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027A -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027A
KR20110105027A KR1020100024031A KR20100024031A KR20110105027A KR 20110105027 A KR20110105027 A KR 20110105027A KR 1020100024031 A KR1020100024031 A KR 1020100024031A KR 20100024031 A KR20100024031 A KR 20100024031A KR 20110105027 A KR20110105027 A KR 20110105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layer
osd
image
signal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정길
김지성
김재한
임종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027A/en
Publication of KR2011010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0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신호와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1 OSD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1 OSD레이어를 합성하며, 다운 스케일링되어 제2 OSD레이어를 생성하는 OSD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OSD레이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소정 시간 상기 제어신호의 미입력 시 상기 제2 OSD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 OSD data processor for generating a first OSD layer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ynthesizing the video signal and the first OSD layer, and down scaling to generate a second OSD layer; A memory unit in which the second OSD layer is stored;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second OSD layer when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면 표시 장치가 대중화됨에 따라 이들 평면 표시 장치 중에서 PDP는 다른 평면 표시 장치에 비해 휘도 및 발광 효율이 높으며 시야각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PDP가 대형화됨에 따른 기존의 영상 장치를 대체할 만한 표시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As flat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plasma display panels (PDPs) are popularized, PDPs have higher luminance and luminous efficiency and wider viewing angles than other flat display devices. Accordingly, as PDPs become larger, they have been spotlighted as display devices that can replace the existing imaging devices.

PDP는 기체 방전에 의해 생성된 플리즈마를 이용하여 문자 도는 영상을 표시하는 평면 표시 장치로서, 그 크기에 따라 수십에서 수백만 개 이상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PDP는 인가되는 구동 전압 파형의 형태와 방전 셀의 구조에 따라 직류형과 교류형으로 구분된다. The PDP is a flat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text or an image by using a plasma generated by gas discharge, and several tens to millions or more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ccording to its size. These PDPs are classified into a direct current type and an alternating current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riving voltage waveform applied and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cell.

직류형 PDP는 전극이 방전 공간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전류가 방전공간에 그대로 흐르게 되며, 이를 위해 전류제한을 위한 저항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교류형 PDP에서는 전극을 유전체 층이 덮고 있어 자연스러운 캐패시턴스 성분의 형성으로 전류가 제한되며 방전시 이온의 충격으로부터 전극이 보호되므로 직류형에 비해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DC-type PDP, since the electrode is exposed to the discharge space as it is, the current flows in the discharge space while voltage is appli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resistance for current limitation must be made for this purpose. On the other hand, in the AC type PDP, the electrode covers the dielectric layer, so that the current is limited by the formation of a natural capacitance component and has a long life compared to the DC type since the electrode is protected from the impact of ions during discharge.

