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201A -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 - Google Patents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201A
KR20110100201A KR1020117012753A KR20117012753A KR20110100201A KR 20110100201 A KR20110100201 A KR 20110100201A KR 1020117012753 A KR1020117012753 A KR 1020117012753A KR 20117012753 A KR20117012753 A KR 20117012753A KR 20110100201 A KR20110100201 A KR 20110100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bearing
ball
pocke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보어
울리 그로쓰콥프
디이터 야우어닉
허버트 로스트
우베 분덜리히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1010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4Rollers; Needles
    • F16C33/36Rollers; Needles with bearing-surfaces other than cylindrical, e.g. tapere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1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4641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 F16C33/4652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made from plastic, e.g. two injection moulded parts joined by a snap f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내부 그루브 궤도(3)를 갖는 외부 베어링 링(2)과, 외부 그루브 궤도(5)를 갖는 내부 베어링 링(4)과, 상기 베어링 링들(2, 4) 사이의 그루브 궤도들(3, 5) 내에서 구르는 복수의 볼 롤러(6)로 구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1)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볼 롤러들은 볼의 기본 형태로부터 대칭으로 평활화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각각 2개의 측면들(7, 8)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9)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9)는,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실질적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10, 11)로 구성되며, 이러한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은 자신의 분할면(12, 13)에 대향 배치된 상보적 연결 부재(14, 15)를 통해 형태 결합식, 강제 결합식, 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조립 가능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볼 롤러(6)를 위해 볼 롤러를 완전히 둘러싸는 별도의 케이지 포켓(16)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지 포켓 내에서 볼 롤러의 측면들(7, 8)과 상기 측면들에 대향 배치된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 사이의 마찰이 적은 선접촉을 통해 볼 롤러들(6)은 베어링 압력 각도로의 자체 정렬을 위해 규정된 양측면의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19, 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RADIAL ROLLER BEARING, IN PARTICULAR SINGLE TRACK BALL ROLLER BEARING}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를 구성하는 특징에 따른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용 변속기에서 또는 내연 기관의 보조 구동 장치 내에서와 같이 낮은 소음 수준에 대한 까다로운 요건 및 높은 회전수를 충족시키기 위한 단열(single track) 볼 롤러 베어링에서 구현 가능하다.
롤러 베어링 기술 분야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은 단열 및 복열 홈 볼 베어링이라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이러한 홈 볼 베어링이 무엇보다도 균일한 크기의 반경 방향 및 축방향 지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은 마찰로 인해 모든 반경 방향 베어링들 중 가장 높은 회전수 한계를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홈 볼 베어링은 실질적으로 외부 베어링 링과, 내부 베어링 링과, 이러한 베어링 링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볼, 즉 롤링체로서의 볼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볼들은 외부 베어링 링의 내측 및 내부 베어링 링의 외측의 각각 그루브 형태를 갖는 궤도 내에서 구르며, 베어링 케이지에 의해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반경 방향 볼 베어링은 DE 168 499호에 공지된 편심판 조립 방법을 통해 볼로 채워지며, 이러한 조립 방법에서 2개의 베어링 링들은 서로에 대해 편심 배치되고, 이에 의해 생성되는 베어링 링들 사이의 자유 공간은 볼들로 채워진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형태의 홈 볼 베어링은 최대 장착 가능한 볼의 수가 적으므로 또는 약 60%의 낮은 최대 충전도를 가지므로 베어링의 지지 강도에 있어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예를 들어 궤도 내에 충전 개구가 배치됨으로써, 볼의 개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홈 볼 베어링의 지지 강도가 상승하는 복수의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또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에서 롤링체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다른 가능한 방법이 DE 43 34 195 A1호를 통해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 홈 볼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에서 롤링체는 볼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소위 볼 롤러들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볼 롤러들은 볼의 기본 형태로부터 대칭으로 평활화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측면들을 갖는 볼들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이러한 측면들 사이에서 볼 롤러들의 폭은 외부 베어링 링의 내측과 내부 베어링 링의 외측 사이의 간격보다 좁으므로, 이러한 베어링이 채워질 때 볼 롤러들은 베어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내부 링과 외부 링 사이의 간격을 통해 베어링 내로 삽입된 후, 90°만큼 베어링 링의 궤도 내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방법을 통해 개별 롤링체들 사이의 더 좁은 간격이 달성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내에 더 많은 개수의 롤링체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형태의 볼 롤러 베어링에서는 볼 롤러들의 정확한 축방향 안내가 요구되고 무엇보다 베어링 작동 시에 볼 롤러가 작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자동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마지막으로 언급된 공보에서는 상응하는 베어링 케이지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들도 제시된다. 