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216A -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216A
KR20110103216A KR1020100022436A KR20100022436A KR20110103216A KR 20110103216 A KR20110103216 A KR 20110103216A KR 1020100022436 A KR1020100022436 A KR 1020100022436A KR 20100022436 A KR20100022436 A KR 20100022436A KR 20110103216 A KR20110103216 A KR 2011010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ange
effect
pixel values
pixe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0986B1 (ko
Inventor
안은선
곽진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986B1/ko
Priority to US12/985,418 priority patent/US9288461B2/en
Publication of KR2011010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for mixing of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력 영상에 영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캠코더 등 다양한 영상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고, 특히 모바일 형태의 영상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장치들의 성능이 날로 발전하면서, 모바일 장치에서 다양한 영상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데, 모바일 장치의 특성 상, 일반 컴퓨터에 비하여 자원이 제한되어, 빠른 시간 내에 영상 처리 기능을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처리만으로 영상에 효과를 부여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영상 효과가 부여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효과를 영상에 부여할 때, 간단하게 결과 영상의 톤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2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제1-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제1-2 범위의 중간 화소 값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며, 제1-3 범위의 상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대 값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1-2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효과를 부여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1-1 범위 및 상기 제1-3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의 톤(tone)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에서, 제2-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전체 화소 값 범위 중 상기 제2-1 범위를 제외한 제2-2 범위의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2-1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에서, 상기 영상 효과를 제거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의 상기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결과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를 상기 입력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와 일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이고, 상기 결과 영상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라이브뷰 영상이며,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결과 영상을 라이브뷰 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값은 밝기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결과 영상의 컬러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효과는, 스케치 효과, 망점(halftone dot) 효과, 및 텔레비전 번짐 효과(Blurry TV effec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켜 제1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부; 상기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합산부; 및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처리부는, 제1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제1 LUT 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제2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LUT 적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제1-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제1-2 범위의 중간 화소 값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며, 제1-3 범위의 상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대 값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도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2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효과를 부여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효과 범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1 범위 및 상기 제1-3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의 톤(tone)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톤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에서, 제2-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전체 화소 값 범위 중 상기 제2-1 범위를 제외한 제2-2 범위의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2-1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에서, 상기 영상 효과를 제거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효과 범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의 상기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결과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를 상기 입력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와 일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고, 상기 결과 영상은 라이브뷰 영상이며,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결과 영상을 라이브뷰 영상으로 표시하는 라이브뷰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결과 영상의 컬러 성분을 제거하는 컬러 성분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코드 부분; 상기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코드 부분; 및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룩업 테이블 및 합산 처리만을 이용하여 영상에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영상 효과가 부여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결과 영상의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룩업 테이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마스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2 룩업 테이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영상에 스케치 효과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망점 효과를 나타내는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망점 효과를 갖는 마스크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텔레비전 번짐 효과를 나타낸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TV 번짐 효과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영상 처리 장치(100)가 디지털 촬영 장치로 구현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촬영부(11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메모리(130), 저장/판독 제어부(140), 데이터 저장부(142), 프로그램 저장부(150), 표시 구동부(162), 표시부(164), CPU/DSP(170), 및 조작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전체 동작은 CPU/DSP(170)에 의해 통괄된다. CPU/DSP(170)는 조리개 구동부(112), 렌즈 구동부(115), 촬상 소자 제어부(119) 등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촬영부(110)는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의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조리개(111), 조리개 구동부(112), 렌즈(113), 렌즈 구동부(115), 촬상 소자(118),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조리개(111)는 조리개 구동부(112)에 의해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촬상 소자(118)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113)는 줌렌즈, 포커스 렌즈 등 복수의 렌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113)는 렌즈 구동부(115)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다. 렌즈 구동부(115)는 CPU/DSP(170)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113)의 위치를 조절한다.
