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804A -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804A
KR20110100804A KR1020100019819A KR20100019819A KR20110100804A KR 20110100804 A KR20110100804 A KR 20110100804A KR 1020100019819 A KR1020100019819 A KR 1020100019819A KR 20100019819 A KR20100019819 A KR 20100019819A KR 20110100804 A KR20110100804 A KR 2011010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server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687B1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1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6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 국제 로밍 지원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the system, mobile terminal belonged to th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제 로밍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에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명의 발달에 따라 해외 여행이 일반화되고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국내에서 사용하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외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로밍 서비스(Roaming service)를 활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가입자가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국외로 이동하여 국내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곳에 있다고 하더라도 해외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국내에서 사용하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국제로밍 서비스 지원 상태로 설정하여 해외로 출국한 후에, 해외에서 국제로밍 서비스를 통해 국내의 통신 장치로 전화를 걸어 통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국제 로밍을 통해 음성 통화만이 아닌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국제 로밍을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외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로는 국제 로밍을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이동이 빈번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현재 위치에서의 데이터 통신 이용료에 대한 정보나 주변 정보를 획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국제 로밍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 국제 로밍 지원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시스템 아이디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OTA (Over-the-air) 방식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필드를 갖는 패킷 헤더부,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 및 메시지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헤더부 중 어느 하나의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가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IM)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가 그룹 멤버의 위치 정보를 그룹 멤버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서버를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와,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제 로밍 지원 상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가 자신의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국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데이터의 소정 필드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가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국제 로밍 시 필요한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수행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부;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하기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수행과정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a) 국제 로밍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면서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해외에서 국제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국제 로밍 서비스 상태의 그룹 멤버의 현재 위치 정보를 국내에 있는 동일 인스턴트 메신저 그룹 멤버가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에서 제공하는 자동 국제 로밍용 PRL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습득 테이블(acquisition table)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시스템 테이블(system table)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송하는 메시지 헤더의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의 실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국내 이동통신망(200)과 해외 이동통신망(300) 및 각 이동통신망(200, 300)에 포함된 기지국(210, 310)을 통해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 및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와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국내에서 국내 이동통신망(200)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국내 이동통신망(200)은 최초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입된 이동통신망을 나타내며, 해외 이동통신망(30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외로 이동하여 로밍(roaming)한 후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망을 의미한다.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국내 이동통신망(200)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200)에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00) 이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이동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210)을 포함하여 기지국 제어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 등 다양한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120) 사이의 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SMS 서버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버 및 다대다 그룹 통신을 제어하는 그룹 통신 서버 및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국제 로밍에 필요한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PRL: Preferred Roaming List)를 OTA(Over-the air) 방식으로 기지국(210)을 통해 전송한다.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 대리점이나 서비스 센터를 찾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통해 시스템 파라미터나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본 발명은 OTA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설명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은 OTA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자동 국제 로밍용 PRL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SSPR_R_REV(System Selection for Preferred Roaming Protocol Revision)은 SSPR 구성 요청 메시지(SSPR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의 블럭 ID와 SSPR 구성 응답 메시지(SSPR Configuration Response Message)의 블럭 ID에 의해 구분되는데, 자동 국제 로밍용 단말기는 SSPR_R_REV=1을 사용하며, PRL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국제 로밍용 PRL은 습득 테이블(Acquisition table)과 시스템 테이블(System table)로 구성되며 활성화 상태이어야 한다.
도 3a는 도 2의 습득 테이블(acquisition table)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국제 자동 로밍이 지원되는 국가가 많을수록 해당 테이블의 값은 많아지는데, 도 3a는 그 중 몇 개 국가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2의 시스템 테이블(system table)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시스템 테이블은 획득하려는 시스템의 시스템 아이디(System Identification: SID), 네트워크 아이디(Network Identification: NID), 습득 인덱스(ACQ_INDEX)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 3b는 그 중 몇 개에 대한 예제이며, 자동 로밍이 되는 국가에 대한 테이블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Remark 필드는 설명을 위한 표시이며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값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테이블의 SID 필드 중 소정의 SID 필드(51) 값이 "13840"은 "중국 상해"(52)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 테이블에 저장되는 시스템 아이디는 국가 정보와 지역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3b에서와 같이 중국 베이징, 중국 상해, 중국 광주, 중국 칭타오, 중국 천진 등은 각각 "13824", "13840", "13828", "13945" 및 "13844"의 시스템 아이디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러한 시스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파라미터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는 자신의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전송하는데, 상기 시스템 아이디 및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는 해외 이동통신망(300)에 속한 기지국(310)에 설정되어, 해당 기지국(31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실제 해외 이동통신망(300)은 교환기(미 도시함), 기지국 제어기(미 도시함),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미 도시함) 등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미 도시한 구성요소들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는 주기적으로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는 예를 들어 IS-95 규격에서 설정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채널에는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동기채널(sync channel), 호출 채널(paging channel) 및 통화채널(traffic channel) 등이 있는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는 이 중 호출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부터 수신되는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국제 로밍 지원 상태로 설정이 변경된 후에,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시스템 아이디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와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PRL 등 국제 로밍 시 필요한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 당시에 메모리에 기저장할 수도 있음은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0), 입력부(20), 제어부(30), 표시부(40), 메모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선통신부(10)는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로부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하기의 제어부(30)에 의해 수행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수행과정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전송하고,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력부(20)는 키패드나 터치 패널 등을 이용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 수행 중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상기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수신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40)는 소정의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수신된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한다.
