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534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534A
KR20110102534A KR1020100021582A KR20100021582A KR20110102534A KR 20110102534 A KR20110102534 A KR 20110102534A KR 1020100021582 A KR1020100021582 A KR 1020100021582A KR 20100021582 A KR20100021582 A KR 20100021582A KR 20110102534 A KR20110102534 A KR 20110102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light
front panel
lay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돈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2534A/ko
Publication of KR20110102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02B6/002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for housing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source, e.g. by forming holes or re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 및 전면 패널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하고, 베젤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자체 발광력이 없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성 및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투명 베젤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물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bar)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밀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백라이트 유닛에 배치함으로써, 균일한 휘도의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전면 패널 및 베젤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h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를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전면, 즉 사용자 측에서 바라볼 때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1)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2)은 표시 영역(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며, 비표시 영역(2)에는 차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2)에 형성되는 차광 패턴은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이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구비된 구조물 등이 사용자 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2)에 형성되는 차광 패턴은 효과적으로 광을 차단하기 위해, 검은색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인쇄된 블랙층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측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표시 영역(2)은 검은색을 띄게 될 수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단면도로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패널(20) 및 차광 패턴(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전면 패널(20)이 배치된 전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시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정 패널(미도시) 및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미도시)은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액정 패널(미도시)은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에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전면 패널(2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면 패널(20)은 내충격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는 PC(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plastic) 재질 또는 글래스(glass)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은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1)과 상기 표시 영역(1)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1)을 포함하고, 비표시 영역(2)에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 패턴(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오프 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표시 영역(1)은 비표시 영역(2)과 유사한 검은색을 띄게 된다. 그러나, 이때,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 흡수 또는 산란 등이 표시 영역(1)과 비표시 영역(2)에서 서로 상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1)에서는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의해 외광의 일부가 반사되고, 블랙층이 인쇄된 비표시 영역(20)에서는 대부분 흡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원 오프 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10)과 비표시 영역(20) 사이에 시각적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각적 이질감은 특히 표시 영역(1)과 비표시 영역(2)의 경계 부분에서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전면 패널(20)의 일면 상에 차광 패턴(21)과 중첩되도록 금속 박막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 패널(20)의 비표시 영역(2)에 차광 패턴(21)과 금속 박막층(미도시)이 서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박막층(미도시)은 전면 패널(20)의 일면에 금속, 예를 들어 니켈(Ni) 또는 알루미늄(Al)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박막층(미도시)은 금속의 특성 및 얇은 박막의 특성에 의해 광에 대한 반사성 및 투광성을 동시에 가지며, 그로 인해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킬 수 있다.
차광 패턴(21)은 검은색으로 인쇄된 블랙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면 패널(20)의 제1 면에 형성된 금속 박막층(미도시)상에 블랙 인쇄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 박막층(200)이 광 반사성 및 투과성을 동시에 가짐에 따라, 비표시 영역으로 입사되는 외광 중 일부는 금속 박막층(200)에서 반사되어 전면, 즉 사용자 측으로 다시 방출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 입사되는 외광 중 나머지 일부는 금속 박막층(200)을 투과하여 차광 패턴(120)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외광의 반사가 비표시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금속 박막층(미도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으로 입사되는 외광 중 일부는 금속 박막층(미도시)을 투과해 차광 패턴(21), 예를 들어 인쇄된 블랙층에 흡수되므로, 표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외광의 흡수도 비표시 영역에서 발생하여,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이 모두 검은색을 띄게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볼 때,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에서 유사한 시각적인 반사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표시 영역(1)과 비표시 영역(2)의 시각적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20)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베젤(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30)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젤(30)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일 수 있다.
