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520A - 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 Google Patents

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520A
KR20110101520A KR1020100020555A KR20100020555A KR20110101520A KR 20110101520 A KR20110101520 A KR 20110101520A KR 1020100020555 A KR1020100020555 A KR 1020100020555A KR 20100020555 A KR20100020555 A KR 20100020555A KR 20110101520 A KR20110101520 A KR 2011010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ub
pallet
sor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와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와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0002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520A/en
Publication of KR2011010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5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of waf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37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including mean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박스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Sub Pallet)를 버퍼 랙(Buffer Rack)의 보관칸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버퍼 랙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의 수가 정해진 단수에 먼저 이른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를 팔레트 단 적재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브 팔레트의 단분리와 단적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박스가 이재된 이종 타입의 서브 팔레트를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받는 팝업 유니트; 팝업 유니트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는 일정크기의 랙(Rack)이 열 개 이상 형성되어 랙에 서브 팔레트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버퍼 랙; 버퍼 랙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이종의 서브 팔레트가 랙에 보관된 버퍼 랙으로부터 서브 팔레트를 이송받아 상하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적재기; 팝업 유니트와 버퍼 랙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팝업 유니트로 이송된 서브 팔레트를 버퍼 랙의 각 랙으로 이송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소터 1호기; 및 버퍼 랙과 단적재기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 버퍼 랙의 각 랙에 보관된 이종의 서브 팔레트 중 제어부에 설정된 개 수만큼 먼저 보관되는 타입의 서브 팔레트를 단적재기로 이송시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터 2호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wherein a multi-sized sub pallet for supporting a horizontal box on a conveyor in a production line is transferred to a storage compartment of a buffer rack, while a buffer rack is provid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easier to separate and stack the sub-pallets by transferring the sub-pallet having the size of the number of the sub-pallets stored in the first step to the pallet stack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for this purpos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is a pop-up unit for receiving the heterogeneous sub-pallet of the horizontal box is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A buffer rack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pop-up unit but is formed at least ten racks of a predetermined size up and down to store the sub-pallets in the rack; A single stacker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buffer rack but receives the sub pallets from the buffer racks stored in the racks of different kinds of sub pallets so that the stacking is made up and down; A sorter unit 1 install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pop-up unit and the buffer rack, wherein the sub-pallet transferred to the pop-up unit is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And a sub pallet of a type installed in the same line between the buffer rack and the single stacking machine, which is stored as many as the number set in the control unit among the different sub pallets stored in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so that the single stacking is performed.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orter unit 2 to.

Figure P1020100020555
Figure P1020100020555

Description

자동물류용 소터장치{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본 발명은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CD 글라스를 수평방향으로 적재하는 수평박스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Sub Pallet)를 버퍼 랙에 보관되도록 하는 한편 버퍼 랙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의 수가 정해진 단수에 먼저 이른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를 팔레트 단 적재기로 이송시키는 자동물류용 소터(Sorter)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and more particularly, a sub-pallet having a plurality of sizes to be transported by supporting a horizontal box for horizontally loading LCD glass on a conveyor of a production line in a buffer r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that transfers a sub-pallet of a size that is stored in a buffer rack to a pallet stage stacker before the number of sub-pallets stored in the buffer rack.

일반적으로 물류창고(또는 물류 적재창고)라 함은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의류,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 즉, 물류창고는 공장 등에서 대량 생산된 각종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보관수단으로, 이러한 물류창고는 물류의 단순한 관리차원을 벗어나 물품의 배치나 입출 및 재고관리 등의 신속한 처리와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각종 보관기구로 구성되어 있다.Logistics warehouses (or warehouses) are generally used for temporary or long-term storage and storage of all items used in daily life such as various foods, beverages, clothing, home appliances, general goods, and industrial good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factories or production areas. Refers to a storage warehouse. In other words, the warehouse is a storage means for temporarily or long-term storage of various items mass-produced in factories, etc. These warehouses go beyond the simple management of logistics and provide for rapid processing and loading space such as the arrangement, entry and inventory management of goods. It is composed of various storage mechanisms for efficient management.

전술한 바와 같은 물류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창고 내 보관재고의 물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하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하는 바, 이러한 물류창고는 대량으로 생산된 물품의 보다 신속한 입·출하와 더불어 물류 적재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대량의 물류가 가능하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Logistics warehouse as mentioned above, 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to move away from simple logistics management, to create new business such as inventory management, efficient import and export, and inventory management from the arrangement of goods in storage warehouse. These warehouse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enable mass logistics through faster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produced in mass and more efficient utilization of logistics loading space.

