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793A -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793A
KR20110098793A KR1020117015708A KR20117015708A KR20110098793A KR 20110098793 A KR20110098793 A KR 20110098793A KR 1020117015708 A KR1020117015708 A KR 1020117015708A KR 20117015708 A KR20117015708 A KR 20117015708A KR 20110098793 A KR20110098793 A KR 20110098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entering
pair
optical elements
stop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809B1 (ko
Inventor
파스칼 로젤
Original Assignee
질송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질송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질송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9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0Clamping means,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74Details of actuating means for conveyors or pipettes
    • G01N2035/0491Position sensing, encoding; closed-loop control
    • G01N2035/0494Detecting or compensating piositioning e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원의 피펫팅 보조 장치는 제1면을 가진 지지부와, 상기 제1면의 평면에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하게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복수의 광소자와, 제1중심잡기 구조물, 및 제2중심잡기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1중심잡기 구조물과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된다. 제1중심잡기 구조물은 제1쌍과 제2쌍의 정지 벽을 포함하며, 1쌍의 정지 벽은 코너를 형성한다.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제3쌍과 제4쌍의 정지 벽을 포함한다. 제1쌍과 제3쌍의 정지 벽은 제1타입 판의 제1배치 지대의 코너를 형성한다. 제2쌍과 제4쌍의 정지 벽은 제2타입 판의 제2배치 지대의 코너를 형성한다. 제1중심잡기 구조물과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제1배치 지대와 제2배치 지대 양쪽 외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장치{A DEVICE FOR CENTERING A MICROTITER PLATE}
본원은 2008년 12월 10일자 제출된 프랑스 특허출원 0858440호를 파리조약에 따른 우선권으로 하며, 그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되었다.
본원은 판(plate)에 있는 웰(well) 또는 시험관으로부터 액체가 분배 또는 유출될 때 온/오프 절환될 수 있는 광소자 어레이(an array of light elements)가 설치된 마이크로타이터 판 지지부(microtiter plate support) 또는 시험관 지지 판(test tube support plate)을 포함하는 형식의 피펫팅 보조 장치(pipetting aid devices)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타이터 판 지지부 또는 시험관 지지 판을 가진 피펫팅 보조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소자 어레이와, 예를 들어 제어 키 및/또는 버튼으로 형성된 광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장치는 일반적으로 웰 어레이(an array of wells)를 포함하는 표준 치수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보유하게 설계되며, 웰 어레이의 수(number)는 일반적으로 가로열(row) 당 6개 웰과 세로열(column) 당 4개 웰의 배수이다. 따라서, 예를 든 실시예에서는 24 x 16(384)개 웰을 가진 판과 12 x 8(96)개 웰을 가진 판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된 마이크로타이터 판에서의 웰의 레이아웃은 판에 있는 웰의 수의 함수로 변한다. 상기 판의 엣지에 대한 웰 어레이에는 각 판에 있는 웰의 수에 따라 한 판으로부터 다른 한 판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또한, 웰 단면의 직경도 한 타입의 판으로부터 다른 타입의 판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수의 웰을 가진 판은 큰 수의 웰을 가진 판에 있는 웰 보다 큰 횡단면을 가진 웰을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한 작업을 이루기 위해서, 기술된 타입의 피펫팅 보조 장치는 그것을 지지하는 마이크로타이터 판에서 각 웰을 향하는 광소자 또는 광소자 배열(arrangement)을 갖는다. 따라서, 마이크로타이터 판은 이들이 공지된 피펫팅 보조 장치에 설치되었을 때 조립체 어댑터(assembly adaptors)와 연관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각 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은 판에 있는 웰 배열에 의해 특징을 이루며, 다음을 포함하는 어댑터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피펫팅 보조 장치 지지부에 지지된 중심잡기 수단(centering means)과 협동하게 설계된 수단이 제공된 하부 면(lower face);
-피펫팅 보조 장치의 광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갖고, 어댑터와 연관된 타입의 판에 웰을 정렬시킬 수 있게 배치된 판을 중심잡기하는 수단을 가진 상부 면(upper face); 및
-어댑터의 상부 면에 하부 면을 연결하며 피펫팅 보조 장치의 광소자에 의해 방출된 광이 마이크로타이터 판의 웰에 도달하게 하는 오리피스 어레이(a array of orifices).
그런데, 상기 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에서 각각의 변경을 수용하여야 하는 어댑터의 변경이 사용자에게는 지루한 일이다. 더욱이, 주어진 세트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에서 각 판과 연관된 어댑터 세트는 상당한 추가 비용이 들게 하며 실용성이 매우 떨어지게 한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피펫팅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제1면을 가진 지지부와, 상기 제1면의 평면에 2차원적 어레이를 형성하게 지지부에 장착된 복수의 광소자와, 제1중심잡기 구조물, 및 제2중심잡기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1중심잡기 구조물은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제1쌍과 제2쌍의 정지 벽(stop wall)을 포함하며, 1쌍의 정지 벽은 코너를 형성한다.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제3쌍과 제4쌍의 정지 벽을 포함한다. 제1쌍의 정지 벽과 제3쌍의 정지 벽은 제1타입 판의 제1배치 지대(positioning zone)의 코너를 형성한다. 제2쌍의 정지 벽과 제4쌍의 정지 벽은 제2타입 판의 제2배치 지대의 코너를 형성한다. 제1중심잡기 구조물과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제1배치 지대와 제2배치 지대 양쪽 외측에 배치된다.
