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558A -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558A
KR20110101558A KR1020100020632A KR20100020632A KR20110101558A KR 20110101558 A KR20110101558 A KR 20110101558A KR 1020100020632 A KR1020100020632 A KR 1020100020632A KR 20100020632 A KR20100020632 A KR 20100020632A KR 20110101558 A KR20110101558 A KR 20110101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ually impaired
guide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076B1 (ko
Inventor
최인묵
박연규
김민석
송한욱
강대임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07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와 적외선 및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이동에 정확한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화된 안내정보에 아날로그적인 감성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안내할 수 있는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은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수단과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시각장애인과 함께 이동 중 영상촬상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 또는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로부터의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신호 중 저겅도 하나에 따라 촉감, 질감, 냉온감 중 하나 이상의 감성정보 및 소정의 음성정보를 통해 이동 방향을 제시하는 방향정보 제시장치; 및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로부터의 안내정보를 방향정보 제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System for announce blind persons including emotion information and method for announ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초음파와 적외선 및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이동에 정확한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화된 안내정보 외에 아날로그적인 감성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안내할 수 있는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장애우, 장애자는 신체 장애와 정신 장애를 비롯해 여러 이유로 일상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이른다. 크게 태어났을 때부터 장애를 가지고 있는 선천적 장애인과 사고 등으로 나중에 장애를 갖게 된 후천적 장애인으로 나눌 수 있다. 장애인, 장애우, 장애자는 일반적으로 모두 같은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사람들마다 쓰는 용어는 서로 다르다.
다행히도 오늘날 사회적인 소득 증대와 복지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하여, 시각장애인이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지팡이 형태의 교통 안내기가 제안되었다.
일반적인 교통 안내기는 시각장애인 등이 촉감 등을 이용하여 위험지역의 여부 또는 횡단보도 인지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블록 또는 보도 블록의 내부에 메모리 카드 등을 매설한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감지센서를 부착한 후, 감지 센서가 메모리 카드에 접근했을 경우 진동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시각장애인에게 위험 또는 도로의 이탈 등을 알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교통 안내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통 안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통 안내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이다. 이와 같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손잡이(10)와, 음파발생기(20) 및 케인(cane)부(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음파 발생기(20)에서 발생된 음파가 장애물에서 반사되는 경우 손잡이(10)에 내장된 진동장치의 진동에 따라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장애물과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강한 진동을, 거리가 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장애물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음파발생기를 이용해 시각장애인에게 단순히 장애물까지의 거리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만을 제공할 뿐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초음파와 적외선 및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이동에 정확한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화된 안내정보 외에 아날로그적인 감성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안내할 수 있는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수단과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시각장애인과 함께 이동 중 영상촬상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 또는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로부터의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촉감, 질감, 냉온감 중 하나 이상의 감성정보 및 소정의 음성정보를 통해 이동 방향을 제시하는 방향정보 제시장치; 및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로부터의 안내정보를 방향정보 제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수신하거나,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송수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움직임이나 이동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싱부와,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구동 프로그램과 획득한 영상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저장된 저장부와,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영상촬상수단으로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수신부 및 움직임 감지 센싱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와 장애물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수신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이동방향에 있는 대상물을 식별하거나, 거리를 계산하거나, 식별 및 계산된 정보를 음성 출력부와 제 1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동작 온/오프를 제어하는 동작 스위치부와, 영상수신부가 영상을 획득하거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적외선/영상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신부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와,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수신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제어부는 영상수신부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분석하는 경우 저장부에 구축된 영상정보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에 대한 문자, 심볼, 형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향정보 제시장치는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안내정보를 방향정보 제시장치로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출력부와,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출력부와,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열로 출력하는 열전소자부와,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방향정보 제시장치가 이동 중인 방향에 대한 방위정보를 제공하는 나침반부와, 방향정보 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와,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프로그램과 감성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 저장부와, 통신장치(30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와 나침반부를 통해 제공되는 방위정보와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감성정보 데이터에 따라 점자출력부, 진동출력부, 열전소자부 및 음성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거나 대상물 정보를 감성 정보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점자출력부는 점자패널과, 점자패널에 형성된 다수의 점자홈 및 점자홈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이송되는 점자돌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출력부는 전방 진동부, 좌측 진동부, 우측 진동부 및 후방 진동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전소자부는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체온보다 온열 또는 냉열로 출력하기 위한 펠티어 소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나침반부는 전자나침반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향정보 제시장치는 시각장애인이 특정 방향에서 잡기 편하도록 일정한 굴곡이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이 방향정보 제시장치에서 제공하는 안내정보를 올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 부재와, 통신장치를 탈부착하는 통신장치 장착부재와, 시각장애인이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통해 직접적으로 바닥이나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인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재의 표면에는 점자출력부, 진동출력부 및 열전소자부가 적어도 하나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신장치는 방향정보 제시장치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통신장치에서 방향정보 제시장치로 전원, 스피커, 진동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통신장치는 PDA, 휴대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가 이동하면서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가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무선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시각장애인의 이동 안내를 위한 음성을 준비하는 단계;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시각장애인이 구비한 경우 방향정보 제시장치에서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및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는 단계; 및,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에서의 안내 음성과 방향정보 제시장치의 촉감, 질감 및 냉온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방향정보 제시장치는 이동방향을 점자출력부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정보를 화살표 정보로 표시하거나, 진동 출력부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거나, 열전소자부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체온대비 냉열과 온열 중 하나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초음파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안내하므로 대상물 정보나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근거리 및 중거리 안내가 가능하다.