한편, LCD 글라스(LCD Glass)의 물류 형태를 살펴보면 LCD 글라스가 적재된 LCD Glass Handling Box를 입고 받아 생산공정으로 이재되어 LCD 글라스의 하역이 이루어진 후 공박스의 반출이 이루어진다. 이때, LCD 글라스를 적재하는 LCD Glass Handling Box는 LCD 글라스를 수직으로 적재하는 수직박스에서 LCD 글라스를 수평으로 적재하는 수평박스로 변경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logistics form of LCD glass (LCD Glass), the LCD glass handling box loaded with the LCD glass is received and transferred to the production process, the LCD glass is unloaded, and then the empty box is taken out. At this time, the LCD Glass Handling Box for loading the LCD glass is a trend that is changed from a vertical box for vertically loading the LCD glass to a horizontal box for loading the LCD glass horizontally.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수평박스를 자동물류설비에 반영시키기 위해 수평박스를 지지하는 서브 팔레트(Sub Pallet)의 기술이 도입되었다. 기존 물류에서 이용된 수직박스는 별도의 서브 팔레트없이 단일 운반이 가능하였으나, 변경된 수평박스는 구조상 컨베이어 롤러 구동 타입에서의 물류운송이 불가하기 때문에 서브 팔레트의 적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technology of the sub pallet supporting the horizontal box has been introduced to reflect the horizontal box as described above in the automatic logistics facility. The vertical box used in the existing logistics was possible to carry a single transport without a separate sub-pallet, but the changed horizontal box can be sai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ub-pallet is essential because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is impossible in the conveyor roller drive typ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박스를 컨베이어 롤러 구동 타입에서의 물류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브 팔레트는 LCD 글라스가 하역된 공박스의 반출시에는 작업자에 의해 단적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된다. 특히, 서브 팔레트의 사이즈 타입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각을 분리하여 단적재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ub-pallet that enables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of the horizontal box in the conveyor roller drive type has a work load deteriorated because a single stack is made by an operator when the LCD box is unloaded.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ize types of sub-pallets, it is natural that work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each must be separately stack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박스를 컨베이어 롤러 구동 타입에서의 물류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브 팔레트는 공박스의 반출시 작업자에 의해 사이즈의 타입이 각각 동일 사이즈 타입으로 분류되어 단적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브 팔레트를 단적재하기 위한 많은 수의 작업인원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b-pallet that allows the horizontal box to be transported in the conveyor roller drive type is divided into the same size type by the operator when the empty box is taken out, so that the sub-load is made. The problem is that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required to stack the palle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박스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Sub Pallet)를 버퍼 랙(Buffer Rack)의 보관칸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버퍼 랙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의 수가 정해진 단수에 먼저 이른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를 팔레트 단 적재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브 팔레트의 단분리와 단적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storage box of the buffer rack (Sub Pallet) of a plurality of sizes to be transported by supporting the horizontal box on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Automatic logistics that makes it easier to separate and unload the sub pallets by allowing the pallet pallet stacker to transfer the size of the sub pallets to the pallet rack load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orter device for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박스를 LCD 글라스 생산라인 상에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Sub Pallet)를 버퍼 랙(Buffer Rack)의 보관칸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버퍼 랙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의 수가 정해진 단수에 먼저 이른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를 팔레트 단 적재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브 팔레트의 물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fer a plurality of sub pallets to a storage rack of a buffer rack while supporting a horizontal box on a LCD glass production lin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logistics of the sub-pallets by allowing the sub-pallet of the size that reaches the number of stages to be transferred to the pallet stacker firs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평박스를 LCD 글라스 생산라인 상에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Sub Pallet)를 버퍼 랙(Buffer Rack)의 보관칸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버퍼 랙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의 수가 정해진 단수에 먼저 이른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를 팔레트 단 적재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의 낭비를 줄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a number of sub-pallets (Size Pallet) to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buffer rack while supporting the horizontal box to be transported on the LCD glass production line while the sub-stored in the buffer rac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the waste of manpower by allowing the number of pallets to be transferred to the pallet stacker with the size of the sub-pallet that reache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teps firs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는 LCD 글라스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서브 팔레트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수평박스의 반출 후 서브 팔레트를 단적재하기 위한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생산라인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박스가 이재된 이종 타입의 서브 팔레트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받는 팝업 유니트; 팝업 유니트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는 일정크기의 랙(Rack)이 열 개 이상 형성되어 랙에 서브 팔레트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버퍼 랙; 버퍼 랙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이종의 서브 팔레트가 랙에 보관된 버퍼 랙으로부터 서브 팔레트를 이송받아 상하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적재기; 팝업 유니트와 버퍼 랙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팝업 유니트로 이송된 서브 팔레트를 버퍼 랙의 각 랙으로 이송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소터 1호기; 및 버퍼 랙과 단적재기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 버퍼 랙의 각 랙에 보관된 이종의 서브 팔레트 중 제어부에 설정된 개 수만큼 먼저 보관되는 타입의 서브 팔레트를 단적재기로 이송시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터 2호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for unloading the sub-pallet after carrying out of the horizontal box which is supported and transported by the sub-pallet on the conveyor of the LCD glass production line. A pop-up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ine conveyor to receive heterogeneous sub-pallets having horizontal boxes loaded from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A buffer rack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pop-up unit but is formed at least ten racks of a predetermined size up and down to store the sub-pallets in the rack; A single stacker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buffer rack but receives the sub pallets from the buffer racks stored in the racks of different kinds of sub pallets so that the stacking is made up and down; A sorter unit 1 install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pop-up unit and the buffer rack, wherein the sub-pallet transferred to the pop-up unit is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And a sub pallet of a type installed in the same line between the buffer rack and the single stacking machine, which is stored as many as the number set in the control unit among the different sub pallets stored in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so that the single stacking is performed.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orter unit 2 to.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더하여 버퍼 랙의 랙 각 상부 일측에는 랙에 이송되어 보관되는 서브 팔레트를 감지하여 서브 팔레트의 타입을 판단하되 판단된 서브 팔레트의 타입을 자동물류 시스템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팔레트 감지센서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ide of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detects the sub-pallet to be transported and stored in the rack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sub-pallet, but the type of the determined sub-pallet controller of the automatic logistics system The pallet senso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transmit.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팝업 유니트는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는 테이블;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온 서브 팔레트를 상부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바; 및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지되 지지바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지지바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p-up unit is a tab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A support bar installed on the table to support the sub pallet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to the upper side; And it is installed on the table but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lifting cylinder for lifting the support ba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소터 1호기는 버퍼 랙의 최하단 랙으로부터 최상단 랙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는 승강로드; 승강로드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 승강로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을 통해 승강기를 승강로드 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모터; 및 승강기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좌우로 입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팝업 유니트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서브 팔레트를 상부측으로 이송받은 다음 버퍼 랙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인출되어 랙 상에 서브 팔레트를 보관시키는 이송선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orter unit 1 is a lifting rod consisting of a height that can correspond to the top rack from the bottom rack of the buffer rack; An elevator, which is installed on an elevating ro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up and down; An elevat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rod to elevate and elevate the elevator on the elevating rod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der control of a control unit; And a transfer shelf configured to be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to be pulled out to the left and right, and withdrawn in multiple directions in the pop-up unit direction to receive the sub-pallet to the upper side, and then to be taken out by moving in the buffer rack direction to store the sub-pallet on the rack. It may be made of 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소터 2호기는 버퍼 랙의 최하단 랙으로부터 최상단 랙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는 승강로드; 승강로드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 승강로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을 통해 승강기를 승강로드 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모터; 및 승강기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좌우로 입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버퍼 랙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랙 각각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를 상부측으로 이송받은 다음 단적재기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인출되어 단적재기 상에 서브 팔레트를 적재시키는 이송선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er unit 2 includes a lifting rod configur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rack from the bottom rack of the buffer rack; An elevator, which is installed on an elevating rod so as to elevate up and down; An elevat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rod to elevate and elevate the elevator on the elevating rod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der control of a control unit; And it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is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left and right, but the multi-layer withdrawal in the buffer rack direction received the sub-pallet stored in each rack to the upper side and then withdraws through the movement in the stacking machine direction to the sub-loader It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of a transfer shelf for loading the pallet.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수평박스를 LCD 글라스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Sub Pallet)를 버퍼 랙(Buffer Rack)의 보관칸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버퍼 랙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의 수가 정해진 단수에 먼저 이른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를 팔레트 단 적재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브 팔레트의 단분리와 단적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음은 물론, 서브 팔레트의 물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sized sub pallet for transporting a horizontal box to be supported on a conveyor of an LCD glass production line is transferred to a storage compartment of a buffer rack while the sub pallets are stored in a buffer rack. By allowing sub pallets with the size of pallets to be transferred to the pallet stacker, the number of pallet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stacked, and the logistics of the sub pallets can be made easier.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평박스를 생산라인 상에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Sub Pallet)를 버퍼 랙(Buffer Rack)의 보관칸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버퍼 랙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의 수가 정해진 단수에 먼저 이른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를 팔레트 단 적재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의 낭비를 줄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a number of sub-pallets (Size Pallet) to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buffer rack while supporting the horizontal box to be transported on the production line of the sub-pallet stored in the buffer rac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manpower and improve work efficiency by allowing sub pallets of a size which reaches the number of stages to be transferred to the pallet stacker first.