이 경우, 특히 적은 소음에 대한 까다로운 요건을 갖는 적용예를 위해 적합한 케이지 설계는 한쪽으로 개방된 플라스틱 스냅 케이지이며, 이러한 케이지는 한쪽으로 측면 링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켓 웨브들을 갖고 주연부를 둘러싸는 벽부 전체의 측면 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포켓 웨브들은 볼 롤러의 중점을 통해 결정된 평면의 높이에서 탄성 만곡 가능한 각각 2개의 포켓 단편으로 이어진다. 이 경우, 이러한 포켓 단편들은 간극을 통해 서로 이격되고, 각각 한 쌍이 되어, 볼 롤러의 베어링 면을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복수의 케이지 포켓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형태로 형성된 스냅 케이지에서는 베어링 부하가 상이할 때 발생하는 볼 롤러의 전체 동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음이 단점으로 입증되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내의 롤링체로서 볼 롤러들은 회전 수가 더 높으면서 부하가 균일할 때 원심 효과가 발생함으로써 운동의 제한 없이 안정적으로 자신의 궤도 내에서 구르고, 베어링 케이지를 통한 축방향 안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베어링 회전수가 최소 허용 회전수 아래로 떨어지거나, 베어링이 저킹(jerking)의 형태로 크게 가속되는 경우, 특히 베어링에서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구역 내에는 소위 흔들림 효과가 발생하며, 이러한 흔들림 효과에서 볼 롤러는 볼 롤러의 궤도에서 작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물결식으로 구르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우선 볼 롤러의 베어링 면이 스냅 케이지의 측면 링과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접촉을 통해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접촉은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내 작동 온도가 상승하는 단점의 원인이다. 이 경우, 볼 롤러와 베어링 케이지 사이의 마찰 및 볼 롤러의 흔들림 운동은 볼 롤러가 탄성 만곡 가능한 포켓 단편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한쪽으로 개방된 케이지 포켓으로부터 심지어 스냅되어 나오거나 자신의 궤도에 횡방향을 이루므로, 베어링 케이지의 파손과 베어링의 조기 고장이 발생할 정도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베어링 케이지 내부의 볼 롤러는 베어링에 반경 방향 부하 및 축방향 부하가 혼합되어 나타날 때 각각의 압력 각도로 정렬될 수 없는데, 이는 볼 롤러가 스냅 케이지의 측면 링과 접촉하게 되고, 이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얻어짐으로써만 가능하다.
공지된 선행 기술의 상술한 단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회전수가 낮을 때나 베어링 가속도가 높을 때도 볼 롤러의 충분한 축방향 안내가 언제나 보장되고 볼 롤러가 자신의 궤도 내에서 횡방향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베어링의 반경 방향 부하 및 축방향 부하가 혼합되어 나타날 때 볼 롤러가 베어링 케이지에 접촉하지 않고 자동으로 각각의 베어링 압력 각도로 정렬 가능하도록 하는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에 의해 형성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에서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가,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실질적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은 자신의 분할면에 대향 배치된 상보적 연결 부재를 통해 형태 결합식, 강제 결합식, 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조립 가능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볼 롤러를 위해 볼 롤러를 완전히 둘러싸는 별도의 케이지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지 포켓 내에서 볼 롤러의 측면들과 상기 측면들에 대향 배치된 케이지 포켓의 종방향 웨브 사이의 마찰이 적은 선접촉을 통해 볼 롤러들이 각각의 베어링 압력 각도로의 자체 정렬을 위해 규정된 양측면의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는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이어서, 청구범위 제2항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에서 케이지 포켓의 윤곽은 실질적으로 볼 롤러의 단면 윤곽에 상응하지만, 케이지 포켓의 종방향 웨브들 사이의 간격은 볼 롤러의 측면들 사이의 볼 롤러 폭의 크기보다 넓다. 이 경우, 케이지 포켓들 사이의 횡방향 웨브는 볼 롤러의 직경 또는 볼 롤러 베어링 면의 반경에 상응하게 만곡 형성되고, 라운딩된 전환 영역을 통해 케이지 포켓의 종방향 웨브와 연결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은 볼 롤러의 측면과 케이지 포켓의 종방향 웨브 사이의 선접촉이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종방향 웨브의 내측에 성형 가공된 융기형 웨브를 통해 형성 가능한 것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융기형 웨브는 볼 롤러의 측면의 전체 직경에 걸쳐 연장되며 쐐기 형태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이러한 쐐기 형태 융기형 웨브의 높이는, 대향 배치된 케이지 포켓의 종방향 웨브에 대한 볼 롤러의 측면의 간격에 각각 대략 상응하지만, 볼 롤러와 베어링 케이지 사이의 지속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볼 롤러의 측면과 융기형 웨브 사이에는 작은 공극이 유지된다. 또한 융기형 웨브의 융기 피크선은 가능한 긴 안내부 길이를 위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볼 롤러의 피치원 상에 배치되고, 조기 마모를 예방하기 위해 라운딩되어 형성된다.