둘째,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제공하는 경우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안내가 가능하다.
셋째, 방향정보 제시장치에 감성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은 방향정보 제시장치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보다 집중할 수 있고, 심리적 안정감 역시 얻을 수 있어 보다 이동 중 심리적으로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통 안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에서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점자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 도 7에 나타낸 점자출력부를 이용해 화살표 형상의 점자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점자출력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도 6에 나타낸 진동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14는 도 2에 나타낸 방향정보 제시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 방향정보 제시장치(200) 및 통신장치(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에는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통신 수단 중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 이동 시 수신된 적외선 신호와 초음파 신호의 시간차에 따라 대상물(장애물, 목적대상물)과의 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대상물이라 함은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전방에 바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된 모든 물체(예로써, 가로등, 입간판, 건물의 도어 등)를 의미한다. 또한, 수신된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대상물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수신된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의 주기에 따른 대상물 정보를 미리 설정하도록 하고 이를 판독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선통신신호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 즉 지리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촬상수단(예로써, 디지털 카메라)을 이용하여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문자나 심볼 또는 물체의 형상정보를 식별하거나, 안내정보가 포함된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신호와 적외선 데이터 및 초음파 신호는 적외선 신호나 적외선 데이터 및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장치가 이미 설치된 경우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적외선 발신장치나 초음파 발신장치는 설치된 발신장치가 현재 위치에 따른 각종 안내정보를 적외선 데이터로 무선 출력하거나, 거리를 측정(계산)하게 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적외선 데이터 역시 적외선 데이터를 발신하는 별도의 발신장치가 대상물의 정보를 직접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신호나, 초음파 신호 또는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가 적외선 신호나 초음파 신호의 주기에서 미리 설정된 대상물 정보를 판단하도록 한다.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안내정보에 따라 이동 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는 촉감, 질감 및 냉온감 등을 포함하는 감성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장치(300)는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안내정보를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장치(300)는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전원(배터리), 스피커, 진동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통신장치(300)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PDA,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중 하나를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통신부(110), 움직임 감지 센싱부(120), 저장부(130), 음성 출력부(140), 제 1 제어부(150), 제 1전원부(160) 및 영상수신부(170)로 구성된다. 이때, 동작 스위치부(180) 및 적외선/영상 스위치부(190)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통신부(110)는 적외선 수신부(111), 초음파 수신부(112) 및 무선통신부(13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수신부(111)는 적외선 신호 또는 적외선 데이터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각종 안내정보를 수신하거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초음파 수신부(112)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와 대상물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113)는 고주파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무선랜 통신 방식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움직임 감지 센싱부(120)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움직임이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예로써, 관성식, 자이로식, 실리콘반도체식 센서로 구성하거나 가속도 센서(G 모션 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130)는 제 1 메모리부(131), 제 2 메모리부(132) 및 제 3 메모리부(133)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메모리부(131)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그리고, 제 2 메모리부(132)는 문자나 심볼 및 물체의 형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제 3 메모리부(133)는 네비게이션에 필요한 각종 지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메모리부(131)(132)(133)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음성출력부(140)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에서 안내되는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로 구성되는 제 1 음성출력부(141)와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제 2 음성 출력부(14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음성 출력부(142)에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는 제 1 음성 출력부(141)로 음성을 출력하고, 제 2 음성 출력부(142)에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제 2 음성 출력부(142)로 음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전원부(160)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로써, 2차전지 또는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70)는 영상을 촬영하는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카메라로 구성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되는 영상으로는 문자, 심볼, 물체의 형상정보 등이 있다.