한편, 베젤(30)은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투명한 물질, 예를 들어 PC(polycarbonate)나 아크릴 등과 같은 플라스틱(plastic) 재질 또는 글래스(glass)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베젤(30)은 전면 패널(20)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면 패널(20)과 상이한 물질로 그와 분리된 별도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투명한 베젤(30)이 사다리꼴 등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단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30)의 후방 또는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프리즘(prism) 효과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분산 또는 굴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광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한 별도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명한 베젤(30)의 후면에 입사되면, 상기 입사되는 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광학적 평면을 2개 이상 가진 투명한 베젤(3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으로 분산 또는 굴절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전면으로 분산 또는 굴절된 광이 사용자에게 보여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젤(30)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베젤(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 또는 측면에서 입사되는 광을 분산 또는 굴절시킬 수 있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2 이상의 광학적 평면을 가진 다양한 형상들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30)은 전면 패널(20)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전면 패널(20)의 전면과 베젤(30)의 전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전면 패널(20) 및 베젤(30)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베젤(30)은 폭(w)이 일정한 제1 영역(31) 및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제2 영역(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폭(w)이 일정한 제1 영역(31)이 상기 제2 영역(32)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광의 분산 또는 굴절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슬림(slim)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3)이 베젤(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젤(30)의 안착홈(33)에 전면 패널(20)이 지지 및 고정됨에 따라 전면 패널(20)과 베젤(30) 사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젤(30)에 형성된 안착홈(33)에 전면 패널(20)이 안착되어, 전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안착홈(33)의 깊이(d)는 전면 패널(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3)의 적어도 일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상, 예를 들어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도 상기 안착홈(3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3)이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도 상기 안착홈(3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젤(30)에 전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는 안착홈(33)을 형성함에 의해, 베젤(30)을 전면 패널(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베젤(30)과 전면 패널(20) 사이의 이음새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베젤(30)과 전면 패널(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젤(30)과 전면 패널(20)은 투명한 재질의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베젤(30)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베젤(30) 및 전면 패널(20)의 구성 중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젤(30)의 후방으로 부터 입사되는 광, 예를 들어 외광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베젤(30)의 후면과 전면에서의 분산 또는 굴절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전면으로 분산 또는 굴절된 광이 전면으로 방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젤(30)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을 감싸는 동시에 프리즘 효과에 따른 광의 분산 또는 굴절을 위해, 베젤(30)의 두께, 즉 베젤(30) 중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d2)는 전면 패널(2)의 두께(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젤(30)의 두께(d2)가 증가할수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베젤(30)의 두께(d2)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입사되는 광의 분산 및 굴절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의 분산 및 굴절 효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베젤(30)의 두께(d2)는 전면 패널(20)의 두께(d1)의 2.7배 내지 6.5배일 수 있다.
한편, 베젤(30) 중 폭(w)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경사진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영역(32)의 경사각(θ)이 증가할수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고, 상기 경사각(θ)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입사되는 광의 분산 및 굴절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광의 분산 및 굴절 효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베젤(30) 중 제2 영역(32)의 경사각(θ)은 45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베젤(30)과 전면 패널(20)의 두께 비율(d2/d1) 및 베젤(30) 중 제2 영역(32)의 경사각(θ)을 고려하면, 베젤(30)의 제2 영역(32) 중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d3)는 제1 영역(31)의 두께(d3)의 1.7배 내지 5.5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30)의 후면에 특정 문양을 가지는 패턴(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젤(30)의 후면에 패턴(34)이 형성됨에 따라, 베젤(30)에 의해 전방으로 분산 또는 굴절되어 나가는 광이 패턴(34)에 의해 특정 문양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34)은 베젤(30)의 후면에 특정 무늬의 형상을 금형 등을 이용해 각인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젤(30)의 후방 또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특정 무늬로 금형 각인된 패턴(34)으로 광이 입사된 후 분산 또는 굴절됨에 따라, 사용자는 패턴(34)에 대응되는 무늬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관찰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젤(30)의 후면을 사출 등을 이용해 가공하여 복수의 양각 패턴들(35)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베젤(30)의 후면을 사출 등을 이용해 가공하여 복수의 음각 패턴들(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젤(30)의 후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양각 또는 음각의 패턴들(35 또는 36)에 의해 산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광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단면로 도시한 것으로,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20)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백라이트 유닛(200) 및 광학 시트(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는 바텀 커버(bottom cover, 40)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는 전면 패널(20)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지지 부재(300)가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300)는 접착 부재(301)를 이용해 차광 패턴(301)이 형성된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302)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지지 부재(300), 접착 부재(301) 및 고정 부재(302)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에 전면 패널(20)이 지지 및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전면 패널(20)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300)는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L'자 형태로 압출된 바(bar)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전면 패널(20) 사이의 고정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제1 지지 부재(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302)는 제1 지지 부재(3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screw)일 수 있다.