도 1은 AC형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일부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C plasma display panel.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 위에는 유전체 층(2) 및 보호막(3)으로 덮인 주사전극(4)과 유지전극(5)이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 기판(6) 위에는 절연체층(7)으로 덮인 복수의 어드레스전극(8)이 설치된다. 어드레스전극(8)들 사이에 있는 절연체층(7) 위에는 어드레스 전극(8)과 평행하게 격벽(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체층(7)의 표면 및 격벽(9)의 양 측면에 형광체(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기판(1)과 제2 기판(6)은 주사전극(4)과 어드레스전극(8) 및 유지전극(5)과 어드레스전극(8)이 직교하도록 방전공간(1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어드레스전극(8)과, 쌍을 이루는 주사전극(4)과 유지전극(5)과의 교차부에 있는 방전공간이 방전셀(12)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scan electrode 4 and the sustain electrode 5 covered with the dielectric layer 2 and the protective film 3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first substrate 1. A plurality of address electrodes 8 covered with the insulator layer 7 are provided on the second substrate 6. A partition 9 is formed on the insulator layer 7 between the address electrodes 8 in parallel with the address electrode 8. In addition, phosphors 10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layer 7 an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9. The first substrate 1 and the second substrate 6 may be arranged with the discharge space 11 therebetween so that the scan electrode 4 and the address electrode 8 and the sustain electrode 5 and the address electrode 8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t is arranged toward. The discharge space at the intersection of the address electrode 8 and the pair of the scanning electrode 4 and the sustain electrode 5 forms a discharge cell 12.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3전극 면방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2 illustrates a three-electrode surface discharge structur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도 2를 참조하면, 격벽으로 형성된 방전 공간 안에 나란히 형성된 주사전극과 유지전극과 마주보며 교차하여 어드레스 전극이 설치된다. 이 구조는 어드레스 전극과 주사 전극 사이에서 화소를 선택하기 위하여 벽전하를 생성시키는 방전이 일어나고 그 후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사이에서 화상표시를 하기 위한 방전이 일정시간 반복되어 일어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an address electrode is disposed to face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which are formed in parallel in the discharge spac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In this structure, a discharge is generated to generate wall charges to select a pixel between the address electrode and the scan electrode, and then a discharge for displaying an ima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격벽은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기능과 함께 방전 시 발생한 광을 차단하여 인근 화소의 오동작(cross talk)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위구조를 하나의 기판 위에 매트릭스(matrix) 형상으로 복수개 형성하고, 각 단위구조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고 이 화소들이 모여서 하나의 플라즈마 표시 패널이 된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플라즈마표시 패널은 각 화소 안에서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화소 내벽에 도포 되어 있는 형광물질을 여기 시켜 원하는 색을 구현하게 된다.In addition to forming a discharge space, the partition wall blocks light generated during discharge to prevent cross talk of neighboring pixels. A plurality of such unit structures are formed on a single substrate in a matrix form, and a fluorescent material is applied to each unit structure to form one pixel, and the pixels are gathered to form a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s, which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generate discharge in each pixel, and excite the fluorescent material co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xel by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discharge to realize a desired color.

플라즈마 표시 패널이 컬러 디스플레이(color display)로서의 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중간 계조를 구현해야 하는 데 현재 이의 구현방법으로 1 TV 필드(field) 를 복수의 서브 필드로 나누어 이를 시분할 제어하는 중간 계조 구현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performance as a color display, the plasma display panel needs to implement halftones. Currently, a halftone implementation method for dividing a TV fiel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time-dividing them is used. have.

이러한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방전을 이용하여 빛을 만들어 내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므로 형광체의 열화에 의해 잔상(Burning Image)이 발생한다. 만약, 어떤 정지 패턴을 계속해서 디스플레이할 경우 패턴이 존재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간의 열화 차이로 인해 패턴이 존재했던 부분에 그 잔상이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Since the plasma display panel is 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light by using discharge, a burning image is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phosphor. If a still pattern is continuously displayed, the afterimage may be severely present in the portion where the pattern exists due to the difference in deterioration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pattern exists and the portion where the pattern does not exi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의하여 잔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fterimage preventing apparatus and method i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an afterimage from occurring due to a displayed im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신호와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1 OSD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1 OSD레이어를 합성하며, 다운 스케일링되어 제2 OSD레이어를 생성하는 OSD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OSD레이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소정 시간 상기 제어신호의 미입력 시 상기 제2 OSD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eceiver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 OSD data processor for generating a first OSD layer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ynthesizing the video signal and the first OSD layer, and down scaling to generate a second OSD layer; A memory unit in which the second OSD layer is stored;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second OSD layer when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본 발명은 영상출력 모드 수행 중 소정 시간 이내에 제어신호 입력의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미입력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1 OSD레이어와 영상신호를 합성한 제2 OSD레이어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제2 OSD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image output mode; Downscaling a first OSD layer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a second OSD layer including a video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isplaying the down-scaled second OSD lay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시간 일정한 영상이 화면에 출력되는 경우 잔상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잔상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fterimages by using the displayed image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n afterimage may occur when a constant image is output on the screen for a long time.

