a and a stitch receiving side tongue advance path 21b are formed. The switching between the stitch delivery side and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made by selecting the path 18 of the butt of the select jack based on the result of the needle selection for each needle.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H position is set in advance, and the butt of the select jack passes through the path where the pressers 22a and 22b are installed. When the first presser 22a is set to non-working and the second presser 22b to acting, the butt of the needle body 6 is guided to the hook delivery path 20a of the stitch delivery side of the first half. Then, the hook 6a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2. In the first half, the slider 7 accompanies advancing into the needle bed gap 2 of the needle body 6 and slightly advances toward the needle bed gap 2 side. In addition, the butt of the slider 7 is guided to the stitch receiving-side tongue advance path 21a in the latter half, and the tongue 7b advances to the needle bed gap 2. The butt of the needle body 6 descends past the top of the hook delivery path 20a of the stitch delivery side, and the hook 6a is led into the needle bed 3a at the front lower end. Since the butt of the select jack sinks under the action of the latter presser 22b, the butt of the needle body 6 does not advance to the needle bed gap 2 of the latter half.

실렉트잭이 A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23a, 23b, 23c, 23d)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23a, 23b)를 작용, 후반의 프레서(23c, 23d)를 비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전반의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를 지나가지 않고,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20b)를 지나간다. 슬라이더(7)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21b)로 조금만 니들베드 갭(2)측으로 진출하는 것뿐이다.When the select jack is set to the A position, the butt of the select jack passes through the path where the pressers 23a, 23b, 23c, and 23d are installed. When the first half pressers 23a and 23b are acted on and the second half pressers 23c and 23d are set to inactive, the butt of the needle body 6 passes through the hook delivery path 20a of the stitch delivery side of the first half. It does not go but passes the latter stitch receiving side hook advance path 20b. The butt of the slider 7 only propagates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for the second time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tongue advance path 21b.

실렉트잭이 B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24)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프레서(24)는 항상 돌출되어 있어, 바늘본체(6) 및 슬라이더(7)는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아, 스티치 트랜스퍼에 관한 동작은 하지 않는다. 또 도1(a), (b) 및 (c)에 대응하는 바늘본체(6)의 버트의 위치를 26a, 26b, 26c로 각각 나타내고, 슬라이더(7)의 버트의 위치를 27a, 27b, 27c로 각각 나타낸다.When the select jack is set to the B position, the butt of the select jack passes through the path where the presser 24 is installed. The presser 24 always protrudes, and the needle body 6 and the slider 7 do not advance to the needle bed gap 2, and do not operate on the stitch transfer. In addition, the positions of the butts of the needle body 6 corresponding to FIGS. 1 (a), (b) and (c) are shown as 26a, 26b, and 26c,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s of the butts of the slider 7 are 27a, 27b, and 27c. Respectively.

후측상단 캠(14)에는, 니들 조작캠(30) 및 슬라이더 조작캠(31)이 포함된다. 니들 조작캠(30)에는,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30a)와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30b)가 형성된다. 슬라이더 조작캠(31)에는,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31a)와 스티치 딜리버링측 텅 진출경로(31b)가 형성된다. 스티치 리시빙측과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절환은, 편침마다의 선침 결과에 의거하는 실렉트잭의 버트의 경로(18)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면과 같이 스티치 리시빙측이 되는 경우에는, H포지션의 선침이 이루어져서,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32a, 32b)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32a)를 작용, 후반의 프레서(32b)를 비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30a)로 안내되어, 훅(6a)을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시킨다. 슬라이더(7)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31a)로 안내되어, 텅(7b)은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기 때문에, 도1(a), (b) 및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ar upper cam 14 includes a needle operating cam 30 and a slider operating cam 31. The needle operating cam 30 has a stitch receiving side hook advance path 30a and a stitch delivery side hook advance path 30b. On the slider operation cam 31, a stitch receiving side tongue advance path 31a and a stitch delivery side tongue advance path 31b are formed. The switching between the stitch receiving side and the stitch delivery side is made by selection of the path 18 of the butt of the select jack based on the result of the needle selection for each needle.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used, the H position is set in advance, and the butt of the select jack passes through the path where the pressers 32a and 32b are provided. When the first presser 32a is acted on and the second presser 32b is set to inactive, the butt of the needle body 6 is guided to the second stitch receiving-side hook advance path 30a, whereby the hook ( 6a)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2. Butts of the slider 7 are guided to the stitch returning side tongue advance path 31a in the second half, and the tongue 7b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2, so that FIGS. You can do this as shown in.

