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663A -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663A
KR20110103663A KR20100022836A KR20100022836A KR20110103663A KR 20110103663 A KR20110103663 A KR 20110103663A KR 20100022836 A KR20100022836 A KR 20100022836A KR 20100022836 A KR20100022836 A KR 20100022836A KR 20110103663 A KR20110103663 A KR 20110103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ke
floating body
water circu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783B1 (ko
Inventor
고명한
권병철
박성하
고경한
김상우
이승진
양재경
백경렬
서병수
박상우
이규철
박길호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티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티이십일 filed Critical (주)에이엔티이십일
Priority to KR2010002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7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상체,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부상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되 배출구가 유입구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물 순환관, 물 순환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유입구에서 유출구 쪽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물 순환관 내부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물 순환용 팬, 물 순환용 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물 순환용 팬과 결합되는 팬 모터, 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물 순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산기관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장치,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물 순환용 팬을 작동시켜 물 순환관을 통해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키고 산기관을 통해 물 순환관으로 유입되는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본 발명은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수로 제공되는 물은 대부분 댐에 저장된 것을 이용한다. 그런데 댐의 저장된 물은 고여 있으므로 여름철 전후로 녹조가 발생하여 수질이 악화될 수 있다.
녹조는 부영양화가 일어날 때 발생하며 햇빛과 온도가 녹조 발생에 영향을 준다. 호소수의 부영영화가 녹조류가 과다 번식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준다. 이로 인하여 수중의 용존 산소량이 감소하고 색도변화가 일어나며 수중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는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
현재 조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호소수의 상류 지역에 축산분뇨 처리장이나 하수 처리장을 설치하면 호소수로 영양염류가 유입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조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이외에, 물을 순환시켜 상하층간의 물을 교환하는 방법, 수중폭기기를 설치하는 방법, 조류 제거선을 이용하여 황토를 뿌리는 방법, 오일 팬스식의 번식차단 장치와 차광막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조류 발생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녹조를 방지하기 위해 황토나 약품을 뿌리는 경우, 일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는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리고 오일 팬스식의 번식차단 장치와 차광막을 설치하는 경우는 녹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아니다. 이 밖에 녹조에 의한 생물의 폐사를 방지하기 위해 물속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방법이 있지만, 산소 공급이 수면 쪽으로 국한되고 하층수와의 물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소수의 상하층간의 물 교환을 활발하게 해줌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상체,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상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물 순환관, 상기 물 순환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쪽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관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물 순환용 팬, 상기 물 순환용 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용 팬과 결합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물 순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산기관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장치,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호소수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물속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상체에 연결되는 용존산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태양광을 받아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에 결합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상체에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일정 방향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상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닻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결합되는 틸팅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발전용 팬 및 상기 풍력 발전용 팬과 결합되어 전기를 발전하는 제너레이터를 갖고, 발전된 전기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풍력 발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부상체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에 연결되는 닻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물 순환용 팬을 작동시켜 물 순환관을 통해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키고 산기관을 통해 물 순환관으로 유입되는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친환경적이고 이동이 용이하며, 용존산소 센서로 호소수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함으로써 호소수의 오염을 감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자체 생산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이 가능하므로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태양전지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호소수의 수면(10)으로 뜨는 부상체(110), 부상체(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물 순환관(120), 물 순환관(120) 내부에 설치되는 물 순환용 팬(125), 물 순환관(120)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130), 산기관(13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장치(131), 수중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한 용존산소 센서(135),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복수의 태양 전지 모듈(140)(141) 및 풍력 발전기(143),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47),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150),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55)를 포함한다. 이러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물 순환관(120)을 통해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키면서 물 속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부상체(110)는 베이스 패널(111)과 베이스 패널(111)에 결합되는 복수의 부력체(112)를 포함한다. 복수의 부력체(112)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갖는 것으로 베이스 패널(111)의 둘레에 결합된다. 복수의 부력체(112)에 의해 베이스 패널(111)은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다. 복수의 부력체(112)가 베이스 패널(111)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베이스 패널(111)은 부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져도 된다.