도 1은 AC형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3전극 면방전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동작에 따른 OSD레이어 조정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C plasma display panel.
2 is a three-electrode surface discharge structure of a plasma display panel.
3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an OSD lay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FIG. 4.
6 is an exemplary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수신부(110), 처리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receiver 110, a processor 120, an outputter 130, a controller 140, a memory 150, and a user interface 160. can do.

수신부(110)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처리부(120)는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A/D컨버터(122), 엠펙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 및 OSD데이터 처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130)는 영상신호 출력부(131), 디스플레이 모듈(132), 음성신호 출력부(!33) 및 스피커(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er 110 may include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nd a tuner unit 112, and the processing unit 120 may include an image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an A / D converter 122, an amplifier decoder, and an image. And an audio signal processor 123 and an OSD data processor 124. The output unit 130 includes an image signal output unit 131, a display module 132, an audio signal output unit (! 33), and It may include a speaker 134.

외부신호 입력부(11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셋탑박스, 캠코더 등 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로 제공한다.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receives an externa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set-top box, a camcorder, etc., and provides it to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튜너부(112)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고 그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음성/데이터 신호를 디코딩 또는 분리하여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등으로 제공한다. The tuner unit 112 tunes one channe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and decodes or separates the video / audio /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d channel to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or the like. To provide.

상기 튜너부(1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수신 감도 및 신호 품질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를 OSD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소정 영상으로 생성하여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er unit 112 may receive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signal quality information for the reception of the broadcast signal, and generate and provide the received information as a predetermined image in the OSD data processing unit 124. .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f부터 제공받는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그 채널의 영상/음성 신호를 필요에 따라 분리한 후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데이터 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selects at least one channel among channels provid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nd the tuner unit 112f, and separates the video / audio signal of the channel as necessary. An MPEG decoder and a demult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video / audio / data signals may be included.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그 아날로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분리된 후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122)에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로 제공되고 그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출력부(133)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그 디지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모두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으로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signal selected by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is an analog signal, after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analog signal are separated, the analog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ideo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22 and the MPEG The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may be provided, and the analog audio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In addition, when the signal selected by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is a digital signal, bot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엠펙 디코더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의 출력신호 중 영상/음성 스트림을 영상/음성 데이터로 복원하여 처리하며, 상기 처리되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출력부(131)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OSD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새엉된 OSD데이터와 복원 및 처리된 영상신호를 믹스할 수 있다. The MPEG decoder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restores and processes the video / audio stream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er 121 to video / audio data, and the processed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 131). In addition,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may mix OSD data reconstructed and processed by the OSD data processor 124 with the restored and processed video signal.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120)는 OSD데이터 처리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OSD데이터 처리부(124)는 영상출력 모드 수행 중 제어부(140)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소정 시간 동안 제어신호가 미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32)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소정 사이즈로 축소된 OSD화면으로 생성하도록 한다. OSD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생성되는 OSD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사이즈로 축소 또는 확대되며 소정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SD data processor 124. The OSD data processing unit 124 detects whether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image output mode, and if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32 has a predetermined size. Create a reduced OSD screen. The OSD generated by the OSD data processor 124 may be reduced or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and may be displayed while being mov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영상신호 출력부(131)는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OSD데이터 처리부(124)로부터 처리된 OSD레이어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도한 음성 신호 출력부(133)는 상기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13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OSD레이어가 축소되어 이동되면 오디오 출력을 일시 정지 또는 볼륨 다운 형태로 조정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131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and the OSD layer processed from the OSD data processor 124 to be output. In addition,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process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through a speaker 134. In particular, when the OSD layer is reduced and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may be adjusted by pausing or volume down.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나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로컬키가 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아 젱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출력모드 수행 중 소정 시간 이내 제어신호가 미입력됨을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해 소정 크기로 축소 또는 확대된 OSD레이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60 may be, for example, a local key provided in a remote controller or an image display device. It receives various commands and information from the user, converts them into a 젱 signal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unit 140. In particular, the user interface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n OSD layer which is reduced or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with respect to the displayed scree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image output mode. .

