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266A -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 Google Patents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266A
KR20110101266A KR1020100020168A KR20100020168A KR20110101266A KR 20110101266 A KR20110101266 A KR 20110101266A KR 1020100020168 A KR1020100020168 A KR 1020100020168A KR 20100020168 A KR20100020168 A KR 20100020168A KR 20110101266 A KR20110101266 A KR 20110101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unit
information
sur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Original Assignee
(주)프라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임솔루션 filed Critical (주)프라임솔루션
Priority to KR102010002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266A/ko
Publication of KR2011010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giving an indic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is occurs, i.e. multi-channel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8Provision in measuring instruments for reference values, e.g. standard voltage, standard wave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using spark-gap arres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피뢰장치의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직격뢰, 유도뢰, 간접뢰 또는 스위칭 서지 발생에 의한 충격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충격 전류의 값을 샘플링한 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비교기; 상기 아날로그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받아 이를 분석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제어장치부;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의 출력신호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부; 및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건물 및 전기통신설비들로의 인입 서지의 경로 추적 및 실시간 피뢰정보 파악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서지 보호 장치의 적절한 배치를 확인하거나 정정할 수 있어 장비의 파손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DIGITAL LIGHTNING AND SURGE COUNTER}
본 발명은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피뢰장치의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충격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감지하여 크기, 일시 및 횟수 등에 관한 피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저장,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의 낙뢰 및 서지 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뢰에 의한 직격뢰, 간접뢰, 유도뢰 또는 스위칭에 의한 서지(surge)가 통신 및 전자장비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낙뢰나 서지로부터 전기통신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피뢰침, 인하도선, 접지시스템 등의 외부 피뢰설비 및 전력, 통신 인입부에 통상적으로 서지 보호 장치 즉, 내부 피뢰설비가 설치된다. 이러한 외부 피뢰설비와 내부 피뢰설비는 낙뢰나 서지 인입 횟수에 따라 본래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 횟수에 제한이 있으며, 낙뢰 및 서지에 대해 반응한 횟수나 크기, 일시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적절한 유지보수시기를 놓쳐 실질적으로 낙뢰 및 서지로부터 전기전자설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뢰설비의 적용 기준에 따르면 건축물의 유지보수시에는 반드시 해당 피뢰설비를 점검해야 하는데 수뢰 여부, 낙뢰 전류 크기, 인입 경로, 횟수, 일시, 등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므로 피뢰설비의 효율적인 배치, 운용을 통해 통신 및 전기전자설비의 파손을 예방 및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건물의 피뢰설비나 각종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하여 낙뢰 및 서지의 인입 경로, 크기, 일시 및 횟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저장,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집된 정보에 따라 각종 피뢰설비의 적절한 배치를 확인하고 정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피뢰장치의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직격뢰, 유도뢰, 간접뢰 또는 스위칭 서지 발생에 의한 충격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충격 전류의 값을 샘플링한 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비교기; 상기 아날로그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받아 이를 분석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제어장치부;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의 출력신호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부; 및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충격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 또는 충격 전류의 크기에 따른 전계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전계 센서, 또는 전류 센서 및 전계 센서가 복합된 형태로 구비되는 전류 및 전계 복합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류센서는 로고스키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비교기는 충격 전류를 2 내지 10 단계로 구분하여 그 크기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는 충격 전류의 발생일시, 크기 및 횟수를 측정하여 피뢰정보를 생성, 저장하고, 이 피뢰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외부의 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은 아날로그 신호, 직렬 데이터 통신, 유선 모뎀, 무선통신 또는 광통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는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뢰 및 서지를 크기별로 판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지 발생 일시 및 횟수 등의 정보를 수집, 저장,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피뢰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피뢰설비의 적절한 배치를 확인하고 정정할 수 있어 보호대상 설비 및 장비 파손의 예방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를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가 피뢰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는 피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2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를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1개 또는 복수 개의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가 피뢰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는 피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피뢰장치의 수뢰인하도선(2),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2)에 설치되는 센서부(10); 상기 센서부(10)를 통해 감지된 충격 전류의 값을 샘플링한 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비교기(analog comparator, 20); 상기 아날로그 비교기(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받아 이를 분석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제어장치부(Micro Controller Unit, 30);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부(40); 상기 키패드부(4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의 출력신호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부(60); 및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7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0)는 피뢰장치의 수뢰인하도선(2)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 도체(2)에 설치되어 수뢰인하도선(2)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 도체(2)에 직격뢰, 유도뢰, 간접뢰 또는 