동작 스위치부(180)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동작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동작 스위치부(180)를 구성하는 경우 사소한 움직임에 대하여는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불필요한 안내를 받을 필요가 없고, 전원 역시 절약 할 수 있다.
적외선/영상 스위치부(190)는 영상수신부(170)에서 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시 말하면, 영상수신부(170)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동작되거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50)는 동작 스위치부(190)가 온 상태에서 움직임 감지 센싱부(120)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50)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 1 통신부(110)를 통해서 안내정보를 받기 위한 무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50)는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와 초음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통해 이동 방향에 있는 대상물(목적 대상물 또는 장애물)을 식별하거나,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는 적외선 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 후, 두 신호를 분석하여 두 신호를 참조하여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한편, 제 1 제어부(150)는 안내정보와 형상정보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 사용자에게 지리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편의 정보를 음성안내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제 1 제어부(150)는 영상수신부(17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 심볼 또는 물체의 형상정보를 식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구현 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헬멧(400)에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헬멧(400)에는 카메라(410), 초음파 수신장치(420) 및 이어폰(430)이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카메라(410) 및 초음파 수신장치(420)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영상수신부(170)와, 제 1 통신부(110)의 초음파 수신부(112)에 해당되고, 이어폰(740)은 음성출력부(140)에 해당한다.
한편, 도 4에서는 헬멧(700)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 일뿐, 안경,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는 헬멧(400)내에 내장된 인테나(intenna)(도시하지 않음)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에서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다른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에서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은 예로써 도어를 분석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500)는 외벽과의 사이에 도어 프레임(520)을 먼저 구축하고, 도어 프레임(520)에 경첩(510)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도어(500)에는 손잡이(530)가 형성되며, 표지판(540) 및 심볼(550)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카메라(410)를 이용하여 도어(500)의 형상정보 또는 표지판(540)의 '화장실'이라는 문자 또는 남녀공용화장실 심볼(550)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데이터는 제 1 제어부(150)가 저장부(130)에 구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도어 정보로 분석된다. 그에 따라, 식별된 정보는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된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방향정보 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정보 제시장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10), 점자출력부(220), 진동출력부(230), 열전소자부(240), 음성출력부(250), 나침반부(260), 제 2 전원부(270), 제 2 저장부(280) 및 제 2 제어부(2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210)는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신장치(300)와 연결되어 통신장치(300)를 통해 전송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안내정보를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로 인터페이싱한다.
점자출력부(220)는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점자형태로 출력한다. 즉, 점자에 의한 촉감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문자 정보나 형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진동출력부(230)는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한다. 즉, 진동의 세기에 의한 질감 정보를 제공한다.
열전소자부(240)는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열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킬수 있는 기능성 전자부품이며, 펠티어(Peltier) 소자라고도 부른다. 또한 열을 흡열면에서 방열면으로 이동시키는 열대책 부품으로, 열전방향의 열전에 의해 냉각, 가열의 변환이 가능하다. 즉, 온도에 의한 냉온감 정보를 제공한다.
음성출력부(250)는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음성 출력부(250)는 스피커로 구성할 수 있다.