베이스 패널(111)은 사각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력체(112)는 일부분이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져 네 개가 베이스 패널(111)의 각 코너부에 결합된다. 물 순환관(120)의 내부를 통해 순환하는 물은 베이스 패널(111)의 하면을 따라 외측으로 유동하므로, 부력체(112)는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패널(111)의 둘레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부력체(112)가 베이스 패널(111)의 둘레 전체에 배치되면 물 순환관(120)의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물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베이스 패널(111)의 형상이나 부력체(112)의 개수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부상체(110)의 구조도 베이스 패널(111)과 부력체(1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부상체(110)는 별도의 보조물 없이 물에 뜰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갖고, 물 순환관(120)이 결합될 수 있는 하면과 각종 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상면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 순환관(120)은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부상체(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물 순환관(120)은 그 일단이 부상체(110)의 하면에 결합되어 부상체(110)에 고정된다. 물 순환관(120)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21),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22) 및 유입구(121)와 배출구(122)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123)가 마련된다. 배출구(122)는 호소수의 수면 쪽에 배치되도록 물 순환관(120)의 일단에 마련되고, 유입구(121)는 물 순환관(120)의 타단에 마련된다. 따라서, 물 순환용 팬(125)이 작동하면 호소수 하층의 물이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 유로(123)를 따라 배출구(122) 쪽으로 유동한 후 배출구(122)를 통해 수면 쪽으로 배출되면서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이 순환하게 된다.
물 순환관(120)의 형상이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유입구(121)나 배출구(122)의 위치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배출구(122)가 유입구(121)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조건 하에서 배출구(122)와 유입구(121)의 위치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물 순환용 팬(125)은 물 순환관(120) 내부의 유입구(121)와 배출구(122) 사이에 배치된다. 물 순환용 팬(125)은 부상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팬 모터(126)와 결합되며, 팬 모터(126)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물 순환용 팬(125)은 회전하여 물 순환관(12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유입구(121)에서 배출구(122) 쪽으로 강제 유동시킨다. 도면에 상세히 표현되지는 않았으나, 팬 모터(126)는 물이 그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처리된 보호 케이스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팬 모터(126)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베이스 패널(111)의 구멍에는 호소수의 물이 부상체(11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산기관(130)은 물 순환관(120)의 유입구(121) 쪽에 배치되고, 공기 공급장치(131)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물 순환관(120)으로 유입되는 물에 공기를 공급한다. 산기관(130)은 물 속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산기관(130)은 공기 공급관(132)을 통해 공기 공급장치(131)와 연결된다. 공기 공급관(132)은 베이스 패널(111)을 관통하여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배치되는 공기 공급장치(131)와 베이스 패널(1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산기관(130)을 연결한다. 공기 공급관(132)이 산기관(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기 공급관(132)은 물 순환관(120)에 지지될 수 있다.
공기 공급장치(131)로는 블로워나 에어 컴프레셔 등 공기를 강제로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상세히 표현되지는 않았으나, 공기 공급장치(131)는 물이 그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처리된 보호 케이스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존산소 센서(135)는 물속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물속에 위치하며 케이블(136)을 통해 제어장치(155)와 연결된다. 케이블(136)은 베이스 패널(111)을 관통하여 물속으로 연장되어 용존산소 센서(135)를 베이스 패널(111)에 연결하고 용존산소 센서(135)에서 발생하는 측정 신호를 제어장치(155)에 전달한다. 용존산소 센서(135)가 측정한 물속의 용존 산소량을 통해 공기 공급장치(131)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장치(155)는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공기 공급장치(131)를 작동시키지 않고,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만 공기 공급장치(1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140)(141)은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설치된다. 태양전지 모듈(140)(141)은 태양광을 받아 발전하고 생산된 전기로 배터리(147)를 충전한다. 태양전지 모듈(140)(141)은 태양광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정남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호소수의 수면에 떠있는 부상체(110)가 유동하면 태양전지 모듈(140)(141)이 향하는 방향이 바뀔 수 있으므로, 부상체(110)에는 복수의 닻(114)이 연결되어 부상체(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닻(11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상체(110)가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풍력 발전기(143)는 풍력 발전용 팬(144)과 제너레이터(145)를 포함한다. 풍력 발전용 팬(144)이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 제너레이터(145)에서 전기가 생산되며, 이렇게 생산된 전기는 배터리(147)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태양전지 모듈(140)(141) 및 풍력 발전기(143)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147)를 충전함으로써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자체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호소수의 중간에 띄워놓고 별다른 관리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송수신기(150)는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장치(155)와 연결된다. 무선 송수신기(150)는 용존산소 센서(135)가 측정한 측정 신호나, 팬 모터(126)의 작동 상태, 배터리(147)의 잔류 전원량, 공기 공급장치(131)의 작동 상태 등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무선으로 외부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기(150)는 외부의 관리자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제어장치(155)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무선 송수신기(150)를 통해 장치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장치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150)는 그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방수 처리된 케이스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제어장치(155)는 용존산소 센서(135)로부터 측정 신호를 제공받고, 팬 모터(126), 공기 공급장치(131), 무선 송수신기(150)의 동작 등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장치(155)는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만 물 순환용 팬(125)이나 공기 공급장치(131)를 작동시킬 수 있고, 배터리(147)의 잔류 전원이 일정량 이하일 때는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켰다가 배터리(147)의 잔류 전원이 일정량을 넘으면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물 순환용 팬(125)을 작동시켜 물 순환관(120)을 통해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키고 산기관(130)을 통해 물 순환관(120)으로 유입되는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팬(125)의 동작 없이 공기 공급장치(131)와 연결된 산기관(130)의 동작만으로도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자체 생산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이 가능하므로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하다.