스위칭 서지 발생에 의한 충격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부(10)는 로고스키 코일(Rogowski coil)을 구비하는 전류 센서이거나, 또는 충격 전류의 크기에 따른 전계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전계 센서, 또는 전류 센서 및 전계 센서가 복합된 형태로 구비되는 전류 및 전계 복합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의 케이싱(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장형(도 2 참조), 또는 케이싱(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미도시)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10)가 케이싱(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피뢰장치의 수뢰인하도선(2)이나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2) 등 낙뢰 또는 서지전류가 흐르는 도체에는 별도의 부착기구로 대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로고스키 코일은 일반 전류변환기와 달리 마그네틱코어(magnetic core)를 사용하지 않고 공심코어(air core)를 형성하는 특수 재질의 플라스틱 보빈을 사용하여 여자시키는 것으로, 공심코어 내를 관통하는 도체에 전류가 흐를 경우 이 전류에 의해 공심코어에 권취된 코일에 도체의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이 유도됨에 따라 이를 토대로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해 내는 구조를 가진다. 로고스키 코일은 본질적으로 1차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선형성을 가지는데, 마그네틱코일이 아니라 공심코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기적 리액턴스(reactance)에 의한 노이즈가 없어 선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철심포화에 따른 과전류 손상이 없는 특성을 가짐에 따라 일반적으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장치들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의 배면에 구비된 공심코어 내에 수뢰인하도선(2)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2)을 관통시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아날로그 비교기(20)는 센서부(10)에서 감지된 충격 전류의 값을 샘플링 한 후 미리 가변저항에 의하여 설정된 서지감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크기를 2 이상의 다단계(다채널)로 구분하여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다채널 아날로그 비교기). 충격 전류의 크기는 2 내지 10단계로 구분하여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4단계로 구분하여 판별한다. 예를 들어, 서지감도의 기준값을 L1: 400A~1kA, L2: 1~1.8kA, L3: 1.5~2.5kA, L4: 2.5~3kA와 같이 4개의 채널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본 발명의 이해 편의를 위한 예시이며, 서지감도 기준값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범위를 달리하여 다시 변경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는 센서부(10)로부터 감지된 충격 전류의 발생일시, 크기 및 횟수를 측정하여 피뢰정보를 생성, 저장(메모리부)하고, 이 피뢰정보를 통신수단(70)을 통하여 외부의 모니터링장치(300)에 직접 전송하거나 원격전송장치(100)를 경유하여 모니터링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전송장치(10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로부터 피뢰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취합하여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한 후 정보통신망(200)을 통하여 이를 다시 모니터링 장치(3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피뢰정보를 유무선, 광통신 또는 웹 등과 같은 정보통신망(200)을 통하여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300)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뢰정보에는 해당 피뢰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예를 들어 피뢰정보별 식별번호, 키 또는 고유 ID 등을 더욱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격전송장치(10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로부터 인가 받은 피뢰정보에 해당 피뢰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식별정보를 추가하여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에는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의 구동에 필요한 기준 시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리얼타임 클럭 IC(80)가 연결된다.
키패드부(4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키패드부(40)를 통하여 서지 이력 정보보기, 장치 초기화, 날짜 설정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키패드부(4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정보 및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의 출력신호에 따른 상태정보(서지 이력, 날짜, 시간 등)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수단(70)은 아날로그 신호, 직렬 데이터 통신, 유선 모뎀, 무선통신 또는 광통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는 송수신기이며, 상기 통신수단(70)은, 송수신기 드라이버(71) 및 외부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커넥터(74)를 포함한다. 송수신기 드라이버(71)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 직렬 데이터 통신, 유선 모뎀, 무선통신 또는 광통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전용 드라이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송수신기 드라이버(71)와 커넥터(74) 사이에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자체보호용도의 서지 보호 장치(Surge Protective Device: SPD, 7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74)에는 5V 전압을 만들 수 있는 전압 강하 레귤레이터(75)가 연결되고 상기 전압 강하 레귤레이터(75)와 커넥터(74) 사이에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자체 보호용도의 서지 보호 장치(SPD, 7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기억장치부(60)는 마이크로 제어장치부(30)에 의해 처리된 피뢰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기억장치부(60)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기억 장치(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를 이용하는 피뢰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 상기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로부터 피뢰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취합하여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원격전송장치(100), 및 유무선, 광통신, 웹 등의 정보통신망(200)을 경유하여 상기 원격전송장치(100)로부터 각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피뢰장치 및 전기통신설비에 대한 피뢰상태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3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가 피뢰정보를 모니터링 장치(300)로 송신하는 피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가 피뢰설비의 수뢰인하도선(2)에 설치되어 있다. 낙뢰가 발생하여 피뢰설비의 수뢰인하도선(2)에 충격 전류가 흐를 경우, 센서부(10)에는 관통하는 충격 전류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데,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는 이 전류 값 또는 전류 크기에 따른 전계강도를 감지, 측정하여 데이터화함으로써 피뢰정보(임펄스의 크기, 횟수, 날짜, 시간 등)를 생성하게 된다. 피뢰정보는 기억장치부(60)에 저장되며, 통신수단(70)을 통해 원격전송장치(100)로 보내진다. 원격전송장치(10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로부터 피뢰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취합하여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피뢰상태정보를 유무선, 광통신, 웹 등의 정보통신망(200)을 경유하여 해당 건물이나 설비에 대한 피뢰상태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피뢰정보에는 상기 정보 이외에 해당 피뢰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시켜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하는데, 식별정보란 해당 피뢰정보별 식별이 가능한 번호, 키 또는 고유 ID 등일 수 있다. 원격전송장치(10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로부터 인가 받은 피뢰정보에 해당 피뢰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식별정보를 추가하여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역할도 한다.