또한, 얼룩(stain) 방지를 위해 전면 패널(20)의 후면은 에칭(etching) 또는 필름 라미네이팅(film laminating)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지지 부재(300)와 연결되어 바텀 커버(4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 부재(3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10)는 제1 지지 부재(3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1 지지 부재(300) 및 고정 부재(302) 등이 후면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10)는 제1 지지 부재(300)와 유사하게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된 'L'자 형태의 압출 바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투명한 베젤(30)은 제2 지지 부재(300)를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홈(33)을 이용해 전면 패널(20)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30)에 형성된 안착홈(33)의 깊이(d)는 전면 패널(20)의 두께(d1)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3h를 참조하여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먼저 PC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전면 패널(20)의 배면 외곽 영역,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에 블랙층을 인쇄하여 차광 패턴(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21)이 형성된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지지 부재(300)가 접착 고정될 수 있는 접착 부재(30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301)가 형성되는 영역은 차광 패턴(21)이 형성된 영역과 중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차광 패턴(21)이 형성된 영역 내에 도포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301)가 형성된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제1 지지 부재(300)를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300)가 형성된 영역 내부에 바텀 커버(4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삽입하여 위치시킨 후,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등의 고정 부재(302)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을 제1 지지 부재(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f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고정된 제1 지지 부재(300)에 제2 지지 부재(301)를 후방에서 결합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전면 패널(20)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h를 참조하면, 도 1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지지 부재(30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된 전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베젤(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베젤(30)의 안착홈(33)을 이용해, 베젤(30)을 전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에 끼워 전면 패널(20)과 베젤(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따라 확장된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중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에 대응되어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20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백 라이트 유닛(200)을 밀착하여 배치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 면,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편광판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하부 편광판과 백라이트 유닛(200) 사이에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밀착하여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제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공간으로의 이물질 등의 삽입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동작 또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200)은 복수의 기능층들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능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복수의 광원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200),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들은 각각 플랙서블(flexible)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그레이 피크값 또는 색 좌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백라이트 유닛(200)의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밝기, 즉 해당 광원의 밝기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2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00)은 제1 층(210), 광원(220), 제2 층(230) 및 반사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들(220)이 제1 층(210) 상에 형성되며, 제1 층(210)의 상측에 제2 층(230)이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들(22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층(230)은 제1 층(210)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220)을 완전히 감쌀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제2 층(230)이 제1 층(210)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220)의 특정 부분들 또는 특정 면들만을 감쌀 수도 있다.
제1 층(210)은 복수의 광원들(220)이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미도시)와 광원(220)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의 상면에는 광원(220)과 상기 어댑터(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 나노 튜브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층(2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리, 폴리카보네이트와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들(220)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22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220)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한편, 광원(220)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 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220)은 발광면이 LED 패키지의 상측면인(예를 들어, 상측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탑 뷰 방식의 LED 패키지및 발광면이 상기 LED 패키지의 상측면인(예를 들어, 측면 방향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220)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LED 및 녹색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 및 방출 광은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1 층(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들(22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층(230)은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층(210)과 제2 층(230) 사이, 예를 들어 제1 층(210)의 상면에는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21)의 상측 반사층(240)은 제2 층(230)의 경계로부터 전반사되는 광을 다시 반사시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층(240)은 합성 수지 재질의 시트 중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가 분산된 것, 표면에 금속 증착막을 적층한 것, 합성수지제의 시트 중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기포가 분산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표면에 은(Ag)이 코팅(coating)될 수도 있다. 한편, 반사층(240)은 기판인 제1 층(210)의 상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층(230)은 광투과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층(23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수지(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200)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제2 층(230)은 약 1.4 내지 1.6의 굴절율을 갖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층(2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폴리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230)은 광원(220) 및 반사층(24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소정의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층(230)은 불포화 폴리 에스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아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층(230)은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를 복수의 광원들(220) 및 반사층(240)이 형성된 제1 층(210)의 상측 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1 층(210)의 상측 면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층(230)의 두께(a)가 증가할 수록,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균일한 휘도의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제2 층(230)의 두께(a)가 증가함에 따라 제2 층(230)에 흡수되는 광의 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되는 광의 휘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되는 광의 휘도를 크게 감소시키지 아니하면서 균일한 휘도의 광을 제공하기 위해, 제2 층(230)의 두께(a)는 0.1 내지 4.5mm일 수 있다.