제어부(140)는 튜너부(112),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 및 엠펙 디코더 미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르 제어하며 필요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구성 요소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tuner unit 112,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and the MPEG decoder non-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and controls other component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s necessary. Can be connect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영상 출력 모드 수행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제어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신호 미입력에 따라 OSD데이터 처리부(124)에서 OSD레이어의 사이즈 및 이동 방향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60 while the image output mode is performed, and the size of the OSD layer in the OSD data processor 124 according to the non-control signal input. And control to adjust the movement direction.

메모리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제어부(140)가 생성 및 관리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150)는 영상출력 모드 수행 중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 미입력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부(150)는 영상출력 모드 수행 중 영상 및 부가정보신호에 대한 OSD레이어 생성에 따른 일시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OSD레이어의 축소 및 확대될 사이즈에 대한 정보 및 이동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emory unit 150 stores information input by a user or data generated and managed by the controller 140. The memory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reference tim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non-input time of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while performing an image output mode.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50 performs a temporary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OSD layer for the imag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during the image output mode. It also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on the size to be reduced and enlarged and the movement patter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OSD lay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OSD레이어 조정 동작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SD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an OSD lay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and FIG. 6 is a diagram of an OSD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영상표시기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영상출력 모드를 수행한다.(400단계) 상기 영상출력모드 수행 중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405단계)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신호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410단계)The image display apparatus performs an image output mode for outputting various image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panel. (40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in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rom the user during the image output mode.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control signal is performed (operation 410).

반면 영상출력 모드 수행 중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을 감지하면 제어신호 미입력 시간을 카운트한다.(415단계) 상기 카운트 동작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사용자 제어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control signa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not input during the image output mode,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ted (step 415). According to the count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control signal is input within the preset reference time. (Step 420)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제어신호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OSD레이어 조정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425단계) If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is not detected within the preset reference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OSD layer adjustment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OSD레이어 조정 모드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정 시간 동안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OSD레이어의 조정 모드로 동작하게 됨에 따라 출력 중인 화면 즉, 영상신호와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1 OSD레이어를 복사하고(505단계) 상기 복사된 제1 OSD레이어를 소정 사이즈로 다운 스케일링하여 제2 OSD레이어를 생성한다.(510단계) 즉, 6의 화면 예시도 (a)에서와 같이 영상출력 모드 수행에 따라 영상신호와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1 OSD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되며, 소정 시간 동안 제어신호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화면 예시도(b)와 같이 제1 OSD레이어를 소정 사이즈로 다운 스케일링하여 제2 OSD레이어(610)를 생성하게 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OSD layer adjustment mode. Referring to FIG. 5, when a control signal of an image display device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OSD layer including an image signal and additional information is cop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SD layer in the adjustment mode. In operation 505, a second OSD layer is generated by downscaling the copied first OSD layer to a predetermined size. In operation 510, as shown in (a) of FIG. And a first OSD layer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if an input of a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OSD layer 610 is downscaled to a predetermined size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b). Will be generated.

상기 생성된 제2 OSD레이어를 기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게된다. 즉, 도 6의 화면 예시도 (b)와 같이 소정 사이즈로 다운 스케일링된 제2 OSD레이어를 디스플레이화면 상에서 좌, 우, 상, 하 또는 소정 패턴의 형태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The generated second OSD layer is displayed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at is, the second OSD layer down-scaled to a predetermined size is displayed while moving in the form of a left, right, up, down, or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the example screen of FIG. 6 (b).