도1은 피펫팅 보조 장치, 어댑터, 및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포함하는 공지된 키트를 개략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서로 다른 타입의 제1 및 제2마이크로타이터 판의 오리피스의 오프셋 어레이를 예시한 마이크로타이터 판의 평면도이다.
도3은 제1예의 실시예에 따라 도2의 제1마이크로타이터 판과 협동하는 것을 나타낸 피펫팅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4는 제1예의 실시예에 따라 도3에 도시된 피펫팅 보조 장치 상에 도2의 제2마이크로타이터 판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5는 제1예의 실시예에 따라 도2의 제2마이크로타이터 판과 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3의 피펫팅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6은 제1예의 실시예에 따라 도3에 도시한 피펫팅 보조 장치 상에 제3마이크로타이터 판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7은 제1예의 실시예에 따라 도3에 도시한 피펫팅 보조 장치 상에 제4마이크로타이터 판에 사용하기 위한 도3의 피펫팅 보조 장치의 작동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8은 제1예의 실시예에 따라 제4마이크로타이터 판과 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3의 피펫팅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9는 제2예의 실시예에 따른 피펫팅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0은 제3예의 실시예에 따른 피펫팅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수동식 피펫팅 작업이 편리하게 설계된 피펫팅 보조 장치(10)와, 어댑터(12), 및 마이크로타이터 판(14)을 포함하는 키트가 일 예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었다. 상기 피펫팅 보조 장치(10)는 광소자(18) 어레이를 가진 지지부(16)와, 제어 키(20)를 가진 광소자(18)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 및 어댑터 중심잡기 핀(22)을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는 세로 24열과 가로 16열의 2차원(2D) 어레이에 분포된 384개 광소자(18)가 도시되어 있다.
어댑터(12)는 장치(10)의 핀(22)과 협동하게 설계된 조립체 오리피스(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 둘레를 가진 하부 면과, 마이크로타이터 판(14)을 보유하도록 설계된 상부 면(26)을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12)는 그 상부 면(26)에 그 하부 면(24)을 연결하는 오리피스(28) 어레이도 포함하며, 상기 어레이는 예를 들어 장치(10)의 광소자(18)의 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된 384개 오리피스를 갖는다.
마이크로타이터 판(14)은 피펫팅 작업을 하는 동안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형상의 웰(30) 어레이와, 어댑터(12)에 판(14)의 중심잡기가 가능한 형상으로 표준 치수를 가진 플랜지 엣지(flanged edge)(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384개 웰(30)이 장치(10)의 광소자(18) 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어댑터(12)의 상부 면(26)의 엣지(34)는 장치(10)의 광소자(18)를 향하는 판(14)의 웰(30)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판(14)이 어댑터(12)에 설치되고 어댑터가 피펫팅 보조 장치(10)에 배치되면, 상기 판에 있는 각 웰(30)은 장치(10)의 광소자(18)에 의해 조명을 받게 된다. 따라서 피펫팅 작업을 하는 동안, 작업자가 임의 시간에 작업을 할 때 웰(30)을 조명하도록 작업자는 광소자(18)의 온/오프 절환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장치(10)는 작은 수의 웰(30)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타이터 판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2개의 마이크로타이터 판 사이의 웰(30)의 수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도2를 참고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의 엣지에 대한 판의 웰 어레이의 오프셋이 수반된다. 도2에서, 작은 원(small circles)(36)은 판(14)에서의 384개 웰의 로케이션(location)을 대표하지만, 큰 원(large circles)(38)은 96개 웰을 포함하는 제2판에서의 웰의 로케이션을 대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판의 웰(38)은 그 각각이 제1판의 4개 웰(36)에 의해 형성된 네모(squares)의 중앙에 배치된다. 다르게 말하면, 제2판의 웰(38) 어레이는 어레이의 2개 방향의 각각을 따라 제1판의 2개 웰(36)을 나누는 간격을 반(half)으로 하는 거리로 제2판의 엣지에 대한 제1판의 웰(36) 어레이와 오프셋이 되어있다. 따라서, 제2판의 웰(38)이 피펫팅 보조 장치(10)의 광소자(18)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1판이 점유한 위치에 대한 제2판의 동일한 오프셋(equivalent offset)이 가능하게 배치된 제2어댑터가, 제2판이 제1어댑터(14)에 설치될 때 필요하다.
도3은 광소자(44) 어레이와 모듈 중심잡기 수단을 가진 지지부(42)를 포함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광소자(44) 어레이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되며, 모듈은 마이크로타이터 판, 시험관 지지 판, 등을 포함한다. 지지부(42), 광소자(44) 어레이, 및 모듈 중심잡기 수단은 조립체를 형성한다. 또한, 장치(40)는 광소자(44) 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도 포함한다. 이들 수단은 도3에서 볼 수 없으며, 상기 수단의 예를 든다면 입력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컴퓨터-판독 매체, 프로세서, 및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당 기술분야의 기술인이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피펫팅 보조 장치(40)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작업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한정적이지 않는 기재로 키보드, 펜과 터치 스크린, 마우스, 트랙 볼, 터치 스크린, 키 패드, 1개 이상의 버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기술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정보를 피펫팅 보조 장치(40)에 도입하거나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양쪽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은 작업자 입력이 가능하며, 작업자로의 출력도 한다. 피펫팅 보조 장치(4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입력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는 1개 이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컴퓨터-판독 매체는 정보를 전자적으로 보유 또는 저장하는 장소이며, 당 기술분야의 기술인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는 프로세서가 접속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매체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예를 들면 자기 저장장치(예,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마그네틱 스트립...), 광 디스크(예, CD, 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과 같은, 임의적 타입의 RAM, 임의적 타입의 ROM, 임의적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펫팅 보조 장치(4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메모리 매체 기술을 사용하는 1개 이상의 컴퓨터-판독 매체를 갖는다. 또한, 피펫팅 보조 장치(40)는 CD 또는 DVD와 같은 메모리 매체의 로딩을 지지하는 1개 이상의 드라이브도 갖는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당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 전송기술, 및 미디어를 사용하는 장치 사이에 데이터 수신 및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통신을 지원한다. 피펫팅 보조 장치(4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는 1개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피펫팅 보조 장치(40)와 다른 장치 사이에서 전송되어 다른 시스템에 대한 연결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가 피펫 내장 충전 센서(filling sensors onboard the pipettes)와 통신하여 자동적인 피펫팅 작업의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다.