이하, 백라이트 유닛(100)에 구비된 제1 층(210)은 복수의 광원들(220)이 형성되는 기판이며, 제2 층(230)은 특정의 수지로 구성된 수지층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판(210) 상에 복수의 광원들(220)이 실장되고, 기판(210)의 상측에는 광원들(22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수지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210)과 수지층(230) 사이, 예를 들어 기판(210)의 상면에는 반사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층(230)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2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산란 입자들(231)은 입사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산란 입자(231)는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키기 위해, 수지층(230)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층(230)을 구성하는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 입자(231)는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 스티렌 (PS), 실리콘, 이산화 티타늄(TiO2), 이산화 실리콘(SiO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물질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산란 입자(231)는 수지층(230)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지층(230)에 기포(bubble)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산란 입자(231)를 구성하는 물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물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고분자 물질 또는 무기 입자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지층(230)은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에 산란 입자들(231)을 혼합한 후 복수의 광원들(220) 및 반사층(240)이 형성된 제1 층(210)의 상측 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수지층(230)의 상측에는 광학 시트(2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학 시트(250)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251)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시트(250)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접착 또는 밀착된 상태로 제공되어, 광학 시트(250) 또는 백라이트 유닛(2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광학 시트(250)의 하측 면이 수지층(230)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250)의 상측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 면, 예를 들어 하부 편광판(140)에 밀착될 수 있다.
확산 시트(252)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수지층(230)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시트(251)는 확산 시트(252)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시트(250), 예를 들어 프리즘 시트(251) 및 확산 시트(252)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될 수 있으며, 또는 프리즘 시트(251) 및 확산 시트(252) 이외에 다양한 기능층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층(240)에는 복수의 광원들(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홀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들에 하측의 기판(210) 상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들(22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들(220)이 반사층(240)에 형성된 홀들을 통해 하측에서 삽입되어, 반사층(240)의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층(240)의 홀들에 광원들(220)이 각각 삽입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백라이트 유닛(200)을 구성함으로써, 광원들(220)이 실장된 기판(210)과 반사층(240) 사이의 고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20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들(220)은 각각 발광면이 측면에 배치되어, 측면 방향, 예를 들어 기판(210) 또는 반사층(240)이 연장된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들(220)은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원(220)이 화면 상에서 핫 스팟(hot spot)으로 관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지층(230)의 두께(a)를 감소시켜 백라이트 유닛(200),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광원들(220)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200)의 수지층(230)의 상측에 복수의 패턴(232)들을 포함하는 패턴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층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들(232)은 광원들(220)이 배치된 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수지층(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230)의 상측에 형성된 패턴(232)은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 패턴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층(230) 상에 반사 패턴(232)을 형성하여 광원(220)에 인접한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균일한 휘도의 광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반사 패턴(232)은 복수의 광원들(220)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지층(230) 상에 형성되어, 광원(220)으로부터 상측으로 방출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켜 광원(220)에 인접한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반사된 광은 측면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2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은 반사 패턴(232)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확산됨과 동시에 하측 방향으로 반사되고, 상기 반사 패턴(232)에서 반사된 광은 반사층(240)에 의해 다시 측면 방향으로 확산됨과 동시에 상측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즉, 반사 패턴(232)은 입사되는 광의 100%를 반사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 패턴(232)의 특성은 수지층(230) 및 반사 패턴(232)을 통한 광의 전달을 제어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측으로 집중되지 않고 측면 방향 및 다른 방향들로 넓게 확산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보다 균일한 휘도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반사 패턴(232)은 금속 등과 같은 반사 물질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음 또는 금 등과 같은 9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패턴(232)은 입사되는 전체 광의 약 10% 이하가 투과되고 나머지가 반사되도록 하는 물질 또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반사 패턴(23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금속을 포함하는 반사 잉크, 예를 들어 실버(silver) 잉크를 인쇄하여 반사 패턴(23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패턴(232)의 반사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반사 패턴(232)의 색은 명도가 높은 색, 예를 들어 흰색에 가까운 색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층(230)보다 명도가 높은 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반사 패턴(232)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이산화 티타늄(TiO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산화 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반사 잉크를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인쇄하여 반사 패턴(23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반사 패턴들(232)을 광원들(220)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함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패턴(232)의 