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732B1 -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732B1
KR101219732B1 KR20110017585A KR20110017585A KR101219732B1 KR 101219732 B1 KR101219732 B1 KR 101219732B1 KR 20110017585 A KR20110017585 A KR 20110017585A KR 20110017585 A KR20110017585 A KR 20110017585A KR 101219732 B1 KR101219732 B1 KR 10121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ell module
solar cell
lake
incide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1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972A (ko
Inventor
이승진
고명한
고경한
김상우
윤대환
박길호
현 김
권병철
양재경
백경렬
이규철
김용국
서승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티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티이십일 filed Critical (주)에이엔티이십일
Priority to KR2011001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7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상체;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상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물 순환관; 상기 물 순환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쪽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관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물 순환용 팬; 상기 물 순환용 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용 팬과 결합되는 팬 모터; 상기 물 순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산기관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장치;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공기 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자가 발전장치; 통제실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장치; 및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수로 제공되는 물은 대부분 댐에 저장된 것을 이용한다. 그런데 댐의 저장된 물은 고여 있으므로 여름철 전후로 녹조가 발생하여 수질이 악화될 수 있다.
녹조는 부영양화가 일어날 때 발생하며 햇빛과 온도가 녹조 발생에 영향을 준다. 호소수의 부영영화가 녹조류가 과다 번식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준다. 이로 인하여 수중의 용존 산소량이 감소하고 색도변화가 일어나며 수중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는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
현재 조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호소수의 상류 지역에 축산분뇨 처리장이나 하수 처리장을 설치하면 호소수로 영양염류가 유입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조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이외에, 물을 순환시켜 상하층간의 물을 교환하는 방법, 수중폭기기를 설치하는 방법, 조류 제거선을 이용하여 황토를 뿌리는 방법, 오일 팬스식의 번식차단 장치와 차광막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조류 발생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녹조를 방지하기 위해 황토나 약품을 뿌리는 경우, 일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는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리고 오일 팬스식의 번식차단 장치와 차광막을 설치하는 경우는 녹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아니다. 이 밖에 녹조에 의한 생물의 폐사를 방지하기 위해 물속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방법이 있지만, 산소 공급이 수면 쪽으로 국한되고 하층수와의 물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소수의 상하층 간의 물 교환을 활발하게 해줌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가발전 기능 및 자가진단 기능을 구비하여 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관리가 용이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상체,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상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물 순환관, 상기 물 순환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쪽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관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물 순환용 팬, 상기 물 순환용 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용 팬과 결합되는 팬 모터, 상기 물 순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산기관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장치,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공기 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자가 발전장치, 통제실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장치,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 발전장치는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 측정기,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측정하기 위한 일사량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을 청소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에 접하여 움직이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상기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구동장치,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에 청소액을 공급하기 위한 청소액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을 청소하기 위한 일사량 센서 클리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사량 센서 클리너는,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에 접하여 움직이면서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상기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구동장치,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에 청소액을 공급하기 위한 청소액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과 같은 방향 및 같은 기울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 위에 설치되는 틸팅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사량 센서는 상기 틸팅 기구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함께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 기구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좌우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틸팅 기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상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틸팅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 발전장치는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발전용 팬 및 상기 풍력 발전용 팬과 결합되어 전기를 발전하는 제너레이터를 구비하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상기 풍력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 측정기, 상기 풍력 발전용 팬을 작동시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속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 위에 설치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호소수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용존산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a) 자가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일사량 센서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측정하는 단계, (c) 태양전지 모듈에서 측정된 전력량(Pm1)과 상기 일사량 센서가 측정한 일사량에 따른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초기 세팅 전력량(Ps1)을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측정된 전력량(Pm1)과 상기 초기 세팅 전력량(Ps1)의 차이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이상 