도 1 은 수평박스 자동물류의 서브 팔레트 순환을 보인 계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1호기에 의한 서브 팔레트의 입고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1호기에 의한 서브 팔레트의 입고시 서브 팔레트 감지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1호기와 소터 2호기에 의한 교류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2호기에 의한 서브 팔레트의 단적재를 보인 정면 구성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ub pallet circulation of a horizontal box automatic logistics.
Figure 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receipt of the sub-pallet by the sorter unit 1 of the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etection of the sub-pallet upon receipt of the sub-pallet by the sorter unit 1 of the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alternating current by the sorter No. 1 and sorter No. 2 of the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ingle stack of the sub pallet by the sorter unit 2 of the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은 수평박스 자동물류의 서브 팔레트 순환을 보인 계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ub pallet circulation of a horizontal box automatic logistics.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물류 시스템 상에서 수평박스의 자동물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브 팔레트(10)의 공급경로를 살펴보면 입고된 상태의 LCD 글라스가 적재된 LCD Glass Handling Box인 수평박스(20)를 로봇(30)을 통해 생산라인의 컨베이어에 이재시키는 과정에서 물류창고에 단적재된 서브 팔레트(10)가 단분리를 통해 생산라인의 컨베이어에 공급되어 공급된 서브 팔레트(10)에 수평박스(20)의 지지가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automatic logistics of the horizontal box on the automatic logistics system as shown in Figure 1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supply path of the sub-pallet 10,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horizontal box 20, which is an LCD glass handling box in which the LCD glass is loaded, to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robot 30, The single loaded sub pallet 10 is supplied to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step separation, and the horizontal box 20 is supported on the supplied sub pallet 10.