중심부가 그에 대응되는 광원(220)의 중심부와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경우뿐 아니라, 반사 패턴(232)의 중심부가 그에 대응되는 광원(220)의 중심부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반사층(240)에는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인접한 광원(225)까지 진행되는 것을 용이하게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240)의 상측 면에 형성된 패턴은 복수의 돌출부들(2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된 후 복수의 돌출부들(241)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진행 방향으로 산란 또는 굴절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240)에 형성된 돌출부들(241)의 밀도는 광원(220)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즉 인접한 광원(225)에 가까이 갈 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인접한 광원들(220, 225)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들(241)은 도 17에 도시된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2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 즉 인접한 광원(225)에 가까운 영역에서 상측으로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들(241)은 반사층(240)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층(240)의 상측 면을 가공함으로써 돌출부들(24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출부들(241)은 반사층(240)과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사층(240)의 상측 면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인쇄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돌출부들(241)의 형상은 도 17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프리즘 등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들(220, 221)은 복수의 어레이들, 예를 들어 제1 광원 어레이(A1) 및 제2 광원 어레이(A2)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광원 어레이(A1) 및 제2 광원 어레이(A2)는 각각 광원들이 이루는 복수의 광원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 어레이(A1)는 2 이상의 광원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라인들(L1)으로 구성되고, 제2 광원 어레이(A2)는 2 이상의 광원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라인들(L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광원 라인들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광원 라인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제1 광원 어레이(A1)는 복수의 광원들이 이루는 복수의 광원 라인들 중 상측으로부터 홀수번째 광원 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및 제2 광원 어레이(A2)는 상측으로부터 짝수번째 광원 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제1 광원 라인(L1)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제2 광원 라인(L2)이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원 라인(L1)과 제2 광원 라인(L2)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2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광원(220)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광원(221)은 동일한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2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2 이상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광원들(220)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광원(22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광원들(220)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광원들(221)의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제1 광원(220)의 발광면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제2 광원(221)의 발광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제1 광원(220)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제2 광원(22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200)에 구비된 광원들은 각각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들은 2 이상의 행들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행에 배치된 2 이상의 광원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220)에 좌우로 인접한 광원들도 제1 광원(220)과 동일한 방향, 즉 x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221)에 좌우로 인접한 광원들도 제2 광원(221)과 동일한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광원들, 예를 들어 제1 광원(220)과 제2 광원(221)의 광 방출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유닛(200)의 특정 영역에서 광의 휘도가 집중되거나 또는 약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1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인접한 광원으로 진행함에 따라 약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광원(2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록 해당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220) 및 제2 광원(221) 각각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광원에 인접한 영역에서 광의 휘도가 집중되고 광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광의 휘도가 약화되는 것을 서로 보상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제1 광원 라인(L1)과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제2 광원 라인(L2)은 광원들의 좌우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서로 엇갈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 어레이(A2)에 포함된 제2 광원(221)은 제1 광원 어레이(A1)에 포함된 제1 광원(220)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00)에 구비된 반사층(240)은 2 이상의 반사율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사층(240)의 반사율은 형성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반사층(240)은 각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지는 2 이상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반사층(240)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지는 제1 반사층(242) 및 제2 반사층(2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지는 제1, 2 반사층(242, 243)이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 반사 시트들로 제1, 2 반사층(242, 243)을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반사 시트로 구성된 제1, 2 반사층(242, 243) 중 어느 하나에 특정 물질을 부가하거나 표면을 가공함으로써, 제1, 2 반사층(242, 243)의 반사율을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2 반사층(242, 243)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반사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분에 반사율을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반사율이 상이한 제1, 2 반사층(242, 243)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사층(240) 중 제1 반사층(242)에 대응되는 영역 및 제2 반사층(243)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패턴을 형성하여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반사 시트로 구성된 반사층(240) 중 도 19에 도시된 제2 반사층(243)에 대응되는 영역에 패턴을 형성하여 해당 영역의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반사층(240) 중 제2 반사층(243)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측 면에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돌출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반사층(243)에 대응되는 영역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반사층(240) 중 제2 반사층(243)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광 확산 효과는 향상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인접한 광원(222)에 배치된 영역까지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제1, 2 반사층(242, 243)은 표면 거칠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반사층(243)의 표면 거칠기를 제1 반사층(242)의 표면 거칠기보다 높게 함으로써, 제2 반사층(243)의 반사율이 제1 반사층(242)의 반사율보다 낮을 수 있다.