실렉트잭이 A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33a, 33b)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33a)를 비작용, 후반의 프레서(33b)를 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전반의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30b)를 통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고, 후반은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는다. 슬라이더(7)의 버트는, 전반은 바늘본체(6)에 부수되어 스티치 딜리버링측 텅 진출경로(31b)를 통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고, 후반은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31a)를 통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한다.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텅(7b)을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시킬 필요는 없지만, 경로를 공용(共用)하고 있다. 경로를 절환하여,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텅(7b)이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슬라이더 조작캠(31)으로서는 절환을 하지 않는 것이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select jack is set to the A position, the butt of the select jack passes through the path where the presses 33a and 33b are installed. When the first presser 33a is set to the non-acting action and the second presser 33b is set to the action, the butt of the needle body 6 passes through the needle bed gap ( 2), the latter half does not enter the needle bed gap (2). The butt of the slider 7 enters the needle bed gap 2 through the stitch delivery side side advance path 31b, the first half of which is attached to the needle body 6, and the second half passes through the stitch receiving side tongue advance path 31a. Through the needle bed gap (2). It is not necessary to advance the tongue 7b into the needle bed gap 2 on the stitch delivery side, but the path is shared. The path may be switched so that the tongue 7b does not advance into the needle bed gap 2 on the stitch delivery side. Howeve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by not switching the slider operation cam 31.

실렉트잭이 B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34)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프레서(34)는 항상 돌출되어 있어, 바늘본체(6) 및 슬라이더(7)는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아, 스티치 트랜스퍼에 관한 동작은 하지 않는다. 또 도1(a), (b) 및 (c)에 대응하는 바늘본체(6)의 버트의 위치를 36a, 36b, 36c로 각각 나타내고, 슬라이더(7)의 버트의 위치를 37a, 37b, 37c로 각각 나타낸다.When the select jack is set to the B position, the butt of the select jack passes through the path where the presser 34 is installed. The presser 34 always protrudes, and the needle body 6 and the slider 7 do not advance to the needle bed gap 2, and do not operate on the stitch transfer. In addition, the positions of the butts of the needle body 6 corresponding to FIGS. 1 (a), (b) and (c) are shown as 36a, 36b, and 36c,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s of the butts of the slider 7 are 37a, 37b, 37c. Respectively.

본 발명을 적용하는 스티치 트랜스퍼에서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을 조금 인입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는 텅(7b)에 의하여 닫은 후에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 인입하도록 하고 있지만, 닫힐 때까지 훅(6a)의 인입은 하지 않고, 텅(7b)만을 진출시켜도 좋다. 또한 텅(7b)은 스티치(8)를 밀어 내릴 때까지 진출시켜서 멈추게 하여 두고, 훅(6a)만을 낮추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stitch transf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hook 6a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pulled in a little, and closed by the tongue 7b advancing into the needle bed gap 2 and then into the rear upper needle bed 4b. However, only the tongue 7b may be advanced without pulling the hook 6a until it is closed. In addition, the tongue 7b may be made to stop and advance until the stitch 8 is pushed down, and only the hook 6a may be lowered.