프로세서는 당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명령(instructions)을 실행한다. 상기 명령은 특정 목적의 컴퓨터, 논리회로,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방법의 임의적 조합에 의해 구현된다. 본원에 기재한 "실행(execution)" 용어는 어떤 명령에 의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운전(running) 처리 또는 작업의 수행을 의미한다. 상기 명령은 1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립핑 언어, 어셈블리 언어 등을 사용하여 쓰여(write)진다. 상기 프로세서는 그 명령에 의해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컴퓨터-판독 매체와, 통신 인터페이스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고, 처리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영구 메모리 장치로부터 1세트의 명령을 검색하여, 일반적으로 RAM의 형태인 임시 메모리 장치에 실행가능한 형태의 명령을 복사한다. 피펫팅 보조 장치(40)는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처리기술을 사용하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광소자(44) 어레이의 제어와 연관된 작업을 수행한다.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마이크로타이터 판 또는 시험관 지지 판의 타입에 대해 피펫팅 보조 장치(40)에 알릴 수 있어서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광소자(44) 어레이의 작동 모드를 적응(adapt)시킬 수 있게 한다. 변형예로서,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모듈 수용 지대에 배치된 모듈 존재확인 센서(module presence sensors)와 연관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모듈 식별(identification)수단의 타입과 연관되어, 사용된 모듈 타입의 함수로서 광소자(44)의 행동을 자동적으로 적응시킨다.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1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 어셈블리 언어, 스크립핑 언어 등을 사용하여 쓰여진다.
상기 모듈 중심잡기 수단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부(42)에 장착된 2개의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장착(mount)"의 용어는 접속, 합체, 연결, 상관, 삽입, 걸림, 보유, 고착, 부착, 조임, 접합, 점착, 고정, 볼트, 나사, 리벳, 솔더, 용접, 대항 압축(press against), 함께 형성(formed with), 접착, 및 그 유사 의미의 용어를 포함한다.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은 지지부(42)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지지부는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이 적절한 타입의 수단에 의해 그 안으로 들어가게(retract)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거가능한 부착 모드는 탄성 클립 피트(elastic clip fit)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의 들어감은 장치의 크기를 줄여서 피펫팅 보조 장치(40)의 이송 및 저장을 촉진한다.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의 각각은 4개의 정지 벽(50-64)을 갖는다. 상기 정지 벽은 지지부(42)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며 상기 판이 중심에 잡을 수 있도록 지지부(42)에 상기 판을 배치하는 동안 마이크로타이터 판 또는 시험관 지지 판의 직사각형 엣지와 협동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의 정지 벽(50-64)은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의 각각에 계단 면을 형성한다.
제1중심잡기 구조물(46)의 2개의 정지 벽(50, 54)과 제2중심잡기 구조물(48)의 2개의 정지 벽(58, 62)은 광소자(44)의 2D어레이의 2개 방향 중의 제1방향(66)을 따라 신장한다. 반면에, 제1중심잡기 구조물(46)의 2개의 다른 정지 벽(52, 56)과 제2중심잡기 구조물(48)의 2개의 다른 정지 벽(60, 64)은 광소자(44)의 2D어레이의 2개 방향 중의 제2방향(68)을 따라 신장한다.
제1중심잡기 구조물(46)의 벽(50, 52)에 의해 첫째로 형성된 코너 면과 제2중심잡기 구조물(48)의 벽(58, 60)에 의해 둘째로 형성된 코너 면의 각각은 384개 웰을 포함하는 제1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정위치에서 상기 판은 지지부(42)의 제1직사각형 지대(70)를 커버한다. 이들 중심잡기 수단은 상기 지대(70)의 외측에서 지대(70)의 대각으로 있는 한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정지 벽(50, 52, 58, 60)은 제1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하게 설계된 제1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을 형성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1중심잡기 구조물(46)의 벽(54, 56)에 의해 첫째로 형성된 코너 면과 제2중심잡기 구조물(48)의 벽(62, 64)에 의해 둘째로 형성된 코너 면의 각각은, 정위치에서 그런 판이 지지부(42)의 제2직사각형 지대(70)를 커버하는 96개 웰을 포함하는 제2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중심잡기 수단은 상기 지대(72)의 외측에서 이 지대(72)의 대각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정지 벽(54, 56, 62, 64)은 제2타입의 판을 중심잡기하는데 사용되는 제2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을 형성한다. 제1직사각형 지대(70)와 제2직사각형 지대(72)는 제1 및 제2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용 모듈 수용 지대(module reception zones)에 대응한다.