한편, 제1, 2 반사층(242, 243) 중 광이 방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광원(220, 221, 222)에 인접한 제1 반사층(242)은 정반사(specular reflection)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층(243)은 확산 반사(diffuse reflection)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정반사 시트는 매끄러운 표면에서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어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반사층(242)은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입사되는 광을 입사각과 동일한 반사각으로 반사시켜 인접한 광원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확산 반사 시트는 요철이 형성된 거친 표면에서 발생하는 난반사로 인해 입사되는 광이 여러 각도로 반사되어 확산되는 것처럼 관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 반사층(243)은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방출된 후 진행하는 광을 확산시켜 상측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확산 반사 시트로 구성되는 제2 반사층(243)은 반사 시트의 표면을 가공하여 요철을 형성하거나, 또는 확산 반사 물질, 예를 들어 이산화 티타늄(TiO2)을 소정의 밀도로 도포 또는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사층(242)의 반사율은 제2 반사층(243)의 반사율보다 높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반사층(242)에서는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동일한 반사각으로 정반사되며, 제2 반사층(243)에서는 확산 반사가 발생하여 상측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이 방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광원(220, 221, 222)에 인접한 제1 반사층(242)을 반사율이 높은 정반사 시트로 구성함에 의해,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인접한 광원까지 효과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원(220, 221, 222)에 인접한 영역에서 광의 휘도가 집중되고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광의 휘도가 약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광이 방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멀리떨어진 제2 반사층(243)을 반사율이 비교적 낮은 확산 반사 시트로 구성함에 의해, 진행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해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인접한 광원까지 진행해오면서 감소된 휘도를 보상하여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광의 휘도가 약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반사층(242)을 구성하는 정반사 시트는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정반사시켜 인접한 광원 방향으로 진행시킴과 동시에, 상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를 상측 방향으로 반사 또는 산란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반사층(243)을 구성하는 확산 반사 시트는 상기 정반사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시트의 표면을 가공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에 복수의 돌출된 패턴들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220, 221, 222)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광 휘도를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00)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광 휘도를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인접한 광원이 배치된 영역까지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 광이 방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광원(220, 221, 222)에 인접한 제1 반사층(242)의 폭(w1)은 제2 반사층(243)의 폭(w2)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반사층(242)의 폭(w1)은 제2 반사층(243)의 폭(w2)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반사층(242) 및 제2 반사층(243)은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반사율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 반사층(242)의 폭(w1)이 감소함에 따라,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진행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의 광의 휘도가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층(242)의 폭(w1)이 제2 반사층(243)의 폭(w2)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경우,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광이 집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접한 두 광원들(220, 222)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의 광의 휘도는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비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20, 221, 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인접한 광원이 배치된 영역까지 효과적으로 진행 및 상측으로 방출되어 백라이트 유닛(200)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의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반사층(242)의 폭(w1)은 제2 반사층(243)의 폭(w2)의 1.1배 내지 1.6배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광원(220)과 제2 광원(221)는 제1 반사층(242)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 즉 제1 반사층(242)이 형성된 영역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220)과 x축 방향으로 인접한 제3 광원(222)과 제2 광원(221)은 제2 반사층(243)이 형성된 영역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사층(243)에는 제2 광원(221)과 제3 광원(222)이 삽입될 수 있는 홀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 반사층(243)의 하측에 배치된 기판(210) 상에 실장된 제2, 3 광원(221, 222)이 상기 제2 반사층(243)의 홀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광원들(220, 221, 222)의 위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광원들(220, 221, 222)과 제1, 2 반사층(242, 243) 사이의 위치 관계는 가변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층(210), 제1 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220), 복수의 광원들(220)을 감싸는 제2 층(230) 및 반사층(240) 등은 하나의 광학 어셈블리(A)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200)은 상기와 같은 광학 어셈블리(A)를 복수개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200)에 구비된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A)들은 x축, y축 방향으로 각각 N개 및 M개(N,M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행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은 21개의 광학 어셈블리(A)들이 7×3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7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어셈블리(A)를 24×10 배열로 240개를 배치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200)을 구성할 수 있다.