다시 말해서, 로봇(30)에 의해 수평박스(20)가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 이재되는 경우 물류창고에 단적재된 서브 팔레트(10)의 단분리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 공급되고, 로봇(30)에 의해 이재되는 수평박스(20)는 단분리되어 공급되는 서브 팔레트(10) 상에 지지되어 이송되어진다.In other words, when the horizontal box 20 is transferred onto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by the robot 30, the horizontal pallet 20 is supplied onto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in the middle of the separation of the sub pallet 10 loaded in the warehouse. The horizontal box 20 transferred by the robot 30 is supported and transported on the sub pallet 10 which is supplied by being separa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팔레트(10)의 공급경로와는 반대로 서브 팔레트(10)의 회수경로를 살펴보면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 수평박스(20)로부터 LCD 글라스를 사용한 후 공박스가 된 수평박스(20)를 로봇(30)을 통해 반출하는 과정에서 남은 서브 팔레트(10)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로부터 회수하여 단적재를 통해 물류창고에 입고시키는 것을 통해 회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contrast to the supply path of the sub-pallet 10, when looking at the recovery path of the sub-pallet 10, the horizontal box is used after the LCD glass from the horizontal box 20 on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the empty box The sub-pallet 10 remaining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20 through the robot 30 is recovered from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and collected by storing the sub pallet 10 in the warehouse through the single stacking.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팔레트(10)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서브 팔레트(10)를 보다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이러한 자동물류용 소터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물류 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생산라인 컨베이어 상에서 공박스가 된 수평박스(10)를 반출하고 남은 서브 팔레트(10)를 회수하게 된다.The sorter apparatus 100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recovering the sub pallet 10 more easil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sub pallet 10 as described above. 2 to 7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tomatic logistics system, as shown in Figure 2 to 7 to take out the horizontal box 10 becomes a blank box on the production line conveyor to recover the remaining sub-pallet 10.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1호기에 의한 서브 팔레트의 입고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1호기에 의한 서브 팔레트의 입고시 서브 팔레트 감지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1호기와 소터 2호기에 의한 교류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의 소터 2호기에 의한 서브 팔레트의 단적재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or the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receipt of the sub-pallet by the sorter unit 1 of the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alternating current by the sorter unit 1 and the sorter unit 2 of the automatic logistics sor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ub-pallet of the sorter unit 2 of the automatic logistics sor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ront view showing a single stack.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자동물류 소터장치(100)는 LCD 글라스 생산라인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박스가 반출된 이종 타입의 서브 팔레트(10)를 생산라의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받는 팝업 유니트(110), 팝업 유니트(110)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는 일정크기의 랙(Rack : 122)이 열 개 이상 형성되어 랙(122)에 서브 팔레트(10)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버퍼 랙(120), 버퍼 랙(120)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이종의 서브 팔레트(10)가 랙에 보관된 버퍼 랙(120)으로부터 서브 팔레트(10)를 이송받아 상하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적재기(130), 팝업 유니트(110)와 버퍼 랙(120)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팝업 유니트(110)로 이송된 서브 팔레트(10)를 버퍼 랙(120)의 각 랙으로 이송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소터 1호기(140) 및 버퍼 랙(120)과 단적재기(130)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 버퍼 랙(120)의 각 랙(122)에 보관된 이종의 서브 팔레트(10) 중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설정된 개 수만큼 먼저 보관되는 타입의 서브 팔레트(10)를 단적재기(130)로 이송시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터 2호기(1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logistics sorter apparatus 100 shown in FIGS. 2 to 7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CD glass production line conveyor, and the pop-up unit 110 receiving the heterogeneous sub-pallet 10 having the horizontal box taken out from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110 ), Buffer racks 120 which are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pop-up unit 110 but are formed with ten or more racks (Rack: 122) of a predetermined size up and down to store the sub pallets 10 in the racks 122. ),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buffer rack 120, but the heterogeneous sub-pallet 10 is transferred to the sub-pallet 10 from the buffer rack 120 stored in the rack so that the single stacker is made up and down 130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pop-up unit 110 and the buffer rack 120, but the sub-pallet 10 transferred to the pop-up unit 110 is transferred to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120 to be stored Sorter 1 unit 140 and the buffer rack 120 and the single stacker 130 The sub-pallet 10 of the type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and stored first by the number set in the control unit (not shown) among the heterogeneous sub-pallets 10 stored in each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It is mad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orter No. 2 150 to be transferred to the stacking unit 130 to be a single stack.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 소터장치(100)를 통해 서브 팔레트(10)를 회수하는 과정은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LCD 글라스의 생산이 이루어진 후 공박스가 된 수평박스(20)를 로봇(30)을 통해 반출하는 과정에서 남은 서브 팔레트(10)는 팝업 유니트(110)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서브 팔레트(10)는 LCD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A타입이나 B타입 및 C타입 등의 크기로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sub pallet 10 through the automatic logistic sorter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produce a horizontal box 20 which becomes a blank box after the production of the LCD glass on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The remaining sub pallet 10 is transported to the pop-up unit 110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rough the robot 30. At this time, the sub-pallet 10 is made of size of A type, B type and C typ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CD glas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팝업 유니트(110)로 이송된 서브 팔레트(10)는 소터 1호기(140)에 의해 팝업 유니트(110)로부터 버퍼 랙(120)으로 이송시키는 가운데 버퍼 랙(120)의 랙(122)에 서브 팔레트(10)를 보관하게 된다. 이때, 서브 팔레트(10)는 버퍼 랙(120)의 최하단에 구성된 랙(122)에서부터 상부측의 랙(122)으로 보관되어지고, 각각의 랙(122)에 설치된 팔레트 감지센서(160)의 감지에 의해 서브 팔레트(10)의 사이즈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져 제어부에 전송되어진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ub pallet 10 transferred to the pop-up unit 110 is transferred from the pop-up unit 110 to the buffer rack 120 by the sorter 1 140, and the rack of the buffer rack 120 is in the middle. The sub pallet 10 is stored at 122. At this time, the sub-pallet 10 is stored in the rack 122 of the upper side from the rack 122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buffer rack 120, the detection of the pallet detection sensor 160 installed in each rack 122 The determination of the size of the sub pallet 10 is made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최하부의 랙(122)으로부터 상부측 랙(122)으로 서브 팔레트(10)를 이송시켜 보관하는 과정에서 하부측의 랙(122) 상에 보관되는 서브 팔레트(10) 중 동일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10)가 설정된 개 수만큼 보관되어 소터 2호기(150)에 의해 단적재기(130)로 이송되어도 상부측의 랙(122)이 비어 있게 되면 상부측 랙(122)을 전부 채운 후에 다시 하부측의 랙(122)을 채우게 된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same among the sub-pallets 10 stored on the lower rack 122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d storing the sub-pallet 10 from the lower rack 122 to the upper rack 122. Even if the size of the sub-pallet 10 is stored by the set number and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achine 130 by the sorter No. 150, the upper rack 122 is filled when the upper rack 122 is empty. Afterwards, the lower rack 122 is filled again.

전술한 바와 같이 소터 1호기(140)를 통해 팝업 유니트(110)로부터 버퍼 랙(120)으로 서브 팔레트(10)의 이송이 이루어져 버퍼 랙(120)의 랙(122)에 서브 팔레트(10)가 보관되어지면 각각의 랙(122)에 보관되는 서브 팔레트(10)는 팔레트 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되어 서브 팔레트(10)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에 전송되어진다. 이러한 팔레트 감지센서(160)의 정보를 통해 제어부는 동일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10)가 설정된 개 수만큼 하부측 랙(122) 또는 상부측 랙(122)에 보관되면 먼저 보관된 동일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10)를 소터 2호기(150)를 통해 버퍼 랙(120)으로부터 단적재기(130)로 이송시켜 단적재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b-pallet 10 is transferred from the pop-up unit 110 to the buffer rack 120 through the sorter 1 140 to the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Once stored, the sub pallet 10 stored in each rack 122 is detected by the pallet detecting sensor 160 and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sub pallet 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pallet detection sensor 160, the control unit is stored in the lower rack 122 or the upper rack 122 of the same number of sub-pallets 10 of the same size, the first stored sub-pallet of the same size 10 is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achine 130 from the buffer rack 120 through the sorter No. 150 to the single stacking.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소터 2호기(150)를 통해 버퍼 랙(120)으로부터 단적재기(130)로 이송시켜 단적재를 하는 과정에서 서브 팔레트(10)는 하부측 랙(122)에 먼저 채워지게 되기 때문에 통상은 하부측 랙(122)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10) 먼저 소터 2호기(150)에 의해 단적재기(130)로 이송되어 단적재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sub-pallet 10 is first filled in the lower rack 122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buffer rack 120 from the buffer rack 120 to the stack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since the sub pallet 10 stored in the lower side rack 122 is first transferred to the stacker 130 by the sorter # 2 150, the stacking may be performed.

