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729A -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729A
KR20190088729A KR1020180007184A KR20180007184A KR20190088729A KR 20190088729 A KR20190088729 A KR 20190088729A KR 1020180007184 A KR1020180007184 A KR 1020180007184A KR 20180007184 A KR20180007184 A KR 20180007184A KR 20190088729 A KR20190088729 A KR 2019008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unit
visually impaired
handl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795B1 (ko
Inventor
문병래
Original Assignee
(주)인프라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프라칩 filed Critical (주)인프라칩
Priority to KR102018000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7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6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는, 시각 장애인에 의하여 파지(grab)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어 획득된 정보를 점자로 표시하기 위한 점자표시부, 통신부, 센서부 및 점자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포함되며, 몸체부에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방향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THE SMART BRAILLE CANE FOR BLIND PERSON}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자표시부, 초음파 센서 모듈, 레이저 센서 모듈, 적외선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은 맹인과 저시력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시각 장애를 겪는 사람은 주변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데, 시각 장애는 단순히 개인의 시력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문제에서 그치지 않고 주변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실외 활동에 대한 욕구와 동기 부여가 감퇴되고 개인의 삶의 질 저하로 직결되는 문제가 있다.
시각 장애인은 빛을 완전히 볼 수 없는 전맹에서부터 사물을 어렴풋이 인식할 수 있는 저시력자까지 개인별로 다양한 임상적인 양상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전맹은 제외하더라도 저시력자의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들이 종래에 강구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경우, 단순히 사용자인 시각 장애인의 보행 전방 반경 약 1 내지 2 미터 내외에서 타격에 의하여 사용자의 허리 이하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사용하여 시각 장애인은 보행 중 만나게될 수 있는 장애물이 물건인지 생명체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어렵고, 또한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는 시각 장애인의 감각에 의지하여 시각 장애인이 스스로 예측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사용자의 이동 시 장애물의 존재여부, 장애물의 종류,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해주기 위한 시각 장애인용 보조 도구(예컨대, 스마트 지팡이 등)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2943호 (등록일자: 2011.10.0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일 대응안으로써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 시 전방의 소정의 범위 내에서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 장애물의 종류,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해주기 위한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는 시각 장애인에 의하여 파지(grab)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어 획득된 정보를 점자로 표시하기 위한 점자표시부, 통신부, 센서부 및 점자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포함되며, 몸체부에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방향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는 시각 장애인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유선형상이고, 복수개의 점자표시부들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점자표시부들은 손잡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에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의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모듈,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 모듈 및 장애물이 물건인지 생명체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타 디바이스에는 시각 장애인이 휴대 중인 전자 디바이스가 포함되고,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어 획득된 정보는 통신부를 통하여 타 디바이스로 브로드캐스팅되며, 타 디바이스에서는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 디바이스에서는 시각 장애인의 점자 학습을 위한 점자 코드를 생성하여 손잡이부로 전송하고, 손잡이부의 점자표시부에서는 점자 코드에 기초하여 점자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이동 시 전방의 소정의 범위 내에서의 장애물의 존재여부, 장애물의 종류,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 등이 측정되어 시각 장애인인 사용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감지된 정보는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부에 마련된 점자표시부를 통하여 점자로써 제공되어 사용자가 익숙한 촉감을 통하여 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외출 시 가장 두려운 눈높이 또는 키높이에 위치한 장애물을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시각 장애인이 집 밖을 나서는데 있어서의 두려움을 떨쳐낼 수 있다.
또한, 사회적 복지 차원에서 시각 장애인의 이동 시 위험 지역으로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의 홀(hole)의 존재 유무, 홀 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점자로 신속하게 시각 장애인에게 통지해줌으로써 불필요한 추락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서 시각 장애인이 이동 중 위험 지역에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음성 등의 사운드로도 알릴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점자 학습을 위한 점자 코드가 타 디바이스에서 생성되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부로 전송되고, 손잡이부의 점자표시부에서 점자 코드에 기초하여 점자가 표시됨으로써 시각 장애인은 일상 생활에서도 반복적으로, 편리하게 점자를 습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를 나타낸 블록도 및 스마트 점자 지팡이를 포함하는 점자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렌더링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내부 구성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표시부의 동작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가 포함된 점자 안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는 시각(visual) 기능이 전무한 사람뿐만 아니라 양안 모두의 시력이 저조하여 보행에 불편함을 겪을 사람 등 까지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를 나타낸 블록도 및 스마트 점자 지팡이를 포함하는 점자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의 측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렌더링 이미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내부 구성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표시부의 동작 예를 나타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가 포함된 점자 안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1000)는 시각 장애인에 의하여 파지(grab)될 수 있는 손잡이부(100) 및 손잡이부(100)와 연결되는 몸체부(200)를 포함하고, 손잡이부(100)에는 타 디바이스(20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0), 센서부(210)에 의하여 감지되어 획득된 정보를 점자로 표시하기 위한 점자표시부(120), 통신부(110), 센서부(210) 및 점자표시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40)가 포함되며, 몸체부(200)에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방향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10)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 지팡이(1000)를 이용하면, 시각 장애인인 사용자의 이동 시 전방의 소정의 범위 내에서의 장애물의 존재여부, 장애물의 종류,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점자로써 전달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익숙한 점자를 촉지함으로써, 자신의 보행과 관련된 주변 환경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범위는 사용자가 보행 시 지팡이를 쥔 상태에서의 센서부의 높이값을 중심으로 한 방사형의 30도 내지 75도 범위일 수 있다. 