조리개(111) 및 렌즈(113)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8)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8)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소자(118)는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 소자 제어부(119)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8)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8)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미도시)는 가리개를 이동시켜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8)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8)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130)를 거쳐 CPU/DSP(17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130)를 거치지 않고 CPU/DSP(17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영상 처리 장치(100)의 메인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CPU/DSP(170)가 동작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50)는 영상 처리 장치(100)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64)를 포함한다. 표시부(164)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부(16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4)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표시 구동부(162)는 표시부(164)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CPU/DSP(17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CPU/DSP(17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정지 영상에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CPU/DSP(17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1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140)에 입력되는데,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13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표시 구동부에 입력하여 표시부(164)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142)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영상 처리 장치(100)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DSP(170)에서는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CPU/DSP(170)에서는 표시부(1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CPU/DSP(17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CPU/DSP(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리개 구동부(112), 렌즈 구동부(115),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영상 처리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18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8)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모드,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마스크를 합산한 후, 밝기 및/또는 색상을 조절하여, 실시간으로 입력 영상에 영상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CPU/DSP(170a)는 제1 처리부(210a), 마스크 적용부(220), 및 제2 처리부(230a)를 포함한다.
제1 처리부(210a)는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처리를 한다. 이때,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화소 값은 예를 들면 YCbCr 색좌표에서 밝기 값인 Y 값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 영상의 밝기 값(예를 들면 YCbCr 색좌표에서 Y값)뿐만 아니라, 색상 값(예를 들면 YCbCr 색좌표에서 Cb값과 Cr값)도 함께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되는 화소 값은 영상 효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화소 값들에 대한 처리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룩업 테이블 적용, 마스크 합산, 및 제2 룩업 테이블 적용의 과정을 거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화소 값이 밝기 값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다른 종류의 화소 값에 대한 처리는, 상기 밝기 값에 대한 처리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은 상기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되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라이브뷰 영상, 또는 셔터-릴리즈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된 캡쳐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이 라이브뷰 영상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시간으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여 라이브뷰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룩업 테이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룩업 테이블은 입력 영상의 화소 값에 따른 제1 영상의 화소 값을 대응시켜 놓은 룩업 테이블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의 제1-1 범위, 제1-2 범위, 및 제1-3 범위에 대한 처리를 달리한다.
상기 제1-1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입력 영상의 화소들의 밝기 값은 최소 밝기 값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 영상에 제1 룩업 테이블을 적용한 결과 출력되는 제1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255이하인 경우, 제1-1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입력 영상의 화소들은, 밝기 값이 0으로 조절된다.
제1-2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입력 영상의 화소들은, 콘트라스트가 증가된다. 제1-2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입력 영상의 화소들의 밝기 값은, 상기 제1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대응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255 이하인 경우, 제1-2 범위의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은, 0이상 255이하의 제1 영상의 밝기 값으로 대응된다. 제1-2 범위의 룩업 테이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그래프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1-2 범위의 룩업 테이블의 형태는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한, 그 모양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결과 영상의 콘트라스트는 제1-2 범위에서의 기울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3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입력 영상의 화소들은, 제1 영상의 최대 밝기 값(a1)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255이하인 경우, 제1-3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입력 영상의 화소들은, 밝기 값이 255로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룩업 테이블에서, 제1-2 범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입력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1-2 범위가 30 내지 200의 밝기 값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효과는 해당 범위의 밝기 값에서 나타난다. 또한 제1-1 범위가 넓을수록 결과 영상이 어두워지고, 제1-3 범위가 넓을수록 결과 영상이 밝아진다.
제1 처리부(210a)에서 처리되어 출력된 제1 영상은 마스크 적용부(220)로 입력된다. 마스크 적용부(220)는 상기 제1 영상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상기 제1 영상에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마스크를 미리 저장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 모드로 진입하였을 때 상기 마스크를 한 번만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스크를 합산하는 처리만으로 영상 효과를 부가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자원이 제한되는 모바일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영상 효과를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합산 처리는 입력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하여 한 번의 처리만 요구되기 때문에, 각 화소에 대하여 주변 화소들까지 고려하여 처리해야하는 컨벌루션(convolution)과 같은 처리에 비하여 처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마스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스케치(sketch)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마스크를 나타내다. 마스크는 예를 들면, 상기 입력 영상과 같은 크기의 해상도로 작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마스크는 일정 크기로 작성되고, 입력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반복되어 적용되거나,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마스크의 패턴은 원하는 영상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효과에 따라 마스크 패턴을 선택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마스크 적용부(220)에서 마스크가 적용된 제2 영상은, 제2 처리부(230a)로 입력되어, 제2 룩업 테이블이 적용된 결과 영상으로 변환된다. 제2 처리부(230a)는 상기 제2 영상에 제2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의 전체적인 톤을 조절한다. 합산 처리에 의해 마스크가 적용되면,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가 입력 영상의 화소 값의 전체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255 이하이고, 마스크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127이하인 경우, 제2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는 0이상 382이하가 된다. 이처럼 제2 영상의 계조 범위가 입력 영상에 비해서 커지면, 제2 영상이 입력 영상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밝게 된다. 이처럼 처리 과정에서 입력 영상의 톤이 과도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여 제2 영상의 톤을 조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2 룩업 테이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룩업 테이블은 제2 영상의 화소 값에 따른 결과 영상의 화소 값을 대응시켜 놓은 룩업 테이블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제2 영상의 밝기 값의 제2-1 범위 및 제2-2 범위에 대한 처리를 달리한다.