아울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터 2호기(150)에 의한 랙(122) 상의 서브 팔레트(10)를 단적재기(130)로 이송시키는 과정과 소터 1호기(140)에 의한 팝업 유니트(110) 상의 서브 팔레트(10)를 버퍼 랙(120)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소터 2호기(150)와 소터 1호기(14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터 1호기(140)에 의한 작업이 버퍼 랙(120)의 하부측 랙(122)으로 서브 팔레트(10)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소터 2호기(150)는 상부측 랙(122)으로부터 서브 팔레트(10)를 단적재기(130)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반면, 소터 1호기(140)에 의한 작업이 버퍼 랙(120)의 상부측 랙(122)으로 서브 팔레트(10)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소터 2호기(150)는 하부측 랙(122)으로부터 서브 팔레트(10)를 단적재기(130)로 이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ub-pallet 10 on the rack 122 by the sorter 2 unit 15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tacking unit 130 and the pop-up unit 110 on the sorter 1 unit 140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orter 2 unit 150 and the sorter 1 unit 140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ub pallet 10 to the buffer rack 120, the work by the sorter 1 unit 140 is performed in the buffer rack 120. When the transfer of the sub pallet 10 to the lower side rack 122 of the sorter unit 150 is made to transfer the sub pallet 10 from the upper side rack 122 to the stacker 1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work by the sorter 1 unit 140 transfers the sub pallet 10 to the upper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the sorter 2 unit 150 serves from the lower rack 122 The pallet 10 is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achine 13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소터 2호기(150)에 의해 단적재기(130)에 서브 팔레트(10)가 일정 개 수로 단적재되면 단적재된 서브 팔레트(10)는 물류창고로 이송되어 입고된다. 단적재기(130)에 의한 서브 팔레트(10)의 단적재란 동일 사이즈의 서브 팔레트(10)를 상하로 적재시키는 것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b-pallet 10 is unloaded in a predetermined number by the sorter No. 150 150, the sub-pallet 10 is loaded into the warehouse and is received. The single stacking of the sub pallet 10 by the single stacking machine 130 means loading the sub pallets 10 of the same size up and down.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팝업 유니트(110)는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공박스가 된 수평박스를 반출하고 난 상태의 빈 서브 팔레트(10)를 회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팝업 유니트(11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글라스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어 LCD 글라스를 사용하고 난 상태의 공박스인 수평박스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로부터 반출시켜 빈 상태인 지종 타입의 서브 팔레트(10)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받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orter device 100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the pop-up unit 110 is installed to recover the empty sub-pallet 10 in the state of carrying out the horizontal box that became the empty box on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this pop-up unit 110 i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 4, the horizontal type of empty boxes, which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for producing LCD glass, is taken out from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and the empty type sub pallet ( 1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veyor from the production line.