도1의 횡편기(10)는 4매 배드기(4枚 bed 機))로서, 하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니들베드 갭(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상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지(主旨)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다른 경우에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매 배드기에 있어서 상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하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 또는 하단측의 니들베드 사이에서의 스티치 트랜스퍼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2매 베드기에서도 니들베드 사이의 스티치 트랜스퍼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편침의 구동은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만, 스티치 트랜스퍼와 편성과의 양방의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캠에서도 경로의 절환을 하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에서는 캐리지의 왕복주행의 양쪽 방향으로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특정한 방향으로만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더라도 좋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편침의 구동은 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늘본체(6)나 슬라이더(7)에 개별적으로 구동용 액추에이터 등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shown in Fig. 1 is a four-bed bed, which is a needle bed on the upper side facing the needle bed gap 2 with the needle bed gap 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titch transfer. However,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main point of this invention, it can implement also in other case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itch transfer between a needle bed at the upper end side and a needle bed at the lower end side or a needle transfer at the lower end side in a four-sheet bed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stitch transfer between needle beds in a two-bed machine. The knitting needle is driven by the stitch transfer cam 11,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composite cam having both functions of the stitch transfer and knitting as long as the path is switched. In addition, although the stitch transfer cam 11 can perform the same stitch transfer in both directions of the carriage reciprocating, it is natural that the stitch transfer may be performed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ing of the single needle is not limited to the cam, and for example, a driving actuator or the like may be separately provided on the needle body 6 or the slider 7.

2 : 니들베드 갭
3a : 전측하단 니들베드
3b : 전측상단 니들베드
4a : 후측하단니들베드
4b : 후측상단니들베드
5 : 복합바늘
6 : 바늘본체
6a : 훅
6b : 바늘줄기
7 : 슬라이더
7a : 블레이드
7b : 텅
8 : 스티치
10 : 횡편기
11 : 스티치 트랜스퍼 캠
20, 30 : 니들 조작캠
21, 31 : 슬라이더 조작캠
30a :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
31a :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
2: needle bed gap
3a: Lower front needle bed
3b: front upper needle bed
4a: Lower lower needle bed
4b: Back upper needle bed
5: compound needle
6: needle body
6a: hook
6b: needle stem
7: slider
7a: blade
7b: tongue
8: stitch
10: flat knitting machine
11: stitch transfer cam
20, 30: Needle operation cam
21, 31: Slider operation cam
30a: Stitch receiving side hook advance path
31a: Stitch receiving side tongue advance path

Claims (5)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先頭部)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相對移動)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開口部)를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composite needle)이 편침(編針)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tongue)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stitch)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stitch transfer)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키는 훅 진출수단(hook 進出手段)과,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이 인입되어, 훅의 선단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하기 전에, 훅 선단의 하강궤적(下降軌跡)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힐 때까지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텅 진출수단(tongue 進出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橫編機).
A needle body having a needle bed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needle bed having a hook at its head part. And a composite needle having a slider for moving relative to the needle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n the tip side of the hook, arranged side by side as a knitting needle, The head of the slider is divided into two blad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needle bed gap from the upper edge of the hook by inserting the hook from both sides, and the tongue is formed at the head of each blade, and stitch delivery is performed. The stitch delivering side enters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hook to support the stitches between the opening tongues, and the stitch receiving side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The key enters the hook of the needle main body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and then enters the needle into a fla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receiving stitches in the openings of the hooks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and performing stitch transfer. In
Hook advance means for advancing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nto the needle bed gap and intruding between the tongue on the stitch delivery side;
Before the hook of the stitch receiving side enters and the tip of the hook reaches the stitch supported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bottom of the tongue tip is closer to the needle stem side of the needle body than the lower track of the hook tip. Tongue exit means for advancing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to the needle bed gap until the stitch has subsided.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는, 상기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도록 상기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기 텅 선단이 상대이동할 때에, 스티치 리시빙측의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 텅 선단의 간격이 일단 증가한 후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decreases after the tongue stem and tongue tip of the needle body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once increase when the tongue tip is moved relative to the needle body to close the opening on the tip side of the hook. The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늘은, 각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캠은,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을 구동의 경로로서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mposite needle is driven by a cam mounted on the carriage reciprocating along each needle bed,
And said cam has said hook advance means and said tongue advance means as drive path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는, 상기 니들베드 갭의 적어도 일방측(一方側)에서는 상하에 2단 설치되고,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은, 상단(上段)의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합바늘을,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하단(下段)측으로부터 스티치 딜리버링 되는 스티치를 수취하는 스티치 리시빙측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eedle bed is provided in two stages above and below at least one side of the needle bed gap,
The hook advancing means and the tongue advancing means serve as a stitch receiving side for receiving a stitch which is stitch-delivered from a lower end side of an opposing needle bed, with a composite needle installed side by side on an upper needle bed. The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operating.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이 편침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에 있어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상기 훅의 선단이 상기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할 때까지 인입되기 전에,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A needle bed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needle bed having a needle body having a hook at its head and a sli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t the tip side of the hook relative to the needle body; Combined needles are provided side by side with a single needle, the leading part of the slider is divided into two blad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needle bed gap from the upper edge of the hook by inserting the hook from both sides, the tongue at the top of each blade On the stitch delivery side, the hook of the needle body for advancing into the needle bed gap rat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hook to support the stitches and advancing into the needle bed gap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s inserted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After infiltrating into a hole, it pulls in and stitches in the opening of the hook of the stitch receiving side. Taking in the stitch transfer is the method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available for the transfer stitch,
After advancing the hook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nto the needle bed gap and infiltrating it between the tongues on the stitch delivery side, before the tip of the hook reaches the stitch supported between the tongues,
By moving the slider on the stitch receiving side into the needle bed gap, the needle i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tongue tip, rather than the downward track of the hook tip.
The stitch transfer method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117013918A 2008-12-27 2009-12-17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KR1013879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5577 2008-12-27
JPJP-P-2008-335577 2008-12-27
PCT/JP2009/006980 WO2010073558A1 (en) 2008-12-27 2009-12-17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76A true KR20110105376A (en) 2011-09-26
KR101387959B1 KR101387959B1 (en) 2014-04-22

