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731A - 장식용 인조보석 - Google Patents

장식용 인조보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731A
KR20110102731A KR1020100021894A KR20100021894A KR20110102731A KR 20110102731 A KR20110102731 A KR 20110102731A KR 1020100021894 A KR1020100021894 A KR 1020100021894A KR 20100021894 A KR20100021894 A KR 20100021894A KR 20110102731 A KR20110102731 A KR 20110102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fixing
fixing part
decor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044B1 (ko
Inventor
김응석
Original Assignee
태현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현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현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04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2Gems made of several cut pieces
    • A44C17/003Doublet ston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장식용 인조보석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장식부(11')의 후단부에 반사증착층(13')이 형성된 다각뿔형의 고정부(12')가 마련된 형태의 인조보석(10')의 고정부(12')의 꼭지점부위에 절단부(14')를 마련하여 고정부(12')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절단부(14')를 통해 장식부(11')쪽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고정부의 절단부위를 통과한 빛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단순 투과될 뿐이어서 장식부가 그다지 아름답게 빛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의 후단에 장식 물품의 외부 표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가 마련되고, 고정부의 외부 표면에 반사증착층이 형성되는 장식용 인조보석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증착층에 선형 빛투과부(Linear light penetration gap)를 형성하여 고정부의 후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장식부 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에 반사증착층이 형성되어 장식부 쪽의 빛을 통해 장식부가 반짝거릴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식부 쪽의 빛이 없거나 희미할 때에 고정부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선형 빛투과부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장식부 쪽으로 투과될 수 있게 되므로 장식부가 더욱 아름답게 빛나게 되어 뛰어난 장식미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장식용 인조보석{a synthetic stone}
본 발명은 물품의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장식용 인조보석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반사증착층이 형성된 고정부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을 장식부 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에머랄드, 루비 등의 천연보석은 단단하면서 뛰어난 광택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강하고 장식미가 뛰어나지만 희소성 때문에 값이 비싸 물품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 천연보석에 비교하여 인조보석은 값이 싸면서도 어느 정도의 내구성을 지니기 때문에 물품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장식용 인조보석은 산화지르코늄을 원석으로 해서 만든 모조 다이아몬드인 큐빅(cubic zircornia)이나 유리제의 것 등이 주로 사용되며, 그 형태는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의 후단부에 다각뿔형의 고정부가 마련된 것이라든지 장식부의 후단부에 평면 고정부가 마련된 것 등이 있다.
상기 인조보석 중에서 큐빅의 경우 장식부로부터 고정부 쪽으로 빛이 투과되더라도 고정부에서 대부분의 빛을 반사하여 아름답게 반짝거리게 되지만 유리제의 경우 장식부 쪽에서 조사되는 빛이 대부분 고정부를 그대로 통과해버려 빛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장식부 쪽에서 조사되는 빛을 고정부에서 반사할 수 있도록 하도록 고정부에 반사증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며, 큐빅을 비롯한 다른 재질의 인조보석들도 고정부에 반사증착층을 형성하게 되면 장식부 쪽에서 조사되는 빛을 고정부의 반사증착층에서 더욱 확실하게 반사하여 보다 아름답게 빛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천연보석이나 큐빅을 비롯한 일부 인조보석과 같이 장식부 쪽에서 조사되는 빛이 고정부에서 반사되는 보석들의 경우 고정부에 이물질이 묻게 되면 반사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져 아름답게 빛나지 못하게 되므로 고정부에 이물질인 접착제를 묻혀 장식판 표면 등에 견고하게 접착 설치할 수 없게 되고 별도의 보석홀더를 통해 최소 접촉면적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고정부에 반사증착층을 형성한 인조보석의 경우 접착제를 고정부에 묻혀 장식판 표면 등에 부착하더라도 빛을 반사하는 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된다.
한편 야간이나 어두운 곳 등의 빛이 없거나 빛이 희미한 장소에서는 아무리 보석이라도 아름답게 반짝거릴 수 없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장식용 인조보석의 고정부 후방에 조명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장식용 인조보석의 고정부를 투과한 빛이 장식부의 전방으로 조사되면서 장식부가 반짝거리도록 하는 후방조명 장식기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고정부에 반사증착층을 형성한 장식용 인조보석의 경우 고정부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증착증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후방조명 장식기법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에는 종래의 한 장식용 인조보석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종래의 장식용 인조보석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장식부(11')의 후단부에 반사증착층(13')이 형성된 다각뿔형의 고정부(12')가 마련된 형태의 인조보석(10')의 고정부(12')의 꼭지점부위에 절단부(14')를 마련하여 고정부(12')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절단부(14')를 통해 장식부(11')쪽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고정부의 절단부위를 통과한 빛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단순 투과될 뿐이어서 장식부가 그다지 아름답게 빛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반사증착층이 형성된 고정부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보다 장식부 쪽으로 투과시킴에 있어서 장식부가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빛나도록 하는 장식용 