도3의 예를 든 실시예에서, 정지 벽(54, 50, 62, 58)에 직교한 제2방향(68)을 따르는 정지 벽(50)으로부터 정지 벽(54)의 분리 거리와 정지 벽(58)으로부터 정지 벽(62)의 분리 거리는, 제2방향(68)을 따르는 장치(40)의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44)를 나누는 간격의 1.5배와 대체로 같다. 유사하게, 정지 벽(56, 52, 64, 60)에 직교한 제1방향(66)을 따르는 정지 벽(52)과의 정지 벽(56)의 분리 거리와 정지 벽(60)과의 정지 벽(64)의 분리 거리는 제1방향(66)을 따르는 장치(40)의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44)를 나누는 간격의 1.5배와 대체로 같다.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의 정지 벽은 각각 장치(40)의 광소자(44)와 일치하는 2개 타입의 판의 웰을 만들 수 있게 하면서, 대형 폭의 정지 벽(52, 64)과 정지 벽(54, 58)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이들 정지 벽의 폭은 벽 사이의 상기 분리 거리의 값에 의해 제한되어 이들 벽들은 모듈 수용 지대(70, 72) 너머로 신장하지 않는다. 상술한 벽의 대형 폭은 이들 벽들이 지지부(42)에서 이들의 중심잡기 위치에 모듈을 효율적으로 보유하게 한다.
도3은 판이 지지부(42)에 설치되어 제1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을 형성하는 정지 벽(50, 52, 58, 60)에 의해 지지부(42)의 지대(70)에 중심잡기될 때, 제1타입의 판에 384개 웰이 배열된 광소자(44)를 심볼로 나타낸 중실(solid) 디스크(74)를 도시하였다. 상기 광소자(44) 어레이는 제1타입의 판에 사용되지 않고 제2타입의 판에 사용되는 중공 원(empty circles)의 심볼로 나타낸 광소자의 추가 가로 및 세로 열(76)을 포함한다.
도4는 장치(40)의 광소자(44)에 대한 제2타입의 판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4에서, 제2타입 판의 96개 웰의 일부의 로케이션은, 상기 판이 지지부(42)의 제1지대에 배치되며 정지 벽(50, 52, 58, 60)에 의해 중심잡기되는 경우, 빗금친 디스크(78)로 나타내었다. 도4에서의 중실 디스크(80)는 이 타입의 판이 지지부의 제2지대(72)에 배치되며 정지 벽(54, 56, 62, 64)에 의해 중심잡기되었을 때 제2타입 판의 웰의 로케이션을 심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의 제2지대(72)에 제2타입 판의 배치는 광소자(44) 어레이에 웰이 위치하게 한다.
화살표(82)는 지지부(42)의 2개 지대(70, 72) 사이의 오프셋을 가리키며, 그 크기는 광소자(44)와 판의 웰이 정렬하도록 광소자(44) 어레이의 각 방향을 따라 2개의 인접한 광소자(44)를 나누는 간격의 1.5배와 같다. 또한, 2개의 인접한 광소자(44)를 나누는 간격의 0.5배의 오프셋도 광소자(44)와 제2타입 판에서의 웰의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대형 크기의 오프셋은 정지 벽(52, 64)과 정지 벽(54, 58)의 범위를 증가시켜, 장치(40)에 설치된 마이크로타이터 판에 양호한 지지부를 이들 벽들이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이들 코너의 곡률 반경이 2개의 인접한 광소자(44)를 나누는 간격의 반(half)과 대체로 동일한 한에서는 판의 엣지가 둥근 코너를 갖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런데, 대형 크기의 오프셋은 광소자(76)의 가로 및 세로 열의 추가를 초래하여 광소자(44) 어레이가 제2타입의 판에 있는 모든 웰을 커버할 수 있게 한다.
도5는 광소자(44) 어레이에 대한 제2타입 판의 96개 웰의 배치를 나타낸다. 또한, 장치(40)는 선택적으로 제2중심잡기 구조물(84, 86)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은 각각이 제1지대(70)의 코너와 제2지대(72)의 코너에 배치되고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이 배치된 코너와 구별된다. 중심잡기 구조물(46, 48)은 서로 대각으로 배치되며, 제2중심잡기 구조물(84, 86)도 서로 대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2중심잡기 구조물(84, 86)도 24개 웰을 포함하는 제3타입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웰의 위치는 제1타입의 판에서 웰의 배치에 대한 광소자(44) 어레이의 방향(66, 68)에 따른 2개의 인접한 광소자(44)를 나누는 간격의 1.5배로 오프셋이 되어있다. 이런 오프셋은 지지부(42)의 제1지대(70)와 제2지대(72) 사이에 제공된 오프셋과 동일하다.