한편, 도 4는 태양전지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태양전지 모듈(140)(141)은 그 기울기가 고정된 것이나, 도 4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160)은 틸팅 기구(161)(165)에 의해 그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틸팅 기구(161)는 태양전지 모듈(140)(141)의 좌우 기울기를 조절하고, 제 2 틸팅 기구(165)는 태양전지 모듈(160)의 상하 기울기를 조절한다. 제 1 틸팅 기구(161)는 베이스 패널(1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1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163)와 지지부재(16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64)를 포함한다. 태양전지 모듈(140)(141)은 그 일단이 힌지 장치(166)에 의해 지지부재(163)에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틸팅 기구(165)는 지지부재(163)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67)와 태양전지 모듈(160)을 밀기 위해 지지부재(163)에 결합되는 푸셔(17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67)에는 일정 곡률을 갖는 가이드 홈(168)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 홈(168)에 태양전지 모듈(160)의 돌기(169)가 삽입된다. 푸셔(170)의 작동 암(171)이 태양전지 모듈(160)을 상부 방향으로 밀면 돌기(169)가 가이드 홈(168)을 따라 이동하면서 태양전기 모듈(160)의 기울기가 커지고, 푸셔(170)의 작동 암(171)이 하강하면 태양전지 모듈(160)은 그 자중에 의해 기울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들 틸팅 기구(161)(165)는 태양전지 모듈(160)이 태양을 추종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어장치(15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틸팅 기구(161)(165)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전지 모듈(160)의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수질 정화장치 110 : 부상체
111 : 베이스 패널 112 : 부력체
120 : 물 순환관 121 : 유입구
122 : 배출구 125 : 물 순환용 팬
126 : 팬 모터 130 : 산기관
131 : 공기 공급장치 135 : 용존산소 센서
140, 141, 160 : 태양전지 모듈 143 : 풍력 발전기
144 : 풍력 발전용 팬 145 : 제너레이터
150 : 무선 송수신기 155 : 제어장치
161, 165 : 제 1, 2 틸팅 기구 163 : 지지부재
164 : 모터 166 : 힌지 장치
167 : 가이드 부재 168 : 가이드 홈
170 : 푸셔 171 : 작동 암

Claims (7)

  1.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상체;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상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물 순환관;
    상기 물 순환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쪽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관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물 순환용 팬;
    상기 물 순환용 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용 팬과 결합되는 팬 모터;
    상기 물 순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산기관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장치;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공기 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호소수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물속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상체에 연결되는 용존산소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받아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에 결합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일정 방향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상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에 연결되는 복수의 닻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결합되는 틸팅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발전용 팬 및 상기 풍력 발전용 팬과 결합되어 전기를 발전하는 제너레이터를 갖고, 발전된 전기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풍력 발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체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에 연결되는 닻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KR20100022836A 2010-03-15 2010-03-15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KR10118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2836A KR101189783B1 (ko) 2010-03-15 2010-03-15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2836A KR101189783B1 (ko) 2010-03-15 2010-03-15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63A true KR20110103663A (ko) 2011-09-21
KR101189783B1 KR101189783B1 (ko) 2012-10-15

Family