메모리(50)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부터 수신한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로부터 수신한 시스템 아이디를 저장한다.
무선통신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기지국(210, 310)과 통신채널을 생성하여 무선통신을 송수신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요소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국제 로밍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출국하기 전에 공항이나 국제 여객선 터미널 등에서 입력부(20)를 이용하여 국제 로밍 설정 명령을 내리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국제 로밍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상태를 변경한다. 여기서, 국제 로밍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정상태라 함은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의 이동통신망과 다른 종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거나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해외 이동통신망용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과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의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내 또는 국제 로밍 설정상태를 자동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S301).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부터 PRL 등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는 위에서 도 2 내지 도 3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S302).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부터의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 수신을 완료하면(S303),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데이터를 메모리(50)에 저장한다(S304). 이상의 과정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계 동작이며, 이하에서는 국제 로밍 상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에서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와의 연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국제 로밍 상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해외 이동통신망(300)에 구비되는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기지국(310)을 통해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여기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는 이동통신 시스템 즉,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모든 단말기들에게 발송되는 메시지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통신의 기반을 이루는 IS-95를 예를 들면, 이러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는 시스템 아이디(SID : System Identicication) 및 망 식별자(NID: Network Identificaion)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는 IS-95에서의 SID에 대응되거나, 또는 SID 및 NID 쌍에 대응될 수 있는데, 각 국가 및 지역 정보를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값을 갖는 정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S305).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로부터 예를 들어 호출 채널 등의 통신 채널을 통해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수신을 마친(S306)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아이디(SID)를 추출한다(S307).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아이디(SID)를 추출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추출한 시스템 아이디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300)과 국내 이동통신망(200)은 각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각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미 도시함) 사이의 터널링 설정 등의 과정을 거쳐 두 이동통신망에 포함하는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지국(310)을 통해 해외 이동통신망(300)의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320)에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널링 설정 과정이나 해외 이동통신망에서 국내 이동통신망의 인증 과금 서버로 단말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 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 시스템 아이디(SID)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추출한 시스템 아이디(SID) 값을 상위 레벨인 플랫폼과 응용 애플리케이션 레벨로 전달하고,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정 필드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SID) 값을 포함시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 전달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송하는 메시지 헤더의 예시도이다. 도 6a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웹(Web) 브라우저와 무선 응용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browser)를 구동하는 경우 HTTP 헤더(header)에 시스템 아이디(SID) 데이터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제어부(30)는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필드를 갖는 패킷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SID)를 포함시켜 상기 무선통신부(10)를 통해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X-Location-info" 필드에 "02190" 값이 저장되어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수행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인 경우에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제어부(30)는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Content-Type) 및 메시지 길이(Content-Length)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상기 무선통신부(10)를 통해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SID" 필드에 "14174" 값을 저장하여 전달하는 것을 나타낸다(S308).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국제 로밍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시스템 아이디(SID)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미 도시함)에서 검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S309).
국제 로밍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의 실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가 국제 로밍 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면,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지에서의 로밍 요금 정보(71)가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표시부(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의 로밍 요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가 국제 로밍 중에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수행하는 경우라면,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도 7b에서와 같이 웹 브라우저 화면상에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정보(72)가 표시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제 로밍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도 8의 (a)에서와 같이 메시지 메뉴 중 메시지 작성 메뉴를 선택한 후, 도 8의 (b)에서와 같이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 키를 누르면,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도 8의 (c)와 같이 현재 위치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련 요금에 대한 안내 메시지(81)가 표시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버(Multimedia Message Server)가 될 수 있다.
한편, 국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국제 로밍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할 때,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현재 수신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126)와 함께 발신자의 위치 정보(125)를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표시 화면(124)을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20)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도 9의 (b)와 같이 수신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내용을 표시한다.
한편,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220)가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Instant Messenger Server)인 경우, 국제 로밍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와 국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20) 사용자 사이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구현하는 실시예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난다. 도 10a에서와 같이, 국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인스턴트 메신저 메인 화면에는 그룹 멤버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132a, 132b)와 그룹 멤버의 현재 위치 정보(131)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b는 국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20) 사용자 (도면의 "나")와 현재 일본 동경에서 국제 로밍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 (도면의 "홍길동") 사이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 화면의 예시도이다.