신호를 무선으로 통제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을 청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입사광 센서의 입사면을 청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용 범위는 상기 초기 세팅 전력량(Ps1)의 1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a) 자가 발전을 위한 풍력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b) 풍속 센서로 상기 풍력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풍력 발전기에서 측정된 전력량(Pm2)과 상기 풍속 센서가 측정한 풍력에 따른 상기 풍력 발전기의 초기 세팅 전력량(Ps2)을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측정된 전력량(Pm2)과 상기 초기 세팅 전력량(Ps2)의 차이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풍력 발전기에 대한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풍력 발전기에 대한 이상 신호를 무선으로 통제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용 범위는 상기 초기 세팅 전력량(Ps2)의 10%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물 순환용 팬을 작동시켜 물 순환관을 통해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키고 산기관을 통해 물 순환관으로 유입되는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친환경적이고 이동이 용이하며, 용존산소 센서로 호소수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함으로써 호소수의 오염을 감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자체 생산할 수 있고, 자가진단 기능을 구비하여 자가진단 결과를 무선으로 통제실에 알림으로써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는 자가발전을 위한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 상태를 진단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에 대한 청소를 자체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일사량 센서 및 일사량 센서 클리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자가진단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풍력 발전기에 대한 자가진단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호소수의 수면(10) 위에 뜨는 부상체(110), 부상체(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물 순환관(115), 수중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한 용존산소 센서(125),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자가 발전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장치(137), 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수신기(138),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39)를 포함한다. 자가 발전장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128) 및 풍력 발전기(131)를 포함한다. 이러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물 순환관(115)을 통해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키면서 물 속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부상체(110)는 베이스 패널(111)과 베이스 패널(111)에 결합되는 복수의 부력체(112)를 포함한다. 복수의 부력체(112)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갖는 것으로 베이스 패널(111)의 둘레에 결합된다. 복수의 부력체(112)에 의해 베이스 패널(111)은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다. 복수의 부력체(112)가 베이스 패널(111)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베이스 패널(111)은 부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져도 된다.
호소수의 수면에 떠있는 부상체(110)가 유동하면 태양전지 모듈(128)이 향하는 방향이 바뀔 수 있으므로, 부상체(110)에는 복수의 닻(113)이 연결되어 부상체(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닻(113)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상체(110)가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 패널(111)은 사각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력체(112)는 일부분이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져 네 개가 베이스 패널(111)의 각 코너부에 결합된다. 물 순환관(115)의 내부를 통해 순환하는 물은 베이스 패널(111)의 하면을 따라 외측으로 유동하므로, 부력체(112)는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패널(111)의 둘레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부력체(112)가 베이스 패널(111)의 둘레 전체에 배치되면 물 순환관(115)의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물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베이스 패널(111)의 형상이나 부력체(112)의 개수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부상체(110)의 구조도 베이스 패널(111)과 부력체(1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부상체(110)의 베이스 패널(111)은 별도의 보조물 없이 물에 뜰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갖고, 물 순환관(115)이 결합될 수 있는 하면과 각종 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상면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 순환관(115)은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부상체(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물 순환관(115)은 그 일단이 부상체(110)의 하면에 결합되어 부상체(110)에 고정된다. 물 순환관(115)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16),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7) 및 유입구(116)와 배출구(117)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118)가 마련된다. 배출구(117)는 호소수의 수면 쪽에 배치되도록 물 순환관(115)의 일단에 마련되고, 유입구(116)는 물 순환관(115)의 타단에 마련된다.
물 순환관(115)의 형상이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유입구(116)나 배출구(117)의 위치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배출구(117)가 유입구(116)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조건 하에서 배출구(117)와 유입구(116)의 위치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물 순환관(115)의 내부에는 물 순환관(115) 내의 물을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물 순환용 팬(119)이 설치된다. 물 순환용 팬(119)은 물 순환관(115) 내부의 유입구(116)와 배출구(117) 사이에 배치된다. 물 순환용 팬(119)은 부상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팬 모터(120)와 결합되며, 팬 모터(12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물 순환용 팬(119)이 작동하면 호소수 하층의 물이 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 유로(118)를 따라 배출구(117) 쪽으로 유동한 후 배출구(117)를 통해 수면 쪽으로 배출되면서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이 순환하게 된다.
도면에 상세히 표현되지는 않았으나, 팬 모터(120)는 물이 그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처리된 보호 케이스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팬 모터(120)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베이스 패널(111)의 구멍에는 호소수의 물이 부상체(11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물 순환관(115)의 유입구(116) 쪽에는 산기관(122)이 설치된다. 산기관(122)은 공기 공급장치(123)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물 순환관(115)으로 유입되는 물에 공기를 공급한다. 산기관(122)은 물 속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산기관(122)은 공기 공급관(124)을 통해 공기 공급장치(123)와 연결된다. 공기 공급관(124)은 베이스 패널(111)을 관통하여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배치되는 공기 공급장치(123)와 베이스 패널(1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산기관(122)을 연결한다. 공기 공급관(124)이 산기관(122)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기 공급관(124)은 물 순환관(115)에 지지될 수 있다.