전술한 바와 같은 팝업 유니트(1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는 테이블(112), 테이블(112)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온 서브 팔레트(10)를 상부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바(114) 및 테이블(112) 상에 설치되어지되 지지바(114)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지지바(114)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op-up unit 11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ar 114 for supporting the table 112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the sub-pallet 10 installed on the table 112 to be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to the upper side And is installed on the table 112, bu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114 is made up of a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116 for lifting the support bar 114.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팝업 유니트(110)는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된 테이블(112)의 지지바(114) 상부측으로 컨베이어로부터 서브 팔레트(10)가 이송되어 위치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승강실린더(116)의 작동에 의해 지지바(114)의 상승이 일정높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소터 1호기(140)에 의해 상승된 지지바(114) 상의 서브 팔레트(10)는 버퍼 랙(120)으로 이송 보관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op-up unit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lifting cylinder 116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sub-pallet 10 is moved from the conveyor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ar 114 of the table 11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By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bar 114 is made to rise to a certain height. In this state, the sub pallet 10 on the support bar 114 lifted by the sorter 1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transferred to the buffer rack 120.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퍼 랙(120)은 서브 팔레트(10)를 각각으로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버퍼 랙(120)은 도 2 내도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유니트(110)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는 일정크기의 랙(Rack : 122)이 열 개 이상 형성되어 랙(122)에 서브 팔레트(10)를 보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터 1호기(140)는 지지바(114) 상의 서브 팔레트(10)를 넘겨받아 버퍼 랙(120)의 랙(122)으로 이송 보관하게 된다.The buffer rack 12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assify the sub-pallet 10 into each, such a buffer rack 120 is shown on the same line of the pop-up unit 110 as shown in FIG. Is installed in the up and down is a rack (Rack: 122)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more than ten is made of a structure for storing the sub-pallet 10 in the rack (122). At this time, the sorter 1 unit 140 is transferred to the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receives the sub-pallet 10 on the support bar 114.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버퍼 랙(120)은 도 2 및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일정높이로 구성되어지되 서브 팔레트(10)가 보관되는 동일 크기의 공간인 랙(122)이 상하로 다수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서브 팔레트(10)가 보관되는 공간인 랙(122)의 개 수를 10개 이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rack 120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f up and down as shown in FIGS. 2 and 4 to 7, but the rack 122 having the same size space in which the sub pallet 10 is stored is formed. It is a configuration formed up and down.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racks 122, which are spaces in which the sub-pallet 10 is stored, is formed in ten or mo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랙(Rack : 122)이 열 개 이상 형성되어 랙(122)에 서브 팔레트(10)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버퍼 랙(120)의 랙(122) 상부 일측에는 랙(122)에 채워져 보관되는 서브 팔레트(10)의 사이즈 타입을 감지하는 팔레트 감지센서(160)가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팔레트 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되어 판단된 서브 팔레트(10)의 사이즈 타입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소터 2호기(150)의 작동에 관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rack (Rack: 12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so that the storage of the sub-pallet 10 in the rack 122, the rack 122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ack 122 of the buffer 122 Pallet detection sensor 160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sub-pallet 10 is filled in the rack 122 is installed. Information about the size type of the sub-pallet 10 detected and determined by the pallet detecting sensor 16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o b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orter unit 150.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적재기(130)는 버퍼 랙(120)의 랙(122)에 불류 보관된 서브 팔레트(10)를 동일 사이즈끼리 설정된 개 수씩 상하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단적재기(130)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랙(120)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이종의 서브 팔레트(10)가 랙(122)에 보관된 버퍼 랙(120)으로부터 서브 팔레트(10)를 이송받아 상하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tacker 1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ad the sub-pallet 10 stored in the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up and down by the number set by the same size, such a stacker 130 2 to 4, and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buffer rack 120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buffer rack 120 but the hetero pallet 10 is stored in the rack 122. The sub pallet 10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and lower stages to be stacked.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터 1호기(140)는 팝업 유니트(110)에 위치된 서브 팔레트(10)를 버퍼 랙(120)으로 이송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소터 1회(14)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유니트(110)와 버퍼 랙(120)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팝업 유니트(110)로 이송된 서브 팔레트(10)를 버퍼 랙(120)의 각 랙(122)으로 이송시켜 보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orter 1 unit 14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the sub pallet 10 located in the pop-up unit 110 to the buffer rack 120. The sorter once 14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 the sub-pallets 10 install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pop-up unit 110 and the buffer rack 120 are transferred to the pop-up unit 110. 122) for storag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소터 1호기(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버퍼 랙(110)의 최하단 랙(122)으로부터 최상단 랙(122)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는 승강로드(141), 승강로드(141)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142), 승강로드(1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을 통해 승강기(142)를 승강로드(141) 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모터(143) 및 승강기(142)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좌우로 입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팝업 유니트(110)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서브 팔레트(10)를 상부측으로 이송받은 다음 버퍼 랙(120)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인출되어 랙(122) 상에 서브 팔레트(10)를 보관시키는 이송선반(14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orter 1 unit 14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rod 141, the lifting rod 141 is configur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rack 122 from the bottom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10 The elevator 142 installed on the rod 141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rod 141 to elevate the elevator 142 on the lifting rod 141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The lifting motor 143 and the elevator 142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the left and right exits pop-up unit 110 in a multi-stage withdrawal to the sub-pallet 1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and then the buffer rack 120 It is made of a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shelf 144 is drawn through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to keep the sub-pallet 10 on the rack 122.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소터 1호기(140)는 작동을 살펴보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승강모터(143)의 구동을 통해 승강기(142)가 팝업 유니트(110)의 위치로 승강되어 멈춘 상태에서 이송선반(144)이 도면에서와 같이 왼쪽 방향인 팝업 유니트(110)의 방향으로 인출되어 팝업 유니트(110) 상에 위치된 서브 팔레트(10)를 인출된 부분의 상부측으로 지지하는 가운데 승강기(142)의 중심부로 인출된 이송선반(144)을 원위치시킨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orter 1 unit 14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lathe (142) is lifted to the position of the pop-up unit 110 through the driving of the lifting motor 14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4 is drawn out in the direction of the pop-up unit 110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the drawing to support the sub-pallet 10 located on the pop-up unit 110 to the upper side of the pulled-out center of the elevator 142. Transfer tray 144 drawn out to the original position.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팔레트(10)를 상부측으로 지지하여 이송선반(144)을 승강기(142)의 중심으로 원위치시킨 후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승강기(142)를 버퍼 랙(120)의 빈 랙(122)으로 승강시켜 정지시킨 다음, 이송선반(144)을 오른쪽 방향인 버퍼 랙(120) 방향으로 인출시키는 가운데 이송선반(144) 상부에 지지된 서브 팔레트(10)를 버퍼 랙(120)의 빈 랙(122)으로 이송 보관시키게 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after supporting the sub pallet 10 to the upper side to return the transfer shelf 144 to the center of the elevator 142, the elevator 14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buffer rack 120. After lifting to the empty rack 122 and stopping, the sub pallet 10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shelf 144 is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buffer rack 120 to the right. It will be transported to the empty rack 122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소터 1호기(140)는 좌우측으로 인출되는 이송선반(144)을 통해 팝업 유니트(110)에 위치된 서브 팔레트(10)를 버퍼 랙(120)의 랙(122) 각각에 이송 보관시키는 기능을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팔레트(10)를 팝업 유니트(110)로부터 버퍼 랙(120)으로 이송시킨 후 소터 1호기(140)는 다음 서브 팔레트(10)의 이송에 대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orter 1 unit 140 transfers and stores the sub pallet 10 located in the pop-up unit 110 to each of the racks 122 of the buffer rack 120 through the transfer shelf 144 that is drawn ou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o function.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after transferring the sub pallet 10 from the pop-up unit 110 to the buffer rack 120, the sorter first unit 140 prepares for the transfer of the next sub pallet 10.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터 2호기(150)는 버퍼 랙(120)의 각 랙(122)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10)를 단적재기(130)로 이송시켜 서브 팔레트(10)를 설정된 개 수로 단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소터 2호기(150)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랙(120)과 단적재기(130)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 버퍼 랙(120)의 각 랙(122)에 보관된 이종의 서브 팔레트 중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설정된 개 수만큼 먼저 보관되는 타입의 서브 팔레트를 단적재기(130)로 이송시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orter No. 2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150 transfers the sub-pallet 10 stored in each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to the stacking machine 130 to cut the sub-pallet 10 into a set number of pieces. For the purpose of loading, the sorter No. 2 150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buffer rack 120 and the single stacker 130 as shown in Figures 2 to 4 and 6 and 7 buffer rack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sub-pallets stored in each rack 122 of 120, the sub-pallet of the type stored first by the number set in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achine 130 so that the stacking is made. .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소터 2호기(150)의 작동은 소터 1호기(14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터 1호기(140)의 작업이 버퍼 랙(120)의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측 랙(122) 또는 상부측 랙(122)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소터 2호기(150)의 작업은 버퍼 랙(120)의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측 랙(122) 또는 하부측 랙(122)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소터 1호기(140)와 소터 2호기(150)는 버퍼 랙(120)의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측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The operation of the sorter 2 unit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lower rack on the basis of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buffer rack 120 so that the work of the sorter unit 140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sorter 1 unit 140 does not occur. When the work is performed in the 122 or the upper rack 122, the work of the sorter unit 150 is performed in the upper rack 122 or the lower rack 122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buffer rack 120. It is made of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is to be done. That is, the sorter 1 unit 140 and the sorter 2 unit 150 is configured so that the work can be made in the lower and upper or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buffer rack 120.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터 2호기(1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버퍼 랙(120)의 최하단 랙(122)으로부터 최상단 랙(122)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는 승강로드(151), 승강로드(151)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152), 승강로드(15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을 통해 승강기(152)를 승강로드(151) 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모터(153) 및 승강기(152)의 상부측에 구성되어지되 좌우로 입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버퍼 랙(120)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랙(122) 각각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10)를 상부측으로 이송받은 다음 단적재기(130)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인출되어 단적재기(130) 상에 서브 팔레트(10)를 적재시키는 이송선반(154)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orter No. 2 15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lifting rod 151, lifting rod consisting of a height that can correspond to the top rack 122 from the bottom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An elevator 15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rod 151 and the elevating rod 151 installed on the elevating rod 151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The upper pallet of the motor 153 and the elevator 152 is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from side to side, but the sub pallet 10 stored in each of the racks 122 is drawn out in multiple stages toward the buffer rack 120 to the upper side. After the transfer, the transfer shelf 154 is drawn out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acking machine 130 to load the sub pallet 10 on the stacking machine 13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소터 2호기(150)는 서브 팔레트(A타입, B타입 또는 C타입 : 10)이 버퍼 랙(120)의 랙에(122)에 보관되면 이들 중 설정된 개 수가 먼저 보관된 서브 팔레트(10) 타입을 버퍼 랙(120)의 랙(122)으로부터 인출하여 단적재기(130)로의 이송을 통해 설정된 단수로 단적재를 하게 된다. 이때, 소터 1호기(140)의 작업이 버퍼 랙(120)의 상부측에서 이루어지면 소터 2호기(150)는 버퍼 랙(120)의 하부측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The sorter No.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150 is a sub pallet (A type, B type or C type: 10) is stored in the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the set number of these first stored sub The pallet 10 is pulled out from the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to be stacked in a single stage set by the transfer to the stacking machine 130. At this time, when the work of the sorter 1 unit 140 is made in the upper side of the buffer rack 120, the sorter 2 unit 150 is made in the lower side of the buffer rack 120.