청구범위 제5항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의 추가의 특징은 볼 롤러의 종방향 중심축의 양측면에서 케이지 포켓 내부의 각각의 베어링 압력 각도로 볼 롤러를 자체 정렬하기 위한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이 35°까지의 각도 범위에 상응한다는 것이다. 케이지 포켓의 종방향 웨브가 볼 롤러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볼 롤러는 융기형 웨브의 표면을 통해 케이지 포켓의 종방향 웨브에서 경계가 형성되는 총 약 70°의 선회 영역 내에서, 베어링 케이지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축방향 틸팅 운동을 실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청구범위 제6항을 따라서는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의 분할면에 대향 배치된 상보적 연결 부재가 한쪽 케이지 절반부에서 바람직하게 핀으로서 형성되며, 이러한 핀은 다른쪽 케이지 절반부의 상응하는 보어 내로 압입 가능하며, 초음파 용접을 통해 이러한 보어와 연결 가능한 것도 제시된다. 그러나, 이의 대안으로서 2개의 케이지 절반부들이 자신들의 분할면의 적합한 래칭 요소를 통해 또는 접착을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언급된 연결 형태들이 서로 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롤러 베어링과 비교하여, 2개의 거울상 대칭형 부품들로 구성 가능하고 해체 불가능한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를 포함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를 통해서는 볼 롤러를 완전히 둘러싸는 케이지 포켓 내에 볼 롤러를 배치하는 것과, 베어링 회전수가 낮을 때나 베어링 가속도가 높을 때 발생하는 볼 롤러의 흔들림 운동이 볼 롤러의 케이지 포켓 내에서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볼 롤러와 베어링 케이지 사이의 마찰이 적은 선접촉을 통해 그리고 케이지 포켓 내부의 규정된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을 통해서는 베어링 케이지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볼 롤러 베어링의 각각의 압력 각도로 볼 롤러들을 자체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볼 롤러 베어링 전체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볼 롤러 베어링에서, 조립되어 볼 롤러로 채워진 상태의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세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볼 롤러 베어링에서,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의 케이지 절반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볼 롤러 베어링에서, 도 3에 따른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의 케이지 절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의 케이지 절반부의 측면도에서 세부(X)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단열 볼 롤러 베어링(1)으로서 형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은 실질적으로 내부 그루브 궤도(3)를 갖는 외부 베어링 링(2)과, 외부 그루브 궤도(5)를 갖는 내부 베어링 링(4)과, 상기 베어링 링들(2, 4) 사이의 그루브 궤도들(3, 5) 내에서 구르는 복수의 볼 롤러(6)로 구성되며, 이러한 볼 롤러들은 볼의 기본 형태로부터 대칭으로 평활화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각각 2개의 측면들(7, 8)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1에는 볼 롤러들(6)이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9)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는,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실질적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10, 11)로 구성되며, 이러한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은 자신의 분할면(12, 13)에 대향 배치된 상보적 연결 부재(14, 15)를 통해 형태 결합식, 강제 결합식, 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조립 가능하다.