공기 공급장치(123)로는 블로워나 에어 컴프레셔 등 공기를 강제로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상세히 표현되지는 않았으나, 공기 공급장치(123)는 물이 그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처리된 보호 케이스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존산소 센서(125)는 물속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물속에 위치하며 케이블(126)을 통해 제어장치(139)와 연결된다. 케이블(126)은 베이스 패널(111)을 관통하여 물속으로 연장되어 용존산소 센서(125)를 베이스 패널(111)에 연결하고 용존산소 센서(125)에서 발생하는 측정 신호를 제어장치(139)에 전달한다.
용존산소 센서(125)에 의한 물속의 용존 산소량 측정값은 공기 공급장치(123)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제어장치(139)는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공기 공급장치(123)를 작동시키지 않고,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만 공기 공급장치(12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39)는 용존 산소량 측정값을 무선통신장치(137)를 통해 통제실에 전송하고, 통제실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공기 공급장치(123)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128)은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설치된다. 태양전지 모듈(128)은 태양광을 받아 발전하고 생산된 전기로 배터리(135)를 충전한다. 태양전지 모듈(128)은 태양광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11)에 고정된 지지부재(130)에 의해 정남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지지된다.
풍력 발전기(131)는 풍력 발전용 팬(132)과 제너레이터(133)를 포함한다. 풍력 발전용 팬(132)이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 제너레이터(133)에서 전기가 생산되며, 이렇게 생산된 전기는 배터리(135)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태양전지 모듈(128) 및 풍력 발전기(131)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135)를 충전함으로써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자체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호소수의 중간에 떠서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통신장치(137)는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장치(139)와 연결된다. 무선통신장치(137)는 용존산소 센서(125)가 측정한 측정 신호나, 팬 모터(120)의 작동 상태, 배터리(135)의 잔류 전원량, 공기 공급장치(123)의 작동 상태, 위치 정보, 기후 정보 및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무선으로 통제실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137)는 통제실의 관리자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장치(139)에 전달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무선통신장치(137)를 통해 장치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장치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137)는 그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방수 처리된 케이스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제어장치(139)는 용존산소 센서(125)로부터 측정 신호를 제공받고, 팬 모터(120), 공기 공급장치(123), 무선통신장치(137)의 동작 등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장치(139)는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만 물 순환용 팬(119)이나 공기 공급장치(123)를 작동시킬 수 있고, 배터리(135)의 잔류 전원이 일정량 이하일 때는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켰다가 배터리(135)의 잔류 전원이 일정량을 넘으면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100)는 태양전지 모듈(128)을 청소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140)와 기상 관측을 위한 각종 센서를 더 포함한다. 기상 관측을 위한 센서로는 온도 센서(157), 강우량 센서(158), 일사량 센서(159), 풍향 센서(161), 풍속 센서(162) 등이 있다. 이들 센서(157)(158)(159)(161)(162)에 의해 관측된 기상 정보는 제어장치(139)에 전송된다. 제어장치(139)는 센서(157)(158)(159)(161)(16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무선통신장치(137)를 이용하여 통제실에 전송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140)는 태양전지 모듈(128)의 입사면(129)을 닦기 위한 와이퍼(141), 와이퍼(14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벨트(142) 및 제 2 벨트(143), 한 쌍의 벨트(142)(143)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44), 세척액 공급을 위한 세척액 공급기(153)를 포함한다.