나침반부(260)는 방향정보 제시장치(200)가 이동 중인 방향에 대한 방위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나침반부(260)는 전자나침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전원부(270)는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제 2 전원부(270)는 통신장치(300)로부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경우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 2 저장부(280)는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프로그램과 감성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감성정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감성은 지성과 더불어 사물을 이해하는 인간의 능력이다. 감성은 논리적인 축적과는 다른 정보처리의 양식이고, 감성과 감성정보의 특징으로는 다의성, 개인성, 상황의존성을 들 수 있다. 감정과 정서는 감성의 일부인데 감성정보 처리에서는 환경과 신체적인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감성정보 처리에는 물리, 생리, 심리, 인지의 각 계층이 있다. 감성정보는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감성정보의 취급에서는 오감의 감각양식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감의 감각양식 중 하나인 촉각을 통해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점자출력부(220), 진동출력부(230) 및 열전소자부(240)를 통해 점자나, 진동, 열전달 중 하나 이상으로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점자출력부(220), 진동출력부(230) 및 열전소자부(240) 중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 2 저장부(280)에는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점자 데이터나 진동 데이터 및 냉/온 데이터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해당 정보와 대응되는 데이터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점자출력부(22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정보를 화살표 정보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진동 출력부(23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열전소자부(24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체온과 대비하여 체온보다 냉열과 온열 중 하나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자출력부(220), 진동 출력부(230) 및 열전소자부(240)를 이용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은 음성뿐 아니라 오감을 통해 이동방향정보나 장애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주변 소음이 심한 경우에도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2 제어부(290)는 통신장치(30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와 나침반부(260)를 통해 제공되는 방위정보에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라 점자출력부(220), 진동출력부(230), 열전소자부(240) 및 음성출력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거나 대상물 정보를 감성 정보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음성출력부(250)를 통해서는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점자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점자출력부(22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자패널(221)에 형성된 다수의 점자홈(222) 및 점자돌기(2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점자패널(221)은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의 외부표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점자돌기(223)들이 점자홈(222)의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이송되는 것에 따라 이동방향 정보나 대상물 정보를 안내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점자출력부를 이용해 화살표 형상의 점자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점자출력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출력부(220)를 이용해 화살표 형상의 점자를 형성한 상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자돌기(223)가 화살표 형상으로 돌출된 경우 피부를 통해 이를 인식한 시각 장애인이 자신이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방향이나, 대상물까지의 거리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돌출된 점자돌기(223a)의 개수가 점점 줄어드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방향에 따른 목적지가 점점 가까워지는 것이나,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피부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도 7 내지 도 12에서는 점자돌기(223)의 개수에 따라 화살표 형상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점자돌기(223)의 개수를 늘리는 것에 따라 문자 정보(계속 가시오, 우측, 좌측, 뒤돌아 가시오, 장애물 있음 등)로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6에 나타낸 진동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출력부(23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진동부(231), 좌측 진동부(232), 우측 진동부(233) 및 후방 진동부(2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 진동부(231)는 시각장애인에게 전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좌측 진동부(232)는 시각장애인에게 좌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우측 진동부(233)는 시각장애인에게 우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한편, 후방 진동부(234)는 시각장애인에게 후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진동출력부(230)는 휴대폰 등에서 이용되는 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시각장애인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예민한 촉감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과 작용으로 충분히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도 2에 나타낸 방향정보 제시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정보 제시장치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610)와 통신장치 장착부재(620)와 케인부재(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각장애인이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 부재(610)에는 시각장애인이 특정방향으로 잡기 편하도록 일정한 굴곡을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안내정보를 올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손잡이부재(610)의 표면에는 점자출력부(220), 진동출력부(230) 및 열전소자부(240)가 구성된다.
그리고, 통신장치 장착부재(620)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와 방향정보 제시장치(200)간 무선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장치(300)가 탈부착된다.
케인부재(630)는 시각장애인이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를 통해 직접적으로 바닥이나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의 구성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점자출력부(220)를 통해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나 대상물까지의 거리 정보를 점자로 안내받거나, 진동을 통해 안내받거나, 열정보를 통해 안내받는다. 한편, 열전소자부(24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이 올바르거나 대상물이 없는 경우에는 따듯한 열을 출력하고, 이동 방향이 잘못되거나 대상물이 있는 경우 차가운 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온열정보는 계절이나 주변 온도에 따라 반대로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여름에는 이동 방향이 잘못되거나 대상물이 있는 경우 따듯한 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동 방향이 올바르거나 대상물이 없는 경우에는 차가운 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감성정보에 따른 안내정보로 출력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제 1 제어부(150)는 동작 스위치부(190)가 온상태에서 움직임 감지센싱부(120)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가 이동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S210).
판단결과(S210),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가 이동중이라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제 1 제어부(150)는 시각장애인 안내용 정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및 무선신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한다(S220).
또한, 영상수신부(170)를 통해서 영상정보가 획득되는가를 판단한다(S230).
판단결과(S230), 영상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초음파, 적외선 및 무선신호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음성안내를 준비한다(S240, S250).