본 발명에서는 소터 2호기(150)를 통해 버퍼 랙(120)의 랙(122)에 보관된 서브 팔레트(10)를 인출하여 단적재기(130)로 이송시 설정된 개 수는 동일 타입의 서브 팔레트(10)가 3∼7개 보관된 경우에 먼저 설정된 개 수만큼 보관된 타입의 서브 팔레트(10)를 인출시켜 단적재기(130)로 이송을 통해 단적재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개 수를 다섯 개로 설정하여 어느 타입이든 먼저 다섯 개의 서브 팔레트(10)가 버퍼 랙(120)에 채워져 보관되었다면 이를 통해 제어부는 다섯 개가 채워진 서브 팔레트(10)를 단적재기(130)로 이송시키는 가운데 단적재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set when the sub pallet 10 stored in the rack 122 of the buffer rack 120 through the sorter No. 150 is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achine 130 is the same number of sub pallets ( When 10) is stored 3-7 pieces, the number of sub-pallets 10 of the stored type is first drawn out and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achine 130 for single stacking.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et number is set to five, any type of five sub pallets 10 are first filled and stored in the buffer rack 120,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loads the five sub pallets 10 filled with the single stacker (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to 130) is loaded.

전술한 바와 같이 단적재기(130)에 의해 5단으로 단적재된 서브 팔레트(10)는 단적재된 상태로 이송되어 물류창고에 입고 보관되어진다. 이처럼 물류창고에 단적재된 상태로 입고 보관된 서브 팔레트(10)는 LCD 글라스가 적재된 수평박스(도시하지 않음)를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 이재시 단분리되어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 투입되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ub pallet 10 loaded in five stages by the single stacking unit 130 is transported in a single stacked state and stored in a warehouse. As such, the sub-pallet 10, which is worn and stored in the state of being stacked in the warehouse, is separated when the horizontal box (not shown) loaded with LCD glass is transferred onto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and is put on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Los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류용 소터장치(100)는 서브 팔레트(10)의 단적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 수평박스의 이재시 서브 팔레트(10)의 단분리를 용이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orter apparatus 100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acilitate the stacking of the sub pallet 10 as well as the sub pallet when the horizontal box is transferred on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steps 10).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서브 팔레트 20. 수평박스
30. 로봇 100. 소터장치
110. 팝업 유니트 112. 테이블
114. 지지바 116. 승강실린더
120. 버퍼 랙 122. 랙
130. 단적재기 140. 소터 1호기
141. 승강로드 142. 승강기
143. 승강모터 144. 이송선반
150. 소터 2호기 151. 승강로드
152. 승강기 153. 승강모터
154. 이송선반 160. 팔레트 감지센서
10. Sub pallet 20. Horizontal box
30. Robot 100. Sorter Device
110. Pop-up unit 112. Table
114. Support bar 116. Lifting cylinder
120. Buffer Rack 122. Rack
130. Single Stacking Machine 140. Sorter Unit 1
141.Elevation Rod 142.Elevator
143. Lifting motor 144. Feed lathe
150. Sorter Unit 2 151. Lift Rod
152. Lift 153. Lift motor
154. Feed Lathe 160. Pallet Detection Sensor

Claims (7)