10: 무선통신부 20: 입력부
30: 제어부 40: 표시부
50: 메모리 110, 120: 이동통신 단말기
200: 국내 이동통신망 210, 310: 기지국
220: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 300: 해외 이동통신망
320: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

Claims (16)

  1.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
    국제 로밍 지원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국제 로밍 설정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OTA(Over-the-air)를 통해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수행과정에서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필드를 갖는 패킷 헤더부,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 및 메시지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헤더부 중 어느 하나의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는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IM)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는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 멤버들의 위치 정보를 그룹 멤버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와, 국제 로밍 지원 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가 자신의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수신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국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과정에서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메시지의 소정 필드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국제 로밍 지원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OTA(Over-the-air)를 통해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응용 애플리케이션 수행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부;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하기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수행과정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국제 로밍 기초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웹(Web) 브라우저와 무선 응용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필드를 갖는 패킷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되도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이고,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 및 메시지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는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IM)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에 의해 확인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 멤버들의 위치 정보를 그룹 멤버들이 공유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a) 국제 로밍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해외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
    (c)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면서 상기 시스템 아이디가 포함된 메시지를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웹(Web) 브라우저와 무선 응용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것인 경우,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필드를 갖는 패킷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인 경우,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 및 메시지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헤더부에 상기 시스템 아이디를 포함시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가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턴트 메신저인 경우, 상기 국내 이동통신망 서버에서 확인한 그룹 멤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화면상에 그룹 멤버의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00019819A 2010-03-05 2010-03-0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19A KR101666687B1 (ko) 2010-03-05 2010-03-0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19A KR101666687B1 (ko) 2010-03-05 2010-03-0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04A true KR20110100804A (ko) 2011-09-15
KR101666687B1 KR101666687B1 (ko) 2016-10-17

Family

ID=4495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19A KR101666687B1 (ko) 2010-03-05 2010-03-0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985A1 (en) * 2013-05-21 2014-11-27 Syniverse Technologies, Llc A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mobile intelligence
US9319535B2 (en) 2013-06-25 2016-04-19 Synivers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llect, analyze, and utilize network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62A (ko) * 2006-02-09 2007-08-14 김희성 국제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93432B1 (ko) * 2006-09-29 2008-01-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 기반 서비스 로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54829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해외 로밍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및 시스템
KR20090101619A (ko) * 2008-03-24 2009-09-29 (주) 엘지텔레콤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62A (ko) * 2006-02-09 2007-08-14 김희성 국제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93432B1 (ko) * 2006-09-29 2008-01-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 기반 서비스 로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54829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해외 로밍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및 시스템
KR20090101619A (ko) * 2008-03-24 2009-09-29 (주) 엘지텔레콤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985A1 (en) * 2013-05-21 2014-11-27 Syniverse Technologies, Llc A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mobile intelligence
US10743177B2 (en) 2013-05-21 2020-08-11 Synivers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mobile intelligence
US9319535B2 (en) 2013-06-25 2016-04-19 Synivers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llect, analyze, and utilize network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687B1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1815B (zh) 呼叫转移的方法及其系统
KR101643681B1 (ko) 가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 정책 준비
US201201369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a computing device of a communication addressed to a user based on an activity or presence of the user
EP1890398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network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EP3627864A1 (en) Method for sending message, method for reading and notifying message, method for receiving message, and apparatus
US8359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arching for base station using paging procedur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4486174B (zh) 一种智能终端的组网方法及装置
CN103096279B (zh) 实现一号通业务的呼叫方法、装置、系统、及平台设备
KR101648646B1 (ko)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기지국, 이동 단말,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동작 제어 방법
KR101287556B1 (ko)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CN105681158A (zh) 一种提高ip短消息投递准确性的方法、设备和系统
TW201325279A (zh) 於網路裝置內切換數據網路的方法、網路裝置以及網路系統
EP2154818A1 (en) Accounting processing method, network system, accounting system and business server
KR101666687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015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9194586A (ja) 通信システム
KR1011467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6920B1 (ko) 할인 요금 서비스존 설정 시스템 등록 및 탈퇴 방법
CN110831073B (zh) 业务标识上报和接收方法与系统、用户终端、网络设备
KR101205815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제어 방법
KR20120054364A (ko) 목적지 도착 알림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6655B1 (ko) 메신저 가입자의 착신 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3379512A (zh) Wlan网络用户策略分发装置及方法
CN105007589A (zh) 一种配置参数的方法、机卡一体终端设备和服务器
KR20050014110A (ko) Mm3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유니크를 보장하는mms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