도 4 및 도 5는 2개 이상의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2)가 피뢰정보를 모니터링 장치(300)로 송신하는 피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가 각각 피뢰설비의 수뢰인하도선 및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되어 있다. 낙뢰가 발생하여 피뢰설비의 수뢰인하도선(2)에 직격뢰 전류가 흐르거나, 전기통신설비에 유도뢰, 간접뢰, 스위칭 서지 발생 등에 의한 충격 전류가 흐를 경우, 센서부(10)에는 관통하는 충격 전류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데,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는 이 전류 값 또는 전류 크기에 따른 전계강도를 감지, 측정하여 데이터화함으로써 피뢰정보(임펄스의 크기, 횟수, 날짜, 시간 등)를 생성하게 된다. 피뢰정보에는 상기 정보 이외에 해당 피뢰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는데, 식별정보란 해당 피뢰정보별 식별이 가능한 번호, 키 또는 고유 ID 등일 수 있다.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피뢰정보는 기억장치부(60)에 저장되며, 통신수단(70)을 통해 원격전송장치(100)로 보내진다.
원격전송장치(10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로부터 피뢰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취합하여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피뢰상태정보를 유무선, 광통신, 웹 등의 정보통신망(200)을 경유하여 해당 건물이나 설비에 대한 피뢰상태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피뢰정보에는 상기 정보 이외에 해당 피뢰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시켜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하는데, 식별정보란 해당 피뢰정보별 식별이 가능한 번호, 키 또는 고유 ID 등일 수 있다. 원격전송장치(100)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1)들로부터 인가 받은 피뢰정보에 해당 피뢰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식별정보를 추가하여 피뢰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각 건물 및 전기통신설비들로부터 피뢰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뢰정보들을 기반으로 해당 건물 및 전기통신설비들에 대한 낙뢰 및 서지 카운터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인입 서지의 경로 추적 및 피뢰정보 파악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서지 보호 장치의 적절한 배치를 확인하거나 정정할 수 있어 소수의 인력과 최소한의 비용으로 장비 파손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해진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2: 수뢰인하도선,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
10: 센서부 20: 아날로그 비교기
30: 마이크로 제어장치부
40: 키패드 50: 디스플레이부
60: 기억장치부 70: 통신수단
80: 리얼타임 클럭 IC
100: 원격전송장치 200: 정보통신망
300: 모니터링 장치

Claims (6)

  1.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피뢰장치의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뢰인하도선 또는 전기통신설비의 접지도체 또는 본딩도체에 직격뢰, 유도뢰, 간접뢰 또는 스위칭 서지 발생에 의한 충격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충격 전류의 값을 샘플링한 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비교기;
    상기 아날로그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받아 이를 분석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제어장치부;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의 출력신호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부; 및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충격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 또는 충격 전류의 크기에 따른 전계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전계 센서, 또는 전류 센서 및 전계 센서가 복합된 형태로 구비되는 전류 및 전계 복합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는 로고스키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비교기는 충격 전류를 2 내지 10단계로 구분하여 그 크기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부는 충격 전류의 발생일시, 크기 및 횟수를 측정하여 피뢰정보를 생성, 저장하고, 이 피뢰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외부의 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아날로그 신호, 직렬 데이터 통신, 유선 모뎀, 무선통신 또는 광통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는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KR1020100020168A 2010-03-06 2010-03-06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KR20110101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68A KR20110101266A (ko) 2010-03-06 2010-03-06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68A KR20110101266A (ko) 2010-03-06 2010-03-06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266A true KR20110101266A (ko) 2011-09-16