물론 센서부(210)의 초음파 센서 모듈에 사용될 초음파 변환자(transducer)의 개수를 늘리는 등의 과정을 통하여 감지 각도를 더 넓힐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보행 속도, 장애물의 식별 속도 등을 고려할 때 소정의 각도 범위는 사용자가 보행 시 지팡이를 쥔 상태에서의 센서부의 높이값을 중심으로 한 방사형의 30도 내지 75도 범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장애물까지의 직선 거리는 레이저 센서 모듈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센서 모듈에는 TOF(Time Of Flight)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장애물간의 직선 거리는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 거리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보폭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측정 단위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측정은 1.1 미터(meter) 단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측정된 거리 값 정보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타 디바이스(2000)로 제공되어, 음성과 같은 사운드 등의 형태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서의 장애물이 사물인지 생명체(예컨대, 사람)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전방 장애물을 감지하고, 레이저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서의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서의 장애물의 종류(예컨대, 사물 또는 생명체)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경로 상의 종합적인 감시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00)는 시각 장애인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유선형상이고, 복수개의 점자표시부(120)들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점자표시부(120)들은 손잡이부(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점자표시부(120)들은 사용자가 손잡이부(100)를 파지하였을 때, 자연스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00)는 시각 장애인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유선형상이고, 사용자는 손잡이부(100)만을 지팡이(1000)로부터 분리시켜 단독으로 휴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장애물 등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 안경 등을 통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100)는 사용자 보유의 지팡이(1000) 일 단부에 꽂아서 손쉽게 장착되거나 뽑아서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0)는 수신된 장애물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점자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시(예컨대, 사용자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3 미터 이내로 좁혀진 경우 등) 진동 등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험 발생 가능성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제어부(130)와 연결된 진동발생부(미도시)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자표시부(12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0)를 파지할 때, 사용자의 엄지가 접촉되는 부분 및 검지가 접촉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사용자는 감지된 전방의 장애물의 종류 및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를 점자를 통하여 동시에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감지된 전방의 장애물의 종류(예컨대, 사물 또는 사람 등과 같은 생명체)를 엄지가 접촉되는 부분에 마련된 점자표시부를 통하여 점자 정보로써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를 검지가 접촉되는 부분에 마련된 점자표시부를 통하여 점자 정보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장애물의 존재여부, 장애물의 종류 및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를 점자를 통하여 동시에 빠르게 확인(인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점자표시부(120)에는 제어부(130)로부터의 신호 인가에 따라 돌출이 가능한 점자돌기(121)와 돌출 등의 구동을 위한 액츄에이터(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점자돌기(121)의 돌출을 통하여 장애물 등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점자로써 표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3)는 압전부저를 이용하여 PWM 방식으로 전진 또는 후진 구동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123)와 연결된 점자돌기(121)는 액츄에이터(123)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에 따라 돌출되거나 돌출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123)의 구동 방식의 일 예로서, 압전부저를 100KHz 고주파 방식으로 발진시켜서 듀티비를 플러스쪽으로 증가시켜서 조절하여 전진 구동함으로써 상향시킨 후 정지하면 에너지 소비 없이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점자돌기(121)가 돌출되어서 정지하고, 다시 듀티비를 반전 시켜서 조절하면 점자돌기(121)가 하향되어서 돌출이 해제된 상태로 복귀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10)에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의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모듈,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 모듈 및 장애물이 물건인지 생명체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이러한 센서부(210)는 지팡이의 몸체부 상측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모듈을 통하여 감지된 정보가 불규칙적으로 변경되거나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초음파 센서 모듈을 통하여 감지된 정보와 메모리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특정 정보(예컨대, 특정 개체의 이미지 등)의 전부 또는 일부와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제어부(130)에서는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 모듈을 통하여 감지된 정보와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특정 정보(예컨대, 특정 개체의 적외선 영상 정보 등)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제어부(130)에서는 장애물이 사물 또는 생명체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타 디바이스(2000)에는 시각 장애인이 휴대 중인 전자 디바이스가 포함되고, 센서부(210)에 의하여 감지되어 획득된 정보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타 디바이스(2000)로 브로드캐스팅되며, 타 디바이스(2000)에서는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2000)는 스마트 점자 지팡이(1000) 등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테블릿 PC,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타 디바이스(2000)는 사운드, 진동 또는 점자 등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된 임의의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타 디바이스(20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1214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는 1:N(N은 자연수)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장비와 통신을 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브로드캐스트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 간격은 200 mSec에서 30초 또는 1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통신부(110)에서의 사전 설정 상태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동작이 조정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이용할 경우,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장비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본인 소유의 장비 이외에 주변 타인의 소유 장비로도 사용자의 보행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 지팡이(1000)에는 전원부(14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140)는 교환식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팡이(1000)에는 각각의 요소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는 리튬이온 전지 및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기구 또는 장치는 그 형태를 불문하고 전술한 배터리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40)는 손잡이부(100) 등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타 장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또한, 타 디바이스(2000)에서는 시각 장애인의 점자 학습을 위한 점자 코드를 생성하여 손잡이부(100)로 전송하고, 손잡이부(100)의 점자표시부(120)에서는 점자 코드에 기초하여 점자가 표시될 수 있다. 