인조보석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식용 인조보석은 고정부의 반사증착층에 선형 빛투과부(Linear light penetration gap)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의 후단에 장식 물품의 외부 표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가 마련되고, 고정부의 외부 표면에 반사증착층이 형성되는 장식용 인조보석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증착층에 선형 빛투과부를 형성하여 고정부의 후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장식부 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식용 인조보석은 고정부가 다각뿔형으로 이루어지고, 선형 빛투과부가 다각뿔형 고정부의 면과 면이 만나는 경계 부위인 각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장식용 인조보석은 고정부가 평면형으로 이루어지고, 선형 빛투과부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형태나 고정부가 평면형으로 이루어지고, 선형 빛투과부가 격자상으로 마련된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용 인조보석에 있어서 선형 빛투과부는 고정부의 외부 표면 전체 부위에 형성된 반사증착층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고정부의 외부 표면 일부 부위에 반사증착층을 형성하지 않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에 반사증착층이 형성되어 장식부 쪽의 빛을 통해 장식부가 반짝거릴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식부 쪽의 빛이 없거나 희미할 때에 고정부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선형 빛투과부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장식부 쪽으로 투과될 수 있게 되므로 장식부가 더욱 아름답게 빛나게 되어 뛰어난 장식미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한 장식용 인조보석의 정면도
도 2는 동 종래의 장식용 인조보석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동 제1실시예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동 제2실시예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
도 8은 동 제3실시예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일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일 사용상태의 분해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제1실시예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동 제2실시예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동 제3실시예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111)(121)(131)의 후단에 장식 물품의 외부 표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112)(122)(132)가 마련되고, 고정부(112)(122)(132)의 외부 표면에 반사증착층(113)(123)(133)이 형성되는 장식용 인조보석(110)(120)(13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증착층(113)(123)(133)에 선형 빛투과부(114)(124)(134)를 형성하여 고정부(112)(122)(132)의 후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보다 아름답게 장식부(111)(121)(131)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식용 인조보석(110)(120)(130)에 있어서 반사증착층(113)(123)(133)이 형성된 고정부(112)(122)(132)에 마련되는 선형 빛투과부(114)(124)(134)는 고정부(112)(122)(132)의 외부 표면 전체 부위에 반사증착층(113)(123)(133)을 형성한 후 일부 부위를 제거하는 방법이나 고정부(112)(122)(132)에 반사증착층(113)(123)(133)을 형성할 때에 고정부(112)(122)(133)의 외부 표면 일부 부위가 증착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장식용 인조보석(110)은 장식부(111)의 후단에 다각뿔형의 고정부(112)가 마련된 형태이며, 아울러 선형 빛투과부(114)가 다각뿔형 고정부(112)의 면과 면이 만나는 경계 부위인 각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형태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장식용 인조보석(120)은 장식부(121)의 후단에 평면형의 고정부(122)가 마련된 형태이며, 아울러 선형 빛투과부(124)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형태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장식용 인조보석(130)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식부(131)의 후단에 평면형의 고정부(132)가 마련된 형태이며, 아울러 선형 빛투과부(134)가 격자상으로 마련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식용 인조보석(110)(120)(130)에 있어서는 고정부(112)(122)(132)의 후방에 설치된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선형 빛투과부(114)(124)(134)를 통해 장식부(111)(121)(131)로 투과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일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제1실시예와 같이 장식부(111)의 후단에 다각뿔형 고정부(112)가 마련된 장식용 인조보석(110)의 경우 도 9와 같이 투명 장식판(200)에 형성된 보석 설치홈(201)에 고정부(112)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접착 설치하게 되면 야간이나 어두울 때에 투명 장식판(200)의 하부에 설치된 조명(30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고정부(112)에 마련된 선형 빛투과부(114)를 통해 장식부(111)쪽으로 투과될 수 있게 되어 장식부(111)가 더욱 아름답게 빛나게 된다.
또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일 사용상태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장식부(121)의 하단에 평면형 고정부(122)가 마련된 장식용 인조보석(120)의 경우 도 10과 같이 상단이 평면으로 된 발광다이오드(302)에 직접 접착 설치하게 되면 발광다이오드(302)의 작동시에 발광다이오드(30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선형 빛투과부(124)를 통해 장식부(131)쪽으로 투과되어 장식부(131)가 더욱 아름답게 빛나게 된다.
도 10에서 미설명부호 303은 기판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장식용 인조보석(110)(120)(130)은 고정부(112)(122)(132)에 반사증착층(113)(123)(133)이 형성되어 장식부(112)(122)(132) 쪽의 빛을 통해 장식부(112)(122)(132)가 반짝거리게 되며, 장식부(112)(122)(132) 쪽의 빛이 없거나 희미한 경우 고정부(112)(122)(123)의 후방에서 빛을 조사하게 되면 선형 빛투과부(114)(124)(134)를 통해 장식부(111)(121)(131) 쪽으로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되므로 장식부(111)(121)(131)가 아름답게 빛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120, 130 : 장식용 인조보석
111, 121, 131 : 장식부
112, 122, 132 : 고정부
113, 123, 133 : 반사증착층
114, 124, 134 : 선형 빛투과부
200 : 투명 장식판
201 : 보석 설치홈
301 : 조명
302 : 발광다이오드