도6은 장치(40) 내의 광소자(44) 어레이에 대한 제3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의 위치를 나타내며, 제3타입 마이크로타이터 판에서의 웰의 위치는 제3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이 제1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에 의해 한정된 위치에 있을 때 빗금친 디스크(88)로 나타냈으며, 그리고 상기 판이 제2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에 의해 중심잡기되었을 때 중실 디스크(90)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어느 한 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이 사용되어 장치(40)에 있는 광소자(44) 어레이에 대한 제3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위치시킨다. 화살표(92)는 지지부(42)의 2개의 지대(70, 72) 사이의 오프셋이 어떻게 이들이 일부 광소자(44)와 일치하도록 제3타입의 판에 웰을 배열할 수 있는지를 가리킨다. 광소자의 추가적 가로 및 세로 열(76)은 이런 제3타입의 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웰이 수개의 광소자(44)를 커버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대형 횡단면을 갖도록 판을 사용한다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광소자(94)에 의해 판에 있는 각 웰을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도8은 제4타입 판의 16개 웰이 지지부(42)의 제2지대(72)에 판이 배치되었을 때 중실 디스크로 나타낸 광소자(94) 그룹에 의해 조명되는 방식을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 각 광소자(94) 그룹은 중앙 광소자를 포함하며, 광방출 축은 판의 대응 웰의 축과 일치한다. 그러나,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광소자(94) 그룹이 판 상에 대응 웰의 중앙선에 배치된 중앙 광소자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축 둘레에 배치된 광소자의 레이아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판에서의 웰 사이의 공간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소자(44) 어레이의 양쪽 방향을 따라 동일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중심잡기 수단의 배치는 임의 수의 웰 또는 관을 포함하는 임의적 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 또는 시험관 지지 판이 필요로 하는 오프셋에 적합한 것이다. 특히, 2개 판 수용 지대 사이의 오프셋은 광소자(44) 어레이의 2개 방향을 따라 동일하지 않다. 또한, 지지부(42)에 배치된 중심잡기 수단의 그룹의 수도 2보다 많아서 다수 타입의 판이 서로 다른 오프셋을 사용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9는 상술된 장치(40)와 유사한 피펫팅 보조 장치(96)에 있는 3개 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중심잡기 수단은 3개 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에 공통하는 2개의 중심잡기 구조물(98, 100)을 포함한다. 2개의 중심잡기 구조물(98, 100)의 각각은 6개의 정지 벽을 형성한 계단 면을 갖고, 각각은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타입의 판을 지지하게 3개의 지대(102, 104, 106)를 한정하도록 상호 직교하고 있는 3개 쌍의 벽을 포함한다.
피펫팅 보조 장치는 유익하게 수개의 서로 다른 타입의 마이크로타이터 판 또는 시험관 지지 판과 연관되며, 동일한 수의 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을 포함하여 피펫팅 키트를 형성한다. 그런 키트는 1개 또는 수개의 피펫과 복수의 판을 포함한다. 또한, 피펫팅 보조 장치는 서로 인접하고 수개 모듈이 동시에 나란히 지지될 수 있도록 단일 공통 지지부를 가진 상술한 타입의 수개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10은 2개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지지하도록 나란히 있는 2개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140)를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에서, "a"가 표시된 도면부호는 장치의 일측 조립체에 속해 있는 요소와 연관하고, "b"가 표시된 도면부호는 타측 조립체에 속해 있는 요소와 연관한다. 장치(40)는 장치의 2개의 조립체에 공통된 동일 지지부(142)에 나란히 있는 2개의 광소자(144a, 144b) 행렬(matrix)과, 지지부(142)에 배치되며 2개의 광소자(144a, 144b) 행렬의 각각과 연관된 상술한 것과 유사한 모듈 중심잡기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 중심잡기 구조물은 장치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도3의 중심잡기 요소(46)와 유사한 2개의 중심잡기 구조물(146a, 146b)과, 2개의 광소자(144a, 144b) 행렬 사이에 배치된 중심잡기 구조물(148)을 포함한다. 중심잡기 구조물(146a)은 정지 벽(150a, 152a, 154a, 156a)을 포함하며, 중심잡기 구조물(146b)은 정지 벽(150b, 152b, 154b, 156b)을 포함하여, 모듈이 각각 광소자(144a, 144b) 행렬을 향해 중심을 잡을 수 있다.
중심잡기 구조물(148)은 중심잡기 요소(146a)의 정지 벽(150a, 152a, 154a, 156a)과 협동하게 설계된 제1정지 벽(158a, 160a, 162a, 164a)과, 중심잡기 구조물(146b)의 정지 벽(150b, 152b, 154b, 156b)과 협동하게 구성된 정지 벽(158b, 160b, 162b, 164b)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중심잡기 구조물(148)은 장치의 2개 조립체에 공통적이다.
도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40)는 또한 장치(40)의 구조물(84, 86)과 유사하게 있는 추가된 모듈 중심잡기 구조물(184a, 184b, 186)도 포함한다. 상기 장치(140)는 또한 광소자(144a, 144b) 행렬의 제어 수단(120)도 포함한다.
도10에 기술된 타입의 장치는 예를 들면 제1마이크로타이터 판의 웰에서 나오는 1개 또는 수개의 액체에 대한 샘플링 작업을 함께 모니터하여 제2마이크로타이터 판의 웰 내로 이들 액체를 분배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된다. 특히 이런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수의 웰을 포함하는 2개의 마이크로타이터 판이, 예를 들어 제1판에 있는 큰 수의 웰로부터 수개의 서로 다른 시제(reagents)의 샘플을 취하여, 제2판에 있는 작은 수의 웰에 이들을 조합할 필요가 있을 때,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대응 광소자 어레이에 대한 각각의 판의 올바른 위치를 보장하여 최적의 작업 모니터링 품질을 제공한다.