상기 제2-1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제2 영상의 화소들의 밝기 값은 상기 결과 영상의 최소 밝기 값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과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255이하인 경우, 상기 제2-1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제2 영상의 화소들은 밝기 값이 0으로 조절된다. 제2 영상의 제2-1 범위의 밝기 값들에서는 마스크에 의해 적용된 영상 효과가 제거된다. 따라서 제2-1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영상 효과를 제거할 제2 영상의 밝기 값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2 범위의 밝기 값을 갖는 제2 영상의 화소들은 그 밝기 값이 감소되도록 조절된다. 제2 영상은 마스크가 합산됨으로 인해 그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처리부(230a)는 제2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2-1 범위의 밝기 값들은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제2-2 범위의 밝기 값을 감소시켜, 결과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를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와 유사하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255 이하이고, 마스크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127이하이며, 제2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382이하인 경우, 제2 룩업 테이블은 결과 영상의 밝기 값의 전체 범위가 0이상 255 이하가 되도록 제2 영상의 밝기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룩업 테이블에서 a2 값은 255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2-2 범위의 제2 룩업 테이블은 선형 그래프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2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2 룩업 테이블의 형태는 제2 영상의 톤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2-2 범위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영상에 스케치 효과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입력 영상, 도 7은 제1 영상, 도 8은 제2 영상, 도 9는 결과 영상을 나타낸다. 우선 도 6의 입력 영상에 제1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으로부터 콘트라스트가 증가된 제1 영상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제1 영상에 마스크를 합산하면, 도 8의 제2 영상이 생성된다. 제2 영상에 제2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여, 제2 영상의 톤을 조절하면, 도 9와 같은 결과 영상이 생성된다. 도 8과 도 9를 비교해보면, 도 8의 제2 영상에 비해 도 9의 결과 영상은 그 밝기가 전체적으로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2 영상에서는 어두운 부분에서 밝은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스케치 효과가 나타났지만, 도 9의 결과 영상에서는 어두운 부분에서 스케치 효과가 제거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스케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9의 결과 영상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치 효과 적용은, 스케치 효과에 의해 입력 영상의 에지(edge)가 뭉그러짐 없이, 입력 영상을 선명하게 유지하면서 스케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스케치 효과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영상 효과에도 나타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우선 입력 영상에 제1 룩업 테이블(제1 LUT)를 적용하여,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킨 제1 영상을 생성한다(S1002). 다음으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한다(S1004). 제2 영상이 생성되면, 상기 제2 영상의 톤을 조절하도록 제2 룩업 테이블(제2 LUT)이 상기 제2 영상에 적용되어, 결과 영상이 생성된다(S1006). 결과 영상이 생성되면, 결과 영상을 표시부(164)에 표시한다(S1008).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룩업 테이블을 조절하여, 영상 효과를 나타낼 화소 값의 범위와 결과 영상의 톤을 조절할 수 있고, 제2 룩업 테이블을 조절하여, 영상 효과를 나타낼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에 실시간으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영상 효과가 부가된 라이브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b)는 제1 처리부(210b), 마스크 적용부(220), 제2 처리부(230b), 컬러성분 제거부(1120), 및 라이브뷰 제공부(1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처리부(210b)는, 제1 LUT(look-up table) 적용부(1102), 제1 효과 범위 결정부(1104), 및 톤 조절부(1106)를 포함한다.
제1 효과 범위 결정부(1104)는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의 제1-2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마스크에 의한 영상 효과가 나타나는 입력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룩업 테이블의 제1-2 범위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의 화소 값에서만 마스크에 의한 영상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제1-2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영상 효과가 나타나는 입력 영상에서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2 범위의 폭은 설계자에 의해 조절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톤 조절부(1106)는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의 제1-1 범위 및 제1-3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결과 영상의 톤을 조절한다. 제1-1 범위의 폭이 넓어질수록 결과 영상이 어두워지고, 제1-3 범위의 폭이 넓어질수록 결과 영상이 밝아진다.