각 광학 어셈블리(A)들은 독립적인 어셈블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근접 배치됨으로써 모듈형 백라이트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듈형 백라이트 유닛은 백라이트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 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0)의 구동 방식은 회로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로써, 실시예는 색대비비가 증대되고 화면상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에 대한 이미지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어 화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200)은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되며, 상기 분할 구동 영역의 휘도를 영상 신호의 휘도와 연계하여 영상의 검은색 부분은 휘도를 감소시키고 밝은 부분은 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명암비 및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A)들 중 일부만이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광을 상측으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그를 위해 각 광학 어셈블리들(A)에 포함된 광원들(220)이 각각 독립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광학 어셈블리(A)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영역이 2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은 상기 블록 단위로 분할 구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 라이트 유닛(200)은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블록별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블록들 각각의 휘도를 영상 신호의 휘도와 연계하여 영상의 검은색 부분은 휘도를 감소시키고 밝은 부분은 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명암비 및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200)이 로컬 디밍 방식으로 구동될 경우, 백라이트 유닛(200)의 블록들 각각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분할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분할 영역들 각각의 휘도 레벨, 예를 들어 그레이 레벨의 피크값 또는 색 좌표 신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00)의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2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들은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블록별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백라이트 유닛(200),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20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들이 광을 방출하기 위한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기본 단위로서, 즉 하나의 블록에 포함된 광원들은 동시에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되며, 턴온 시 동일한 휘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0) 중 서로 다른 블록에 포함된 광원들은 서로 다른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서로 다른 휘도를 가지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인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A)들을 조립하여 백라이트 유닛(200)을 구성함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2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스(loss)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학 어셈블리(A)를 표준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200)에 구비된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A)들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전체의 백라이트 유닛(200)을 교체할 필요 없이 불량이 발생한 광학 어셈블리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부품 교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베젤은 서로 상이한 물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두께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두께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중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두께의 2.7배 내지 6.5배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전면 패널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과 상기 베젤의 전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는 안착홈이 상기 베젤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두께 이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베젤의 안착홈에 지지되는 테두리 부분의 두께가 상기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영역; 및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제2 영역은 후방으로 45도 내지 60도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제2 영역 중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의 두께의 1.7배 내지 5.5배인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후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양각 또는 음각의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전면 패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제1 층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21582A 2010-03-11 2010-03-11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02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82A KR20110102534A (ko) 2010-03-11 2010-03-1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82A KR20110102534A (ko) 2010-03-11 2010-03-1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34A true KR20110102534A (ko) 2011-09-19

Family

ID=4495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582A KR20110102534A (ko) 2010-03-11 2010-03-1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25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582282B2 (en) Display apparatus
US893387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8511845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101120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573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037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2507A (ko)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4563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84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13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410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986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95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365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35645A (ko)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30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16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241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242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21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025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080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280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16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