한편, 판단결과(S230), 영상정보가 획득되면 초음파, 적외선 및 무선신호 중 하나 이상과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안내를 준비한다(S260, S270). 이와 같은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무선 신호 및 영상정보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는 이동방향에 대한 대상물과의 거리를 검출하거나, 대상을 식별하거나, 안내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방향정보 제시장치(200)가 구비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80).
판단결과(S280), 방향정보 제시장치(20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이동방향에 대한 음성안내를 수행한다(S290).
그러나, 판단결과(S280) 방향정보 제시장치(200)가 구비된 경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는 해당 방향 정보에 따른 감성정보를 출력하고 음성안내를 수행한다(S300). 이때, 점자출력부(22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정보를 화살표 정보 또는 문자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출력부(23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열전소자부(24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체온과 대비하여 체온보다 냉열과 온열 중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110 : 제 1 통신부
111 : 적외선 수신부 112 : 초음파 수신부
113 : 무선통신부 120 : 움직임 감지 센싱부
130 : 저장부 140 : 음성출력부
150 : 제 1 제어부 160 : 제 1 전원부
170 : 영상수신부 180 : 동작 스위치부
190 : 적외선/영상 스위치부 200 : 방향정보 제시장치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점자출력부
221 : 점자패널 222 : 점자홈
223 : 점자돌기 230 : 진동출력부
240 : 열전소자부 250 : 음성출력부
260 : 나침반부 270 : 제 2 전원부
280 : 제 2 저장부 290 : 제 2 제어부
300 : 통신장치 400 : 헬멧
410 : 카메라 420 : 초음파 수신장치
430 : 이어폰 500 : 도어
510 : 경첩 520 : 도어 프레임
530 : 손잡이 540 : 표시판
550 : 심볼 610 : 손잡이 부재
620 : 통신장치 장착부재 630 : 케인부재

Claims (16)

  1.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수단과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시각장애인과 함께 이동 중 상기 영상촬상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 또는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장애인에게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로부터의 적외선, 초음파 및 무선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촉감, 질감, 냉온감 중 하나 이상의 감성정보 및 소정의 음성정보를 통해 이동 방향을 제시하는 방향정보 제시장치(200); 및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로부터의 안내정보를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로 전송하는 통신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는,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송수신하는 제 1 통신부(110)와,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움직임이나 이동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싱부(120)와,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구동 프로그램과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저장된 저장부(130)와,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0)와,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와,
    상기 영상촬상수단으로서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수신부(170)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싱부(120)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와 장애물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영상수신부(17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이동방향에 있는 대상물을 식별하거나, 거리를 계산하거나, 식별 및 계산된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140)와 상기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는,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동작 온/오프를 제어하는 동작 스위치부(180)와,
    상기 영상수신부(170)가 영상을 획득하거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적외선/영상 스위치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111)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수신부(11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150)는 상기 영상수신부(170)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분석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130)에 구축된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에 대한 문자, 심볼, 형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는 상기 통신장치(300)와 연결되어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의 안내정보를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로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출력부(220)와,
    상기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출력부(230)와,
    상기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열로 출력하는 열전소자부(240)와,
    상기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50)와,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가 이동 중인 방향에 대한 방위정보를 제공하는 나침반부(260)와,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270)와,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프로그램과 감성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 저장부(280)와,
    상기 통신장치(30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와 나침반부(260)를 통해 제공되는 방위정보와 상기 제 2 저장부(280)에 저장된 감성정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점자출력부(220), 진동출력부(230), 열전소자부(240) 및 음성출력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거나 대상물 정보를 감성 정보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출력부(220)는 점자패널(221)과, 상기 점자패널(221)에 형성된 다수의 점자홈(222) 및 상기 점자홈(220)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이송되는 점자돌기(2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출력부(230)는 전방 진동부(231), 좌측 진동부(232), 우측 진동부(233) 및 후방 진동부(234)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부(240)는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체온보다 온열 또는 냉열로 출력하기 위한 펠티어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침반부(260)는 전자나침반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는
    상기 시각장애인이 특정 방향에서 잡기 편하도록 일정한 굴곡이 형성되어 상기 시각장애인이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안내정보를 올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 부재(610)와,
    상기 통신장치(300)를 탈부착하는 통신장치 장착부재(620)와,
    상기 시각장애인이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를 통해 직접적으로 바닥이나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인부재(6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610)의 표면에는 상기 점자출력부(220), 진동출력부(230) 및 열전소자부(240)가 적어도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300)는 상기 통신장치(300)는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신장치(300)에서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로 전원, 스피커, 진동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300)는 PDA, 휴대폰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15. 청구항 1에 기재된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가 상기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무선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시각장애인의 이동 안내를 위한 음성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를 시각장애인이 구비한 경우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에서 상기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및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100)에서의 안내 음성과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의 촉감, 질감 및 냉온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시각장애인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정보 제시장치(200)는 상기 이동방향을 점자출력부(22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정보를 화살표 정보로 표시하거나, 진동 출력부(23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거나, 열전소자부(240)를 통해서는 이동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냉열과 온열 중 하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방법.