또한, 도 2에는 2개의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10, 11)이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볼 롤러(6)를 위해 볼 롤러를 완전히 둘러싸는 별도의 케이지 포켓(16)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케이지 포켓 내에서 볼 롤러의 측면들(7, 8)과 상기 측면들에 대향 배치된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 사이의 마찰이 적은 선접촉을 통해 볼 롤러들(6)은 베어링 압력 각도로의 자체 정렬을 위한 규정된 양측면의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19, 2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케이지 포켓(16)의 윤곽은 실질적으로 볼 롤러(6)의 단면 윤곽에 상응하지만,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들(17, 18) 사이의 간격은 볼 롤러(6)의 측면들(7, 8) 사이의 볼 롤러 폭의 크기보다 넓다는 것이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케이지 포켓들(16) 사이의, 볼 롤러(6)의 직경에 상응하게 만곡 형성된 횡방향 웨브(21)는 도 4 및 도 5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라운딩된 전환 영역(22, 23)을 통해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와 연결된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5에는 볼 롤러(6)의 측면(7, 8)과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 사이의 선접촉이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종방향 웨브(17, 18)의 내측에 성형 가공된 융기형 웨브(24, 25)를 통해 형성 가능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융기형 웨브는 볼 롤러(6)의 측면(7, 8)의 전체 직경에 걸쳐 연장되며 쐐기 형태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도 5에는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 내측에서의 융기형 웨브(24, 25)의 쐐기부 높이는, 대향 배치된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에 대한 볼 롤러(6)의 측면(7, 8)의 간격에 각각 대략 상응하는 것이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반면, 도 3에는 융기형 웨브(24, 25)의 융기 피크선(26, 27)이 볼 롤러(6)의 피치원(28) 상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5에는 볼 롤러(6)의 종방향 중심축의 양측면에서 케이지 포켓(16) 내부의 각각의 베어링 압력 각도로 볼 롤러(6)를 자체 정렬하기 위한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19, 20)은 약 35°의 각도 범위에 상응하므로, 볼 롤러는 융기형 웨브(24, 25)의 표면을 통해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에서 경계가 형성되는 총 약 70°의 선회 영역 내에서,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8)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축방향 틸팅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것도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10, 11)의 분할면(12, 13)에 대향 배치된, 2개의 케이지 절반부들(10, 11)을 위한 상보적 연결 부재(14, 15)는 한쪽 케이지 절반부(11)에서 핀(29)으로서 형성되며, 이러한 핀은 다른쪽 케이지 절반부(10)의 상응하는 보어(30) 내로 압입 가능하며, 초음파 용접을 통해 이러한 보어와 연결 가능하다.
1 : 볼 롤러 베어링
2 : 외부 베어링 링
3 : 2 내부의 그루브 궤도
4 : 내부 베어링 링
5 : 4 내부의 그루브 궤도
6 : 볼 롤러
7 : 6의 측면
8 : 6의 측면
9 :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
10 : 9의 포켓 케이지 절반부
11 : 9의 포켓 케이지 절반부
12 : 10의 분할면
13 : 11의 분할면
14 : 12의 연결 부재
15 : 13의 연결 부재
16 : 9 내부의 케이지 포켓
17 : 16의 종방향 웨브
18 : 16의 종방향 웨브
19 : 16 내부의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
20 : 16 내부의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
21 : 16의 횡방향 웨브
22 : 17로의 전환 영역
23 : 18로의 전환 영역
24 : 17의 융기형 웨브
25 : 18의 융기형 웨브
26 : 24의 융기 피크선
27 : 25의 융기 피크선
28 : 6의 피치원
29 : 12의 핀
30 : 13 내부의 보어

Claims (6)

  1. 실질적으로 내부 그루브 궤도(3)를 갖는 외부 베어링 링(2)과, 외부 그루브 궤도(5)를 갖는 내부 베어링 링(4)과, 상기 베어링 링들(2, 4) 사이의 그루브 궤도들(3, 5) 내에서 구르는 복수의 볼 롤러(6)로 구성된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1)이며, 상기 볼 롤러들은 볼의 기본 형태로부터 대칭으로 평활화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각각 2개의 측면들(7, 8)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9)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에 있어서,