제 1 벨트(142)와 제 2 벨트(143) 각각은 구동풀리(145)(146) 및 종동풀리(147)(148)에 지지된다. 한 쌍의 구동풀리(145)(146)는 지지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149)에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종동풀리(147)(148)는 지지부재(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축(151)에 각각 결합된다. 모터(144)가 작동하면 구동풀리(145)(146)가 회전하여 제 1 벨트(142)와 제 2 벨트(143)가 동시에 움직인다. 제 1 벨트(142)와 제 2 벨트(143)는 태양전지 모듈(128)의 상부에 태양전지 모듈(12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와이퍼(141)는 그 일단이 제 1 벨트(142)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제 2 벨트(143)에 결합된다. 와이퍼(141)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태양전지 모듈(128)의 입사면(129)에 접촉한 상태로 움직이되 입사면(129)에 손상을 주지 않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벨트(142) 및 제 2 벨트(143)가 움직일 때 와이퍼(141)는 태양전지 모듈(128)의 입사면(129)에 접촉한 상태로 움직여 입사면(129)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액 공급기(153)는 세척액 저장통(154), 세척액 펌프(155) 및 분사 노즐(156)를 포함한다. 세척액 펌프(155)가 작동하면 세척액 저장통(154)에 저장된 세척액이 분사 노즐(156)을 통해 태양전지 모듈(128)의 입사면(129)에 분사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사면(129)에 세척액이 공급된 상태에서 와이퍼(141)가 왕복 이동하면 입사면(129)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퍼(141)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구동장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퍼(141)는 체인이나 링크기구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140)의 전체 구조도 와이퍼를 이용하는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일사량 센서(159), 풍향 센서(161), 풍속 센서(162)는 기상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태양전지 모듈(128)과 풍력 발전기(131)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일사량 센서(159)의 측정 신호는 태양전지 모듈(128)의 발전 상태를 진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풍향 센서(161) 및 풍속 센서(162)의 측정 신호는 풍력 발전기(131)의 발전 상태를 진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장치(139)는 일사량 센서(159)가 관측한 일사량 정보를 기초로 태양전지 모듈(128)로부터 측정되는 측정 전력량(Pm1)과 태양전지 모듈(128)의 초기 세팅 전력량(Ps1)을 비교하여, 측정 전력량(Pm1)이 초기 세팅 전력량(Ps1)의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태양전지 모듈(128)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장치(139)는 풍향 센서(161) 및 풍속 센서(162)가 관측한 풍향과 풍속에 기초하여 풍력 발전기(131)로부터 측정되는 측정 전력량(Pm2)과 풍력 발전기(131)의 초기 세팅 전력량(Ps2)을 비교하여, 측정 전력량(Pm2)이 초기 세팅 전력량(Ps2)의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풍력 발전기(131)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자가진단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장치(139)는 태양전지 모듈(128)에 이상이 생긴 경우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140)를 작동시키거나 이상 신호를 통제실로 전송하고, 풍력 발전기(131)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상 신호를 통제실에 전송하여 관리자의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태양전지 모듈(128)과 풍력 발전기(131)의 전력량은 전력량 측정기(164)에 의해 측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량 측정기(164)는 태양전기 모듈(128)의 전력량 및 풍력 발전기(131)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제어장치(139)에 전송한다. 또한 전력량 측정기(164)는 팬 모터(120) 및 공기 공급장치(123)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제어장치(139)에 전송한다. 측정된 팬 모터(120)의 전력량과 공기 공급장치(123)의 전력량은 팬 모터(120)와 공기 공급장치(123)의 자가진단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장치(139)는 측정된 팬 모터(120)의 전력량과 공기 공급장치(123)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통제실에 무선 전송하여 통제실의 관리자가 팬 모터(120)와 공기 공급장치(123)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사량 센서(159)는 태양전지 모듈(128)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일사량 센서(159)는 이에 대응하는 태양전지 모듈(128)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은 태양전지 모듈(128)의 입사면(129)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태양전지 모듈(128)의 입사면(129)과 같은 기울기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일사량 센서(159)가 태양전지 모듈(128)과 같은 조건에서 일사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으면 일사량 센서(159)가 정확한 일사량을 검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사량 센서(159)는 작동 전에 일사량 센서 클리너(166)에 의해 청소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사량 센서 클리너(166)는 와이퍼(167), 와이퍼(167)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169),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기(175)를 포함한다. 모터(169)와 세척액 공급기(175)는 하우징(170) 내부에 수용된다.