피펫팅 보조 장치는 액체를 보유할 오리피스를 가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모듈을 수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조립체를 갖는 것을 기술하였다. 상기 지지부는 2차원 행렬로 분포된 복수개의 광소자와, 모듈이 각각 서로 오프셋된 N 지지부 지대(support zones)를 커버하도록 각각 제위치에서 N 수의 서로 다른 타입의 모듈을 중심잡기 위해 지지부에 배치된 N 수(적어도 2) 그룹의 모듈 중심잡기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 지대의 전체 외측부에 배치된다. 본원에 기술된 "모듈"의 용어는 마이크로타이터 판 또는 시험관 지지 판, 또는 그 유사한 타입의 구조물을 지칭한 것이다. 제1경우에서, 모듈의 오리피스는 판에 있는 웰 도입 오리피스이다. 제2경우에서, 상기 모듈 오리피스는 시험관 조립체 오리피스이다. N지대의 상대적인 오프셋은 서로 다른 타입의 모듈에서의 오리피스 배열의 차이를 수정하게 하여 지지부의 광소자에 대한 오리피스의 올바른 배치를 할 수 있게 한정될 수 있다.
장치 지지부에 배치된 다수 그룹의 모듈 중심잡기 수단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타입의 모듈의 대응 조립체 위치 사이의 적절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지지부 상에 광소자에 대한 모듈의 오리피스의 양호한 상대적인 위치를 보장하면서, 서로 다른 타입의 모듈이 상기 지지부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중심잡기 수단을 사용하여, 피펫팅 보조 장치는 어댑터 사용 및 상기 어댑터 사용과 관련된 상술된 결함을 회피한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다른 타입의 모듈에 있는 오리피스의 위치 차의 수정이 서로 다른 지대 사이의 오프셋을 작게 하여, 상기 지대들이 공통된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상기 지대의 각각은 지지부의 광소자 모두를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이들 광소자의 이점은 사용된 모듈 타입과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지대는 대체로 동일한 치수를 가진다.
상기 지대의 치수가 모듈 중심잡기 수단의 배치에 의해 한정되므로, 표준 사이즈의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변형예로, 모듈 중심잡기 수단이 다른 치수를 가진 모듈의 중심잡기가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중심잡기 수단은 대응 지지 지대의 대각 단부에 배치되며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정지 벽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중심잡기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런 타입의 중심잡기 수단은 간단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는 모듈용의 양호한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중심잡기 구조물은 직각 코너 면을 가진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이런 타입의 중심잡기 구조물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콤팩트하며, 특히 모듈 지지부 지대 사이의 오프셋이 작은 크기인 경우에 유익하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중심잡기 구조물의 각각은 중심잡기 수단의 모든 그룹에 공통적이며 계단 면을 갖는다. 이런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편리한 구조를 가진 작은 수의 중심잡기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듈 중심잡기 수단은 유익하게 모듈의 오리피스의 중심선이 지지부의 광소자의 적어도 일부의 각 광 방출 축과 일치하게 제조될 수 있게 배치된다. 변형예로, 특히 비교적 대형인 횡단면을 가진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타입의 모듈의 경우에는, 모듈 중심잡기 수단도 광소자가 모듈의 오리피스의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제1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의 제1지대 상의 L x C 액체 수용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모듈을 중심잡기하도록 형성되며, 제2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의 제2지대 상의 L/2 x C/2 액체 수용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모듈을 중심잡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 상에는 L x C 광소자들이 있고, 상기 제2지지부 지대는 행렬의 2개 방향의 각각을 따라 지지부의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를 나누는 간격의 대략 0.5배와 동일한 거리로 제1지대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지대로부터의 제2지지부 지대의 오프셋의 크기는 제1모듈에서의 오리피스의 행렬에 대한 제2모듈에서의 오리피스 행렬의 오프셋의 크기와 동일하다. 제1모듈에서의 오리피스와 지지부의 광소자의 대응 행렬이 유사하여, 2개 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이 지지부의 광소자와의 제1모듈에서의 오리피스와의 정렬 배치를 가능하게 하며, 제2모듈에서의 오리피스의 정렬 배치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에 (L + 1) x (C + 1)개 광소자가 있고, 제2지지부 지대는 상기 행렬의 2개 방향을 따라 지지부의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를 나누는 간격의 대략 1.5배와 동일한 거리로 제1지대로부터의 오프셋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모듈의 오리피스의 행렬과 제1모듈의 오리피스의 행렬 사이에 오프셋의 크기도 지지부에 있는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를 나누는 간격의 0.5배와 동일하여, 이런 경우, 제1지대로부터의 지지부의 제2지대의 오프셋의 크기가 제1모듈에서의 오리피스의 행렬로부터 제2모듈에서의 오리피스의 행렬의 오프셋 크기와, 지지부의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를 나누는 간격의 합과 동일하다. 제2지지부 지대와 제1지지부 지대와의 사이의 큰 오프셋으로 인해, 이런 구조는 모듈 중심잡기 수단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모듈 지지부 지대를 방해하는 모듈 중심잡기 수단을 갖지 않고, 중심잡기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모듈의 정도를 향상시키게 만든다.
필요에 따라 제2모듈에서의 오리피스의 배열에 따라, 지지부는 추가적인 광소자의 가로 및 세로 열을 포함하여, 지지부의 광소자 행렬이 제2모듈의 오리피스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예(example)"의 단어는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예"로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적인 국면 또는 설계가 반드시 다른 국면 또는 다른 설계를 능가하는 양호하거나 유익하게 되는 구성이 되는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을 설명할 목적으로 다르게 특정하지 않았으면, "하나(a)"의 의미는 "하나 이상(one or more)"을 뜻한다.