    플라스틱 베어링 케이지(9)는,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실질적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10, 11)로 구성되며, 이러한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은 자신의 분할면(12, 13)에 대향 배치된 상보적 연결 부재(14, 15)를 통해 형태 결합식, 강제 결합식, 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조립 가능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볼 롤러(6)를 위해 볼 롤러를 완전히 둘러싸는 별도의 케이지 포켓(16)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지 포켓 내에서 볼 롤러의 측면들(7, 8)과 상기 측면들에 대향 배치된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 사이의 마찰이 적은 선접촉을 통해 볼 롤러들(6)은 베어링 압력 각도로의 자체 정렬을 위해 규정된 양측면의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19, 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지 포켓(16)의 윤곽은 실질적으로 볼 롤러(6)의 단면 윤곽에 상응하지만,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들(17, 18) 사이의 간격은 볼 롤러(6)의 측면들(7, 8) 사이의 볼 롤러 폭의 크기보다 넓고, 케이지 포켓들(16) 사이의, 볼 롤러(6)의 직경에 상응하게 만곡 형성된 횡방향 웨브(21)는 라운딩된 전환 영역(22, 23)을 통해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볼 롤러(6)의 측면(7, 8)과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 사이의 선접촉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웨브(17, 18)의 내측에 성형 가공된, 볼 롤러(6)의 측면(7, 8)의 전체 직경에 걸쳐 연장되며 쐐기 형태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융기형 웨브(24, 25)를 통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 내측에서의 융기형 웨브(24, 25)의 쐐기부 높이는, 대향 배치된 케이지 포켓(16)의 종방향 웨브(17, 18)에 대한 볼 롤러(6)의 측면(7, 8)의 간격에 각각 대략 상응하고, 융기형 웨브(24, 25)의 융기 피크선(26, 27)은 볼 롤러(6)의 피치원(28)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5. 제4항에 있어서, 볼 롤러(6)의 종방향 중심축의 양측면에서 케이지 포켓(16) 내부의 각각의 베어링 압력 각도로 볼 롤러(6)를 자체 정렬하기 위한 축방향 틸팅 자유 공간(19, 20)은 융기형 웨브(24, 25)의 표면을 통해 종방향 웨브(17, 18)에서 경계가 형성되는 35°까지의 각도 범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6. 제1항에 있어서, 포켓 케이지 절반부들(10, 11)의 분할면(12, 13)에 대향 배치된 상보적 연결 부재(14, 15)는 한쪽 케이지 절반부(10 또는 11)에서 바람직하게는 핀(29)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핀은 다른쪽 케이지 절반부(11 또는 10)의 상응하는 보어(30) 내로 압입 가능하며, 초음파 용접을 통해 상기 보어와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KR1020117012753A 2008-12-06 2009-11-27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 KR20110100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0957A DE102008060957A1 (de) 2008-12-06 2008-12-06 Radialwälzlager, insbesondere einreihiges Kugelrollenlager
DE102008060957.9 2008-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201A true KR20110100201A (ko) 2011-09-09

Family

ID=4168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753A KR20110100201A (ko) 2008-12-06 2009-11-27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56519B2 (ko)
EP (1) EP2373897A1 (ko)
KR (1) KR20110100201A (ko)
CN (1) CN102239340A (ko)
BR (1) BRPI0922293A2 (ko)
DE (1) DE102008060957A1 (ko)
WO (1) WO20100636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36B1 (ko) * 2013-01-30 2014-10-01 안정선 작업롤 초크의 롤 베어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8071B (zh) * 2011-05-13 2017-12-01 Ntn株式会社 球轴承用保持器及球轴承
DE102012218409A1 (de) * 2012-10-10 2014-04-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ugelrollenlager
JP6197413B2 (ja) * 2013-07-03 2017-09-2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保持器および保持器の製造方法
DE102013218620A1 (de) 2013-09-17 2015-03-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Wälzlagerung
DE102014202791A1 (de) 2014-02-17 2015-08-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nglebiger Wälzkörperkäfig für Kugelrollenlager
US9353792B2 (en) 2014-02-19 2016-05-31 Google Inc. Biased compound radial plain bearing for increased life in oscillating pivot motion
CN105020263A (zh) * 2014-04-28 2015-11-04 宁波市鄞州金鑫轴承五金有限公司 一种轴承
JP6488726B2 (ja) * 2015-01-28 2019-03-2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及び、樹脂製保持器の製造方法
TWI576522B (zh) * 2015-12-30 2017-04-01 Hiwin Tech Corp Bearing with holder
PL233795B1 (pl) * 2017-11-16 2019-11-29 Zbigniew Kusznierewicz Lozysko toczne
DE102018108523A1 (de) * 2018-04-10 2019-10-10 Gebr. Reinfurt Gmbh & Co. Kg Kugellager-Käfig und Kugellager