KR1020100020632A 2010-03-09 2010-03-09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110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632A KR101106076B1 (ko) 2010-03-09 2010-03-09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632A KR101106076B1 (ko) 2010-03-09 2010-03-09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558A true KR20110101558A (ko) 2011-09-16
KR101106076B1 KR101106076B1 (ko) 2012-01-18

Family

ID=4495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632A KR101106076B1 (ko) 2010-03-09 2010-03-09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0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893B1 (ko) * 2014-04-11 2014-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표지 영상에서의 방향정보 자동인식 방법
CN104287946A (zh) * 2014-10-24 2015-01-21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盲人避障提示装置及方法
CN104510597A (zh) * 2014-12-26 2015-04-1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双重保护导盲装置
CN105342815A (zh) * 2015-11-16 2016-02-24 南宁学院 一种基于超声波的导盲系统
KR20160090781A (ko) 2016-07-19 2016-08-01 주식회사 비에스엘 영상의 음향 변환 장치 및 그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변환 방법
CN108230588A (zh) * 2018-03-14 2018-06-29 南京青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盲人导物提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478B1 (ko) 2012-12-14 2014-07-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시각 정보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2097795B1 (ko) * 2018-01-19 2020-05-26 (주)인프라칩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KR102235507B1 (ko) * 2019-07-16 2021-04-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시 주변 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484A (ko) * 2006-06-27 2008-01-02 박영진 열쇠고리에 끼우기 편한 열쇠
KR20090020857A (ko) * 2007-08-24 2009-02-27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KR101091437B1 (ko) * 2009-08-24 2011-12-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893B1 (ko) * 2014-04-11 2014-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표지 영상에서의 방향정보 자동인식 방법
CN104287946A (zh) * 2014-10-24 2015-01-21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盲人避障提示装置及方法
CN104510597A (zh) * 2014-12-26 2015-04-1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双重保护导盲装置
CN105342815A (zh) * 2015-11-16 2016-02-24 南宁学院 一种基于超声波的导盲系统
KR20160090781A (ko) 2016-07-19 2016-08-01 주식회사 비에스엘 영상의 음향 변환 장치 및 그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변환 방법
CN108230588A (zh) * 2018-03-14 2018-06-29 南京青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盲人导物提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076B1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076B1 (ko)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US10360907B2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US9629774B2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US9915545B2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US118524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walked position
US10248856B2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US10024679B2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JP6030582B2 (ja) 視覚障害を有する個人のための光学装置
US20150379896A1 (en) Intelligent eyewe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15415B1 (ko)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JPWO2005108926A1 (ja) 情報処理装置、携帯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390345B1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지팡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3318A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보행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보행 보조 시스템
Tyagi et al. Assistive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 a review
KR20120088320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물인식 및 보행안내 장치
KR20130031423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KR20160000897A (ko) Ble 기반의 손목형 안내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0563193B1 (ko) 시각 장애인의 실내/실외 보행을 위한 시각 정보를 청각및 촉각 정보로 변환하는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20059752A (ko) 감정을 인식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장치, 안내 시스템,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및 그 기록매체
Zhu et al. Running guide: Design of a marathon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1235585B1 (ko) 시각장애인용 전방위 방향제시 장치, 시스템,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90088729A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KR20160023226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외부단말기 위치 탐색 시스템 및 탐색 방법
KR102516155B1 (ko) 홈 오토메이션과 연동되는 음성인식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Shanthalakshmi et al. A Smart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Challenged using 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