본 발명의 예를 든 실시예를 통한 상술한 내용은 본원을 설명할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다. 따라서, 게시된 기술내용으로 본원이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게시된 기술내용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개조하여 본원을 이룰 수 있으며, 이런 사실은 모두 본원에 포함되는 것이며, 본원은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36)

  1. 제1면을 가진 지지부와;
    상기 제1면의 평면에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하게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복수의 광소자와;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제1쌍과 제2쌍의 정지 벽을 갖고, 1쌍의 정지 벽이 코너를 형성하는 제1중심잡기 구조물; 및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제3쌍과 제4쌍의 정지 벽을 가진 제2중심잡기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쌍의 정지 벽과 상기 제3쌍의 정지 벽은 제1타입 판의 제1배치 지대의 코너를 형성하며, 상기 제2쌍의 정지 벽과 상기 제4쌍의 정지 벽은 제2타입 판의 제2배치 지대의 코너를 형성하며;
    상기 제1중심잡기 구조물과 상기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제1배치 지대와 제2배치 지대 양쪽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 판의 한 판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된 제3중심잡기 구조물과 적어도 제5쌍의 정지 벽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5쌍의 정지 벽은 제1타입 판의 제1배치 지대의 제3코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된 제4중심잡기 구조물과 적어도 제6쌍의 정지 벽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6쌍의 정지 벽은 제2타입 판의 제2배치 지대의 제3코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 판의 오리피스는 제1타입의 판이 제1배치 지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광소자의 일 부분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타입 판의 오리피스는 제2타입의 판이 제2배치 지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광소자의 제2부분과 정렬되며, 상기 복수 광소자의 제1부분은 복수 광소자의 제2부분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 판의 오리피스의 제1수는 상기 제2타입 판의 오리피스의 제2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잡기 구조물은 부가로 제5쌍의 정지 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부가로 제6쌍의 정지 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5쌍의 정지 벽과 상기 제6쌍의 정지 벽은 제3타입 판의 제3배치 지대의 코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치 지대와 상기 제2배치 지대는 복수의 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잡기 구조물은 제2중심잡기 구조물에 대해 대각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는 직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잡기 구조물과 상기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지지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잡기 구조물과 상기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지지부의 제1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쌍의 정지 벽은 상기 제2쌍의 정지 벽과는 다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쌍의 정지 벽 중의 제1정지 벽은 제1쌍의 정지 벽 중의 제2정지 벽과는 다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의 판은 마이크로타이터 판과 시험관 지지 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평면에 제2 이차원 어레이를 형성하게 지지부에 장착된 제2 복수의 광소자와;
    지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신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제5쌍의 정지 벽을 가진 제3중심잡기 구조물을 부가로 포함하며;
    제2중심잡기 구조물은 부가로 제6쌍의 정지 벽을 포함하며;
    제5쌍의 정지 벽과 제6쌍의 정지 벽은 제3타입 판의 제3배치 지대의 코너를 형성하며, 상기 제3배치 지대는 제2 복수의 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의 판과 상기 제3타입의 판은 동일한 타입의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광소자의 제1수는 제1타입 판의 오리피스의 제1수와 제2타입 판의 오리피스의 제2수의 최대 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프로세서에 의한 수행 시 시스템이 복수 광소자의 온/오프 절환을 제어하는 그 안에 저장된 명령을 가진 컴퓨터-판독 매체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액체를 보유할 오리피스를 가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모듈을 수용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1개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가 2차원 행렬로 분포된 복수의 광소자를 갖는 피펫팅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N 수의 다른 타입의 모듈을 제 위치에 중심잡기를 위해 지지부에 배치된 N 수(적어도 2) 그룹의 모듈 중심잡기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모듈이 각각 서로에 대해 오프셋 되게 N 지지부 지대를 커버하며, 상기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 지대 전체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대는 이들 지대에 공통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의 각각의 하나는 지지부 상에 광소자 모두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4.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의 상기 지대는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5.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의 대응 지대의 대각 단부에 배치되며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정지 벽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중심잡기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 구조물의 각각은 직각 엘보우 면을 가진 단일 부분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 구조물의 각각은 모든 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에 공통적이며 계단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 구조물은 지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29.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잡기 구조물은 지지부에 제거가능하게 더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30.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 상에 대응 하우징 내로 상기 중심잡기 구조물의 각각을 들여보내기 위한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31. 제2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의 제1지대에 L x C 액체 수용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모듈을 중심잡기하게 설계되며, 제2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의 제2지대에 L/2 x C/2 액체 수용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모듈을 중심잡기하게 설계되며, 상기 지지부에 L x C 광소자가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 지대는 상기 행렬의 2개 방향의 각각을 따라 지지부의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를 나누는 간격의 대략 0.5배와 동일한 거리로 상기 제1지대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32. 제2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의 제1지대에 L x C 액체 수용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모듈을 중심잡기하게 설계되며, 제2그룹의 중심잡기 수단은 지지부의 제2지대에 L/2 x C/2 액체 수용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모듈을 중심잡기를 하게 설계되며, 상기 지지부에 (L+1) x (C+1) 광소자가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 지대는 상기 행렬의 2개 방향의 각각을 따라 지지부의 2개의 연속적인 광소자를 나누는 간격의 대략 1.5배와 동일한 거리로 상기 제1지대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33.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마이크로타이터 판 및/또는 시험관 지지 타입의 모듈을 보유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34.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에 공통적인 단일 지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나란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조립체 중의 2개에 공통적인 적어도 하나의 중심잡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보조 장치.