제1 LUT 적용부(1102)는 제1 효과 범위 결정부(1104) 및 톤 조절부(1106)에 의해 조절된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을 상기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처리부(230b)는 제2 LUT 적용부(1112) 및 제2 효과 범위 결정부(1114)를 포함한다.
제2 효과 범위 결정부(1114)는 제2-1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제2 영상에서 마스크에 의한 영상 효과를 제거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한다. 제2-1 범위의 화소 값을 갖는 제2 영상의 화소들은, 제2 룩업 테이블에 의해 최소 화소 값으로 일률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마스크 적용부(220)에 의해 영상 효과가 적용되었다 하더라도, 제2 룩업 테이블에 의해 상기 영상 효과가 제거될 수 있다.
제2 LUT 적용부(112)는, 제2 효과 범위 결정부(1114)에 의해 조절된 제2 룩업 테이블을 상기 제2 영상에 적용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컬러성분 제거부(1120)는 상기 결과 영상으로부터 컬러 성분을 제거한다. 예를 들면, 컬러성분 제거부(1120)는 상기 입력 영상이 YCbCr 포맷의 영상인 경우, Cb 및 Cr 값을 0으로 변경한다. 컬러성분 제거부(1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적용되는 영상 효과가 흑백 영상으로 표현되는 경우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효과가 적용된 영상이 컬러 영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컬러성분 제거부(1120)가 제2 처리부(230b)의 다음 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컬러성분 제거부(1120)가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실시예들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컬러성분 제거부(1120)는 제1 처리부(210b) 다음 단에 구비될 수 있다.
라이브뷰 제공부(1130)는 컬러성분 제거부(1120)로부터 출력된 영상 또는 제2 처리부(230b)에서 출력된 결과 영상을 라이브뷰 영상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라이브뷰 제공부(1130)는 표시 구동부(162)에 영상 효과가 부가된 라이브뷰 영상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제1 룩업 테이블의 제1-2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영상 효과가 나타나게 할 화소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S1202), 제1 룩업 테이블의 제1-1 범위 및 제1-3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결과 영상의 톤을 조절한다(S1204). 다음으로, 제1-1 내지 1-3 범위들의 폭이 조절된 제1 룩업 테이블을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한다(S1206). 제1 영상이 생성되면, 상기 제1 영상에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한다(S1208). 다음으로, 제2 룩업 테이블의 제2-1 범위의 폭을 조절하여, 제2 영상에서 마스크로 인한 영상 효과를 제거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고(S1210), 조절된 제2 룩업 테이블을 상기 제2 영상에 적용하여(S1212),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결과 영상으로부터 컬러 성분을 제거하고(S1214), 영상 효과가 적용된 라이브뷰 영상을 제공한다(S121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설계자가 결과 영상에서 나타나는 영상 효과의 느낌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감성적인 느낌이 중요한 스케치 효과와 같은 영상 효과의 느낌을 사용자 또는 설계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용되는 마스크의 패턴을 변화시켜, 영상 효과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망점(halftone dot) 효과 또는 텔레비전 번짐 효과(Blurry TV effect)를 입력 영상에 부가할 수 있다. 도 13은 망점 효과를 나타내는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망점 효과를 갖는 마스크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일부를 확대한 두 번째 영상을 참조하면, 망점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텔레비전 번짐 효과를 나타낸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TV 번짐 효과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CPU/DSP(170)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2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영상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제1-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제1-2 범위의 중간 화소 값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며, 제1-3 범위의 상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대 값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1-2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효과를 부여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1-1 범위 및 상기 제1-3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의 톤(tone)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에서, 제2-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전체 화소 값 범위 중 상기 제2-1 범위를 제외한 제2-2 범위의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2-1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에서, 상기 영상 효과를 제거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의 상기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결과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를 상기 입력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와 일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영상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이고, 상기 결과 영상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라이브뷰 영상이며,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결과 영상을 라이브뷰 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값은 밝기 값인, 영상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결과 영상의 컬러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효과는, 스케치 효과, 망점(halftone dot) 효과, 및 텔레비전 번짐 효과(Blurry TV effect) 중 적어도 하나인, 영상 처리 방법.