상기 제2 OSD레이어가 화면에서 소정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중 상기 제2 OSD레이어의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520단계) 상기 판단결과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경우 수신부를 통해 영상신호 또는 부가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여(525단계) 업데이트할 제2 OSD레이어를 생성하게 된다,(535단계)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pdate period of the second OSD layer has been reached while the second OSD layer is displayed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screen (step 520). Acquire the update information for the information (step 525) and generate a second OSD layer to be updated (step 535).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 또는 부가정보를 조합하여 업데이트된 제1 OSD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OSD레이어를 소정 크기로 다운 스케일링하여 제2 OSD레이어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도록 한다.The updated first OSD layer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image signal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and the second OSD layer is generated and updated by downscaling the generated first OSD layer to a predetermined size.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된 제2 OSD레이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패턴으로 디스플레이화면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540단계)The second OSD layer updated as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while moving the display screen in a predetermined pattern as described above (step 540).

상기한 바와 같이 OSD조정 모드 수행 중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의 입력이 수 신 되는지를 계속적으로 감지하고(430단계) 제어신호의 입력이 감지되면 OSD레이어 조정 모드를 종료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화면을 원래의 사이즈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435단계)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SD adjustment mode (step 430),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detected, exits the OSD layer adjustment mode and returns the display screen to its original size. Restore and display (step 435).

120 : 제어부 200 : 잔상 방지부
121 : ADC 123 : 스케일링 부
124 : 마이컴 125 : 제1 메모리부
126 : 제2메모리부 127 : 카운터
120: control unit 200: afterimage prevention unit
121: ADC 123: scaling unit
124: microcomputer 125: first memory unit
126: second memory unit 127: counter

Claims (7)

영상신호와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1 OSD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1 OSD레이어를 합성하며, 다운 스케일링되어 제2 OSD레이어를 생성하는 OSD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OSD레이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소정 시간 상기 제어신호의 미입력 시 상기 제2 OSD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A receiver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 OSD data processor for generating a first OSD layer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ynthesizing the video signal and the first OSD layer, and down scaling to generate a second OSD layer;
A memory unit in which the second OSD layer is stored;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o display the second OSD layer when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SD레이어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부가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OSD layer compris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area is an area for out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area is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t which an image signal is out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SD레이어는 소정 주기로 영상 또는 부가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OSD layer updates and displays an image or additional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SD레이어는 소정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OSD layer is displayed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영상출력 모드 수행 중 소정 시간 이내에 제어신호 입력의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미입력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1 OSD레이어와 영상신호를 합성한 제2 OSD레이어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제2 OSD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Determining an input of a control signal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image output mode;
Downscaling a first OSD layer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a second OSD layer including a video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Displaying the downscaled second OSD layer; and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SD레이어 디스플레이 시 소정 주기마다 상기 제2 OSD레이어의 영상 또는 부가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or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second OSD layer is updated and display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second OSD layer is display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SD레이어는 소정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OSD layer is displayed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KR1020100024031A 2010-03-18 2010-03-18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KR201101050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31A KR20110105027A (en) 2010-03-18 2010-03-18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31A KR20110105027A (en) 2010-03-18 2010-03-18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027A true KR20110105027A (en) 2011-09-26

Family

ID=4495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031A KR20110105027A (en) 2010-03-18 2010-03-18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02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6018A (en) * 2021-04-12 2021-08-27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overlaying time information on video picture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6018A (en) * 2021-04-12 2021-08-27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overlaying time information on video picture display
CN113316018B (en) * 2021-04-12 2022-08-09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overlaying time information on video picture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03749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7403194B2 (en) Image displayer hav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eliminating afterimage and a method thereof
KR10077161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afterimage thereof
KR10107616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JP2007279220A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700910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1071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uto pixel shift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5658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an incidental image thereof
WO2010064319A1 (en) Video display control device,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method, video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the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090071683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afterimage
KR20110105027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KR10069830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timizing resolution thereof
JPH096250A (en) Display device
KR100628099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thereof
US8842066B2 (en) Method for driving three-dimensional (3D) display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4452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harpness by scale factor and apparatus thereof
KR100698154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JP2008268246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116529A (en) Method for protecting a screen ocular spectrum of picture display device
US2008010649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a method of preventing afterimage thereof
JP44750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7395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762794B1 (en)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removing image sticking
KR1007478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creen of PDP display device
JP2008252758A (en) Video signal processor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