LCD 글라스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서브 팔레트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수평박스의 반출 후 상기 서브 팔레트를 단적재하기 위한 자동물류용 소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박스가 이재된 상기 이종 타입의 서브 팔레트를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받는 팝업 유니트;
상기 팝업 유니트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는 일정크기의 랙(Rack)이 열 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랙에 상기 서브 팔레트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버퍼 랙;
상기 버퍼 랙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이종의 서브 팔레트가 상기 랙에 보관된 상기 버퍼 랙으로부터 상기 서브 팔레트를 이송받아 상하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적재기;
상기 팝업 유니트와 버퍼 랙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팝업 유니트로 이송된 상기 서브 팔레트를 상기 버퍼 랙의 각 랙으로 이송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소터 1호기; 및
상기 버퍼 랙과 단적재기 사이의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 상기 버퍼 랙의 각 랙에 보관된 상기 이종의 서브 팔레트 중 제어부에 설정된 개 수만큼 먼저 보관되는 타입의 상기 서브 팔레트를 단적재기로 이송시켜 단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터 2호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
In constructing a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for unloading the sub pallet after the horizontal box is supported and transported by the sub pallet on the conveyor of the LCD glass production line,
A pop-up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veyor to transfer the hetero pallets of the heterogeneous type in which the horizontal box is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A buffer rack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pop-up unit but is formed with ten or more racks of a predetermined size up and down to store the sub-pallets in the rack;
A single stacker installed on the same line of the buffer rack, wherein the hetero pallets are transported up and down by receiving the sub pallets from the buffer racks stored in the racks;
A sorter unit 1 install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pop-up unit and the buffer rack to transfer the sub-pallet transferred to the pop-up unit to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And
It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buffer rack and the single stacker to transfer the sub-pallet of the type stored in the control uni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sub-pallets stored in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to the single stacker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orter No. 2 to be m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개 수는 3∼7개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The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 number is set to 3 to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터 1호기의 작업이 상기 버퍼 랙의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측 랙 또는 상부측 랙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소터 2호기의 작업은 상기 버퍼 랙의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측 랙 또는 하부측 랙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소터 1호기와 소터 2호기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The operation of the sorter 2 is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buffer rack when the operation of the sorter 1 is performed in the lower rack or the upper rack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buffer rack. The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upper rack or lower rack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orter No. 1 and sorter No. 2 is not generat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랙의 랙 각 상부 일측에는 상기 랙에 이송되어 보관되는 상기 서브 팔레트를 감지하여 상기 서브 팔레트의 타입을 판단하되 판단된 상기 서브 팔레트의 타입을 상기 자동물류 시스템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팔레트 감지센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pper side of each rack of the buffer rack senses the type of the sub-pallet by detecting the sub-pallet being transferred and stored in the rack, A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a pallet detection sensor is further configured to transmit a type to the control unit of the automatic logistics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유니트는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온 상기 서브 팔레트를 상부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바; 및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바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pop-up unit comprises: a tabl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veyor;
A support bar installed on the table to support the sub pallet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to an upper side; And
Is installed on the table, bu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is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for lifting the support ba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터 1호기는 상기 버퍼 랙의 최하단 랙으로부터 최상단 랙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는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
상기 승강로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기를 상기 승강로드 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모터; 및
상기 승강기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좌우로 입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팝업 유니트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상기 서브 팔레트를 상부측으로 이송받은 다음 상기 버퍼 랙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랙 상에 상기 서브 팔레트를 보관시키는 이송선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rter unit 1 comprises: a lifting rod configur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rack from the bottom rack of the buffer rack;
An elevator mounted on the elevating rod to be capable of elevating up and down;
An elevat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rod and elevating the elevator on the elevating rod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It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is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left and right, but the multi-drawer in the direction of the pop-up unit, the sub-pallet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and is drawn through the movement in the buffer rack direction and the sub-pallet on the rack Sorter device for automatic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transfer shelf for storing th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터 2호기는 상기 버퍼 랙의 최하단 랙으로부터 최상단 랙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는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
상기 승강로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기를 상기 승강로드 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모터; 및
상기 승강기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좌우로 입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퍼 랙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상기 랙 각각에 보관된 상기 서브 팔레트를 상부측으로 이송받은 다음 상기 단적재기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단적재기 상에 상기 서브 팔레트를 적재시키는 이송선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류용 소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orter unit 2 comprises: a lifting rod having a height that can correspond to the top rack from the bottom rack of the buffer rack;
An elevator mounted on the elevating rod to be capable of elevating up and down;
An elevat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rod and elevating the elevator on the elevating rod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It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is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left and right, but the multi-drawer in the buffer rack direction received the sub-pallet stored in each of the rack to the upper side and then withdrawal through the movement in the stacking direction A sorter apparatus for automatic logistics, compris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fer shelf for loading the sub pallets on a single stacker.
KR1020100020555A 2010-03-08 2010-03-08 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KR201101015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555A KR20110101520A (en) 2010-03-08 2010-03-08 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555A KR20110101520A (en) 2010-03-08 2010-03-08 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520A true KR20110101520A (en) 2011-09-16

Family

ID=4495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555A KR20110101520A (en) 2010-03-08 2010-03-08 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52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992A (en)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제우스 Tabbing apparatus
CN106494862A (en) * 2016-10-21 2017-03-15 北京源著智能科技有限公司 Three-dimensional buffer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992A (en)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제우스 Tabbing apparatus
CN106494862A (en) * 2016-10-21 2017-03-15 北京源著智能科技有限公司 Three-dimensional buffe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5430B2 (en) Automated warehouse and how to enter the automated warehouse
CN202296067U (en) Warehouse in/out conveying system of turnover box stereoscopic warehouse
CA2641394C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order-picking or consolidating articles
US8342792B2 (en) Article separation directly on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WO2021227375A1 (en) Inventory system and goods storing and picking method
JP2018167950A (en) Automatic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JP2018087053A (en) Multi-task crane
EP3129306B1 (en) A multi-storey goods storage arrangement
CN111301913A (en) Intelligent warehouse system capable of achieving accurate warehousing
US9963294B2 (en) Arrangement and method in a warehouse
CN114873133A (en) Three-dimensional warehousing system and cargo carrying method thereof
CN104495184A (en) Automatic stereoscopic warehouse for tobacco stacks
KR20110101520A (en) Soter apparatus for auto-distribution
JP5007558B2 (en) Sorting storage device
CN216360178U (en) Equipment for automatically stacking trays
CN109110366B (en) Automatic inventory method for warehouse system
JP7171992B2 (en) Case transfer system and case transfer method
CN218402143U (en) Warehouse management system
CN218402144U (en) Warehouse goods tray recovery plant
EP3374293B1 (en) Shelf system comprising movable shelves
CN211443733U (en) Intelligent warehouse system capable of achieving accurate warehousing
CN214826315U (en) Handling device and warehousing system
CN115140477B (en) Warehouse management system
CN108792400B (en) Intelligent warehouse with automatic access function
KR101037438B1 (en) Data matching apparatus of lcd glass handl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