와이퍼(167)는 하우징(170)에 마련되는 개구(171)를 통해 하우징(170) 내부에서 하우징(170) 외부에 배치되는 일사량 센서(159)까지 연장된다. 와이퍼(167)는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과 평행하게 움직이면서 입사면(160)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와이퍼(167)의 일단은 연결 링크(172)에 힌지 결합되고, 연결 링크(172)는 모터(169)에 결합된 구동 링크(173)와 힌지 결합된다. 와이퍼(167)의 중간은 하우징(170)에 고정된 힌지핀(174)에 힌지 결합되며, 모터(169)가 구동하면 모터(169)의 구동력이 구동 링크(173) 및 연결 링크(172)를 통해 와이퍼(167)에 전달되어 와이퍼(167)가 작동하게 된다. 와이퍼(167)는 고무나 실리콘 등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에 접촉한 상태로 움직이되 입사면(160)에 손상을 주지 않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와이퍼(167)에는 세척액 공급기(175)가 공급하는 세척액을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에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168)이 구비된다. 세척액 공급기(175)는 세척액을 저장하는 세척액 저장통(176) 및 세척액 펌프(177)를 포함한다. 세척액 펌프(177)가 작동하면 세척액 저장통(176)에 저장된 세척액이 세척액 펌프(177)와 와이퍼(167)를 연결하는 공급 튜브(178)를 통해 와이퍼(167)로 공급된다. 공급 튜브(178)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은 와이퍼(167)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유로(미도시)를 통해 복수의 노즐구멍(168)으로 유동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퍼(167)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구동장치는 도시된 것과 같은 링크기구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퍼(167)는 벨트나 체인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일사량 센서 클리너(166)의 전체 구조도 와이퍼를 이용하는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물 순환용 팬(119)을 작동시켜 물 순환관(115)을 통해 호소수의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키고 산기관(122)을 통해 물 순환관(115)으로 유입되는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소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물 순환용 팬(119)의 동작 없이도 공기 공급장치(123)와 연결된 산기관(122)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상하층 간에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100)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128) 및 풍력 발전기(131)를 통해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자체 생산할 수 있고, 자가진단 기능을 구비하여 무인 운용이 가능하며, 관리가 편리하다.
태양전지 모듈(128)에 대한 자가진단을 위한 제어방법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고, 풍력 발전기(131)에 대한 자가진단을 위한 제어방법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39)는 일사량 센서 클리너(166)를 작동시켜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을 청소한 후(S10), 일사량 센서(159)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28)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측정한다(S11).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으면 정확한 일사량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일사량 센서(159) 작동 전에 입사면(160)을 청소하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제어장치(139)는 전력량 측정기(164)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28)이 생산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고(S12), 측정된 전력량(Pm1)과 일사량 센서(159)가 측정한 일사량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128)의 초기 세팅 전력량(Ps1)을 비교한다(S13). 여기에서, 태양전지 모듈(128)의 초기 세팅 전력량(Ps1)은 정상적인 상태의 태양전지 모듈(128)이 생산하는 전력량으로, 일사량에 따른 값이 미리 설정되어 제어장치(139)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제어장치(139)는 초기 세팅 전력량(Ps1)과 측정된 전력량(Pm1)의 차이값이 초기 세팅 전력량(Ps1)의 15%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14), 그 허용 범위 내일 경우 태양전지 모듈(128)의 동작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반면, 그 차이값이 초기 세팅 전력량(Ps1)의 15%를 초과한 경우, 제어장치(139)는 태양전지 모듈(128)의 동작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하고 무선통신장치(137)를 통해 통제실에 통보하고(S15),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140)를 작동시켜 태양전지 모듈(128)의 입사면(129)을 청소한다(S16).