  36.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펫팅 보조 장치와, 상기 피펫팅 보조 장치의 대응 조립체의 N그룹의 중심잡기 수단 중의 하나에 의해 중심잡기 될 수 있는 각각이 다른 타입으로 장치 내의 각 조립체와 연관된 N 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키트.
KR1020117015708A 2008-12-10 2009-12-04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장치 KR101646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8440 2008-12-10
FR0858440A FR2939332B1 (fr) 2008-12-10 2008-12-10 Dispositif d'aide au pipetage comprenant des moyens ameliores de centrage de plaque de microtit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793A true KR20110098793A (ko) 2011-09-01
KR101646809B1 KR101646809B1 (ko) 2016-08-08

Family

ID=4089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708A KR101646809B1 (ko) 2008-12-10 2009-12-04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431093B2 (ko)
EP (1) EP2364220B1 (ko)
JP (1) JP5497779B2 (ko)
KR (1) KR101646809B1 (ko)
CN (1) CN102245306B (ko)
BR (1) BRPI0922869A2 (ko)
CA (1) CA2745680C (ko)
ES (1) ES2536646T3 (ko)
FR (1) FR2939332B1 (ko)
PL (1) PL2364220T3 (ko)
WO (1) WO2010067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9980A1 (en) * 2011-02-25 2012-08-30 Willow Garage, Inc. System and method for pipetting guidance
US20140368443A1 (en) * 2013-06-14 2014-12-18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Automating Laboratory Experiments
US11347000B2 (en) * 2015-06-19 2022-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plate reader for ELISA tes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6880A1 (en) * 2000-06-15 2001-12-20 Irm, Llc Automated precision object holder
KR20040053975A (ko) * 2002-12-16 2004-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공구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7268A (ja) * 1983-01-21 1984-08-23 ザ パーキン―エルマー コーポレイション 複数の容器間に液体サンプルを自動移動する方法と装置
US4701754A (en) * 1985-04-18 1987-10-20 Fmc Corporation Indicator device for substance receiving wells in a microtiter plate
US5294795A (en) * 1992-11-12 1994-03-15 Wallac Oy Arrangement for counting liquid scintillation samples on multi-well filtration plates
ATE334397T1 (de) * 1999-12-21 2006-08-15 Tecan Trading Ag Klemmvorrichtung zur aufnahme und genauer positionierung eines gegenstandes, vorzüglich einer mikrotiterplatte, sowie verfahren zu ihrem betrieb
US6474181B2 (en) * 2001-01-24 2002-11-05 Gilson, Inc. Probe tip alignment for precision liquid handler
DE10134702A1 (de) * 2001-07-17 2003-02-06 Cybio Instr Gmbh Positionierhilfe für Liquidhandlingseinrichtungen
US7222431B1 (en) * 2006-02-03 2007-05-29 Gilson, Inc. Alignment correc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6880A1 (en) * 2000-06-15 2001-12-20 Irm, Llc Automated precision object holder
KR20040053975A (ko) * 2002-12-16 2004-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공구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31093B2 (en) 2013-04-30
FR2939332B1 (fr) 2011-01-07
JP5497779B2 (ja) 2014-05-21
PL2364220T3 (pl) 2015-06-30
CA2745680C (en) 2016-11-29
ES2536646T3 (es) 2015-05-27
US20100143200A1 (en) 2010-06-10
EP2364220B1 (en) 2015-02-11
CA2745680A1 (en) 2010-06-17
WO2010067167A1 (en) 2010-06-17
JP2012511716A (ja) 2012-05-24
CN102245306A (zh) 2011-11-16
FR2939332A1 (fr) 2010-06-11
EP2364220A1 (en) 2011-09-14
BRPI0922869A2 (pt) 2016-01-12
CN102245306B (zh) 2014-11-26
KR101646809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066B2 (ja) 除去された周囲を有するマイクロタイタープレート
CA237374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cise location of reaction plates
JP2019525171A5 (ko)
JP2007178435A (ja) 試料管ホルダー
US1016834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posable pipette tips in pipette tip carriers
US7790462B2 (en) Reaction vessel support having pivoting plates, an analyz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of this type, and corresponding analysis method
EP1017498A4 (en) MULTIPLE HOLE PLATE
KR20110098793A (ko) 마이크로타이터 판을 중심잡기 위한 장치
EP2751576B1 (en)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w-volume solution samples
EP2192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processing of fluids, method for determining the matching of objects
US61715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phanumerically identifying and arranging test tubes
JP2007301433A (ja) 創薬用チューブピッキング補助具
CN210613740U (zh) 微孔板加样指示单元及微孔板加样辅助装置
JP2008518796A (ja) 付属装置を結合するための装置
KR102492404B1 (ko) 마이크로플레이트 분주 보조 장치
CN218339830U (zh) 多孔板的辅助观察装置
CN218022995U (zh) 用于全自动分杯处理系统的吸头盒
US20230007993A1 (en) Device for handling samples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device
KR102674123B1 (ko) 검체 처리 장치
US20170282187A1 (en) Pipette Tips with Vertical Ribs
JP4875951B2 (ja) 自動分注装置、及び、その検体供給用架設台
EP3199241A1 (en) Multi-well test plate assembly and method of preparing a test plate for analysis
ITFI970179A1 (it) Magazzino per flaconi di reattivi in un apparecchio per analisi di laboratorio o simile, e apparecchio contenente detto magazzi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