타 디바이스(2000)는 점자에 미리 할당된 패턴의 점자 코드를 생성하여 손잡이부(100)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손잡이부(100)의 점자표시부(120)에 대한 촉지를 통하여 점자를 일상 생활에서도 손쉽게 익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보행 대기(예컨대, 횡단보도 앞에서의 대기 등) 중에 타 디바이스(2000)에서는 점자 학습을 위한 점자 코드를 생성하여 손잡이부(100)로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손잡이부(100)에서는 점자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점자를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자 학습은 사용자에 의한 사전 설정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일상 생활에서의 점자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손잡이부 110: 통신부
120: 점자표시부 121: 점자돌기
123: 액츄에이터
130: 제어부 140: 전원부
200: 몸체부 210: 센서부
1000: 스마트 점자 지팡이 2000: 타 디바이스

Claims (5)

  1.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에 의하여 파지(grab)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어 획득된 정보를 점자로 표시하기 위한 점자표시부;
    상기 통신부, 센서부 및 점자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포함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시각 장애인의 보행 방향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시각 장애인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유선형상이고, 복수개의 점자표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점자표시부들은 상기 손잡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의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모듈, 상기 장애물까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 모듈 및 상기 장애물이 물건인지 생명체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에는 상기 시각 장애인이 휴대 중인 전자 디바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어 획득된 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로 브로드캐스팅되며, 상기 타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써 상기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시각 장애인의 점자 학습을 위한 점자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손잡이부로 전송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점자표시부에서는 상기 점자 코드에 기초하여 점자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KR1020180007184A 2018-01-19 2018-01-19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KR102097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84A KR102097795B1 (ko) 2018-01-19 2018-01-19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84A KR102097795B1 (ko) 2018-01-19 2018-01-19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729A true KR20190088729A (ko) 2019-07-29
KR102097795B1 KR102097795B1 (ko) 2020-05-26

Family

ID=6748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184A KR102097795B1 (ko) 2018-01-19 2018-01-19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3498A (zh) * 2019-11-27 2020-02-25 广东工业大学 一种导盲杖及其导盲方法
KR20210028315A (ko) * 2019-09-03 2021-03-1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안내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857A (ko) * 2007-08-24 2009-02-27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KR20110082225A (ko) * 2010-01-11 2011-07-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1072943B1 (ko) 2008-12-16 2011-10-17 우찬명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KR101106076B1 (ko) * 2010-03-09 2012-01-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20150144510A (ko) * 2014-06-17 2015-12-28 김태형 시각 장애인용 안경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857A (ko) * 2007-08-24 2009-02-27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KR101072943B1 (ko) 2008-12-16 2011-10-17 우찬명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KR20110082225A (ko) * 2010-01-11 2011-07-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1106076B1 (ko) * 2010-03-09 2012-01-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20150144510A (ko) * 2014-06-17 2015-12-28 김태형 시각 장애인용 안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315A (ko) * 2019-09-03 2021-03-1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안내시스템
CN110833498A (zh) * 2019-11-27 2020-02-25 广东工业大学 一种导盲杖及其导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795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190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안경 및 그 활용 방법
KR101898582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US10238280B2 (en) Visual acuity test device and visual acuity test system
KR101115415B1 (ko)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1715472B1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보행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보행 보조 시스템
KR101390345B1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지팡이 시스템 및 방법
KR101106076B1 (ko)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20190077639A (ko)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KR20180093752A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2097795B1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점자 지팡이
KR101197693B1 (ko) 센서노드와 연동되는 점자보도블럭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606340B1 (ko) 비콘과 장애인용 도구를 활용한 주변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463986B1 (ko) 초음파 펄스 반향을 이용한 시각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4482B1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20150145429A (ko)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
KR20160000897A (ko) Ble 기반의 손목형 안내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Villamizar et al. A necklace sonar with adjustable scope range for assisting the visually impaired
US11146109B2 (en) Wireless power systems with charging status information
KR2013011504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KR20160081589A (ko) 안경형 전방탐지장치
KR102005247B1 (ko) 일정한 주기마다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시각 장애인용 리모컨
KR101235585B1 (ko) 시각장애인용 전방위 방향제시 장치, 시스템,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및 그 기록매체
AU2020101440B4 (en) Wireless power systems with charging status information
JP2015219361A (ja) 情報伝達用グローブ及び情報伝達システム
KR101849594B1 (ko) 라이다를 이용하는 무선 헤드셋, 보행 보조 시스템 및 보행 보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