다음으로 풍력 발전기(131)에 대한 자가진단을 위한 제어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장치(139)는 풍속 센서(162)를 통해 풍력 발전기(131)를 작동시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한다(S20). 이와 함께 제어장치(139)는 풍향 센서(161)를 통해 바람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풍속 센서(162)로부터 얻은 정보에 반영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제어장치(139)는 전력량 측정기(164)를 통해 풍력 발전기(131)가 생산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고(S21), 측정된 전력량(Pm2)과 풍속 센서(162)가 측정한 풍력에 따른 풍력 발전기(131)의 초기 세팅 전력량(Ps2)을 비교한다(S22). 여기에서, 풍력 발전기(131)의 초기 세팅 전력량(Ps2)은 정상적인 상태의 풍력 발전기(131)가 풍속에 따라 생산하는 전력량으로, 미리 설정되어 제어장치(139)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제어장치(139)는 초기 세팅 전력량(Ps2)과 측정된 전력량(Pm2)의 차이값이 초기 세팅 전력량(Ps2)의 10%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23), 그 허용 범위 내일 경우 풍력 발전기(131)의 동작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반면, 그 차이값이 초기 세팅 전력량(Ps2)의 10%를 초과한 경우, 제어장치(139)는 풍력 발전기(131)의 동작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하고 무선통신장치(137)를 통해 통제실에 통보함으로써(S24) 관리자의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128)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허용 범위는 상술한 것과 같이 초기 세팅 전력량(Ps1)의 15%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에 맞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풍력 발전기(131)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허용 범위도 상술한 것과 같이 초기 세팅 전력량(Ps2)의 10%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조건에 맞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질 정화장치는 태양전지 모듈(180) 및 그 주변의 일부 구성이 변경된 것으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수질 정화장치(100)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180)은 틸팅 기구(183)(189)에 의해 그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틸팅 기구(183)는 태양전지 모듈(180)의 좌우 기울기를 조절하고, 제 2 틸팅 기구(189)는 태양전지 모듈(128)의 상하 기울기를 조절한다. 제 1 틸팅 기구(183)는 베이스 패널(111;도 1참조)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18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프레임(184)과 틸팅 프레임(184)을 기울이기 위한 모터(185)를 포함한다. 태양전지 모듈(180)은 그 일단이 힌지 장치(187)에 의해 틸팅 프레임(184)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틸팅 기구(189)는 틸팅 프레임(184)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90)와 태양전지 모듈(180)을 밀기 위해 틸팅 프레임(184)에 결합되는 푸셔(192)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90)에는 일정 곡률을 갖는 가이드 홈(191)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 홈(191)에 태양전지 모듈(180)의 돌기(182)가 삽입된다. 푸셔(192)의 작동 암(193)이 태양전지 모듈(180)을 상부 방향으로 밀면 돌기(182)가 가이드 홈(191)을 따라 이동하면서 태양전기 모듈(180)의 기울기가 커지고, 푸셔(192)의 작동 암(193)이 하강하면 태양전지 모듈(180)은 그 자중에 의해 기울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들 틸팅 기구(183)(189)는 태양전지 모듈(180)이 태양을 추종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어장치(13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장치(139)는 일사량 센서(159)가 검출하는 일사량 정보에 따라 틸팅 기구(183)(189)를 제어할 수 있다. 틸팅 기구(183)(189)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전지 모듈(180)의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180)의 입사면(181)을 청소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14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다만,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140)는 와이퍼(141)가 태양전지 모듈(180)의 입사면(181)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 모듈(180)에 결합된다. 구동축(149)과 종동축(151)은 태양전지 모듈(180)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95)(19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일사량 센서(159) 및 일사량 센서 클리너(166)는 태양전지 모듈(180)과 함께 기울어질 수 있도록 태양전지 모듈(180)에 결합된 지지판(198)에 결합된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180)이 기울어지더라도 일사량 센서(159)의 입사면(160)은 항상 태양전지 모듈(180)의 입사면(181)과 같은 방향과 같은 기울기로 놓이게 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180)은 틸팅 기구(183)(189)에 그 입사면(181)이 태양광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각도로 기울어짐으로써 전력 생산성이 향상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수질 정화장치 110 : 부상체
111 : 베이스 패널 112 : 부력체
115 : 물 순환관 119 : 물 순환용 팬
120 : 팬 모터 122 : 산기관
123 : 공기 공급장치 125 : 용존산소 센서
128, 180 : 태양전지 모듈 129, 160, 181 : 입사면
131 : 풍력 발전기 132 : 풍력 발전용 팬
133 : 제너레이터 135 : 배터리
137 : 무선통신장치 139 : 제어장치
140 : 태양전지모듈 클리너 141, 167 : 와이퍼
142, 143 : 제 1, 2 벨트 153, 175 : 세척액 공급기
159 : 일사량 센서 161 : 풍향 센서
162 : 풍속 센서 164 : 전력량 측정기
166 : 일사량 센서 클리너 183, 189 : 제 1, 2 틸팅 기구
184 : 틸팅 프레임 187 : 힌지 장치
190 : 가이드 부재 192 : 푸셔
193 : 작동 암 198 : 지지판

Claims (20)

  1. 호소수의 수면으로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상체;
    호소수의 수면 쪽에서 호소수의 바닥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상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호소수의 수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물 순환관;
    상기 물 순환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쪽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관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물 순환용 팬;
    상기 물 순환용 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물 순환용 팬과 결합되는 팬 모터;
    상기 물 순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산기관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장치;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공기 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하는 자가 발전장치;