ID=4495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2836A KR101189783B1 (ko) 2010-03-15 2010-03-15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7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8308A (zh) * 2013-11-12 2014-02-19 西安建筑科技大学 可移动式扬水曝气水质原位改善系统
WO2015167237A1 (ko) * 2014-04-30 2015-11-05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KR20160005495A (ko) * 2014-07-07 2016-01-15 정원모 인위적으로 층류를 해소하는 장치
KR20160050619A (ko) * 2014-10-30 2016-05-11 (주)인텍에프에이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발생방지장치
CN105776457A (zh) * 2016-04-29 2016-07-20 浙江海洋大学 河道供养装置及其供养方法
KR102331703B1 (ko) * 2021-09-13 2021-12-01 전영수 다층흡입 수중 이송펌프
KR20220052540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녹조 억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990B1 (ko) 2013-10-21 2014-02-20 (주)에코원 자가발전 및 재충전이 가능한 이중 회전 물순환장치
KR101453730B1 (ko) 2014-04-09 2014-10-22 (주)에코원 저층수와 상층수의 물순환을 위한 물순환장치
KR101690177B1 (ko) * 2014-12-19 2016-12-27 조중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수경재배 기능을 갖는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KR101906221B1 (ko) * 2015-12-16 2018-12-06 주식회사 에코탑 물순환 및 녹조제어 정화섬
KR101899444B1 (ko) * 2017-02-20 2018-09-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고효율 물순환장치
KR101914496B1 (ko) * 2017-12-04 2018-11-02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수평 방향 임펠러가 구비된 태양광 작동 방식의 정체수역 물 순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787B1 (ko) 2009-12-31 2010-04-08 디케이이씨주식회사 정체 수역용의 자가 발전식 수질 정화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8308A (zh) * 2013-11-12 2014-02-19 西安建筑科技大学 可移动式扬水曝气水质原位改善系统
WO2015167237A1 (ko) * 2014-04-30 2015-11-05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KR20150125823A (ko) * 2014-04-30 2015-11-10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CN106255668A (zh) * 2014-04-30 2016-12-21 李锺植 水下载体装置、水体循环装置及利用此的水生态系统活性化系统
KR20160005495A (ko) * 2014-07-07 2016-01-15 정원모 인위적으로 층류를 해소하는 장치
KR20160050619A (ko) * 2014-10-30 2016-05-11 (주)인텍에프에이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발생방지장치
CN105776457A (zh) * 2016-04-29 2016-07-20 浙江海洋大学 河道供养装置及其供养方法
CN105776457B (zh) * 2016-04-29 2018-08-17 浙江海洋大学 河道供氧装置及其供氧方法
KR20220052540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녹조 억제 장치
KR102331703B1 (ko) * 2021-09-13 2021-12-01 전영수 다층흡입 수중 이송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783B1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783B1 (ko)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US9260331B2 (en) Water circulat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 or lake
KR100965784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KR101556698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위치이동이 가능한 호소수질개선장치
KR100951787B1 (ko) 정체 수역용의 자가 발전식 수질 정화 장치
KR101794207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KR101899444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고효율 물순환장치
KR101219732B1 (ko)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5148A (ko)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796648B1 (ko)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KR20150067659A (ko) 호수의 녹조방지 및 녹조제거용 수질정화장치
KR101569916B1 (ko) 풍력 에너지를 이용한 물순환 장치
KR20130121284A (ko) 에너지 자립 및 원격제어에 의한 수질개선 자동화 장치
KR101244272B1 (ko) 수질 정화용 무인로봇
KR20150049964A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시스템
KR101453730B1 (ko) 저층수와 상층수의 물순환을 위한 물순환장치
JP2008173553A (ja) 水質改善装置
KR100718553B1 (ko) 수중 환경 개선 장치
JP4687999B2 (ja) 浮遊式水質改善装置
KR100986618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형 자연친화적 수질정화장치
JP2006068575A (ja) 風力エネルギーによる貯水池等の曝気循環方法及び装置
KR101371263B1 (ko) 수질정화와 녹조 및 적조발생 억제를 위한 이중 회전 물순환장치
KR101413449B1 (ko) 표층 및 중층의 물순환효율이 향상된 이중 회전 물순환장치
JP3243114B2 (ja) 自走式噴水型水質浄化装置
KR101067269B1 (ko)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