Claims (5)

  1.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의 후단에 장식 물품의 외부 표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가 마련되고, 고정부의 외부 표면에 반사증착층이 형성되는 장식용 인조보석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증착층에 선형 빛투과부를 형성하여 고정부의 후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장식부 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보석.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다각뿔형으로 이루어지고, 선형 빛투과부는 다각뿔형 고정부의 면과 면이 만나는 경계 부위인 각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보석.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평면형으로 이루어지고, 선형 빛투과부는 방사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보석.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평면형으로 이루어지고, 선형 빛투과부는 격자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보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형 빛투과부는 고정부의 외부 표면 전체 부위에 형성된 반사증착층의 일부가 제거되거나 고정부의 외부 표면 일부 부위에 반사증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보석.
KR1020100021894A 2010-03-11 2010-03-11 장식용 인조보석 KR10108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894A KR101081044B1 (ko) 2010-03-11 2010-03-11 장식용 인조보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894A KR101081044B1 (ko) 2010-03-11 2010-03-11 장식용 인조보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31A true KR20110102731A (ko) 2011-09-19
KR101081044B1 KR101081044B1 (ko) 2011-11-09

Family

ID=4495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894A KR101081044B1 (ko) 2010-03-11 2010-03-11 장식용 인조보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0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114A (zh) * 2016-10-19 2017-03-22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钻石基托装置及其实现方法
CN107373930A (zh) * 2017-09-18 2017-11-24 董慧娟 八方钻石
US10001592B2 (en) 2013-11-22 2018-06-19 Lumens Co., Ltd. Backlight unit, double cone-shaped reflector, double cone-shaped reflector strip,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 cone-shaped reflector
KR101963645B1 (ko) * 2018-02-26 2019-07-31 주식회사 골드앤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27C (zh) 1998-04-23 2004-07-21 温特尔Cvd技术有限公司 饰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1592B2 (en) 2013-11-22 2018-06-19 Lumens Co., Ltd. Backlight unit, double cone-shaped reflector, double cone-shaped reflector strip,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 cone-shaped reflector
CN106510114A (zh) * 2016-10-19 2017-03-22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钻石基托装置及其实现方法
CN106510114B (zh) * 2016-10-19 2018-06-19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钻石基托装置及其实现方法
CN107373930A (zh) * 2017-09-18 2017-11-24 董慧娟 八方钻石
KR101963645B1 (ko) * 2018-02-26 2019-07-31 주식회사 골드앤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044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2744A (en) Self-shining artificial jewelry device
US8270079B1 (en) Decorative, ornamental, or jewelry articles having diffraction gratings
KR20110011608A (ko) 장식 효과를 가지는 휴대용 물체
KR101081044B1 (ko) 장식용 인조보석
US7861555B2 (en) Article of jewelry
JP2017144243A (ja) 光放出性宝飾品
US8342718B2 (en) Lighting fixtures having illuminated crystal panels and methods for providing illumination
KR101971171B1 (ko)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JP2018049031A (ja) 時計用文字板及び時計
CN102754975A (zh) 一种带发光结构的宝石饰物
US7077555B2 (en) Chandelier crystal with LED
US20100242540A1 (en) Gemstone having a mirror-coated front
KR101138439B1 (ko) 보석류를 식입한 발광장신구
JP2009100856A (ja) 装飾品
CN210988568U (zh) 一种珠宝镶口及珠宝
KR20090066536A (ko) 반복 배열된 장식타공으로부터 개별 노출되는 투명장식구를갖는 천정매립등
JP5291476B2 (ja) 間接照明
KR20110008600U (ko) 엘이디 크리스탈 전구
CN215455894U (zh) 一种具有放大效果的钻石首饰
JP3233988U (ja) 立体光反射表面装飾構造
CN216089249U (zh) 一种发光饰品
KR200475160Y1 (ko) 반사코팅층이 구비된 입체형 큐빅
KR200443979Y1 (ko) 고(高) 난반사 보석체를 갖는 귀금속장식구
KR100824070B1 (ko) 장식용 등
JPWO2016039335A1 (ja) 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