    통제실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장치;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 위에 설치되는 틸팅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 기구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좌우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틸팅 기구,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상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틸팅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 측정기;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측정하기 위한 일사량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을 청소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 클리너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에 접하여 움직이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상기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구동장치,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에 청소액을 공급하기 위한 청소액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을 청소하기 위한 일사량 센서 클리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 클리너는,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에 접하여 움직이면서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상기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구동장치, 및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에 청소액을 공급하기 위한 청소액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의 입사면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입사면과 같은 방향 및 같은 기울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는 상기 틸팅 기구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함께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발전장치는 상기 부상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발전용 팬 및 상기 풍력 발전용 팬과 결합되어 전기를 발전하는 제너레이터를 구비하는 풍력 발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 측정기; 및
    상기 풍력 발전용 팬을 작동시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속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 위에 설치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호소수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부상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용존산소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20110017585A 2011-02-28 2011-02-28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1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7585A KR101219732B1 (ko) 2011-02-28 2011-02-28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7585A KR101219732B1 (ko) 2011-02-28 2011-02-28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72A KR20120097972A (ko) 2012-09-05
KR101219732B1 true KR101219732B1 (ko) 2013-02-05

Family

ID=4710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17585A KR101219732B1 (ko) 2011-02-28 2011-02-28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07B1 (ko) * 2015-06-23 2017-11-07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2983A1 (ko) * 2015-06-29 2017-01-05 양희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기포 수질개선장치
KR102039214B1 (ko) * 2017-03-13 2019-11-26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수상 부유물 수집 장치
KR102525508B1 (ko) * 2020-10-21 2023-04-25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녹조 억제 장치
WO2022146274A1 (en) * 2020-12-31 2022-07-07 Yalcin Ahmet Cem A floating charging station
KR102525240B1 (ko) * 2021-02-02 2023-04-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600Y1 (ko) * 1986-09-12 1989-08-22 김순용 풍력을 이용한 저수지의 정화폭기 장치
JP2002102617A (ja) * 2000-09-29 2002-04-09 Tokico Ltd 水質浄化装置
JP2002186957A (ja) * 2000-10-13 2002-07-02 Keiichi Sugino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20060078147A (ko) * 2004-12-30 2006-07-05 (주) 피에스디테크 단위모듈이 적용된 풍력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600Y1 (ko) * 1986-09-12 1989-08-22 김순용 풍력을 이용한 저수지의 정화폭기 장치
JP2002102617A (ja) * 2000-09-29 2002-04-09 Tokico Ltd 水質浄化装置
JP2002186957A (ja) * 2000-10-13 2002-07-02 Keiichi Sugino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20060078147A (ko) * 2004-12-30 2006-07-05 (주) 피에스디테크 단위모듈이 적용된 풍력발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07B1 (ko) * 2015-06-23 2017-11-07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72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732B1 (ko)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89783B1 (ko)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KR101127536B1 (ko) 태양광 모듈 패널 청소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0441973Y1 (ko) 수면 부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923542B1 (ko) 미세 추적 기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240626B1 (ko) 외해 수중 가두리 양식장의 자동 급이장치 및 그 시스템
WO2015141282A1 (ja) 洗浄装置
KR20130007069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냉각 및 세정장치
KR20200106655A (ko) 태양광 패널 표면 모니터링 및 클리닝 장치
KR101536998B1 (ko) 부유식 수질정화 환류 시스템
KR102064707B1 (ko)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솔라셀모듈 세척 및 냉각장치
CN103430901A (zh) 一种智能增氧系统的溶氧检测与自清洁机构
KR20230009803A (ko) 태양광 패널 자동 세척장치 및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을 이용한 세척방법
KR20160067650A (ko) 지열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난방 세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95218A (ko) 무인자동 온라인 탁도 측정시스템
KR20170128865A (ko) 수질 오염 정화 장치
KR20140134807A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82883B1 (ko) 태양광 패널 세척 및 냉각 장치
JP6121354B2 (ja) 洗浄装置
KR20140057976A (ko) 우수처리시스템의 자동배수장치
CN108407770B (zh) 一种自动洗车房
JPS5979579A (ja) 太陽電池システム
KR102491863B1 (ko)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088773B1 (ko) 경사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설비의 냉각장치
JP2003181390A (ja) 環境観測センサ用水噴式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