Family

ID=4495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68A KR20110101266A (ko) 2010-03-06 2010-03-06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26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00B1 (ko) * 2012-01-26 2013-10-28 허성환 플로팅 루프형 유류저장탱크의 낙뢰 전류 방전을 위한 바이패스 콘덕터 장치
CN103743990A (zh) * 2013-12-26 2014-04-23 北京交控科技有限公司 一种列车自动控制系统中的防浪涌器件的故障检测方法
CN105203833A (zh) * 2015-11-09 2015-12-30 国家电网公司 高压电气设备大电流冲击计数装置及计数方法
KR101645226B1 (ko) * 2015-06-30 2016-08-03 (주)조인에프에스 접지단자함을 이용한 낙뢰 카운터 시스템
KR102153822B1 (ko) * 2019-04-19 2020-09-08 이계광 낙뢰전류크기와 실제낙뢰파형을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ADC입력채널과 샘플링타임(Sampling time)을 갖는 낙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34473A (ko) * 2019-09-20 2021-03-30 전주술 사물 인터넷 기반 피뢰침 시스템
KR20220039039A (ko) 2020-09-21 2022-03-29 한국전력공사 서지 및 누설 전류 감지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류 감지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00B1 (ko) * 2012-01-26 2013-10-28 허성환 플로팅 루프형 유류저장탱크의 낙뢰 전류 방전을 위한 바이패스 콘덕터 장치
CN103743990A (zh) * 2013-12-26 2014-04-23 北京交控科技有限公司 一种列车自动控制系统中的防浪涌器件的故障检测方法
CN103743990B (zh) * 2013-12-26 2016-04-20 北京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列车自动控制系统中的防浪涌器件的故障检测方法
KR101645226B1 (ko) * 2015-06-30 2016-08-03 (주)조인에프에스 접지단자함을 이용한 낙뢰 카운터 시스템
CN105203833A (zh) * 2015-11-09 2015-12-30 国家电网公司 高压电气设备大电流冲击计数装置及计数方法
CN105203833B (zh) * 2015-11-09 2017-05-17 国家电网公司 高压电气设备大电流冲击计数装置及计数方法
KR102153822B1 (ko) * 2019-04-19 2020-09-08 이계광 낙뢰전류크기와 실제낙뢰파형을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ADC입력채널과 샘플링타임(Sampling time)을 갖는 낙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34473A (ko) * 2019-09-20 2021-03-30 전주술 사물 인터넷 기반 피뢰침 시스템
KR20220039039A (ko) 2020-09-21 2022-03-29 한국전력공사 서지 및 누설 전류 감지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류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1266A (ko) 디지털 낙뢰 및 서지 카운터
KR101268355B1 (ko) 서지보호기의 수명예측 시스템
US7005863B2 (en) Monitoring system
JP6049046B1 (ja) モニタ装置及びサージアレスタシステム
KR101646825B1 (ko) 감지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9520B1 (ko) 지능형 단자함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02288850A (zh) 氧化锌避雷器监测装置
CN109387695A (zh) 一种避雷器雷击动作记录与远传报警装置
CN108983060A (zh) 避雷器检测装置及系统
US10908186B2 (en) Monitor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surge arrester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onitoring data related to a surge arrester
KR200436919Y1 (ko) 능동형 접지 단자함
KR101902766B1 (ko) 서지 블랙박스 시스템
JP2014048188A (ja) 電流センサー
KR20090001706A (ko) 지능형 피뢰 관리 시스템
KR101645226B1 (ko) 접지단자함을 이용한 낙뢰 카운터 시스템
CN201237622Y (zh) 柜内三相避雷器在线监测装置
EP0762589B1 (en) Device for recording strokes of lightning
CN202403725U (zh) 一种多功能雷电监测装置
CN105158583A (zh) 具有雷电监测功能的居民电表远程供电采集装置
CN202678953U (zh) 可记录雷击电流强度及发生时间的浪涌保护器
JP5499269B2 (ja) サージカウンタ
KR100913833B1 (ko) 와인딩 적층구조의 소세력센싱 기술을 이용한 서지보호장치
CN105021878A (zh) 一种避雷器雷电监测记录仪
CN213398791U (zh) 一种避雷器放电监测系统
US11187738B2 (en) Measurement system for detection of faults on wires of a device 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