IT201800009709A1 (it) * 2018-10-24 2020-04-24 Skf Ab Unita’ cuscinetto con gabbia di ritenzione
CN109899397B (zh) * 2019-04-04 2024-03-22 山东金帝精密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深沟球轴承的保持架及深沟球轴承
DE102019206594B4 (de) * 2019-05-08 2023-11-02 Aktiebolaget Skf Lagerkäfig für ein Wälzlager
CN112922963A (zh) * 2021-03-12 2021-06-08 苏州普瑞川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式轴承保持架及圆柱滚子轴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8499C (de) 1903-02-24 1906-03-05 Deutsche Waffen-Und Munitionsfabriken Kugellager
FR523164A (fr) 1919-08-30 1921-08-13 Nordiska Kullager Ab Perfectionnements aux coussinets à rouleaux
US1438654A (en) 1921-06-14 1922-12-12 Leon Karl Oskar Roller bearing or the cage thereof
US2861849A (en) * 1956-04-04 1958-11-25 Gen Motors Corp Separator for antifriction bearings
US3020106A (en) * 1959-07-16 1962-02-06 Barden Corp Bearings having balls with restrained spin axes
US3944307A (en) * 1974-08-29 1976-03-16 Federal-Mogul Corporation Plastic bearing cage
US4741632A (en) * 1986-04-01 1988-05-03 Honeywell Inc. Constant torque ball bearing
US4902145A (en) * 1989-06-12 1990-02-20 Emerson Electric Co. Ball separator for bearing assembly
DE4334195A1 (de) 1993-10-07 1994-03-24 Geuer Mann Ernst Radial-Wälzlager mit Kugelscheiben
US6752696B2 (en) * 2001-03-12 2004-06-22 Nsk Ltd. Rolling elements for rolling bearing,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rolling bearing
DE102005059032A1 (de) 2005-12-10 2007-06-14 Schaeffler Kg Radialwälzlager, insbesondere einreihiges Rillenwälzlager
DE102006019230A1 (de) * 2006-04-26 2007-10-31 Schaeffler Kg Radialwälzlager, insbesondere einreihiges Kugelrollenlager
DE102007002328A1 (de) 2007-01-16 2008-07-17 Ab Skf Wälzlagerkäfig
CN101025191A (zh) 2007-04-06 2007-08-29 王德惠 一种具有单列球面滚动体的球面滚动轴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36B1 (ko) * 2013-01-30 2014-10-01 안정선 작업롤 초크의 롤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39340A (zh) 2011-11-09
US20110229068A1 (en) 2011-09-22
EP2373897A1 (de) 2011-10-12
BRPI0922293A2 (pt) 2016-01-05
WO2010063651A1 (de) 2010-06-10
DE102008060957A1 (de) 2010-06-10
US8556519B2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0201A (ko) 반경 방향 롤러 베어링, 특히 단열 볼 롤러 베어링
KR101433387B1 (ko) 레이디얼 구름 베어링, 특히 단열 깊은 홈 구름 베어링
KR101379608B1 (ko) 레이디얼 구름 베어링
US8622622B2 (en) Antifriction bearing
KR101340265B1 (ko) 레이디얼 구름 베어링, 특히 단열 구형 롤러 베어링
JP2007502953A (ja) 自動調心転がり軸受及び自動調心転がり軸受用保持器
US3365253A (en) Self-aligning antifriction-bearing equipped roller
KR20140063749A (ko) 윈드 터빈에서 사용되는 롤링 베어링용 스페이서
RU2755749C1 (ru) Роликовый подшипник
JP5172823B2 (ja) ラジアルころ軸受、特に単列球面ころ軸受及びその組立方法
WO2003060340A1 (fr) Palier a roulement
US7828484B2 (en) Radial antifriction bearing, particularly a single-row grooved antifriction bearing or angular contact antifriction bearing
US20110311174A1 (en) Ball roller bearing, in particular for absorbing combined radial and axial loads
CN100427764C (zh) 分离器和使用该分离器的线性导引件以及线性运动装置
US3582164A (en) Powdered metal bearing cage
US20210102576A1 (en) Self-aligning roller bearing
EP3409962A1 (en) Roller bearing
KR102588395B1 (ko) 복렬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
US2740675A (en) Roller bearing with free guide ring
JP4142771B2 (ja) 直線動用玉軸受
JPH0324322A (ja) ベアリングの回動性リテイニ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CN100419286C (zh) 线性运动装置和线性导引件
US20230407910A1 (en) Axial bearing assembly with cage to accommodate radial misalignment condition
US10578161B2 (en) Spacer for rolling bearing, notably used in a wind turbine
US20020035004A1 (en) Toroidal-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