Family

ID=4228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918A KR101387959B1 (en) 2008-12-27 2009-12-17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90395B1 (en)
JP (1) JP5414698B2 (en)
KR (1) KR101387959B1 (en)
CN (1) CN102264965B (en)
WO (1) WO201007355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630A (en) * 2019-11-15 2021-05-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6254B2 (en) * 2011-06-30 2015-06-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fabric setting method and knitting fabric
JP5856783B2 (en) 2011-09-07 2016-02-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How to create a knitted fabric
CN109825940A (en) * 2019-03-14 2019-05-31 桐乡市巨星针织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multilayer inserted sheet and the compound needle bed comprising multilayer inserted she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657B2 (en) * 1997-08-08 2000-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Flat knitting machine
TW548358B (en) * 2000-08-22 2003-08-21 Shima Seiki Mfg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DE60132233T2 (en) * 2000-10-20 2008-04-17 Shima Seiki Mfg. Ltd. COMPOSITE NEEDLE
JP4015982B2 (en) * 2003-10-1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Cam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
JP5179878B2 (en) * 2005-09-28 2013-04-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630A (en) * 2019-11-15 2021-05-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965A (en) 2011-11-30
EP2390395A4 (en) 2014-05-07
EP2390395B1 (en) 2015-03-04
CN102264965B (en) 2013-09-11
KR101387959B1 (en) 2014-04-22
EP2390395A1 (en) 2011-11-30
WO2010073558A1 (en) 2010-07-01
JPWO2010073558A1 (en) 2012-06-07
JP5414698B2 (en)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2706B1 (en)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inserting warp and knitting method by that weft knitting machine
KR101209645B1 (en) Method for knitting fabric and design device
KR101387959B1 (en)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JP2007231447A (en) Knitting cam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JP7483257B2 (en) Jacquard knitting mechanism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ing method using said mechanism, and sinker used in said mechanism
JP5010588B2 (en) Knitting method and flat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pattern knitted fabric
CN201864888U (en) Movable sinker and flat knitting machine
JP5010460B2 (en) Flat knitting machine, transfer method thereof and cam mechanism thereof
KR20100080359A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KR20190130656A (en) Plating knitting method in flat knitting machine
JP4015973B2 (en) Knitting yarn holding and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8178293A (en) Cam system and flat-knitting machine
JP5757830B2 (en) Flat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compound needle, and slider control method of flat knitting machine
EP4317560A1 (en) Movable sinker for weft knitting machines
EP4332286A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pile knitting method
KR20030023755A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WO2022191204A1 (en)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CN115074897B (en) Method for knitting pile knit fabric knitted by flat knitting machine
CN214782463U (en) Knitting needle in flat knitting machine
KR20230059156A (en)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sinker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CN104342839B (en) Method for producing a knitted article on a flat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