  13.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켜 제1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부;
    상기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합산부; 및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제1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제1 LUT 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제2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LUT 적용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제1-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제1-2 범위의 중간 화소 값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며, 제1-3 범위의 상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대 값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2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효과를 부여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효과 범위 결정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1 범위 및 상기 제1-3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의 톤(tone)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톤 조절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에서, 제2-1 범위의 하측 화소 값을 상기 화소 값의 최소 값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전체 화소 값 범위 중 상기 제2-1 범위를 제외한 제2-2 범위의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2-1 범위의 상기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상기 결과 영상에서, 상기 영상 효과를 제거할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효과 범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영상의 상기 화소 값을 전체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결과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를 상기 입력 영상의 전체 화소 값의 범위와 일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영상 처리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고, 상기 결과 영상은 라이브뷰 영상이며,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결과 영상을 라이브뷰 영상으로 표시하는 라이브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값은 밝기 값인, 영상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결과 영상의 컬러 성분을 제거하는 컬러 성분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효과는, 스케치 효과, 망점(halftone dot) 효과, 및 텔레비전 번짐 효과(Blurry TV effect) 중 적어도 하나인, 영상 처리 장치.
  25. 입력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코드 부분;
    상기 제1 영상에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합산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코드 부분; 및
    상기 제2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여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100022436A 2010-03-12 2010-03-12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75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36A KR101750986B1 (ko) 2010-03-12 2010-03-12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12/985,418 US9288461B2 (en) 2010-03-12 2011-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36A KR101750986B1 (ko) 2010-03-12 2010-03-12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216A true KR20110103216A (ko) 2011-09-20
KR101750986B1 KR101750986B1 (ko) 2017-06-26

Family

ID=4455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436A KR101750986B1 (ko) 2010-03-12 2010-03-12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8461B2 (ko)
KR (1) KR101750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7031B2 (ja) * 2011-08-11 2013-12-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4732503B (zh) * 2013-12-24 2017-10-24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图像去雾增强方法和装置
CN104639843B (zh) * 2014-12-31 2017-12-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017A (en) * 1992-12-31 1995-09-19 Hickman; Charles B.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image color modification using hue and saturation levels
US6157394A (en) * 1996-08-29 2000-12-05 Apple Computer, Inc. Flexible digital image processing via an image processing chain with modular image processors
EP0933924B1 (en) * 1998-01-28 2004-03-24 Konica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7027088B1 (en) * 1998-07-31 2006-04-11 Seiko Epson Corporation Color to monotone conversion apparatus, color to monotone conversion method and a medium recording thereon a color to monotone conversion program
US6469747B1 (en) * 1999-09-02 2002-10-22 Da Vinco Systems, Inc. Parabolic mixer for video signals
US6804409B2 (en) * 2001-03-10 2004-10-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contrast mapping of digital images using a variable mask
US7215813B2 (en) * 2001-12-03 2007-05-0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correction
KR100547739B1 (ko) 2003-08-16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TWI292138B (en) * 2004-03-11 2008-01-01 Mstar Semiconductor Inc Device for adaptively adjusting video's luminance and related method
EP1868368A4 (en) * 2005-03-15 2009-06-24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3863904B1 (ja) * 2005-03-30 200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064693B2 (en) * 2006-08-31 2011-11-22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lour saturation in an input image
US8363019B2 (en) * 2008-05-26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8406482B1 (en) * 2008-08-28 2013-03-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kin tone detection in images
US8659622B2 (en) 2009-08-31 2014-02-25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editing seam carving masks
US8279349B2 (en) * 2009-11-17 2012-10-02 Nice Systems Ltd. Automatic control of visual parameters in video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1932A1 (en) 2011-09-15
KR101750986B1 (ko) 2017-06-26
US9288461B2 (en)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880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92401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4293174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81765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71089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capture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4361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JP499987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73679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0868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920074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US20110134290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smear correction method thereof
KR101750986B1 (ko)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07180718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方法
US20160360082A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JP5335964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48794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入力装置
JP6157274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988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rrecting image corresponding to change in state of an optical member
JP590475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0245924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7235421A (ja) 撮像装置
JP4787403B2 (ja) 自動露出装置及び方法
KR10181765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9239974A (ja) 自動露出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